KR20120133894A -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894A
KR20120133894A KR1020110052805A KR20110052805A KR20120133894A KR 20120133894 A KR20120133894 A KR 20120133894A KR 1020110052805 A KR1020110052805 A KR 1020110052805A KR 20110052805 A KR20110052805 A KR 20110052805A KR 20120133894 A KR20120133894 A KR 20120133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output path
output
path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741B1 (ko
Inventor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741B1/ko
Priority to US13/399,746 priority patent/US8917873B2/en
Publication of KR2012013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04B15/04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the interference being caused by substantially sinusoidal oscillations, e.g. in a receiver or in a tape-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5/00Reducing interference at the transmission system level
    • H04B2215/061Reduction of burst noise, e.g. in TDMA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에서 TDMA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출력 경로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시,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경로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뎀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TDMA 노이즈가 강하게 발생하는 약전계 상황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가 TDMA 노이즈에 의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TDMA 노이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강전계 상황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음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 이외의 상황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THD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TDMA NOIS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DMA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은 시간 축을 기준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구간과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을 구분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TDMA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구간과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 간의 소모 전력의 차이로 인해 TDMA 노이즈가 발생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신호 송신 구간에서 상기 신호 수신 구간보다 큰 전력을 소모함에 따라, 송수신 주기에 맞추어 일정한 주파수의 노이즈 즉, TDMA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TDMA 노이즈는 통화품질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종래에는 상기 TDMA 노이즈를 억제하여 통화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에 저항 소자를 추가하여 TDMA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통화품질을 개선하는 방안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에 저항 소자를 추가하는 방식은 상기 통화품질을 개선시킬 수는 있으나, 통화 음량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통화 이외의 상황 예를 들어, MP3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황에서 THD(Total harmonic distortion)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TDMA 노이즈의 저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경로를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출력 경로로 분리하고, 스위칭을 통해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경로를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출력 경로로 분리하고, 통화 중 약전계 상황에서 상기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출력 경로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TDMA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는,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출력 경로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시,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경로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뎀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는 상기 스위치와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TDMA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출력 경로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결정된 출력 경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는 스위치와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경로를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출력 경로로 분리하고, 통화 중 약전계 상황에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출력 경로로 출력하고, 이외의 상황에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출력 경로로 출력함으로써, TDMA 노이즈가 강하게 발생하는 약전계 상황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가 TDMA 노이즈에 의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TDMA 노이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강전계 상황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음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 이외의 상황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THD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스위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경로를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출력 경로로 분리하고, 스위칭을 통해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통신 단말은 TDMA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모뎀(100), RF 모듈(110), 안테나(112), 증폭기(120), 스위칭부(130), 이어잭(170) 및 스피커(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스위칭부(130)는 제 1 스위치(132)와 제 2 스위치(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130)의 제 1 스위치(132)와 이어잭(170)은 저항 소자 R1(140)을 포함하는 제 1 이어폰 경로(150)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이어폰 경로(152)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부(130)의 제 2 스위치(134)와 스피커(180)은 저항 소자 R2(142)를 포함하는 제 1 스피커 경로(160)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스피커 경로(162)로 연결된다.
상기 모뎀(100)은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발생된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통화 중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인지 혹은 통화 이외의 다른 서비스 기능(예: 동영상 혹은 음악 파일 재생)의 실행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모뎀(100)은 상기 통화 중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RF모듈(110)을 제어하여 호 연결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RF모듈(1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증폭기(1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모뎀(100)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RF 모듈(110)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약전계 상황인지 혹은 강전계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한 후, 스위칭부(130)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뎀(100)은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클 경우 강전계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약전계 상황으로 판단한다. 이후, 상기 모뎀(100)은 강전계 상황일 경우, 상기 스위칭부(130)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출력 경로로 출력할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약전계 상황일 경우, 상기 스위칭부(130)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소자가 포함된 출력 경로로 출력할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약전계 상황일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는 저항 소자가 포함되는 경로로 출력되어 음량이 작아지거나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뎀(100)은 상기 약전계 상황에서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및 음질을 보상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뎀(100)은 상기 증폭기(120)의 이득을 기 설정된 이득보다 크게 조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음량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모뎀(100)은 상기 통화 이외의 다른 서비스 기능 실행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증폭기(1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모뎀(100)은 상기 스위칭부(130)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출력 경로로 출력할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모뎀(100)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이어잭(170) 혹은 스피커(18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출력 장치로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장치를 상기 증폭기(120) 로 알린다. 여기서, 상기 모뎀(100)은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은 방식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뎀(100)은 상기 이어잭(170)에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상기 이어잭(170)을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장치로 결정하고, 상기 이어잭(170)에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피커(180)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110)은 모뎀(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처리하여 상기 안테나(112)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처리하여 상기 모뎀(1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증폭기(PAM: Power Amp Module)(120)는 상기 모뎀(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증폭시켜 상기 스위칭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증폭기(120)는 이어잭(170) 출력용 오디오 신호와 스피커(180) 출력용 오디오 신호를 서로 다른 레벨로 증폭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증폭기(120)는 상기 모뎀으로부터 이어잭(170)으로 출력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작은 레벨로 증폭시키거나 바이패스하여 상기 스위칭부(130)의 제 1 스위치(132)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100)으로부터 스피커(180) 출력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높은 레벨로 증폭시킨 후, 상기 스위칭부(130)의 제 2 스위치(134)로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부(130)는 상기 모뎀(100)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로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저항소자가 포함된 경로로 제공하거나 저항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로로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부(130)는 제 1 스위치(132)와 제 2 스위치(134)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스위치(132)를 통해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상기 이어잭(170)으로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2 스위치(134)를 통해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상기 스피커(180)로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스위치(132)는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이어잭(170) 출력용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모뎀(100)으로부터 입력되는 경로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 R1(140)을 포함하는 제 1 이어폰 경로(150)로 출력하거나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이어폰 경로(152)로 출력한다. 또한, 즉, 상기 제 2 스위치(134)는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스피커(170) 출력용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모뎀(100)으로부터 입력되는 경로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 R2(142)를 포함하는 제 1 스피커 경로(160)로 출력하거나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스피커 경로(162)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저항 소자 R1(140) 및 저항 소자 R2(142)는 해당 경로를 통과하는 신호의 TDMA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어잭(170)은 제 1 스위치(13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이어폰 경로(150) 혹은 제 2 이어폰 경로(15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고,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 중인 이어폰(미도시)으로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180)는 제 2 스위치(13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스피커 경로(160) 혹은 제 2 스피커 경로(16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고,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스위치(132)와 이어잭(170)을 연결하는 제 1 이어폰 경로(150)와 제 2 이어폰 경로(152), 제 2 스위치(134)와 스피커(180)를 연결하는 제 1 이어폰 경로(160)와 제 2 이어폰 경로(162) 각각을 하나의 경로로 나타내었으나, 각각의 경로(150, 152, 160, 162)들은 일반적인 오디오 출력 경로와 같이, 좌측(left) 신호 경로와 우측(Right) 신호 경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132)와 이어잭(170)간의 연결 경로는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우측 경로,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좌측 경로,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우측 경로 및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좌측 경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제 1 스위치(132)의 동작을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도 2의 스위치 동작은 제 2 스위치(13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서 스위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는 EAR_SIG_R(210)을 통해 우측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EAR_SIG_L(212)을 통해 좌측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EAR_CTL(200)을 통해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EAR_CTL(200)을 통해 입력되는 경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EAR_SIG_R(210) 및 EAR_SIG_L(21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 R1(R)(240)과 R1(L)(242)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EAR_CALL_R(230) 및 EAR_CALL_L(232)로 출력하거나,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EAR_MP3_R(220) 및 EAR_MP3_L(22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뎀(100)에서 상기 모뎀(100)에서 통화 중 약전계 상황인 경우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이외의 상황인 경우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가정하면, 상기 스위치는 상기 EAR_CTL(200)을 통해 하이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EAR_SIG_R(210) 및 EAR_SIG_L(21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저항 소자 R1(R)(240)과 R1(L)(242)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EAR_CALL_R(230) 및 EAR_CALL_L(232)로 출력한다. 반면, 상기 스위치는 상기 EAR_CTL(200)을 통해 로우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EAR_SIG_R(210) 및 EAR_SIG_L(21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EAR_MP3_R(220) 및 EAR_MP3_L(222)로 출력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이어잭 경로와 스피커 경로 각각을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로로 구성하였으나, 설계 방식에 따라 상기 이어잭 경로와 스피커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만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모뎀(100)과 스위칭부(130) 사이에 증폭기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증폭기는 설계 방식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301단계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고,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통화 중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통화 이외의 다른 서비스 기능(예: 동영상 혹은 음악 파일 재생)을 실행함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313단계로 진행하여 스위칭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로로 출력하고, 하기 315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호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TDMA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로로 출력한다.
반면,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이벤트가 통화 중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305단계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307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RSSI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RSSI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RSSI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강전계 상태임을 판단하고, 313단계로 진행하여 스위칭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로로 출력한 후, 하기 315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강전계 상태인 경우, TDMA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소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로로 출력한다.
반면, 상기 RSSI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약전계 상태임을 판단하고, 309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 강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이득을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311단계로 진행하여 스위칭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가 포함된 경로로 출력하고 하기 315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약전계 상태인 경우, 강한 TDMA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TDMA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소자가 포함된 경로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저항 소자를 통해 TDMA 노이즈가 제거되는 과정에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309단계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저항 소자가 포함된 경로로 출력하기 이전에 오디오 신호의 출력 강도를 조절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315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통화 중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시 통화가 종료되거나 상기 음악 파일 재생 중에 음악 파일 재생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모뎀 110: RF 모듈
120: 증폭기 130: 스위칭부
170: 이어잭 180: 스피커

Claims (18)

  1. 이동통신 단말에서 TDMA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출력 경로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시,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경로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뎀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는 상기 스위치와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제 2 출력 경로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경우,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 1 출력 경로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 2 출력 경로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이어잭 및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이며,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동일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이동통신 단말에서 TDMA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출력 경로와 저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출력 경로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결정된 출력 경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는 스위치와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신호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제 2 출력 경로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 1 출력 경로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 2 출력 경로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이어잭 및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이며,
    제 1 출력 경로와 제 2 출력 경로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동일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52805A 2011-06-01 2011-06-01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KR10182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805A KR101820741B1 (ko) 2011-06-01 2011-06-01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US13/399,746 US8917873B2 (en) 2011-06-01 2012-02-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DMA noi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805A KR101820741B1 (ko) 2011-06-01 2011-06-01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94A true KR20120133894A (ko) 2012-12-11
KR101820741B1 KR101820741B1 (ko) 2018-01-23

Family

ID=4726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805A KR101820741B1 (ko) 2011-06-01 2011-06-01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17873B2 (ko)
KR (1) KR101820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188B1 (ko) * 2015-05-28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906642B2 (en) * 2018-09-28 2024-02-20 Silic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information of audio data based on one or more radio frequency (RF) signal reception and/o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TWI696995B (zh) * 2018-11-23 2020-06-21 巧連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抗噪降噪的音效裝置
WO2024049145A1 (ko) * 2022-09-02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운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2042A (en) * 1995-05-31 1997-11-25 Casio Phonemate, Inc. Speakerphone controlled by a comparator with hysteresis
US8218460B2 (en) * 2006-12-27 2012-07-10 Laura Laaksonen Network ent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ixing signals during a conference s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17873B2 (en) 2014-12-23
KR101820741B1 (ko) 2018-01-23
US20120308013A1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8535B1 (en) Receiver dynamic power management
KR101455710B1 (ko) 오디오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컴퓨팅 장치
KR101311028B1 (ko) 주변 잡음 검출을 이용한 요해도 제어
US9131296B2 (en) Auto-configuring audio output for audio performance and fault detection
US9998826B2 (en) Optimization of performance and power in audio system
KR101710174B1 (ko) 통합 헤드셋의 크로스토크 감소 방법 및 장치
EP1569346A2 (en) Amplifier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KR20120133894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티디엠에이 노이즈 저감 방법 및 장치
US8938082B2 (en) Apparatus having hearing aid
US20090010452A1 (en) Adaptive noise gate and method
US10979010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US9107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tter power level
KR1015683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채널 간 크로스 톡 개선 장치 및 방법
US8705758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echo from a second signal in a first signal
US8676140B2 (en) Efficient scheme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communication systems
JP2010263430A (ja) 受信装置
KR100651493B1 (ko) 수신기에서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JP5754256B2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そのスケルチ制御方法
JP5942642B2 (ja) Rfモジュール
WO2013044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receiving dynamic range of rf transceiver in tdd system
KR1006802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4170081B2 (ja) 干渉波検出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10063164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안정화 방법 및 장치
US10313790B1 (en) Polymorphic playback system with switching oscillation prevention
JP4050212B2 (ja) 信号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