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361B1 - 칼갈이 세트 - Google Patents

칼갈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361B1
KR100645361B1 KR1020050118050A KR20050118050A KR100645361B1 KR 100645361 B1 KR100645361 B1 KR 100645361B1 KR 1020050118050 A KR1020050118050 A KR 1020050118050A KR 20050118050 A KR20050118050 A KR 20050118050A KR 100645361 B1 KR100645361 B1 KR 10064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using
grinding block
grinding
blade
ou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호 filed Critical 박창호
Priority to KR102005011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78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 B23Q11/0096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protecting against no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딩 블록(30)이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면서 칼날을 수용하여 연마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칼갈이 기능을 확실하게 보장시키면서 외관을 더욱 간소(외관의 미감 보장 및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투 방지)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그라인딩 블록(30)이 평상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실제 사용시에는 자체가 노출되도록 설계되어 어린아이들의 호기심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싱크대(S)의 도어(D) 내측에 부착시켜 사용될 수 있는, 즉 빌트인(Built In)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하우징(10)의 상측면에 칼날 보관구멍(12)을 구비시켜 칼이나 가위 등을 그라인딩 블록(30)과 함께 보관토록 할 수 있는 칼갈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칼갈이 세트{GRINDER SET FOR KNIFE}
도 1은 종래 출원에 따른 칼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를 나타내는 베이스 하우징 및 프런트 하우징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에 적용된 그라인딩 블록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에 적용된 그라인딩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하우징 11 : 수납공간
12 : 칼날 보관구멍 20 : 프런트 하우징
21 : 개구부 30 : 그라인딩 블록
31 : 외측 브래킷 31a : 유도홈
31b : 걸림턱 31c : 스위칭 턱
32 : 연마석 33 : 내측 브래킷
34 : 모터 35 : 와이어 스프링
41 : 제 1 서포터 41a : 걸림홈
41b : 스프링 축 42 : 제 2 서포터
H1 : 힌지축 H2 : 힌지홀
51 : 후크 52 : 후크 스위치
60 : 배터리 세트 70 : 마이크로 스위치
80 : 자외선램프 조립체 91 : 단열재
92 : 방음재 B : 부싱
D : 도어 S : 싱크대
본 발명은 칼갈이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인딩 블록이 프런트 하우징의 개구부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면서 칼날을 연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칼갈이 기능의 확실한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안정성, 간소함 및 주방기구의 수납효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칼갈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이나 가위 등은 음식물을 자르는데 사용되며 처음 구매시 날이 예리하여 음식물 등을 잘 자를 수 있으나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무뎌지게 된다.
무뎌진 칼이나 가위 등의 칼날을 날카롭게 연마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칼갈이이고, 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6574호를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출원에 따른 칼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칼갈이는 작동 스위치(33)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연마석을 본체(1) 속에 구비시키고 가이드 커버(21)의 안내편(22) 사이로 칼날이 인입되어 연마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칼갈이는 싱크대 위나 서랍 또는 여타의 장소에 자유롭게 놓여지면서 어린아이들의 접근을 쉽게 허용하고 있고, 이를 본 어린아이들은 손쉽게 작동 스위치(33)를 온오프시켜 일종의 면도기나 장난감처럼 휴대하면서 젓가락이나 송곳 심지어는 칼이나 가위 등을 가이드 커버(21)의 안내편 (22) 사이로 집어넣어 각종 사고의 위험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날카로워진 칼이나 가위 기타의 도구들을 잘못 다루어 피부상처 또는 절단사고로 이어지는 심한 후유증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고는 칼갈이 자체가 휴대하기 편하게 설계됨과 동시에 칼날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커버(2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작되어 어린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성격의 모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 출원의 칼갈이는 칼갈이와 칼 등을 서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주방에서의 수납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그라인딩 블록이 프런트 하우징의 개구부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면서 칼날을 연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칼갈이 기능을 확실하게 보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의 간소(외관의 미감 보장 및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투 방지)함과 더불어 어린아이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으며, 빌트인(Built In) 조립을 가능케 하고, 베이스 하우징의 상측면에 칼날 보관구멍을 구비시켜 칼이나 가위 등을 그라인딩 블록과 함께 보관토록 하여 안정성과 간소함 그리고 주방기구의 수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칼갈이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씌워져 고정되며 개구부(21)를 갖는 프런트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비사용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사용시에는 상기 개구부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어 칼날을 수용하면서 연마시키는 그라인딩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를 나타내는 베이스 하우징(10) 및 프런트 하우징(20)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1)을 갖는 베이스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 하우징(10)에 개구부(21)를 갖는 프런트 하우징(20)이 씌워져 고정되며,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면서 칼날을 수용하여 연마시키는 그라인딩 블록(30)이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라인딩 블록(30)이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면서 칼날을 수용하여 연마시킬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베이스 하우징(10) 및 프런트 하우징(20) 속에 일체의 그라인딩 블록(30)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게 되며, 특히 그라인딩 블록(30)이 평상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실제 사용시에는 자체가 상승 노출되도록 설계되어 칼갈이 기능의 확실한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어린아이들의 호기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S)의 도어(D) 내측에 부착시켜 사용될 수 있는, 즉 빌트인(Built In)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안전성뿐만 아니라 보관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에 적용된 그라인딩 블록(30)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힌지축(H1)을 갖는 제 1 서포터(41) 및 제 2 서포터(42)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라인딩 블록(30)은 제 1 서포터(41) 및 제 2 서포터(42)의 힌지축(H1)에 힌지 결합되어 역시계방향(화살표 b) 및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자체가 노출 및 폐쇄되도록 설계된다.
그라인딩 블록(30)이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역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자체가 노출 및 폐쇄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칼날 연마시의 편리함(칼갈이 기능 보장)과 비사용시의 보관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되어 그라인딩 블록(30)의 노출 및 폐쇄 동작을 더욱 부드럽게 실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에 적용된 그라인딩 블록(3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도 2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포터(41)의 하부 및 상부에 걸림홈(41a) 및 스프링 축(41b)을 각각 형성하고, 이 스프링 축(41b)에 그라인딩 블록(30)을 회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스프링(35)이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와이어 스프링(35)은 그 일단이 걸림홈(41a)에 끼워지고 중단은 스프링 축(41b)에 끼워짐으로써 그 타단으로 역시계방향의 탄성을 제공토록 설계된다.
그리고, 그라인딩 블록(30)은 힌지축(H1)에 결합된 2개 1조의 힌지홀(H2)을 가짐과 동시에 칼날을 유도하는 유도홈(31a)을 구비한 외측 브래킷(31)과, 와이어 스프링(35)의 타단을 받아들이도록 외측 브래킷(31)에 돌출되어 역시계방향의 탄성을 제공받는 걸림턱(31b)과, 유도홈(31a)에 일치하도록 외측 브래킷(31)에 내장되는 연마석(32), 그리고 이 연마석(32)을 보호하면서 외측 브래킷(31)에 조립되는 내측 브래킷(33)으로 이루어진다.
연마석(32)이 유도홈(31a)에 일치되도록 외측 브래킷(31)에 내장됨으로써 칼날의 부드러운 안내와 더불어 연마동작을 자연스럽게 실현할 수 있게 되며, 외측 브래킷(31)이 힌지축(H1)에 결합되는 힌지홀(H2)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됨으로써 칼날의 연마동작과 그라인딩 블록(30)의 수납동작을 더욱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외측 브래킷(31)의 후방으로 돌출된 후크(51)를 더 구비하고,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장착되어 후크(51)를 착탈시키기 위한 후크 스위치(52)를 포함한다.
그라인딩 블록(30)이 와이어 스프링(35)에 의하여 역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경유하여 자체가 노출되면서 칼날을 연마시킨 다음 다시 원위치 될 경우 후크(51)와 후크 스위치(52)의 고정력으로 그 지지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베이스 하우징(10)과 프런트 하우징(20)의 일체적인 구조 속에 모든 부품의 수납상태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는 측면, 즉 비사용시 칼날을 연마시키기 위한 유도홈(31a)과 연마석(3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고 아울러 그 효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장착된 배터리 세트(60)와, 이 배터리 세트(60)의 전원을 공급받아 연마석(32)을 회전시키도록 외측 브래킷(31) 및 내측 브래킷(33) 사이에 장착되는 모터(34), 그리고 배터리 세트(60)에 접속되어 모터(34)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포함한다(이때, 미 설명부호 B는 모터(34)의 샤프트와 연마석(32)을 결합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부싱을 나타낸다).
칼날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석(32)이 회전되지 않는 구조일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지만 모터(34)의 구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계될 경우 칼날을 인위적으로 움직여야만 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는 측면에서 더욱 이롭다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위치(70)는 그라인딩 블록(30) 전방의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구비되도록 하고, 아울러 그라인딩 블록(30)이 와이어 스프링(35)에 의하여 역회전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터치하여 온시킬 수 있도록 외측 브래킷(31)의 하단에 라운딩 돌출된 스위칭 턱(31c)을 포함토록 한다.
그라인딩 블록(30)이 힌지축(H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자체가 노출됨과 동시에 외측 브래킷(31)의 스위칭 턱(31c)이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터치하면서 모터(34)를 회전시킴으로써 일련의 칼날 연마동작을 올(All) 자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더욱 이롭다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베이스 하우징(10)의 상측면에 칼날 보관구멍(12)을 더 구비시켜 칼이나 가위 등을 그라인딩 블록(30)과 함께 보관토록 할 수 있어 주방기구의 수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할 경우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자외선램프 조립체(80)를 더 포함시켜 칼날의 세균증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10) 및 프런트 하우징(20)의 내부에 단열재(91) 및 방음재(92)를 더 포함시켜 소음을 차단하고 내부열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단열재(91) 및 방음재(92)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구성으로도 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의 사용동작을 도 7 및 도 8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S)의 도어(D) 내측에 본 발명의 칼갈이 세트를 부착(예를 들면, 나사 조립)시킨 후 다양한 크기의 칼을 칼날 보관구멍(12)에 끼워 넣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종류의 칼이 칼갈이 세트에 함께 보관될 수 있게 됨으로써 주방에서의 정리정돈 내지는 수납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뎌진 칼날을 연마시키기 위하여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보이는 그라인딩 블록(30)을 도 5a의 화살표 방향(화살표 a)으로 가압 터치하여 외측 브래킷(31)의 후크(51)를 잡고 있던 후크 스위치(52)가 이완되도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 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하여 그라인딩 블록(30)이 역시계방향(화살표 b)으로 힌지축(H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경유하여 그라인딩 블록(30) 자체가 노출되도록 됨과 동시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브래킷(31)의 스위칭 턱(31c)이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터치하여 모터(34)가 배터리 세트(60)의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구동되어 연마석(3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홈(31a)으로 칼날을 삽입시키면서 연마석(32)의 회전을 받도록 함으로써 칼날이 날카롭게 연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도홈(31a)은 연마석(32)의 양면을 이용하여 칼날의 양쪽을 자유롭게 연마시킬 수 있도록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1조로 형성될 수 있음 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칼날의 연마를 완료한 다음에는 유도홈(31a)으로부터 칼날을 이탈시키면서 그라인딩 블록(30)을 도 5a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턱(31c)이 마이크로 스위치(70)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세트(60)의 전원을 차단시켜 모터(34)가 스톱되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후크(51)가 후크 스위치(52)로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딩 블록(30)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들의 호기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그라인딩 블록(30)이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면서 칼날을 수용하여 연마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베이스 하우징(10) 및 프런트 하우징(20) 속에 일체의 그라인딩 블록(30)의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게 되어 외관이 더욱 간소(외관의 미감 보장 및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투 방지)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그라인딩 블록(30)이 평상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실제 사용시에는 상승 노출되도록 설계되어 칼갈이 기능의 확실한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어린아이들의 호기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를 싱크대(S)의 도어(D) 내측에 부착시켜 사용될 수 있는, 즉 빌트인(Built In)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안전성뿐만 아니라 보관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라인딩 블록(30)이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역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자체가 노출 및 폐쇄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칼날 연마시의 편리함과 비사용시의 보관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고, 아울러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되어 그라인딩 블록(30)의 노출 및 폐쇄 동작을 더욱 부드럽게 실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마석(32)이 유도홈(31a)에 일치되도록 외측 브래킷(31)에 내장됨으로써 칼날의 부드러운 안내와 더불어 연마동작을 자연스럽게 실현시킬 수 있으며, 외측 브래킷(31)이 힌지축(H1)에 결합되는 힌지홀(H2)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됨으로써 칼날의 연마동작과 그라인딩 블록(30)의 수납동작을 더욱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그라인딩 블록(30)이 와이어 스프링(35)에 의하여 역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칼날을 연마시킨 다음 다시 원위치 될 경우 후크(51)와 후크 스위치(52)의 고정력으로 그 지지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베이스 하우징(10)과 프런트 하우징(20)의 일체적인 구조 속에 모든 부품의 수납상태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는 측면, 즉 비사용시 칼날을 연마시키기 위한 유도홈(31a)과 연마석(3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고 아울러 그 효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칼날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석(32)이 회전되지 않는 구조일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지만 모터(34)의 구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계될 경우 칼날을 인위적으로 움직여야만 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이롭다 할 수 있다.
더불어, 그라인딩 블록(30)이 힌지축(H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프런트 하우징(20)의 개구부(21)를 통하여 자체가 노출됨과 동시에 외측 브래킷(31)의 스위칭 턱(31c)이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터치하면서 모터(34)를 회전시킴으로써 일련의 칼날 연마동작을 올 자동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칼갈이 세트는 베이스 하우징(10)의 상측면에 칼날 보관구멍(12)을 더 구비시켜 칼이나 가위 등을 그라인딩 블록(30)과 더불어 보관토록 할 수 있어 주방기구의 수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할 경우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자외선램프 조립체(80)를 더 포함시켜 칼날의 세균증식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10) 및 프런트 하우징(20)의 내부에 단열재(91) 및 방음재(92)를 더 포함시켜 소음을 차단하고 내부열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수납공간(11)을 갖는 베이스 하우징(1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에 씌워져 고정되며 개구부(21)를 갖는 프런트 하우징(20)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비사용시 상기 수납공간(11)에 수납되며 사용시에는 상기 개구부(21)를 경유하여 자체가 상승 노출되어 칼날을 수용하면서 연마시키는 그라인딩 블록(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힌지축(H1)을 갖는 제 1 서포터(41) 및 제 2 서포터(42)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딩 블록(30)은 상기 힌지축(H1)에 힌지 결합되어 역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개구부(21)를 통하여 자체가 노출 및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터(4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41a) 및 스프링 축(41b)을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걸림홈(41a)에 끼워지고 중단은 상기 스프링 축(41b)에 끼워지 면서 역시계방향의 탄성을 타단에 제공토록 한 와이어 스프링(35)을 구비하며,
    상기 그라인딩 블록(30)은
    상기 힌지축(H1)에 결합된 2개 1조의 힌지홀(H2)을 가짐과 동시에 칼날을 유도하는 유도홈(31a)을 구비한 외측 브래킷(31)과,
    상기 와이어 스프링(35)의 타단을 받아들이도록 상기 외측 브래킷(31)에 돌출되어 역시계방향의 탄성을 제공받는 걸림턱(31b)과,
    상기 유도홈(31a)에 일치하도록 상기 외측 브래킷(31)에 내장되는 연마석(32)과,
    상기 연마석(32)을 보호하면서 상기 외측 브래킷(31)에 조립되는 내측 브래킷(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브래킷(31)의 후방으로 돌출된 후크(51)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장착되어 상기 후크(51)를 착탈시키는 후크 스위치(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장착된 배터리 세트(60)와,
    상기 배터리 세트(60)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연마석(3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외측 브래킷(31) 및 내측 브래킷(33) 사이에 장착되는 모터(34)와,
    상기 배터리 세트(60)에 접속되어 상기 모터(34)의 구동을 온오프시키는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는 상기 그라인딩 블록(30) 전방의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구비되고,
    상기 그라인딩 블록(30)이 상기 와이어 스프링(35)에 의하여 역회전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터치하여 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측 브래킷(31)의 하단에 라운딩 돌출된 스위칭 턱(3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의 상측면에 뚫려진 칼날 보관구멍(1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구비된 자외선램프 조립체(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10) 및 프런트 하우징(20)의 내부에 부착되는 단열재(91) 및 방음재(9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갈이 세트.
KR1020050118050A 2005-12-06 2005-12-06 칼갈이 세트 KR10064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050A KR100645361B1 (ko) 2005-12-06 2005-12-06 칼갈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050A KR100645361B1 (ko) 2005-12-06 2005-12-06 칼갈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361B1 true KR100645361B1 (ko) 2006-11-14

Family

ID=3765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050A KR100645361B1 (ko) 2005-12-06 2005-12-06 칼갈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16B1 (ko) * 2013-05-14 2013-11-04 정종필 항균 안전 칼꽂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363U (ko) 1974-07-05 1976-01-20
KR890016093U (ko) * 1988-01-29 1989-08-18 금양무역상사 주식회사 칼갈이 기구
JPH08229782A (ja) * 1995-02-22 1996-09-10 Nikan:Kk 砥部を備えた刃物ケース
KR19980025557A (ko) * 1996-10-02 1998-07-15 정인식 이원상 고농도 세포 배양을 활용한 천연 인디루빈의 생산방법
KR19980033528A (ko) * 1998-04-22 1998-07-25 송재만 나이프 그라인더
KR19990001749U (ko) * 1997-06-21 1999-01-15 이기석 연마기가 부착된 칼꽂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363U (ko) 1974-07-05 1976-01-20
KR890016093U (ko) * 1988-01-29 1989-08-18 금양무역상사 주식회사 칼갈이 기구
JPH08229782A (ja) * 1995-02-22 1996-09-10 Nikan:Kk 砥部を備えた刃物ケース
KR19980025557A (ko) * 1996-10-02 1998-07-15 정인식 이원상 고농도 세포 배양을 활용한 천연 인디루빈의 생산방법
KR19990001749U (ko) * 1997-06-21 1999-01-15 이기석 연마기가 부착된 칼꽂이
KR19980033528A (ko) * 1998-04-22 1998-07-25 송재만 나이프 그라인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20008926
201998002555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16B1 (ko) * 2013-05-14 2013-11-04 정종필 항균 안전 칼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0629A1 (en) Motorized fingernail filing assembly
US20100000092A1 (en) Shaver having a space for collecting cut-off hairs
CA2647419A1 (en) Pet nail trimmer including a nail clipper and a grinder
US20060283019A1 (en) Slim electric razor
US20130019480A1 (en) Shaver having spaces for collecting cut-off hairs
KR100645361B1 (ko) 칼갈이 세트
US20160262797A1 (en) Pedicure Assembly
WO2007116397A2 (en) Safety razor head blade system
US20180001443A1 (en) Cigar clipper and cigar clipper sharpener
KR101740800B1 (ko) 손톱깎이용 기구
JP6883610B2 (ja) 刃物研ぎ器
KR200369894Y1 (ko) 회전식 손톱깎기
KR200477942Y1 (ko) 자동 손톱깎이
CN213719348U (zh) 一种多功能指甲钳
KR200255063Y1 (ko) 손톱깍기
KR200485360Y1 (ko) 전동식 칼갈이 장치
KR200347998Y1 (ko) 손톱깍기
JP6764044B1 (ja) 多機能ハサミ
CN215456043U (zh) 剪磨机构及指甲修剪装置
GB2427136A (en) Motorised fingernail filing assembly
CN217620726U (zh) 去毛器
CN218278246U (zh) 一种猫指甲修剪装置
KR200392842Y1 (ko) 동력에 의한 손톱 파일링 어셈블리
KR200367485Y1 (ko) 돋보기가 구비된 손톱깍기
KR100759134B1 (ko) 손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