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653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653B1
KR100644653B1 KR1020040098363A KR20040098363A KR100644653B1 KR 100644653 B1 KR100644653 B1 KR 100644653B1 KR 1020040098363 A KR1020040098363 A KR 1020040098363A KR 20040098363 A KR20040098363 A KR 20040098363A KR 100644653 B1 KR100644653 B1 KR 10064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main body
gear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351A (ko
Inventor
송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653B1/ko
Priority to US11/234,264 priority patent/US7272340B2/en
Publication of KR2006005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상장치는 본체에 장탈착되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 현상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현상장치에 마련되는 구동력수신기어, 현상장치를 본체에 장탈착할 수 있도록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 커버가 본체를 개폐함에 따라 연동하면서 회동하는 개폐장치와, 본체에 마련되어 개폐장치와 간섭되면서 구동력수신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구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여, 커버가 본체를 개방하면 개폐장치는 구동력전달기어와 접촉하면서 구동력전달기어와 구동력수신기어가 이격되어 구동력이 차단되며, 커버가 본체를 닫으면 개폐장치는 구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되면서 구동력전달기어에서 구동력수신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forming apparatus}
도 1 및 도 2는 종래 화상형상장치에서 현상장치가 본체에 착탈되면서 동력이 연결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본체 111...측면프레임
112...감속기어 113...아이들기어
114...브라켓 115...현상롤러구동모터
116...구동력전달기어 120...커버
130...현상장치 131...구동력수신기어
132...감광매체기어 140...개폐장치
141...회동부재 1411...후크부
1412...외력작용부 1413...회동부
1414...지지부 142...탄성부
143...락킹부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장치를 본체와 착탈 시 기어물림을 원활하게 하면서 기어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 위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소정토너로 이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원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사용되는 토너에 따라 건식 또는 습식으로 분류된다. 액상의 캐리어와 고체상의 토너를 소정비율로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고체상의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우수한 인쇄품질을 갖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이미지 전사방식에 따라 접착전사방식와 정전전사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접착전사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이미지를 건조시킨 후 전사롤러는 건조된 토너이미지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인쇄용지에 전사시킨다. 정전전사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정전력을 이용하여 토너이미지를 인쇄용지에 전사시킨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저장하고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토너를 소진하면 새 토너가 저장되어 있는 현상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현상장치가 본체에 착탈되면 이들은 기어가 서로 맞물리면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화상형상장치에서 현상장치가 본체에 착탈되면서 동력이 연결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의 측면프레임(미도시)에는 메인모터(30)와 메인모터(30)로부터 이 물림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감광매체(미도시)를 구동시키는 감광매체 구동기어(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측에는 현상롤러구동모터(10)와 현상롤러구동모터(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아이들기어(22) 및 아이들기어(22)와 맞물려있으며 아이들기어(22)를 회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스윙기어(23)가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21)은 탄성부(24)에 연결되어 있어 탄력적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상장치(40)는 그 내부에 현상롤러(미도시)와 감광매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현상롤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현상롤러기어(41)와 감광매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광매체기어(42)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현상장치(40)를 화살표방향으로 밀어 넣어 본체에 장착시키면 현상롤러기어(41)와 스윙기어(23)가 서로 맞물리며, 감광매체기어(42)와 감광매체구동기어(31)가 서로 맞물린다. 현상롤러구동모터(10)가 회전하면 아이들기어(22), 스윙기어(23) 및 현상롤러기어(41) 순서로 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메인모터(30)가 회전하 면 감광매체구동기어(31) 및 감광매체기어(42) 순서로 동력이 전달된다.
반대로, 현상장치(40)를 본체로부터 이탈시킬 때, 현상롤러기어(41)와 스윙기어(23)가 서로 맞물려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이물림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스윙기어(23)를 역회전시키면서 현상장치(40)를 본체로부터 이탈시켜야 한다.
이때, 스윙기어(23)는 현상롤러구동모터(10)에 아이들기어(22)를 통하여 맞물려있기 때문에 현상롤러구동모터(10)에 의하여 추가적인 부하를 걸리게 되므로 현상장치(40)를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어렵다.
현상장치(40)를 본체로부터 강제로 이탈시키면 맞물려있는 기어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현상장치를 본체에 착탈 시 강제적으로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어의 물림을 해제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장탈착되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
상기 현상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현상장치에 마련되는 구동력수신기어;
상기 현상장치를 상기 본체에 장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폐함에 따라 연동하면서 회동하는 개폐장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장치와 간섭되면서 상기 구동력수신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구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하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와 접촉하면서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와 상기 구동력수신기어가 이격되어 구동력이 차단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닫으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되면서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에서 상기 구동력수신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력전달기어는 상기 구동력수신기어의 상측에서 치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력전달기어는
동력원에 치합되어 있는 감속기어, 및 상기 감속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아이들기어와, 상기 감속기어를 회동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아이들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이 상기 개폐장치와 간섭되어 지렛대원리에 의하여 회동됨에 따라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구동력수신기어와 치합 또는 이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과 접촉할 수 있는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외력작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동부재;
상기 외력작용부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커버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하면 상기 외력작용부와 이격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닫으면 사기 외력작용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락킹부재를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으로 열리고 또는 닫히도록 마련된 커버(120)와 상기 본체(110)에 장착 또는 탈착되어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30, 도 5 및 도 6참조) 및 상기 현상장치(130)가 상기 본체(110)에 장착 또는 탈착할 때 원활하게 이물림을 차단 또는 연결시키는 개폐장치(14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의 측면프레임(111)에는 구동력전달기어(1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동력전달기어(116)는 동력원(115)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감속기어(112)와, 상기 감속기어(112)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장치(130)에 마련되어 현상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수신기어(131)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는 아이들기어(113)와, 상기 감속기어(112)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어(112)와 아이들기어(113)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114)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장치(140)는 회동부재(141),탄성부재(142) 및 락킹부재(143)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부재(141)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프레임(111)에 도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114)과 접촉할 수 있는 후크부(1411)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락킹부재(143)와 접촉하면서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외력작용부(14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141)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프레임(111)에 힌지축(1413)을 중심 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42)는 상기 회동부재(141)의 외력작용부(1412)를 상 방향으 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력작용부(1412)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 돌기부(1414)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10)의 측면프레임(111)에 고정되도록 지지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외력작용부(1412)는 상기 락킹부재(143)와 접촉하지 않는 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탄성부재(14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므로 상기 회동부재(14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락킹부재(143)는 상기 커버(120)의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커버(120)가 상기 본체(110)에 닫힐 때에는 상기 외력작용부(1412)와 접촉하면서 상기 외력작용부(1412)를 하방으로 밀고, 상기 커버(120)가 상기 본체(110)로부터 열릴 때에는 상기 외력작용부(1412)와 이격된다.
이때, 상기 외력작용부(1412)는 상기 탄성부재(142)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면서 원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락킹부재(143)는 상기 외력작용부(1412)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부재(142)와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회동부재(141)의 동작은 상기 락킹부재(143)와 상기 탄성부재(142)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장치(130)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면 상기 현상장치(130)의 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된 구동력수신기어(131)는 상기 아이들기어(113)와 맞물려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현상장치(130)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후 상기 커버(120)를 닫으면 상기 락킹부재(143)가 상기 외력작용부(1412)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동부재(141)는 상기 힌지축(1413)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탄성부재(142)는 상기 회동부재(141)가 회동되면서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구동력수신기어(131)는 동력원(115)으로부터 상기 감속기어(112), 아이들기어(113)를 거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감광매체기어(132)는 메인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현상장치(130)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 상기 커버(120)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열면 상기 락킹부재(143)는 상기 커버(120)와 함께 같이 상 방으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락킹부재(143)는 상기 외력작용부(1412)와 이격되고, 상기 외력작용부(1412)는 상기 탄성부재(14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 방으로 다시 탄성바이어스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상기 회동부재(141)는 상기 힌지축(14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후크부(1411)가 상기 브라켓(114)과 접촉되면서 상기 브라켓(114)을 상기 감속기어(112)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브라켓(114)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아이들기어(113)와 상기 구동력수신기어(131)는 서로 이격된다. 즉, 상기 아이들기어(113)와 상기 구동력수신기어(131)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현상장치(130)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이격시키고 새로운 현상장치를 상기 본체(110)에 장착시킴으로써 현상장치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0)를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닫으면, 상기 락킹부재(143)가 상기 외력작용부(1412)와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부재(141)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후크부(1411)와 상기 브라켓(114)은 서로 이격된다. 그러면, 상기 브라켓(114)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감속기어(112)를 중심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아이들기어(113)가 상기 구동력수신기어(131)와 서로 이물림되어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장치를 본체와 분리하기 전에 기어의 이물림을 해제하고, 현상장치를 본체에 장착한 후에 기어의 이물림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본체에 장탈착되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
    상기 현상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현상장치에 마련되는 구동력수신기어;
    상기 현상장치를 상기 본체에 장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폐함에 따라 연동하면서 회동하는 개폐장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장치와 간섭되면서 상기 구동력수신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구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하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와 접촉하면서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와 상기 구동력수신기어가 이격되어 구동력이 차단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닫으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되면서 상기 구동력전달기어에서 상기 구동력수신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기어는 상기 구동력수신기어의 상측에서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기어는
    동력원에 치합되어 있는 감속기어, 및 상기 감속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아이들기어와, 상기 감속기어를 회동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아이들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이 상기 개폐장치와 간섭되어 지렛대원리에 의하여 회동됨에 따라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구동력수신기어와 치합 또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과 접촉할 수 있는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외력작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동부재;
    상기 외력작용부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커버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하면 상기 외력작용부와 이격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닫으면 사기 외력작용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락킹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98363A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KR100644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63A KR100644653B1 (ko)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US11/234,264 US7272340B2 (en) 2004-11-27 2005-09-26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63A KR100644653B1 (ko)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51A KR20060059351A (ko) 2006-06-02
KR100644653B1 true KR100644653B1 (ko) 2006-11-15

Family

ID=3656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363A KR100644653B1 (ko)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72340B2 (ko)
KR (1) KR100644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0395B (en) * 2007-02-09 2010-02-11 Primax Electronics Ltd An automatic duplex document feeder with a function of releasing paper jam
JP5408402B2 (ja) * 2007-04-27 2014-02-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81582B2 (ja) * 2007-10-30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067156B2 (ja) 2007-12-28 2012-11-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04973B2 (ja) * 2011-03-08 2015-04-22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6443090B2 (ja) * 2015-01-30 2018-12-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66410B2 (ja) * 2016-03-31 2020-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728893B2 (ja) * 2016-03-31 2020-07-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111139B2 (ja) * 2020-09-17 2022-08-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858A (en) 1979-11-08 1981-06-08 Canon Inc Sheet registration mechanism releasing device
JPS5939638A (ja) 1982-08-26 1984-03-05 Ricoh Co Ltd 給紙装置
JP3285417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875203B2 (ja) *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US5896206A (en) 1996-09-13 1999-04-20 Hewlett-Packard Company Combination printer and scanner having single paper path with pinch rollers actuated by pen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51A (ko) 2006-06-02
US7272340B2 (en) 2007-09-18
US20060115294A1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0403B2 (ja) 画像形成装置
US72723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448605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97027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208836B2 (en) Developer hold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10061976A (ko) 현상제 공급 카트리지, 현상제 수용 카트리지,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7751750B2 (en) Belt unit installed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removing belt unit
US20060280527A1 (en) Developer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10123961A (ko) 현상유닛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477661B1 (ko)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저장장치 및이를 채용한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050019066A1 (en) Transfer device, waste ton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94822B2 (ja) 定着装置及びその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5725338B2 (ja) 画像形成装置
JP2927828B2 (ja) 現像器
KR20050076851A (ko) 인쇄기의 폐토너 저장고
JP2008145743A (ja) 転写装置、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転写装置規制方法
EP2073074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ing device
JP20112154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334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3466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71780B1 (ko) 감광유닛의 하우징조립체
JP7358814B2 (ja) トナーコンテナの着脱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220039885A (ko) 구동 커플러와 카트리지의 종동 커플러와의 정렬 구조
JP2619158B2 (ja) 現像プロセスユニット支持装置
JP667327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