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481B1 -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481B1
KR100644481B1 KR1020040054984A KR20040054984A KR100644481B1 KR 100644481 B1 KR100644481 B1 KR 100644481B1 KR 1020040054984 A KR1020040054984 A KR 1020040054984A KR 20040054984 A KR20040054984 A KR 20040054984A KR 100644481 B1 KR100644481 B1 KR 10064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steering wheel
seat
mirror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123A (ko
Inventor
진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4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 B60R1/061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by electrically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시트(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동시에 운전자의 자세가 달라지게 됨을 감안하여, 아웃사이드 미러 및 룸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각도가 운전자의 자세에 알맞게 자동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변위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휠을 여러 각도로 틸팅시키는 시스템을 갖춘 차량에 있어서, 경사로 주행과 함께 시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와,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각변위를 센싱하는 센서와,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상하좌우각 변위를 센싱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를 ECU에서 수신/연산하여, 시트의 변위량에 따라 변위된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 스티어링 휠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아웃사이드 미러, 룸미러, 경사로 주행, 스티어링 휠

Description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Method for adjusting view angle of outside mirror and steering wheel for vehicle}
도 1은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을 위한 제어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으로서, 입력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으로서, 출력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시트(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동시에 운전자의 자세가 달라지게 됨을 감안하여,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가 운전자의 자세에 알맞게 자동 조절될 수 있 도록 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위치 변위(상체가 뒤로 젖혀지거나, 목이 앞으로 숙여지거나, 하체가 들리는 등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어, 운전자의 자세 불안정으로 인한 운전 능력 저하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변위를 감지하는 동시에 시트의 높낮이 또는 시트백의 경사각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장치들의 경우 시트의 상하 변위만을 조절 대상으로 한정하고 있을 뿐, 상대적으로 시트의 변위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위치 변화,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변화는 전혀 고려하지 한고 있다.
즉, 시트가 변위되면 운전자의 위치도 변위된 상태가 되므로,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이미 조절되어 있던 스티어링 휠, 룸미러, 아웃사이드 미러 등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변경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시트의 변위에 의거 운전자의 착석 자세는 안정적일 수 있지만,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 변경으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스티어링 휠에 대한 불안정한 그립(grip) 자세가 유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게 된다.
이에,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차체의 기울기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 변경을 위한 잣대는 차량의 기울기가 아니라 운전자의 자세가 어떻게 변위되었나가 더 중요 하며 타당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변위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스티어링 휠을 여러 각도로 틸팅시키는 시스템을 갖춘 차량에 있어서, 경사로 주행과 함께 시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와,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각변위를 센싱하는 센서와,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상하좌우각 변위를 센싱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를 ECU에서 수신/연산하여, 시트의 변위량에 따라 변위된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 스티어링 휠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장치와, 전동식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와, 스티어링 휠의 틸팅 장치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시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와,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각변위를 센싱하는 제1센서와, 스티어링 휠의 상하좌우각 변위를 센싱하는 제2센서와,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더 설치하여, 이들을 ECU에 연결하는 제1단계; 사용자가 평상시 착석하는 시트위치를 기준으로 시트의 변위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동시 에 그 변위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각 구간별 변위 지점마다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임의 위치(경사로 주행시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위치)로 조절해주고, 이 조절된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3단계;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실제 시트의 변위를 감지하는 동시에 상기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제2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시트의 변위 위치)를 기준으로 비교 연산을 하여,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작동 신호를 보내는 제4단계;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운전자에게 알맞게 위치(제3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위치)로 변위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1번 눌러 시트의 최초 위치(기준위치)를 ECU에 저장하는 단계; 시트의 상하좌우 조절용 수동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최초위치로부터 시트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각 변위구간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이동시키고, 각 구간별 변위 이동 완료후 상기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또 다시 눌러서, 각 구간별 변위 지점을 ECU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이루어진 시트의 각 구간별 변위 지점마다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운전자에게 알맞는 위치로 조절하는 단계; 이 알맞게 조절 변위된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제1센서 및 제2센서에서 감지하는 동시에 ECU로 전송하 여 저장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시트를 상하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각 변위지점을 5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줌으로써, 상기 제2 및 3단계가 각각 5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단계의 ECU의 연산은 경사로 주행중 시트의 상하좌우 변위값(현재값)을 포텐셔미터에서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포텐셔미터의 센싱에 의한 현재값과 상기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값이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시트 변위 포인트)중 하나와 일치하면, 그 일치된 시트 변위 지점에 대응하는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각 시트 변위 지점마다 임의로 조절되어 미리 저장된 위치)로 최적 조절되도록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작동 신호를 보내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에, 상기 현재값이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5개의 시트 변위 지점중 하나)와 일치하지 않으면, ECU에서 현재값의 앞뒤값(미리 저장된 시트 변위 지점)을 이용하여 선형 보간법 연산을 하고, 그 연산에 따라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변위값을 결정하여,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작동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을 위한 제어도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시트 상하좌우 조절용 수동 조작스위치를 가지면서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상하좌우로 자동 변위시키는 장치와, 전동식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와, 스티어링 휠의 틸팅 장치가 구비된 차량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특히, 시트에 상하좌우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가 다 설치되고,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에는 각변위를 센싱하는 제1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상하좌우각 변위를 센싱하는 제2센서가 더 설치된다.
또한, 운전석 소정위치에는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이 더 설치된다.
상기 포텐셔미터, 제1센서, 제2센서,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은 ECU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 연결(제1단계)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으로서, 입력과정(2단계 및 3단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입력과정중 제2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운전자)가 평상시 착석하는 시트위치를 기준위치로 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1번 눌러 시트를 최초(기준)위치가 ECU에 저장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최초위치를 기준으로 시트의 변위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되, 각방향별로 5개의 변위구간 및 지점을 정하여, 시트를 각 구간별로 5번 변위시키고, 각 구간별 변위 위치 지점에서 상기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버튼을 눌러서 그 시트의 변위지점이 ECU에 저장되게 한다.
이러한 시트의 변위 위치 저장 단계는 시트의 상방향 뿐만아니라 하방향 5번, 좌측방향 5번, 우측방향 5번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시트의 상하좌우 방향 변위는 시트의 상하좌우 조절용 수동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각 구간별 변위 이동 완료후 상기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또 다시 눌러서, 각 구간별 시트의 변위지점을 ECU에 미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서, 제3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3단계는 상술한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각 구간별 변위 지점마다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임의 위치(경사로 주행시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위치)로 조절해주고, 이 조절된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각 구간별 변위 지점마다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운전자가 본인의 자세에 알맞는 위치로 임의 조절하게 되고, 이 알맞게 조절 변위된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 즉, 조절 변위각을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에서 감지하는 동시에 ECU로 전송함으로써, 시트 변위별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ECU에 저장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의 변위 위치 저장 단계가 시트의 상방향 5번, 하방향 5번, 좌측방향 5번, 우측방향 5번 이루어지는 바, 이 시트 변위 지점마다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임의 조절 위치 및 저장 단계도 5회 반복된다.
이와 같이, 시트 변위 지점의 저장하는 제2단계, 그리고 시트 변위지점마다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을 알맞는 위치로 임의 조절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를 진행으로 본 발명의 입력과정이 종료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서, 출력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으로서, 출력과정(제4단계 및 제5단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가 진행된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술한 장치 즉, 시트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장치가 작동하여 시트가 경사로 주행에 맞는 각도로 자동 변위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의 변위를 포텐셔미터에서 감지하여 경사로 주행시 이루어지는 시트의 변위(현재값=실제 시트의 상하좌우 변위값)를 감지하는 동시에 이 감지된 데이타를 상기 ECU로 전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ECU에서 미리 저장된 데이타(제2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시트의 변위 지점)를 기준으로 상기 현재값과 비교 연산을 하게 된다.
상기 현재값이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시트 변위 포인트)중 하나와 일치하면, 그 일치된 시트 변위 지점에 대응하는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각 시트 변위 지점마다 임의로 조절되어 미리 저장된 위치)를 최적의 위치로 결정하게 되고, 이 최적의 위치로 변위되도록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ECU의 작동 전류신호가 보내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운전자에게 알맞은 위치(제3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위치)로 변위되어, 경사로 주행시 시트의 변위 뿐만아니라 시트의 변위에 맞게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맞게 가변되어, 운전자의 안전 운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제4단계에서 시트의 실제 변위값인 현재값이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5개의 시트 변위 지점중 하나)와 일치하지 않으면, ECU는 현재값의 그 앞뒤값(5개의 시트 변위 지점중 두 개)을 이용하여 선형 보간법에 의한 연산을 하게 되고, 그 연산에 따라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변위값(=조작량)이 결정된다.
상기 선형 보간법에 의한 변위값(=조작량)은 다음과 같은 계산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조작량 = {(상하방향 가중치)*상하방향 조작각(a)} + {(좌우방향 가중치)*좌우방향 조작각(b)}
여기서, 상하방향 가중치 = 1-{acrtan(시트의 좌우각 변위(y)/시트의 상하각 변위(x))}/90, 좌우방향 가중치 = {acrtan(시트의 좌우각 변위(y)/시트의 상하각 변위(x))}/90 이며, 또한 상기 상하방향 가중치 + 좌우방향 가중치 = 1이다.
이러한 선형 보간법에 의하여 결정된 변위값만큼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이 변위되도록 해당 구동수단에 작동 전류신호를 보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의 변위에 맞게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맞게 가변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변위시키는 장치 및 스티어링 휠의 틸팅 장치, 그리고 전동식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를 갖춘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시트의 변위량에 따라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 스티어링 휠의 각도가 운전자의 최적 자세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사로 주행시 운전자의 안전운전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장치와, 전동식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와, 스티어링 휠의 틸팅 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시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각변위를 센싱하는 제1센서, 스티어링 휠의 상하좌우각 변위를 센싱하는 제2센서,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더 설치하여 이들을 ECU에 연결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평상시 착석하는 시트위치를 기준으로 시트의 변위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동시에 그 변위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각 구간별 변위 지점마다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임의 위치(경사로 주행시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위치)로 조절해주고, 이 조절된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3단계와,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실제 시트의 변위를 감지하는 동시에 상기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제2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시트의 변위 위치)를 기준으로 비교 연산을 하여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작동 신호를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운전자에게 알맞은 위치(제3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위치)로 변위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1번 눌러 시트를 최초 위치(기준위치)를 ECU에 저장하는 단계;
    시트의 상하좌우 조절용 수동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최초위치로부터 시트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각 변위구간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이동시키고, 각 구간별 변위 이동 완료후 상기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또 다시 눌러서, 각 구간별 변위 지점을 ECU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3. 삭제
  4.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장치와, 전동식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와, 스티어링 휠의 틸팅 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시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각변위를 센싱하는 제1센서, 스티어링 휠의 상하좌우각 변위를 센싱하는 제2센서,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더 설치하여 이들을 ECU에 연결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평상시 착석하는 시트위치를 기준으로 시트의 변위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동시에 그 변위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각 구간별 변위 지점마다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임의 위치(경사로 주행시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위치)로 조절해주고, 이 조절된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3단계와,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실제 시트의 변위를 감지하는 동시에 상기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제2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시트의 변위 위치)를 기준으로 비교 연산을 하여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작동 신호를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운전자에게 알맞은 위치(제3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위치)로 변위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상하좌우 방향을 따라 변위지점을 5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줌으로써, 상기 제2 및 3단계가 각각 5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5. 삭제
  6. 경사로 주행시 시트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장치와, 전동식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와, 스티어링 휠의 틸팅 장치가 구비되는 한편, 시트의 변위를 측정하는 포텐셔미터,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각변위를 센싱하는 제1센서, 스티어링 휠의 상하좌우각 변위를 센싱하는 제2센서, 기억 및 초기위치 복원 버튼을 더 설치하여 이들을 ECU에 연결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평상시 착석하는 시트위치를 기준으로 시트의 변위를 상하좌우로 변위시키는 동시에 그 변위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시트의 각 구간별 변위 지점마다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임의 위치(경사로 주행시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위치)로 조절해주고, 이 조절된 위치를 ECU에 미리 저장하는 제3단계와,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실제 시트의 변위를 감지하는 동시에 상기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제2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시트의 변위 위치)를 기준으로 비교 연산을 하여 상기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작동 신호를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운전자에게 알맞은 위치(제3단계에 의하여 ECU에 미리 저장된 위치)로 변위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값이 ECU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5개의 시트 변위 지점중 하나)와 일치하지 않으면, ECU에서 현재값의 앞뒤값(미리 저장된 시트 변위 지점)을 이용하여 선형 보간법 연산을 하고, 그 연산에 따라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변위값을 결정하여,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구동수단에 작동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KR1020040054984A 2004-07-15 2004-07-15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KR100644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84A KR100644481B1 (ko) 2004-07-15 2004-07-15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984A KR100644481B1 (ko) 2004-07-15 2004-07-15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123A KR20060006123A (ko) 2006-01-19
KR100644481B1 true KR100644481B1 (ko) 2006-11-10

Family

ID=3711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984A KR100644481B1 (ko) 2004-07-15 2004-07-15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64B1 (ko) * 2012-09-28 2014-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경사도에 따른 운전조건 확보방법
KR101381013B1 (ko) * 2012-09-28 2014-04-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경사도에 따른 시야 확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1659B (zh) * 2020-09-08 2023-12-12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方向盘中心点布置区域确定方法
CN115257476A (zh) * 2022-08-25 2022-11-01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车辆座椅的调整方法、车辆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64B1 (ko) * 2012-09-28 2014-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경사도에 따른 운전조건 확보방법
KR101381013B1 (ko) * 2012-09-28 2014-04-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경사도에 따른 시야 확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123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388B2 (en) Automatic driving position adjust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917264B2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US20100094514A1 (en) Vehicular seat operation device and vehicular seat operation method
US7369928B2 (en) Automatically adjusting head restraint system
US7484797B2 (en) Head rests
US7437228B2 (en) Automatic adjusting apparatus for adjustable equipments
US20120032487A1 (en) Headrest device, method of adjusting headrest positiion, and vehicle seat
JP2010006163A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推奨システム
US78302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vehicle operator
KR100644481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및 스티어링 휠의 각도 조절 방법
WO2012092248A1 (en) Adjustable rear-viewing system for vehicle
CN103879313A (zh) 驾驶员座椅位置调整方法、系统以及车辆
JPH0725271A (ja) 自動車の機器調整装置
JP2006213150A (ja) 運転位置設定装置
KR101637595B1 (ko) 경사도에 따른 전동시트의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413602B1 (ko) 차량 운전장치의 인체 적합형 자동 조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60472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および車両の前下方視界確保方法
KR20140065299A (ko) 운전석 시트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0651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の調整方法
JP2017087752A (ja) シート制御装置及びシート制御方法
KR102052525B1 (ko) 미러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09127B1 (ko) 스티어링 휠을 이용한 운전석 시트 조정 장치 및 조정 방법
JP6933824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70053482A (ko) 자동차 시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0184526A (ja) 車載機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