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458B1 -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458B1
KR100644458B1 KR1020040105225A KR20040105225A KR100644458B1 KR 100644458 B1 KR100644458 B1 KR 100644458B1 KR 1020040105225 A KR1020040105225 A KR 1020040105225A KR 20040105225 A KR20040105225 A KR 20040105225A KR 100644458 B1 KR100644458 B1 KR 10064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lywheel
hub
energy stora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765A (ko
Inventor
하성규
Original Assignee
하성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성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성규
Priority to KR1020040105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4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02K21/222Flywheel magnet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3/00Gearings based on repeated accumulation and delivery of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원심력으로 로터와 허브의 이탈을 없애고,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공진주파수도 높일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저장의 필요성은 전력의 공급을 수요에 정확히 맞추는 것이 어렵고 비경제적이라는 사실에서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로터의 내주면에 접하며 다수개의 슬릿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양단에 일체로 볼록하게 각각 형성되며 스크류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를 제공한다.
플라이휠, 로터, 실린더, 헤드부, 결합부, 슬릿, 결합홀, 회전축, 고정턱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Hub of fly wheel for energy storage apparatus}
도 1는 종래의 중실축 형태 허브(Solid type hub)를 사용하고 있는 플라이휠의 절개사시도.
도 2은 종래의 반구형 돔 형태 허브(Dome type hub)를 사용하고 있는 플라이휠의 절개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돔 형태 허브(Split dome type hub)를 사용하고 있는 플라이휠의 절개사시도.
도 4a는 도 3의 허브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4b는 도 3의 허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돔 형태 허브의 분할된 실린더 부분이 반경방향으로 펼쳐서 로터의 안쪽면에 압축력으로 작용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도 1a 및 1b과 내지 3 타입에 관한 압축력의 크기에 따란 반경방향의 강도비를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도 1 내지 3 타입의 플라이휠의 고속회전시 플라이휠의 반경방향 따른 강도비(Strength ratio)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플라이휠의 고속회전시 도 1 내지 3 타입에 관한 강도비의 최대값을 비교한 그래프.
도 9은 도 1 내지 3 타입의 플라이휠에 관한 공진주파수(Resonance)를 비교한 그래프.
도 10는 도 1 내지 3 타입에 관한 강도비와 공진을 고려하여 플라이휠의 최대 작동 회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도 1 내지 3 타입에 관한 최대 저장 에너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터 12 : 제1복합링
14 : 제2복합링 16 : 제3복합링
20 : 실린더 20a : 헤드부
20b : 결합부 22 : 슬릿
24 : 제1결합홀 26 : 제2결합홀
30 : 회전축 30a : 제1고정턱
30b : 제2고정턱 32 : 제1고정홀
34 : 제2고정홀 50 : 허브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원심력으로 로터와 허브의 이탈을 없애고,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공진주파수도 높일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저장의 필요성은 전력의 공급을 수요에 정확히 맞추는 것이 어렵고 비경제적이라는 사실에서 발생한다.
전력의 공급은, 화력 발전·원자력 발전과 같이 열을 발생시켜 발전하는 방식의 경우 일정한 적정 출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수력 발전·풍력 발전·태양광 발전과 같이 자연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의 경우 계절과 같은 자연환경에 의해 출력이 좌우되는 반면, 전력의 수요는 낮과 밤, 계절의 변화 등 자연환경의 변화, 대규모 공장의 가동, 송전사고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변한다.
소비와 공급이 동시에 일어나는 전력에너지의 특성상, 전력 설비를 최대수요량에 맞추기 위해 많은 비용이 들고, 출력을 수요에 따라 가감하기 위해 제어에 필요한 설비와 인력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출력 변동 과정에서 발전설비 수명이 단축되고, 수요량과 공급량의 미소한 불일치가 전력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는 등 많은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방식의 전력 저장기술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에너지 저장기술로 현재 사용 중이거나 개발 중인 기술로는 양수발전기술, 압축공기 저장 가스터빈 기술, 전지 에너지 저장기술, 초전도 자기 에너지 저장기술,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기술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중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잉여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킨 후 이때 부착된 회전체의 관성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시 다시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장점으로는 기존의 기계적 에너지 저장 장치와 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에 비해 에너지 저장 효율이 우수하고, 순간적인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며 에너지 수명이 길고 저온에서 성능 저하가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특징 때문에 현재 전기자동차의 보조동력원,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펄스 파워발생기, 인공위성 등 민간부분에서 군수부문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상기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회전시 발생하는 관성에너지를 저장하는 플라이휠 로터와, 이 플라이휠 로터의 구동을 위한 모터와 전력발생을 위한 발전기와,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주변 부속장치로서 자기베어링 부분과 하우징 부분으로 되어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라이휠은 로터와 회전축과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허브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는 회전 운동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이 된다.
Figure 112004058737255-pat00001
윗 식에 있는 바와 같이 플라이휠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플라이휠의 극관성 모멘트 I에 선형적으로,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저장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이휠의 크기보다는 회전속도의 증가가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플라이휠의 재료로 사용하던 일반금속은 재료의 인장강도가 약해 고속회전이 불가능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고속화에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하였다.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고강도 복합재료의 개발은 플라이휠의 선주속도를 1110m/sec로 끌어올려 100,000rpm의 고속회전도 가능하게 하였으며, 플라이휠의 단위 무게 및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증가 시킴으로써 고출력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내부 응력중 강도가 낮은 반지름 방향의 인장응력은 복합재료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수 있기에, 다층의 복합재 링을 조합하여 내쪽의 복합재 링을 반지름 바깥쪽으로 확장하게 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낮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터를 축에 연결하기 위해, 반지름 방향의 팽창이 용이한 허브의 설계가 제시되어야 한다.
즉, 허브와 로터 간에 이탈되는 경향이 나타나므로, 허브(50)와 로터(10)간의 접합문제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이휠 로터 및 허브의 설계시 고려할 사항은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내부 응력을 낮추고 운전 회전수를 회피하는 공진회전수의 설정이다.
이를 위하여 그동안 많은 설계자들에 의해 로터와 회전축을 고정하는 새로운 허브의 설계가 제시되어 왔다.
한편, 종래의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스플릿 타입의 허브 중 몇가지 기술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특허 4,860,611는 유연한 림(RIM) 형태 허브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림에 다수의 바퀴살 형상이 연결하고 있는 형태의 허브이다.
미국특허 5,816,114에서 개발 된 플라이 휠은 고속으로 운전 가능하며 두개의 콘 모양을 형성하고 팽창이 가능한 한쌍의 허브를 가지고 있다. 두개의 콘 모양의 허브는 로터의 접촉면에 압축을 가하여 로터가 허브에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반경 방향으로 쉽게 팽창 할 수 있다.
미국특허 6,014,911은 얇은 두께의 두개의 평면으로 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허브의 디스크 모양이 편향 되어 있다. 그래서 플라이 휠 로터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허브가 반경 방향으로 쉽게 팽창 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미국특허 4,186,623와 미국특허 4,341,001에서 제시된 바퀴살 형태의 허브는 소음과 진동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4,821,599에서 제시된 접시 형태의 허브는 복합재 로터보다 유연하다. 그래서, 강체 허브보다 진동을 유발하기 쉽다. 그리고, 공진을 유발시키는 회전속도가 설계 회전 속도보다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4,860,611에서 유연한 원형 림을 가진 허브는 회전시 진동 유발문제와, 로터와 허브의 반경방향 변위의 적합성문제는 해결하였으나 소음문제와 작동 회전속도로 올리기까지 공진을 유발하는 회전속도를 거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5,124,605와 미국특허 5,729,903는 공진을 유발시키는 회전속도가 설계 회전속도보다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5,732,603에서는 반경방향 변위의 적합성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공진을 유발시키는 회전속도가 작동회전수보다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6,508,145와 미국특허 6,583,528에서 제시된 중실축 허브는 회전축의 탈착이 용이하지 못하여 플라이휠 시스템의 유지 보수 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미국특허 6,014,911에서 제시된 허브는 공진을 유발시키는 회전속도가 설계 회전속도보다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 11,294,539는 허브와 회전축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다른 부수장치가 장착될 수 있고 플라이휠 로터가 고속 회전시 허브와 로터의 인접부분에 인장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진주파수가 낮게 나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분할형 돔 형태 허브(Split dome type hub)의 실린더 형상부분을 축 방향으로 분할하여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분할된 부분이 원심력으로 인하여 반경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로터 내측면에 압축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로터의 반경방향 인장응력을 감소시키고, 로터와 허브간의 이탈을 방지 시킬 수 있으며, 허브가 회전축과 고정되는 부분을 2개 이상으로 하여 플라이휠의 작동속도보다 공진주파수 를 높여 공진을 피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터와 회전축을 고정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내주면에 접하며 다수개의 슬릿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양단에 일체로 볼록하게 각각 형성되며 스크류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로터와 회전축을 고정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내주면에 접하며 다수개의 슬릿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일체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스크류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턱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스크류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2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3는 종래의 중실축 형태 허브(100) 및 반구형 돔 형태 허브(200)와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돔 형태 허브(50)를 각각 사용하고 있는 플라이휠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도 3의 허브(50)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이휠 로터(10)의 내주면에 접하는 허브(50)에 다수개의 슬릿(22)을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분할된 부분이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로터(10) 내측면에 압축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로터(10)의 반경방향 인장응력을 감소시키고, 로터(10)와 허브(50)간의 이탈을 방지 시킬 수 있으며, 허브(50)가 회전축(30)과 고정되는 부분을 2개 이상으로 하여 플라이휠의 작동속도보다 공진주파수를 높여 공진을 피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회전시 발생하는 관성에너지를 저장하는 플라이휠 로터(10)와, 이 플라이휠 로터(10)의 구동을 위한 모터와 발전기와,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주변 부속장치로서 자기베어링 부분과 하우징 부분으로 되어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라이휠은 다수개의 복합링이 적층된 로터(10)와, 회전축(30)과, 이 로터(10)를 회전축(30)에 고정하기 위한 허브(50)로 구성된다.
종래의 허브는 모양에 따라 회전축(30)과 일체형인 중실축형 허브(100)(미국특허 5,723,923)와, 일측단만 반구형으로 형성된 돔형 허브(200)(일본특허 11,294,539)로 나누어 진다.
이때, 상기 중실축형 허브(100)(Solid type hub)는 로터(10)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고, 돔형 허브(200)(Dome type hub)는 회전축(30)과 고정되는 부분을 한개만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돔 형태 허브(50)(Split dome type hub)는 다층의 복합재로 형성된 로터(10)에 끼워지는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의 양단에서 돔형태로 서로 마주보며 볼록하게 형성된 한쌍의 헤드부(20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터(10)의 안쪽에서 부터 제1 내지 제3복합링(12,14,16)이 동심원상으로 겹쳐저 부착된다.
상기 실린더(20)에 다수개의 슬릿(22)이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허브(50)를 회전축(3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20a)에 다수개의 제1결합홀(24)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0)의 외주면에 한쌍의 제1고정턱(30a)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제1고정턱(30a)에도 다수개의 제1고정홀(32)이 상기 제1결합홀(24)과 겹쳐지게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제1결합홀(24)과 함께 관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돔 형태 허브(50)의 다른 실시예는 다층의 복합재로 형성된 로터(10)에 끼워지는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의 일단에서 돔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된 헤드부(20a)와, 실린더(20)의 내주면 중간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20)의 타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0)에 다수개의 슬릿(22)이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허브(50)를 회전축(3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20a)에 다수개의 제1결합홀(24)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0)의 외주면에 제1고정턱(30a)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제1고정턱(30a)에도 다수개의 제1고정홀(32)이 상기 제1결합홀(24)과 겹쳐지게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제1결합홀(24)과 함께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0)의 내주면 중간에 결합부(20b)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결합부(20b)에 다수개의 제2결합홀(26)이 원주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결합부(20b)와 겹쳐지도록 제2고정턱(30b)이 회전축(3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제2고정턱(30b)에도 제2고정홀(34)이 상기 제2결합홀(26)과 겹쳐지게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제2결합홀(26)과 함께 관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로터(10)의 내주면에 접하는 실린더(20)는 축방향으로 슬릿(22)이 형성되어 분할됨으로써, 플라이휠의 고속회전시 슬릿(22)에 의해 분할된 실린더(20) 부분이 로터(10)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6과 같이, 이 로터(10) 내주면에 가해지는 내압에 따라 제1 및 제2복합링의 반경방향 응력을 낮출 수 있고, 상기 실린더(2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헤드부(20a) 또는 상기 실린더(20)의 일단 및 중간에 각각 형성된 헤드부 (20a) 및 결합부(20b)가 회전축(30)에 고정되고, 돔 형상의 치수 및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여 로터(10)의 내부응력을 낮추고 회전체의 공진주파수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의 플라이휠가 30,000rpm의 속도로 회전할때 로터(10) 반경방향에 따른 강도비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강도비는 응력의 크기를 각각의 재료 강도로 나누어 무차원화 한 값이다. 특히, 강도비가 1보다 적으면 안전하고 1보다 크면 위험한 것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의 플라이휠에서는 허브(100,200)와 로터(10)가 접하는 부분에 높은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강도비가 높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허브의 반경방향 변위가 로터(10)의 변위보다 작아서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도 3의 플라이휠은 허브(50)와 로터(10)의 접촉부분에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허브(50)의 반경방향 변위가 로터(10)의 변위보다 커짐으로써, 로터(10)에는 압축력으로 작용한 것이다.
또한, 압축력이 로터(10)의 응력을 저감시켜 도 1 및 도 2의 플라이휠보다 로터(10)의 강도비가 가장 낮게 분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은 플라이휠이 30,000rpm으로 회전할 때의 최대 강도비를 나타낸 값이다.
여기서, 도 1의 플라이휠의 강도비가 1보다 큰 3.77을 나타내어 위험한 것을 나타낸다. 도 2의 플라이휠도 역시 강도비가 1.38로써 위험한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의 플라이휠은 강도비가 1보다 작은 0.24로써 안전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의하여, 도 3의 플라이휠의 허브(50)가 로터(10)와의 반경방 향 변위에 적합성이 가장 우수하고, 로터(10)의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능력도 가장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 1, 도 2, 도 3 형태의 플라이휠에 대한 공진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의 플라이휠은 공진주파수가 100,902rpm으로써 동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플라이휠은 16,136.4rpm으로써 도 1 및 도 3의 플라이휠보다 가장 낮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허브(200)가 회전축(30)에 고정되는 부분이 한 개이기 때문이다.
도 3의 플라이휠은 도 2의 플라이휠보다 높은 55,962rpm을 나타낸다. 이것은 허브(50)가 회전축(30)에 두개 부분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도 2의 플라이휠보다 공진주파수가 높게 나온다.
그리고, 도 8과 도 9에 의해, 도 3의 플라이휠이 30,000rpm으로 회전할 때 강도비가 1보다 작고, 공진주파수가 작동회전수(30,000rpm)보다 높게 나타나므로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에서는 강도비와 공진을 고려하여 플라이휠이 안전하게 운전될 수 있는 최대 회전수를 비교한 결과이다.
여기서, 최대 회전수는 플라이휠의 강도비와 공진주파수를 동시에 만족하는 플라이휠의 최대 회전수를 의미한다. 분할형 돔 형태의 허브(50)를 갖는 플라이휠이 43,600rpm으로써 다른 두개 타입의 플라이휠보다 회전속도를 가장 많이 올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도 3의 플라이휠이 에너지 저장량이 14.16KWh로써 다른 두가지 타입과 비교해서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플라이휠의 에너지 저장량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작동 회전수가 가장 높은 도 3의 플라이휠이 에너지 저장량도 가장 높은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의하면,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분할된 부분이 원심력에 의해 로터 내측면에 압축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로터의 반경방향 인장응력을 감소시키고, 로터와 허브간의 이탈을 방지 시킬 수 있으며, 허브가 회전축과 고정되는 부분을 2개 이상으로 하여 플라이휠의 작동속도보다 공진주파수를 높여 공진을 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강도비와 공진을 고려하여 다른 두개 타입의 플라이휠보다 플라이휠이 안전하게 운전될 수 있는 최대 회전수 및 에너지 저장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로터와 회전축을 고정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내주면에 접하며 다수개의 슬릿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양단에 일체로 볼록하게 각각 형성되며 스크류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2. 로터와 회전축을 고정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내주면에 접하며 다수개의 슬릿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일체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스크류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턱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스크류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2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KR1020040105225A 2004-12-14 2004-12-14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KR100644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225A KR100644458B1 (ko) 2004-12-14 2004-12-14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225A KR100644458B1 (ko) 2004-12-14 2004-12-14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765A KR20060066765A (ko) 2006-06-19
KR100644458B1 true KR100644458B1 (ko) 2006-11-10

Family

ID=3716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225A KR100644458B1 (ko) 2004-12-14 2004-12-14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4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81B1 (ko) 2008-05-08 2010-06-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저장용 플라이휠의 허브
WO2011093857A1 (en) * 2010-01-26 2011-08-04 Ward Spears Flywheel hub and method
KR101102226B1 (ko) * 2009-12-02 2012-01-05 한국전력공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복합재 허브, 복합재 허브의 제조 방법 및 복합재 허브가 적용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46B1 (ko) * 2006-10-31 2008-08-13 한국전력공사 초전도 플라이 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690A (en) 1996-01-08 2000-03-14 Hill; Wolfgang Energy conversion system mounted in a wheel hu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690A (en) 1996-01-08 2000-03-14 Hill; Wolfgang Energy conversion system mounted in a wheel hub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81B1 (ko) 2008-05-08 2010-06-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저장용 플라이휠의 허브
US9267570B2 (en) 2008-07-28 2016-02-23 Beacon Power, Llc Advanced flywheel hub and method
KR101102226B1 (ko) * 2009-12-02 2012-01-05 한국전력공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복합재 허브, 복합재 허브의 제조 방법 및 복합재 허브가 적용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1093857A1 (en) * 2010-01-26 2011-08-04 Ward Spears Flywheel hub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765A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231B2 (en)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use
EP3633160B1 (en) Gas turbine engine with integrated energy storage device
WO1995013647A1 (en) Flywheel system for mobile energy storage
EP2521860B1 (en) Torque limiting coupling for wind turbine
EP2192299B1 (en) Wind turbine drive shaft connection arrangement
US1005680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ub for flywheel
CA2730937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multiple motors/generators
US5588754A (en) Backup bearings for extreme speed touch down applications
CN103291381A (zh) 一种以空气涡轮直接驱动的高速发电机
KR100644458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플라이휠 로터의 허브
Takahashi et al. Development of high speed composite flywheel rotors for energy storage systems
RU2628100C2 (ru) Статор синхронного генератора и синхронный генератор
KR10059884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플라이휠
CN115210463A (zh) 摩擦限制涡轮发电机陀螺仪的方法和装置
KR101033108B1 (ko) 플라이휠용 허브의 제조방법
JP2022043947A (ja) 発電機及びタイヤ状態監視装置
JP2021042852A (ja) 機械駆動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モータコンプレッサ
GB2434039A (en) Electric generator with flywheels
JP3740582B2 (ja) フライホイール
Reinke Tutorial overview of flywheel energy storage in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JP2000081091A (ja) フライホイール
JPH11318003A (ja) フライホィール式電池
WO2020178236A1 (en)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CN111953131A (zh) 一种飞轮储能装置
JP5719416B2 (ja) 垂直軸型風車用軸受の設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