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381B1 - 항암 및 면역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항암 및 면역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381B1
KR100644381B1 KR1020030021105A KR20030021105A KR100644381B1 KR 100644381 B1 KR100644381 B1 KR 100644381B1 KR 1020030021105 A KR1020030021105 A KR 1020030021105A KR 20030021105 A KR20030021105 A KR 20030021105A KR 100644381 B1 KR100644381 B1 KR 10064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bp
heparin
column
fraction
binding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917A (ko
Inventor
김종배
유영춘
김학응
유지영
송성규
양웅석
김수은
윤성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현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현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현동학원
Priority to KR102003002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3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coloratum)로부터 분리한 면역 증강 및 항종양 활성이 있는 헤파린 결합 단백질의 면역 증강제 및 항종양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렉틴 성분(KML-C)을 제거한 뒤 헤파린 컬럼에 통과시켜 분리한 단백질(WHBP)과 상기 단백질을 다시 gel filtraion 칼럼으로 분리하여 얻은 세 종류의 헤파린 결합 단백질, WHBP-G1, WHBP-G2, WHBP-G3는 면역증강 효과가 있으며, 동물실험 결과 종양세포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종양에 의한 신생혈관 형성의 억제에 있어 뛰어난 효과가 있다.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coloratum), 헤파린 결합 단백질, 항암 효과, 면역증강 효과, 기능성 식품, 식품 첨가물, 의약소재

Description

항암 및 면역 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 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 방법 {Heparin-binding protein (HBP) of Korean mistletoe having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its extraction method}
도 1은 헤파린 칼럼에 의해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헤파린 결합 단백질을 얻고 상기 물질을 다시 gel filtration 칼럼에 적용하여 세 종류의 헤파린 결합 단백질 분획인 WHBP-G1, -G2, -G3를 분리하는 크로마토그래피 결과와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의 WHBP 및 WHBP 분획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생체내 종양의존성 혈관신생과 종양증식에 대한 한국산 겨우살이유래의 WHBP 및 WHBP 분획의 저해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헤파린 결합 단백질에 의한 대식세포로부터 nitric oxide의 유도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헤파린 결합 단백질에 의한 대식세포로부터 TNF-α와 IL-6 및 IL-1β 의 유도활성을 나타낸다.
겨우살이(Mistletoe)는 여러종류의 나무를 숙주로 하여 생장하는 반기생식물로서 세계전역에 30속(genus) 1,500종(species)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겨우살이 중에서 Viscum속의 겨우살이는 오래 전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주로 유럽지역에서 서식하는 유럽산 겨우살이(Viscum album Loranthacea)가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유럽산 겨우살이는 오래 전부터 고혈압, 동맥경화, 암 등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요법에 널리 이용되었으며, 1920년대부터는 종양치료의 보조제로서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 유럽산 겨우살이가 갖는 면역증강작용과 항종양활성 등의 생리활성에는 3종류의 렉틴성분의 작용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이들 렉틴성분의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한편 최근의 겨우살이 연구 보고에 의하면 겨우살이에는 렉틴과 같은 단백질 성분 이외에도 alkaloid, 탄수화물 그리고 저분자 유기물질 등 비단백성 물질에서도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의약소재로서의 응용에 많은 관심이 기울어 지고 있다.
한국산 겨우살이(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Coloratum)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서 서식하는 겨우살이로서, 유럽산 겨우살이와는 주(strain)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한국산 겨우살이도 국내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 및 한방에서 요통, 고혈압, 유산방지, 치통 등에 민간처방으로 사용되어, 특히 한방에서는 겨우살이가 기생하는 숙주나무의 종류에 따라 상기생, 기생목, 해기생 등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리운 것으로 보아 숙주나무에 따라 약효가 상이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명자는 한국산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에 관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이 추출물이 숙주의 면역기능을 높히며 또한 종양세포의 증식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렉틴성분을 분리하여 유럽산 겨우살이 렉틴과 구조가 다르다는 것과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며 또한 암세포에 대한 세포고사작용(apoptosis)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처럼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과 그 렉틴성분은 면역증강효과와 항종양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조성물로서, 이미 신청자들은 다수의 논문을 통해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과 그 렉틴성분이 종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현재까지의 신청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산 겨우살이의 단백질 분획에는 렉틴성분 이외에도 비렉틴 단백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렉틴성분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작제하여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법에 의해 겨우살이 단백질 성분으로부터 렉틴성분의 양을 정량한 결과, 렉틴성분은 전체 단백질의 5% 전후인 것으로 나타나, 겨우살이 추출물 중에는 비렉틴 단백질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국산 겨우살이의 비렉틴 단백질 성분의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전혀 행해지지 않아, 아직까 지 이들 단백질의 생리활성에 대한 전모는 전무한 상태이다.
최근 신청자는 한국산 겨우살이 단백질 성분으로부터 생리활성을 가지는 분획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에는 헤파린과 결합하는 단백질 성분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들 단백질 성분의 화학적 분석을 통해 이 헤파린 결합 단백질 분획은 G1, G2, G3와 같은 3종류의 단백질 군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단백질 분획의 생리활성을 면역조절 및 항암활성의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이들 헤파린 결합단백질의 3분획은 종양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종양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종양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서 종양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종양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종양유도성 혈관신생(tumor-induced angigenesis)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이들 단백질 분획을 대식세포에 자극한 경우, 처리한 농도에 의존하여 대식세포로부터 nitric oxide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WHBP는 항종양 활성과 더불어 면역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단백질 성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coloratum) 로부터 분리한 헤파린 결합 단백질의 분리법과, 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을 제시하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숙주의 면역기능 개선과 항암활성을 높이는 건강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약학적 조성물로서 응용할 수 있어 면역기능의 증진 및 종양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원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물 KM-110을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로부터 암모늄 설페이트 용액을 이용한 침전법으로 단백질 분획을 분리한 후 이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렉틴 성분 KML-C을 분리한 다음, 렉틴을 제거한 분획으로부터 헤파린 칼럼을 이용하여 헤파린 결합 단백질인 WHBP를 분리하고, 이를 다시 Gel filtration column에 적용하여 WHBP G1,-G2,-G3을 분리한 다음 이를 전기영동 등을 통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면역자극 효과, 세포독성 및 종양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내의 헤파린 결합 단백질의 분리법과 상기 물질에 의한 면역증강 효과와 항암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헤파린 칼럼에 의해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WHBP를 얻고 상기 물질을 다시 gel filtration 칼럼에 적용하여 3종류의 헤파린 결합 단백질인 WHBP-G1, -G2, -G3를 분리하여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 분자의 분자량을 조사하였다. WHBP 및, WHBP-G1, -G2, -G3 분획의 항종양 활성은 P388D1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세포독성 테스트와,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시험에서의 종양의존성 혈관신생 및 종양증식 억제 효과를 통해 검토하였다. 한편 이들 헤파린 결합 단백질에 의한 면역조 절작용은 대식세포로부터 nitric oxide의 유도와 각종 cytokine (TNF-α, IL-6 및 IL-1β)분비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의 준비 및 헤파린 결합 단백질의 분리
헤파린 결합 단백질의 분리를 위해 참나무를 숙주로 하여 자라는 겨우살이를 1월 중에 채취하여 증류수로 3회 세척하여 -80℃에서 동결하고 잘게 세절하였다. 이 시료를 블렌더(blendar)에서 다시 chopping한 후 5배 부피의 0.15M Nacl 용액으로 8~12시간동안 4℃에서 추출하고 10,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였다. 이 추출물로부터 단백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등액에 ammonium sulfate powder를 첨가시켜 70% 황산 암모늄 포화용액을 만들고 4℃에서 약하게 교반시켰다. 다시 10,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은 버리고 잔사를 취하여 최소 부피의 0.15M NaCl이 함유된 phosphate 완충용액(PBS)에 재현탁시키고 동일한 용액에서 24시간동안 2,3회 왼충용액을 바꿔가면서 투석하였다. 그 후 10,000 g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취하여 0.45㎛ membrane filter에서 여과하고, 여액을 50℃에서 3시간동안 0.2M HCl로 가수분해시킨 Sepharose-4B칼럼에 전개한 후 5배 칼럼 volume의 PBS로 세척하고 칼럼에 결합된 물질은 50mM Galatose가 함유된 PBS로 용출시켜 얻어진 부분은 렉틴 물질로서 KML-C라 하고, 렉틴 성분 KML-C가 제 거된 분획을 헤파린 결합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즉, KML-C가 제거된 분획을 인산염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0.01M, pH 7.4)에 용해시킨 후 헤파린 칼럼(heparin-affinity colum, Pharmacia사)에 적용하고 동일한 완충액을 이용하여 칼럼에 결합되지 않은 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충분히 세척하였다. 세척 완료 후, 동일한 완충엑에 염화나트륨(NaCl)의 농도를 2M로 하여 컬럼에 결합된 물질을 용출하여 이를 WHBP(Whole heparin binding protein)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상기 분리한 WHBP를 좀 더 분리해 내가 위해 Gel filtration column에 적용하여 0.15M NaCl이 함유된 phosphate 완충용액(PBS)을 계속 흘려주면서 분자량의 크기 별로 45kDa이상, 45kDa~20kDa, 그리고 20kDa이하의 분자량을 지니는 3개의 분획을 어 각각 WHBP-G1, -G2, -G3 이라고 명명하였다.
실시예 2. 헤파린 결합 단백질의 순도 및 분자량 조사
WHBP와 WHBP-G1, -G2, -G3의 분자량 및 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0.1% SDS를 함유하는 12% 폴리아크릴 아미드젤(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표준 단백질들과 분자량을 비교하였다(도 1). 전개완료 후 단백 Band들은 coomassie blue 염색시약으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WHBP는 20~60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다시 Gel filtration 칼럼으로 분리를 하여 분자량의 크기에 있어 WHBP-G1은 45kDa이상, WHBP-G2는 45kDa~20kDa, 그리고 WHBP-G3는 20kDa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헤파린 결합 단백질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분리한 한국산 겨우살이 헤파린 결합 단백질에 의한 암세포 상해활성을 종양 세포주에 대한 in vitro 세포독성 효과를 통해 조사하였다. 마우스유래의 P388D1세포주(5X104/well)를 96 well plate에 넣고 다양한 농도의 WHBP와 WHBP-G1, -G2, -G3를 첨가하고 48시간 배양한 후에 XTT법에 의해 세포의 증식을 조사하여 종양세포주의 성장을 50%억제한 시료의 농도(IC50)를 구하였다(도 2). 그 결과 WHBP에 비해 (IC50; 0,8㎍/㎖) WHBP-G1은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고(0.4㎍/㎖), WHBP-G2는 이에 반해 낮은 수준의 독성을 나타내었으며(3.07㎍/㎖), WHBP-G3는 거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4. 종양에 의한 신생 혈관형성 억제(anti-angiogenesis) 효과
종양 유도성 혈관신생(tumor-induced angiogenesis)은 고형암(solid tumor)의 성장 뿐 아니라 종양 원발소(primary tumor)의 성장 및 전이성 암세포의 혈관내 이동에 있어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한국산 겨우살이 헤파린 결합 단백질이 생체 내에서 종양의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가를 확인하기 위해 B16-BL6 melanoma cell(5X105/site)을 C57BL/6 mice의 등에 피하주사에 의해 이식하고, 이식 1일 후에 WHBP를 농도별로 1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하였다. 종양세포에 의한 혈관신생은 암세포 이식 8일째에 종양주변에 형성된 혈관의 수를 계측함으로서 판정하였다. 그 결과 PBS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WHBP를 투여한 처리군에서는 유의한 수준으로 혈관신생이 억제되었으며,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최적 투여량은 500ng인 것으로 나타났다(도 3a). 또한 WHBP의 투여에 의해 종양의 증식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결과도 관찰되었다. 한편 동일한 실험법에 의해 WHBP의 각 분획에 의한 종양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WHBP-G1, -G2 및 -G3는 공히 500ng의 투여량에 있어 종양의 증식과 더불어 혈관신생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b).
실시예 5. 헤파린 결합 단백질에 의한 대식세포로부터 nitric oxide 유도효과
각종 종양세포나 미생물에 대해 세포독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진 nitric oxide(NO)가 WHBP나 WHBP-G1, -G2, -G3에 의해 유도되는 가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 시료로 RAW264.7 대식세포주를 자극하여 얻은 배양상등액 내에 유리된 NO의 양을 정량하였다. NO의 정량은 배양상청에 함유된 산화물 형태인 NO2- (nitrite)의 농도를 Griess reagent를 이용하여 계측함으로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WHBP는 물론 WHBP-G1, -G2 및 -G3는 처리농도에 의존하여 대식세포로부터 NO를 유도하는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실시예 6. 헤파린 결합 단백질에 의한 대식세포로부터 cytokine의 유도
3% thioglycolate를 복강내 투여한 Balb/c 마우스로부터 투여 3일 후에 복강 삼출성 세포(peritoneal exudative cell: PEC)를 채취하여 24 well culture plate 에 일정한 농도(1.5×106/well)로 plating한 후 2시간 동안 배양하고 부유성 세포를 제거함으로서 접착성 대식세포를 분리하였다. 이 대식세포에 여러 농도의 WHBP 및 WHBP-G1, -G2, -G3를 첨가하여 대식세포를 자극한 후, 배양상청에 함유된 cytokine의 농도를 ELISA kit (R&D)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WHBP는 물론 WHBP-G1, -G2, -G3가 농도 의존적으로 TNF-α와 IL-1β 및 IL-6를 유도하였으며, 이들 cytokine의 유도활성은 WHBP에 비해 WHBP-G1, -G2, -G3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유래 헤파린 결합단백질의 분리법과 이 단백질의 구성단위 그리고 이들 단백질에 의한 항암활성 및 면역조절작용에 관한 것이다. 한국산 겨우살이에 함유되어 있는 헤파린 결합 단백질은 적어도 화학적 및 생물학적 성질이 다른 3종류의 단백질 분획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WHBP-G3를 제외한 단백질 분획은 암세포에 대해 직접적인 상해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WHBP는 물론 WHBP-G1, -G2 및 -G3는 in vivo실험모델에 있어 종양세포의 증식과 종양유도성 혈관 신생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이들 단백질 분획의 면역조절작용을 대식세포로부터 NO 및 cytokine유도의 관점에서 조사한 결과, 이들 단백질 분획은 대식세포에 작용하여 NO, TNF-α, IL-1β 및 IL-6의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겨우살이유래 헤파린 결합 단백질 은 항암활성과 면역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이 확인되어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숙주 면역력의 강화와 더불어 종양에 대한 저항력 부여를 목적으로 한 의약조성물을 포함하여 암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하는 주사제로서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겨우살이를 NaCl 용액으로 추출하여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는 단계;
    상기 상등액에 황산 암모늄 분말을 첨가시켜 70% 황산 암모늄 포화용액을 만들고 교반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용액에서 상등액은 버리고 잔사를 취하여 최소 부피의 0.15M NaCl이 함유된 인산염 완충용액(PBS)에 재현탁시키고 동일한 용액에서 24시간동안 2, 3회 왼충용액을 바꿔가면서 투석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용액을 원심분리 후 상등액만을 취하여 0.45㎛ membrane filter에서 여과하고, 여액을 0.2M HCl로 가수분해시킨 세파로즈-4B칼럼에 전개한 후 5배 칼럼 부피의 PBS로 세척하고 칼럼에 결합된 물질은 50mM 갈락토즈가 함유된 PBS로 용출시켜 얻어진 부분은 렉틴 물질로서 KML-C라 하고, 상기 렉틴 성분 KML-C가 제거된 분획을 얻는 단계;
    상기 단계의 KML-C가 제거된 분획을 인산염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후 헤파린 칼럼에 적용하고 동일한 완충액을 이용하여 칼럼에 결합되지 않은 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충분히 세척하는 단계;
    세척 완료 후, 동일한 완충액에 염화나트륨(NaCl)의 농도를 2M로 하여 컬럼에 결합된 물질을 용출하여 WHBP(Whole heparin binding protein) 분획을 얻는 단계;
    상기 분리한 WHBP를 겔 여과 컬럼(Gel filtration column)에 적용하여 0.15M NaCl이 함유된 인산염 완충용액(PBS)을 계속 흘려주면서 분획 후 20~60kDa의 분자량을 지니는 WHBP 분획을 얻는 단계로 구성되는 분획방법을 통해 얻어진 한국산 겨우살이 유래 단백질 분획 WHB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030021105A 2003-04-03 2003-04-03 항암 및 면역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방법 KR100644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05A KR100644381B1 (ko) 2003-04-03 2003-04-03 항암 및 면역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05A KR100644381B1 (ko) 2003-04-03 2003-04-03 항암 및 면역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917A KR20040086917A (ko) 2004-10-13
KR100644381B1 true KR100644381B1 (ko) 2006-11-10

Family

ID=3736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105A KR100644381B1 (ko) 2003-04-03 2003-04-03 항암 및 면역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3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231B1 (ko) * 1997-10-28 2000-07-01 김종배 한국산겨우살이로부터분리된lectin성분을함유하는면역증강용의약조성물
KR20010009593A (ko) * 1999-07-12 2001-02-05 신현길 겨우살이 저분자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1330A (ko) * 1999-07-27 2001-02-15 김종배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및 상기 단백질에서 분리한 렉틴
KR102024365B1 (ko) * 2015-03-23 2019-09-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Nan 데이터 링크에 참여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스케줄 선택 및 연결 셋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231B1 (ko) * 1997-10-28 2000-07-01 김종배 한국산겨우살이로부터분리된lectin성분을함유하는면역증강용의약조성물
KR20010009593A (ko) * 1999-07-12 2001-02-05 신현길 겨우살이 저분자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1330A (ko) * 1999-07-27 2001-02-15 김종배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및 상기 단백질에서 분리한 렉틴
KR102024365B1 (ko) * 2015-03-23 2019-09-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Nan 데이터 링크에 참여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스케줄 선택 및 연결 셋업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09593
10200100113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917A (ko)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194B1 (ko) 참당귀에서분리한신규한펙틴질다당류와그분리정제방법및그의면역증강제로서의용도
CN109400742B (zh) 一种齿瓣石斛精制多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18202402B2 (en) Homogeneous polysaccharide with immunoregulation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644381B1 (ko) 항암 및 면역기능증진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유래헤파린 결합 단백질과 그 추출방법
US20190077886A1 (en) Homogeneous polysaccharide with immunoregulation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865886B (zh) 人参多糖在制备保护血管内皮细胞药物中的应用
Jeong et al. Studies on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antitumor polysaccharide from aerial parts of Taraxacum platycarpum
KR100259231B1 (ko) 한국산겨우살이로부터분리된lectin성분을함유하는면역증강용의약조성물
EP4349845A1 (en) Novel isoflavone compound
KR19990081594A (ko) 펠리누스 린테우스로부터 분리한 다당류 물질의신규한 용도
CN113354643A (zh) 一种千层塔碱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JPH0517888B2 (ko)
KR20010111569A (ko) 전선화(야생 메꽃)의 고분자량 추출물
CN103788192A (zh) 中华大蟾蜍抗菌肽bg-cath6(29)及其编码基因和应用
KR100848211B1 (ko) 펠리누스린테우스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류 및 테아닌의 혼합 조성물
KR100286366B1 (ko)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렉틴 유전자
CN114656522B (zh) 一种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198006B (zh) 具有抑制lps诱导巨噬细胞分泌no功能的组成物及其应用和免疫药物
US20040137095A1 (en) Phytochemotherapy for cancer
KR100841453B1 (ko) 겨우살이 성분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951403B (zh) 具有抗癌与免疫增强活性的虎乳灵芝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20100003754A (ko) 자초로부터 분리한 단백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항암면역조절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첨가제
KR100492940B1 (ko) 항종양활성 증진용 조성물
US6599538B2 (en) High molecular weight extracts of Convolvulus arvensis (field bindweed) and Polygonum convolvulus (wild buckwheat)
CN115400152A (zh) 海参内脏提取皂苷和黏多糖的生产工艺及其用于制备海参丹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