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858B1 -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 Google Patents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858B1
KR100643858B1 KR1020050029099A KR20050029099A KR100643858B1 KR 100643858 B1 KR100643858 B1 KR 100643858B1 KR 1020050029099 A KR1020050029099 A KR 1020050029099A KR 20050029099 A KR20050029099 A KR 20050029099A KR 100643858 B1 KR100643858 B1 KR 10064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otor
height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7096A (en
Inventor
홍정명
Original Assignee
홍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명 filed Critical 홍정명
Priority to KR102005002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858B1/en
Publication of KR2006010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0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시트백(3)의 상부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며,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몸체(1)와,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위치조작에 의해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5)와,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져 있으며, 양 단이 시트백(3)의 상,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모터(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6)와, 상기 스크류바(6)에 나사결합되며,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 승하강너트(7)와, 상기 모터(5)로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터(5)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여 헤드레스트몸체(1)의 승, 하강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으로 구성되어 헤드레스트몸체(1)는 제어수단(8)의 조작으로 모터(5)가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회전 방향에 따라 승, 하강시켜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 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2) coupled to the top of the seatback (3) to the vertical movement at the bottom, the headrest body (1) supporting the occupant's head and the seatback ( 3) is mounted inside the motor 5 is rotated b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by the switch operation, and a continuous spiral groove is du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both ends are directed to the upper, lower portion of the seat back (3) A screw bar 6 mount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5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5, and screwed to the screw bar 6, and guide bars of the headrest body 1 on both s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nut 7 provided with the fastener 7a to which (2) is fixed, and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motor 5 are supplied and cut off,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5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 operation. It consists of a control means (8)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body (1), When the motor 5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8, the headrest body 1 rotates up and down the lifting nut 7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while the screw bar 6 rotates, thereby causing the headrest body 1 to be rotated. ) Is going up or down.

즉, 탑승자가 제어수단(8)을 조작하여 간단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머리 높이에 딱 맞는 높이로 헤드레스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occupant can simply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by operating the control means 8,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headrest to a height that fits the height of his head.

또한,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메모리스위치를 통해 저장할 수 있어 탑승할 때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달라져 있어도 저장된 메모리스위치만 누르면 간단히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assenger can store the height of the headrest that fits his body type through the memory switch, so even if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changed when boarding, simply press the stored memory switch to easily position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suit his body type. It is.

따라서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merchandise of the vehicle.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Headrest Height Control Device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Figure 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conventional headrest

도 2 는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or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도 3 은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제어수단을 도시한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or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

1 : 헤드레스트몸체 2 : 가이드바1: Headrest Body 2: Guide Bar

3 : 시트백 5 : 자동승하강수단3: seat back 5: automatic lifting means

6 : 제어수단 10 : 전원제어부6: control means 10: power control unit

20 : 승하강스위치부 21 : 승강스위치20: lift switch 21: lift switch

22 : 하강스위치 30 : 메모리스위치부22: lowering switch 30: memory switch unit

31 : 메모리스위치 40 : 입력부31: memory switch 40: input unit

50 : 위치검출센서부 60 : 프로그램제어부50: position detection sensor 60: program control unit

70 : 위치저장부 80 : 모터구동제어부70: position storage unit 80: motor drive control unit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저장하여, 탑승자에 따라 헤드 헤드레스트가 저장된 높이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head 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store the height of the head rest, and is invent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by automatically moving the head head rest to the stored height according to the occupan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시트쿠션의 후단에 세워져 탑승자가 시트 쿠션에 앉았을 경우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seat of a vehicl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occupant sits and supports the body of the occupant, and a seat cushion for the occupant's lower body to support the occupant's lower body and a seat cushion that is erected at the rear of the seat cushion to support the back of the occupant It consists of a seatback.

그리고 상기 시트백 상단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 레스트가 장착되어,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부를 편하게 받쳐주어 주행 중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op of the seat back is equipped with a head rest that can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to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while driving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while driving.

이 헤드 레스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자가 머리를 기댈 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탑승자의 머리가 심하게 앞 뒤로 흔들리지 않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rest not only serves to support the occupant sea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when leaning on the head, but also supports the head of the occupant so that the head of the occupant does not shake back and forth in the event of a collision. .

한편,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은 그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 시트백에 기대는 탑승자의 앉은키에 따라 머리를 받쳐줄 수 없어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탑승자의 앉은키에 맞게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tback of the car seat is fixed at a constant height so that the headrest can not be supported by the seated height of the occupant who rests on the seatback. The height of the head restraint is adjusted to fit the passenger's head comfortably.

이러한 헤드 레스트는 통상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몸체(1)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 수개의 높이조절홈(2a)이 파여진 가이드바(2)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head rest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2 in which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grooves 2a ar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head rest body 1.

그리고 시트백(3)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2)가 결합되고, 이 가이드바(2)의 높이조절홈(2a)을 단속하는 록킹구(4a)가 구비된 가이드스테이(4)를 설치한다.The guide bar 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3, and the guide stay 4 is provided with a locking tool 4 a for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ing groove 2 a of the guide bar 2. .

즉,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몸체(1)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바(2)를 시트백(3)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스테이(4)에 끼워 결합되며,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이 가이드스테이(4)에 구비된 록킹구(4a)가 가이드바(2)의 높이조절홈(2a)에 끼워 걸려 그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headrest is coupled to the guide bar (4)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body (1) to the guide stay (4)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3), the guide stay (4) in the fitted state Locking port (4a) provided in the is fit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groove (2a) of the guide bar (2) is to be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헤드레스트몸체(1)는 록킹구(4a)를 조작하여 가이드바(2)의 높이조절홈(2a)에서 이탈한 후 헤드레스트(1)의 몸체를 위, 아래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춘 후 록킹구(4a)를 조절된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조절홈(2a)에 끼워 걸리도록 함으로써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 head restraint body (1) is operated from the height adjusting groove (2a) of the guide bar (2) by operating the locking mechanism (4a), and then move the body of the headrest (1) up and down to the height of the occupant's head After fitting, locking height (4a) is to be adjusted to fit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a) corresponding to the adjusted height is to adjust the heigh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탑승자가 헤드레스트몸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손으로 록킹구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eadrest has been inconvenient for the passenger to operate the locking mechanism by h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body.

또, 가이드바의 높이조절홈에 록킹구가 끼워 결합되는 높이에서만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미세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탑승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매번 번거롭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새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is fixed only at the height where the locking mechanism is fit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groove of the guide bar, fine height adjustment is impossible, and the height of the headrest has to be newly adjusted every time according to the body type of the occupant. will be.

즉,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한 후 다른 탑승자가 탄 후 다시 탑승할 경우 자신의 체형에 맞게 다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해야 했던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occupant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fit his body type and then rides again after another passenger rides, he h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again to fit his body shape.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주로 탑승하는 탑승자의 체형의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모터의 회전으로 간단히 승, 하강시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height adjusting device for easily increasing and lowering the height of a headrest that fits the body type of a passenger mainly occupying a vehicle by rotating a motor,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and allowing fine height adjustment.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체형의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저장하여 자신의 체형에 맞는 입력번호를 선택하면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selecting the input number suitable for their body shape by stor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fit the occupant's body type There is.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시트백(3)의 상부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며,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몸체(1)와;
이 헤드레스트(1)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이 높이조절수단은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위치조작에 의해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5)와,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3) to be movable vertically, the headrest body (1) supporting the occupant's head;
In th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headrest (1);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mounted inside the seatback (3), the motor (5) rotates by receiving electric power by the switch operation,

삭제delete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져 있으며, 양 단이 시트백(3)의 상,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모터(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6)와,Continuous spiral grooves are du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crew bars 6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5 so that both ends fac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at back 3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5 and ,

상기 스크류바(6)에 나사결합되며,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 승하강너트(7)와,A lifting nut (7) screwed to the screw bar (6) and having a fixture (7a) on both sides of which the guide bar (2) of the headrest body (1) is fixed;

상기 모터(5)로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터(5)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여 헤드레스트몸체(1)의 승, 하강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Control means 8 for supplying and cutting off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motor 5 and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headrest body 1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5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It is achieved by being configured.

즉,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는 제어수단(8)의 조작으로 모터(5)가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회전 방향에 따라 승,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headrest body 1 is to move the lifting bar 7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while the screw bar 6 rotates when the motor 5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8). .

따라서 이 승하강너트(7)의 고정구에 고정된 헤드레스트몸체(1)가 자동으로 승하강되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headrest body 1 fixed to the fastener of the elevating nut 7 is automatically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height of the headrest can be easily adjus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시트백의 내부에 헤드레스트몸체를 승, 하강시키는 자동승하강수단이 내장되며, 이 자동승하강수단에 의해 헤드레스트몸체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lif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rest body inside the seat back is built, the headrest body by the automatic lifting means It works.

도 3 은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제어수단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제어수단의 각 연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means of the headrest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each linked state of the control means.

이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3)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몸체(1)는 하부에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어 있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 2, the headrest body 1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3 is provided with a guide bar 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a lower interval.

이 헤드레스트몸체(1)는 시트백(3)의 상부로 가이드바(2)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서, 시트백(3)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위치되는 것이며, 푹신한 쿠션으로 형성 되어 승차감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머리가 헤드레스트몸체(1)에 강하게 부딪쳐도 다치지 않도록 한다. The headrest body 1 is a guide bar 2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3) is coupled to, and is position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3), it is formed of a soft cushion to maintain a comfortable ride And, even if the head hits the headrest body (1) strongly so as not to hurt.

그리고 시트백(3) 내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 동력으로 헤드레스트몸체(1)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모터(5)가 내장되며, 이 모터(5)는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그 회전축이 시트백(3)의 상부를 향하도록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된다.The seatback 3 has a motor 5 for driving the headrest body 1 up and down by electric power as a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body 1.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nd is mounted inside the seatback 3 so that its rotational axis faces the top of the seatback 3.

이 모터(5)의 회전축에는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진 스크류바(6)가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The rotating shaft of this motor 5 is equipped with the screw bar 6 in which the spiral groove continuous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mounted, and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5. As shown in FIG.

상기 스크류바(6)에 승하강너트(7)가 나사결합되며, 이 승하강너트(7)의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다.Lifting nut (7) is screwed to the screw bar (6), the fastener (7a) is fixed to the guide bar (2) of the headrest body (1)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nut (7) It is provided.

즉, 모터(5)가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 스크류바(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하강너트(7)가 상, 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 승하강너트(7)가 상, 하로 이동하면 이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바(2)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otor 5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and rotates, the lifting nut 7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bar 6, and the lifting nut 7 moves up and down. When moved, the guide bars 2 fixed to both sides are also moved.

따라서 모터(5)가 승하강너트(7)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강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motor 5 rotates in the direction of moving the lifting nut 7 upward, the screwbar 6 rotates to move the lifting nut 7 upward, and thus the headrest body 1 moves up and down. It will be.

그리고 모터(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반대로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하부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몸체(1)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motor 5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crew bar 6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moves the lifting nut 7 downward, thereby lowering the headrest body 1.

한편, 상기 자동승하강수단(5)은 승하강스위치부(20)를 포함한 제어수단(8)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lifting means 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8 including the lifting switch unit 20.

본 발명의 제어수단(8)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10), 승하강스위치부(20), 메모리스위치부(30), 입력부(40), 위치검출센서부(50)와, 프로그램제어부(60), 위치저장부(70), 모터구동제어부(8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means 8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control unit 10, a lift switch unit 20, a memory switch unit 30, an input unit 40, an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50. , The program controller 60, the position storage unit 70, and the motor drive control unit 80.

전원제어부(10)는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계되어 모터(5)를 회전시키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며, 이 공급, 차단은 후술될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된다.The power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vehicle to cut off the electric power supply for rotating the motor 5, this supply, the cut-off is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and the memory switch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trolled by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10)는 프로그램제어부(60)를 통해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에 연계되어 이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The power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and the memory switch unit 30 through the program control unit 60 to operate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and the memory switch unit 30. Controlled by

승하강스위치부(20)는 승강스위치(21)와 하강스위치(22)로 구성되며, 승강스위치(21)와 하강스위치(22)는 시트백(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탑승자가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Lifting and lowering switch unit 20 is composed of the lifting switch 21 and the lowering switch 22, the lifting switch 21 and the lowering switch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t back (3) for the passenger to check and operate It is installed so that.

또 메모리스위치부(30)는 다수의 메모리스위치(31)로 구성되며, 이 각 메모리스위치(31)는 번호가 매겨져 사용자가 사용 중 식별하기 쉽게 한다.In addition, the memory switch unit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ory switches 31, each of the memory switch 31 is numbe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during use.

이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는 입력부(40)를 거쳐 입력신호가 전기적신호로 변환되어 프로그램제어부(60)로 전송된다.The lift switch unit 20 and the memory switch unit 30 are converted 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n input unit 40 and transmitted to the program control unit 60.

또 모터(5)에는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센서부(50)가 설치되고, 모터구동제어부(80)에 연계되어 그 회전방향과 회전수가 제어된다.In addition, the motor 5 is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5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are controlled in connection with the motor drive control unit 80.

그리고 프로그램제어부(60)는 상기 위치검출센서부(50)와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부(70)가 연계 된다.And the program control unit 60 is linked to the position storage unit 70 for stori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by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50 and the memory switch unit 30.

이 프로그램제어부(60)는 승하강스위치부(20)의 승강스위치(21) 또는 하강스위치(22)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모터(5)가 헤드레스트몸체(1)를 승, 하강 시키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프로그램이 되어 있다.The program control unit 60 continu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tor 5 raises and lowers the headrest body 1 while the lifting switch 21 or the down switch 22 of the lifting switch unit 20 is pressed. It is programmed to rotate.

또한 상기 프로그램제어부(60)는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위치저장부(70)에 헤드레스트의 조절된 위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고,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스위치(31)의 원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면 그 위치가 자동으로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gram control unit 60 is programmed to store the adjusted position of the headrest in the position storage unit 70 by the operation of the memory switch unit 30, i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desired number of the memory switch 31 When the memory switch 31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position is automatically programmed to be stored in the memory switch 31 of the corresponding number.

이 프로그램제어부(60)는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저장된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하로 짧게 누르면 모터(5)가 회전하여 헤드레스트몸체(1)를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The program control unit 60 is a memory switch 31 o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eadrest body 1 by rotating the motor (5) by pressing the memory switch 31 of the number stored in the desired position for a short time or less. It is programmed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stored in.

즉, 프로그램제어부(60)는 메모리스위치부(30)의 각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승하강스위치부(20)에 의해 조절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위치저장부(70)에 저장되도록 하고,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하로 짧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헤드레스트의 몸체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키도록 모터구동제어부(8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ogram controller 60 controls the head controlled by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to the memory switch 31 of the corresponding number when the memory switch 31 of the memory switch unit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position of the rest body 1 is stored in the position storage unit 70, and when the memory switch 31 is shortly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the head rest body with the body of the head rest stored in the memory switch 31 of the corresponding number. The motor drive control unit 80 is controlled to move (1).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탑승자가 탑승하여 승하강스위치부(20)의 승, 하강스위치(21, 22)를 누르면, 입력부(40)에서 전기신호를 프로그램제어부(60)로 전송하여 모터구동제어부(80)를 제어하여 모터(5)를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몸체(1)가 눌러진 승, 하강스위치(21, 22)에 따라 승, 하강되는 것이다.When the occupant boards and presses the lifting and lowering switches 21 and 22 of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the input unit 40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program controller 60 to control the motor driving controller 80 to control the motor. (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rest body 1 is raised and lowered, and the headrest body 1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pushed and lowered switches 21 and 22 that are pressed.

그리고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로 헤드레스트몸체(1)가 위치하면 누르고 있었던 승, 하강스위치(21, 22)에서 손을 떼어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 고정된 위치를 메모리스위치부(30)에서 원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 동안 길게 누르면 위치저장부(70)에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로 그 위치가 저장된다.When the headrest body 1 is positioned at the height desired by the occupant, release the hand from the up / down switches 21 and 22 that are held down to fix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and the fixed position is used as a memory switch unit ( If the memory switch 31 of the desired number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30), the position is stored in the memory switch 31 o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torage unit 70.

그 후 탑승자가 하차한 후 다시 탑승했을 때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자신이 저장한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짧게 누르면 모터구동제어부(80)에서 모터(5)를 작동시켜 이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위치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킨다.The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is changed when the occupant gets off and boards again, the motor drive control unit 80 operates the motor 5 by briefly pressing the memory switch 31 of the number stored therein. The headrest body 1 is moved to the position stored in the memory switch 31.

따라서 탑승자가 탈 때마다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저장된 메모리스위치(31)를 누름으로써 간단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ach time the occupant rides, the height of the headrest can be easily adjusted to his / her own body by pressing the stored memory switch 31 without having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his / her own body shap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승, 하강스위치(21, 22)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모터(5)가 계속 회전하여 헤드레스트몸체(1)를 승,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되어 위치되는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기계 적인 스토퍼를 장착하여 더 이상 승, 하강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하고 모터(5)가 이 힘을 받아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즉시 모터구동제어부(80)에서 입력부(40)에서의 키신호를 무시하고, 모터(5)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하여 모터(5)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돌고 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occupant presses the up / down switches 21 and 22, the motor 5 continues to rotate to raise and lower the headrest body 1, so that the headrest body ( 1) is equipped with a mechanical stopper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rising and falling position so that further rise and fall can not proceed anymore, if the motor (5) does not move under this force, the motor drive control unit 80 immediately Ignores the key signal from the input unit 40 and stops the driving of the motor 5 so as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motor 5 from occurring.

또 헤드레스트몸체(1)가 최상단에 위치한 경우에서 하강스위치(22)는 인지하고, 최하단에 위치한 경우에서 승강스위치(21)를 인지하여 모터(5)를 작동시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head restraint body 1 is located at the top end, the lower switch 22 recognizes, and in the case where the head restraint body is located at the lower end, the lift switch 21 is recognized to operate the motor 5 to move the head restraint body 1. Let's do it.

메모리스위치부(30)는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에 관계없이 인지되어 작동됨을 밝혀둔다.Note that the memory switch unit 30 is recognized and operat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10)에는 시동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이 전원제어부(10)에 전기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확인램프(11)가 연계되어 이 확인램프로 탑승자가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승하강스위치부(20) 또는 메모리스위치부(30)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a power confirmation lamp 11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ignition key to check whether or not the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occupant with this confirmation lamp It is preferable to check whether the headrest height adjusting device can be operated and to operate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or the memory switch unit 30.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탑승자가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간단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머리 높이에 딱 맞는 높이로 헤드레스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ccupant can simply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by manipulating the control means, and the headrest can be positioned at a height suitable for his head height.

또한,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메모리스위치를 통 해 저장할 수 있어 탑승할 때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달라져 있어도 저장된 메모리스위치만 누르면 간단히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assenger can store the height of the headrest that fits his body type through the memory switch, so even if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changed when boarding, simply press the stored memory switch to easily position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fit the body type. It can be.

따라서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merchandise of the vehicle.

Claims (3)

하부에 시트백(3)의 상부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며,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몸체(1)와; A guide bar 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3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having a headrest body 1 supporting the occupant's head; 이 헤드레스트(1)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In th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headrest (1); 이 높이조절수단은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위치조작에 의해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5)와,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mounted inside the seatback (3), the motor (5) rotates by receiving electric power by the switch operation,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져 있으며, 양 단이 시트백(3)의 상,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모터(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6)와,Continuous spiral grooves are du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crew bars 6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5 so that both ends fac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at back 3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5 and , 상기 스크류바(6)에 나사결합되며,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 승하강너트(7)와,A lifting nut (7) screwed to the screw bar (6) and having a fixture (7a) on both sides of which the guide bar (2) of the headrest body (1) is fixed; 상기 모터(5)로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터(5)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여 헤드레스트몸체(1)의 승, 하강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Control means 8 for supplying and cutting off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motor 5 and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headrest body 1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5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8)은 모터(5)에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10)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8 is a power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motor (5), 모터(5)를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되도록 정, 역회전시키는 승하강스위치부(20)와,Lifting and lowering switch unit 20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5 so that the headrest body 1 is raised and lowered, 상기 승하강스위치부(20)로 조절되어 저장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 수의 메모리스위치부(30)와,A plurality of memory switch unit 30 to be adjusted by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to select the height of the stored headrest body (1), 상기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에 연계되어 이 각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바꿔 전송시키는 입력부(40)와,An input unit 40 connected to the elevating switch unit 20 and the memory switch unit 30 to convert an input signal of each switch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모터(5)에 연계되고,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부(50)와,A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50 connected to the motor 5 and detecting a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상기 입력부(40), 위치검출센서부(50), 전원제어부(10)에 각각 연계되어 이 입력부(40), 위치검출센서부(50), 전원제어부(10)에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여 모터(5)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제어부(60)와,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40,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50, and the power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input unit 40,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50, and the power control unit 10, respectively. A program controller 60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or 5, 상기 프로그램제어부(60)에 연계되어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으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부(70)와, A position storage unit 70 connected to the program control unit 60 to store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by an operation of the memory switch unit 30; 상기 프로그램제어부(60)에 연계되어 모터제어신호를 받아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제어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otor drive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5) in response to the motor control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program control unit (60). 청구항 2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제어부(60)는 메모리스위치부(30)의 각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승하강스위치부(20)에 의해 조절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위치저장부(70)에 저장되도록 하고,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하로 짧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헤드레스트의 몸체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키도록 모터구동제어부(8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gram control unit 60 is pressed to the lift switch unit 20 to the memory switch 31 of the corresponding number when the memory switch 31 of the memory switch unit 3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body 1 adjusted by the stored in the position storage unit 70, and if the memory switch 31 is shortly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body of the headrest stored in the memory switch 31 of the corresponding number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otor drive control unit 80 to move the headrest body (1).
KR1020050029099A 2005-04-07 2005-04-07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KR100643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99A KR100643858B1 (en) 2005-04-07 2005-04-07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99A KR100643858B1 (en) 2005-04-07 2005-04-07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096A KR20060107096A (en) 2006-10-13
KR100643858B1 true KR100643858B1 (en) 2006-11-10

Family

ID=3762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099A KR100643858B1 (en) 2005-04-07 2005-04-07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8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90B1 (en) 2007-01-26 2007-12-28 (주)디디디 Structure for joining headrest with seat of vehicle
CN103302896A (en) * 2013-05-21 2013-09-18 吴江市美晟机械设备有限公司 Lifting mechanism of knife rest of splitting machine
KR101769342B1 (en)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Vehicle headrest folded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96U (en)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Head rest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its circuit
JP2000219070A (en) 1999-02-01 2000-08-08 Aisin Seiki Co Ltd Motor-driven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96U (en)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Head rest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its circuit
JP2000219070A (en) 1999-02-01 2000-08-08 Aisin Seiki Co Ltd Motor-driven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096A (en) 200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185B2 (en) Switch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vehicle seat speed
US6573673B1 (en) Adjustable vehicle seat with horizontal seat adjustment and/or seat height adjustment and/or seat depth adjustment and neck-rest that can be displaced by an electric motor and guided by a sensor system influenced by the size of the user
JP2002522131A (en) Adjustable headrest
KR100643858B1 (en) 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JP4352971B2 (en) Footres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with ottoman device
CN107054164B (en) Height-adjustable vehicle seat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070117966A (en) Automatic adjusting system of head restraint
CN108058630B (en) Self-adjustment method and system for seat headrest
JP2007083820A (en) Seat for vehicle
KR101300484B1 (en) A headrest for a vehicle
JP4720415B2 (en) Vehicle seat
KR20140065299A (en) Apparatus for adjusting driver's seat and method thereof
JP2007153166A (en) Vehicular seat
JP4649660B2 (en) Leg support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the leg support device
KR101548565B1 (en) Functional bed
KR101441666B1 (en) Control-unit for the seat height
CN114801900B (en) Seat system and vehicle
JP2001137067A (en) Seat with height-automatically adjustable headrest
JP4961290B2 (en) Chair type massage machine
JPH0759629A (en) Head rest device for seat of vehicle
JP2022110553A (en) Vehicular seat
JP2023127620A (en) Toilet sea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JPH0513631Y2 (en)
KR20230071267A (en) Convertible seat for vehicle
KR200416769Y1 (en) rear arm rest having a device for moving up and d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