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796B1 -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796B1
KR100643796B1 KR1020040053989A KR20040053989A KR100643796B1 KR 100643796 B1 KR100643796 B1 KR 100643796B1 KR 1020040053989 A KR1020040053989 A KR 1020040053989A KR 20040053989 A KR20040053989 A KR 20040053989A KR 100643796 B1 KR100643796 B1 KR 10064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link
fixing member
hinge structure
li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117A (ko
Inventor
양진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7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10Counterbalance devices
    • E05D13/12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 E05D13/1207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with tension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룸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트렁크리드 개폐시 트렁크리드 힌지의 회동측이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적은 힘으로도 트렁크리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이 고정부재에 대해 왕복 슬라이딩될 수 있는 이동부재(20)와, 이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동부재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하방향 회동되며 트렁크리드를 개폐시키는 회동부재(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트렁크리드, 힌지, 링크, 스프링, 공간활용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Hinge structure of trunk-lid}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트렁크리드가 열린상태, 도 2는 트렁크리드가 닫힌상태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은 트렁크리드가 닫힌상태, 도 4는 트렁크리드가 반쯤 열린상태 그리고 도 5는 트렁크리드가 완전히 열린상태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은 트렁크리드가 닫힌상태, 도 7은 트렁크리드가 완전히 열린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후드 10: 고정부재
11: 레일 12: 슬라이더
20: 이동부재 21: 삽입홈
22: 탄성부재 23, 24: 스토퍼
30: 회동부재 31: 회동축
41∼45: 링크 P1∼P4: 작용점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적은 힘으로도 트렁크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트렁크리드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트렁크리드 개폐용 트렁크리드 힌지에는,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구즈넥(Goose-Neck) 타입의 힌지암(1)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즈넥 타입의 힌지암(1)은, 힌지암의 회동축이 전방측에 위치함으로 인해 트렁크리드(3)가 완전히 열렸을 때 차체구조물(2)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된 방책으로서, 기본적으로 구즈넥의 형상은 트렁크룸의 공간활용도가 떨어뜨린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트렁크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트렁크리드 개폐시 트렁크리드 힌지의 회동측이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적은 힘으로도 트렁크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대해 왕복 슬라이딩될 수 있는 이동부재 와, 이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동부재의 왕복이동에 따라 상하방향 회동되며 트렁크리드를 개폐시키는 회동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특히 전방측이 차체에 고정되며 소정길이의 바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특히 상기 고정부재의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된 소정길이의 바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단부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후단부가 삽입되거나 또는 선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후단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회동부재는, 일례로,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소정길이의 바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힌지구조에는 이동부재가 후방이동됨에 따라 회동부재가 상방향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수단이 포함된다.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부재가 상방향 회동됨에 따라, 회동부재의 후단부 상부에 고정된 트렁크리드는 열려지며, 다시 회동부재가 하방향 회동됨에 따라 트렁크리드는 닫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수단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 특히 회동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제 1 링크를 포함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회동수단은, 회동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부재가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 힌지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의 회동수단에는 트렁크리드가 닫힐 때, 회동부재가 하향회동시켜 이동부재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고정부재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가이드수단이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 또는/및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왕복이동 거리 를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수단이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측부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과, 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그리고 타측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는 제 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이동제한수단의 기능은 부분적으로는 이동부재 선단부 내측면과 고정부재 후단부 외측면에 서로 걸림고정될 수 있는 원형돌기(혹은 원형고리)를 설치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고정부재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홀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 또는/및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최대 회동각을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에는, 상기 제 1 링크의 전방측 끝단(P1)과 제 2 링크의 전방측 끝단(P3)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의 후방측 끝단 (P3)과 상기 제 2 링크의 후방측 끝단(P4)의 사이 각각에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가 설치되되, 상기 P1과 상기 P3 사이의 링크는 두 개의 링크가 자유롭게 회동되면서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별도의 구분이 없는 한, 동일한 명칭은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는, 전방측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 이 고정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부재(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한 이동부재(20), 이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30)로 구성된다. 회동부재(30)의 상부에는 트렁크리드(미도시)가 고정되며, 고정부재(10)와 이동부재(2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2)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10)는, 소정길이의 강성바로 형성되며, 측부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11)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11)은, 고정부재(10의 외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장홈에는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12)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2)는 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트렁크리드가 닫힌 상태에서는 레일(11) 전방측(도 3)에 그리고 트렁크리드가 열린 상태에서는 레일(11) 후방측(도 5)에 배치된다.
한편, 레일(11)은, 고정부재(10)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더는 고정부재(10)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동부재(20)는, 그 선단부에 삽입홈(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홈(21)에는 고정부재(10)의 후단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설치되어 있다. 특히, 고정부재(10)의 후단과 삽입홈(21) 내측 후미 사이에는 탄성부재(22)이 설치되어 있어,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부재(10)에 대하여 이동부재(20)는 후방측으로의 탄성력을 받는다.
회동부재(30)는, 이동부재(20)의 후단부에 회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재로서, 고정부재(10)의 레일(11)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12)와 회동축(31) 사이에는 제 2 링크(42)가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부재(10)의 슬라이더(12) 상부 일측과 회동축(31)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회동부재(30)의 소정위치 사이에는 제 1 링크(41)가 연결되어 있다.
제 1 링크(41)는, 트렁크리드(미도시)의 잠금상태(도 3의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0)에 대하여 이동부재(2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회동부재(30)가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상방향 (탄성적으로)회동(도 4와 도 5의 상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동부재(20)가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제 1 링크(41)는 P3 작용점에서 회동부재(30)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리고, 트렁크리드(미도시)가 닫히는 경우에는, 제 1 링크(41)는 회동부재 (30)가 후방측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이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용점 P3는 작용점 P4에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 2 링크(42)는, 트렁크리드 개폐시, 이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에 대하여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제 2 링크(42)는, 이동부재(20)의 왕복이동 거리 및 이동방향을 제한한다.
살펴보자면, 트렁크리드가 열릴 때 이동부재(20)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더(12)는 레일(11)의 후방 끝단까지만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트렁크리드가 닫힐 때에도 이동부재(2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12)는 레일(11)의 전방 선단까지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20)의 이동거리는, 앞서 설명한 제 1 링크(41)에 의해서도 제한된다. 본 설명에서의 링크는 견고한 바(Rigid Bar)이다.
또한, 제 2 링크(42)는, 이동부재(20)의 왕복이동이 직선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즉, 고정부재(10)와 이동부재(20)는 서로 탄성부재(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나, 고정수단(10)에 대하여 이동부재(2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정부재(10)와 이동부재(20) 사이의 연결부위가 절곡(혹은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의 각도가 수평이 아니라 둔각이 될 수도 있다)될 수 있는데, 제 2 링크(42)가 설치됨으로 인해 이동부재(20)는 고정부재(1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일직선상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부재(20)에는, 회동부재(30)의 회동에 따른 최대 회동각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3, 24)가 설치되는데, 최대 회동각은 트렁크리드가 닫혔을 때와 트렁크리드가 완전히 열렸을 때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각도이다. 물론, 스토퍼(23, 24)는 트렁크리드가 닫혔을 때와 트렁크리드가 완전히 열렸을 때 회전부재(30)와 간섭되어 회동부재(30)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6과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구조에는, 작용점 P1과 P2 사이 그리고 P3와 P4 사이에 각각 부가적으로 설치된 링크(43, 44, 4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링크는, 이동부재(20) 왕복운동함에 따라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제 1 링크와 제 2 링크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물론, P1과 P2 사이의 링크는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중간부분이 자유롭게 회동되면서 접혀질 수 있도록 두 개의 링크(43, 44)를 결합한 구조로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각 구성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례로 이동부재가 고정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회동부재의 최대 회동각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토퍼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일과 제 2 링크를 사용하는 이동제한수단의 기능은, 부분적으로는 이동부재 선단부 내측면과 고정부재 후단부 외측면에 서로 걸림고정될 수 있는 원형돌기(혹은 원형고리)를 설치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트렁크리드 힌지구조에 따르면, 이동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함에 따라 회동부재가 회동되며 상부에 고정된 트렁크리드를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트렁크리드 힌지의 회동축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종래의 구즈넥 힌지암에서와 같은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가 없어진다.
또한, 탄성부재의 탄성계수 또는 길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트렁크리드의 완전 개방각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링크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상방향으로 튕겨지므로 적은 힘으로도 트렁크리드를 열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는 힘만 제공되면 트렁크리드는 손쉽게 닫힐 수 있다. 이러한 트렁크리드 개폐에 필용한 힘의 조절은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조절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Claims (8)

  1.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에 있어서,
    전방측이 차체에 고정되며 소정길이의 바로 구성된 고정부재;
    고정부재의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된 소정길이의 바로 구성되며,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고정부재에 대하여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단부 내측으로 고정부재의 후단부가 삽입되거나 또는 선단부가 고정부재의 후단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된 이동부재;
    상부에 트렁크리드가 고정되며,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 및
    이동부재가 후방이동됨에 따라 회동부재가 상방향 회동될 수 있도록, 일단은 고정부재의 일측에 그리고 타단은 회동부재의 일측, 특히 회동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제1링크를 구비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 또는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에는, 이동부재의 왕복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수단이 설치된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제한수단은, 고정부재의 측부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과, 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일측은 슬라이더에 그리고 타측은 회동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는 제 2 링크를 포함하는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레일은, 고정부재의 외측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레일은, 슬라이더가 고정부재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홀인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 또는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에는,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른 최대 회동각을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된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제1링크(41)의 전방측 끝단(P1)과 제2링크(42)의 전방측 끝단(P2)의 사이 그리고 제1링크(41)의 후방측 끝단(P3)과 제2링크(42)의 후방측 끝단(P4)의 사이 각각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가 설치되되, 제1링크(41)의 전방측 끝단(P1)과 제2링크(42)의 전방측 끝단(P2)의 사이의 링크는 두 개의 링크가 자유롭게 회동되면서 접힐 수 있도록 결합된 링크구조로 이루어진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8. 삭제
KR1020040053989A 2004-07-12 2004-07-12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KR10064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989A KR100643796B1 (ko) 2004-07-12 2004-07-12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989A KR100643796B1 (ko) 2004-07-12 2004-07-12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117A KR20060005117A (ko) 2006-01-17
KR100643796B1 true KR100643796B1 (ko) 2006-11-10

Family

ID=3711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989A KR100643796B1 (ko) 2004-07-12 2004-07-12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522B (zh) * 2018-03-12 2024-05-28 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加油舱和/或充电舱的舱盖总成
CN110399635B (zh) * 2019-06-11 2023-07-11 合创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行李箱盖铰链系统优化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596A (ko) * 1992-09-29 1994-04-27 슈타머 카메라용 건전지실
KR970037869U (ko) * 1995-12-19 1997-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리드의 개폐구조
KR19980034155A (ko) * 1996-11-05 1998-08-05 박병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JPH10227323A (ja) * 1997-02-14 1998-08-25 Kayaba Ind Co Ltd ガススプリングの温度補償装置
JP2001002103A (ja) * 1999-06-15 2001-01-09 Nhk Spring Co Ltd 開閉体用操作力軽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596A (ko) * 1992-09-29 1994-04-27 슈타머 카메라용 건전지실
KR970037869U (ko) * 1995-12-19 1997-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리드의 개폐구조
KR19980034155A (ko) * 1996-11-05 1998-08-05 박병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JPH10227323A (ja) * 1997-02-14 1998-08-25 Kayaba Ind Co Ltd ガススプリングの温度補償装置
JP2001002103A (ja) * 1999-06-15 2001-01-09 Nhk Spring Co Ltd 開閉体用操作力軽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117A (ko) 200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376B2 (en) Hinge with damper
KR101323939B1 (ko) 문 개폐용 스테이
US8904709B2 (en) Movable holder
CN1930357B (zh) 特别是用于连接折叠翼扇的两个翼扇部分的铰链
US20050284025A1 (en) Upper articulation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with wing and swivel wing opening
RU2429333C2 (ru) Мебельная петля
CN101512093B (zh) 家具铰链
US8424952B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a folding-top compartment lid
CN105008646A (zh) 具有阻尼的多活节铰链
KR20080108491A (ko) 가구 힌지
EP2030873A3 (en) A hinge mechanism for a vehicle
KR102145513B1 (ko) 힌지기구 및 가구
CZ301797B6 (cs) Vyklápecí zarízení pro okno, dvere nebo podobne, obsahující výklopné krídlo, a okno mající výklopné krídlo
CA2345514A1 (en) Locking mechanism for chair and pushbutton control therefor
CN108798328B (zh) 一种埋入式铰链结构
US6554344B2 (en) Fuel filler door catch for vehicles
KR100643796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EP3342612A1 (en) Wind deflector assembly
WO2015155579A1 (en) Hinge for furniture with independent damping element
EP3489445A1 (en) Locking device, particularly hold-open device, for a door actuator assembly
EP2050905A2 (en) Hinge device for tailgate glass
CN111379490B (zh) 门体的开闭机构
KR200272034Y1 (ko) 가구용 힌지 스프링
KR20100060534A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EP3714123B1 (en) Lifting device including a sledge system axle and a roof window comprising such a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