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623B1 - 섬유 웹 폭 조절기 - Google Patents

섬유 웹 폭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623B1
KR100643623B1 KR1020017008999A KR20017008999A KR100643623B1 KR 100643623 B1 KR100643623 B1 KR 100643623B1 KR 1020017008999 A KR1020017008999 A KR 1020017008999A KR 20017008999 A KR20017008999 A KR 20017008999A KR 100643623 B1 KR100643623 B1 KR 10064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water
pulp suspension
water supply
suppl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914A (ko
Inventor
주티넨베사
Original Assignee
메트소 페이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트소 페이퍼 인크. filed Critical 메트소 페이퍼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11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03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twin-wir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01D33/04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whereby the filtration and squeezing-out take place between at least two filter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pressure plates, membra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18De-watering; Elimination of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from the pul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방향이 동일한 2개의 투수성 필터 와이어와, 이들 필터 와이어 사이에 펄프 현탁액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섬유 웹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섬유 웹 폭 조절기가 제공된다. 이 섬유 웹 폭 조절기는 상기 필터 와이어(2, 3) 사이에서 그 연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섬유 웹 폭 조절기{ARRANGEMENT FOR ADJUSTING WIDTH OF FIBRE WEB}
본 발명은 이동 방향이 동일하고, 그 이동 방향으로 좁아지는 간극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통수구(개구)를 각각 구비한 상면 및 하면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2개의 투수성 필터 와이어와, 상기 간극의 양 연부에 위치해서 펄프 현탁액이 상기 간극으로부터 상기 간극의 횡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측부와, 상기 펄프 현탁액을 상기 2개의 필터 와이어 사이의 간극 내로 그 유입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펄프 현탁액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간극의 상면 및 하면의 통수구는 상기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측부와 인접한 중실 연부를 포함하도록 그리고 상기 2개의 필터 와이어의 연부가 상기 중실 연부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치에서, 상기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물이 제거되는 때에 섬유 웹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섬유 웹 폭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회분(ash)이나 다른 불순물을 씻어내는 경우에,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할 때에는 펄프 현탁액을 필터 와이어로 둘러싸인 간극과 같은 공간으로 공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필터 와이어 뒤에는 구멍이나 다른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 구조체(지지면)가 위치하여, 필터 와이어를 통해, 나아가서는 지지면의 개구를 통해서 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펄프 현탁액이 필터 와이어의 연부 아래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간극 내에서 연장되는 필터 와이어의 연부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에 개구가 사용될 수 없고, 간극의 연부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에 중실부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한 간극의 측부에는, 펄프 현탁액이 간극의 측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필터 와이어 이동 방향으로 간극의 유출구를 향해 이동하도록 간극을 폐쇄하는 측판이 또한 마련되어 있다. 간극은 펄프 현탁액이 흐르는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펄프 현탁액이 필터 와이어에 대해 압박되며, 그 결과 물이 필터 와이어를 통해 흐르게 된다. 그러한 장치의 문제점은 펄프 현탁액이 필터 와이어의 연부로, 나아가서는 필터 와이어 연부 아래로 압박되어 필터 와이어의 연부를 오염시키고, 또한 펄프 현탁액이 간극의 유출구 전체에 걸쳐 튀게 되어 장치를 오염시키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물 분사를 사용해서 필터 와이어 연부로부터 펄프 현탁액을 씻어냄으로써 필터 와이어 연부가 오염되는 것과 펄프 현탁액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물 분사를 사용하면 항상 튀게 되는 문제가 있고, 물 분사에 의해 제거된 섬유 물질과 물을 회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 해결책은 다소 곤란하다.
또한, 다양한 밀봉 요소를 사용해서 필터 와이어 사이의 간극을 폐쇄함으로써 펄프 현탁액이 연부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이 시도의 문제점은 밀봉 요소가 구비된 필터 와이어가 매우 고가이고 그 사용 수명도 매우 짧다는 점이다. 한편, 실제로 밀봉이 이루어지기 전에 펄프 현탁액이 필터 와이어와 밀봉 요소 사이를 침투하기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밀봉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실제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별도의 밀봉 요소를 조절하기도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밀봉 요소는 빠르게 마모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해결책의 단점들을 회피하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웹 폭 조절기는 물을 간극의 측부로 공급해서, 이 공급된 물이 간극의 유출구를 향해 펄프 현탁액과 함께 흐르면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면 및 하면의 통수구까지는 펄프 현탁액을 간극의 중심을 향해 밀어내도록 하는 물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소정 분량의 물을 간극의 측부로 공급함으로써 간극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물이 간극의 중심을 향해 압박됨과 동시에 간극의 연부로부터 펄프 현탁액을 밀어내게 되며, 따라서 2개 필터 와이어 사이의 챔버를 빠져나오는 웹이 필터 와이어보다 좁아지고 필터 와이어의 연부로부터 펄프 현탁액이 대부분 정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점은 극히 소량의 물로도 펄프 현탁액을 간극의 연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밀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공급된 물은 그 체적을 유지하면서 간극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간극의 중심을 향해 침투하며, 이와 동시에 타측 필터 와이어 상의 지지 구조체의 개구가 간극으로부터 과잉의 물을 제거시킬 때까지 웹을 좁아지게 함으로써, 펄프 현탁액이 대체로 맨 끝의 개구 사이의 전체 폭을 따라 필터 와이어 상에 남게 된다. 물은 펄프 현탁액을 간극의 연부로부터 중심으로 밀어낼 뿐만 아니라 필터 와이어의 연부를 거의 깨끗한 상태로 씻어냄으로써, 간극의 유출단에서 펄프 현탁액이 튀거나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웹 폭 조절기가 더러워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것은 실시가 매우 용이하며,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물 공급 호스 또는 통로를 간극의 측판에 배치하면 충분하며,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웹 폭 조절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섬유 웹 폭 조절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3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섬유 웹 폭 조절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웹 폭 조절기의 개략도로서,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회분과 같은 입자상 불순물을 씻어내기 위해, 또는 펄프 현탁액을 농축시키기 위해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웹 폭 조절기는 수직 방향으로 좁아지는 간극(1)을 포함한다. 상부 필터 와이어(2) 및 하부 필터 와이어(3)가 간극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따라 이동한다. 펄프 현탁액이 간극(1)의 상류측 단부에서 상부 필터 와이어(2) 및 하부 필터 와이어(3) 사이로 공급된다. 펄프 현탁액은 간극의 하류측 단부를 향해 상부 필터 와이어(2) 및 하부 필터 와이어(3)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동시에, 상부 필터 와이어(2) 및 하부 필터 와이어(3)를 통해, 나아가서는 필터 와이어 외부의 상면(4) 및 하면(5)의 개구를 경유해서 물이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수집 챔버(6)로 제거되며, 이 제거된 물과 불순물이 수집 챔버로부터 배출된다. 펄프 현탁액은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간극 내로 공급될 수 있다.
간극의 양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측부가 있고, 이들 측부는 펄프 현탁액이 간극의 양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펄프 현탁액이 상부 필터 와이어(2) 및 하부 필터 와이어(3)를 따라 흐르도록 강제되며, 이와 동시에 펄프 현탁액은 이들 필터 와이어 사이에 남아 있으면서 물이 이들 필터 와이어를 통해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간극을 통해 이동하는 필터 와이어(2 및 3)의 조절 롤(7 및 8)과, 전환 롤(9)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상기 필터 와이어는 상기 전환 롤 둘레로 회전하여 간극의 상류측 단부로 복귀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섬유 웹 폭 조절기의 간극을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필터 와이어(2) 및 하부 필터 와이어(3)는 간극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마주해서 이동하며, 따라서 그 사이에 펄프 현탁액을 위한 공간이 남게 된다. 간극(1)의 상면(4) 및 하면(5)에는 천공 또는 다른 방법으로 적절한 개구(통수구)(4a, 5a)가 구비되어 있어서 물이 통과해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간극의 연부는 개구가 없는 중실부, 즉 중실 연부(10)를 포함한다. 필터 와이어(2 및 3)의 연부가 중실 연부 위로 연장됨으로써 필터 와이어의 연부에서 상면 및 하면을 통해 물이 제거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면은 어떻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 공급 통로(13)가 간극의 측부(11 및 12)를 통과하여 물 공급 통로를 통해 간극 내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또한, 도면은 어떻게 적절하게 공급된 일정량의 물로 인해서 간극의 연부 상에는 거의 물만 남은 상태로 펄프 현탁액(14)이 간극의 중심으로 향해 침투하게 되는가를 보여준다. 간극의 하류측 단부에 있는 유출구 이전에서 물이 간극(1) 내로 공급되면, 이 공급된 물(15)은 펄프 현탁액(14)과 함께 유출구를 향해 흐른다. 물은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이므로, 간극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물은 연부로부터 간극의 중심을 향해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물이 간극의 상면 및 하면의 개구(4a, 5a)에 도달하는 지점까지 물이 펄프 현탁액을 간극의 중심을 향해 동시에 밀어낸다. 이 지점으로부터 간극의 유출구를 향해 높이가 점점 감소함에 따라 물이 간극의 중심을 향해 압박되지만, 상면(4) 및 하면(5)의 개구(4a, 5a)를 통해 흘러 나올 수 있으므로, 이 개구에서 펄프 현탁액의 연부가 대체로 머무르게 되며, 이와 동시에 필터 와이어와 상면 및 하면의 개구를 통해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물이 제거된다. 이 특징은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는 어떻게 물이 측부로부터, 그리고 간극의 상면 및 하면을 지나, 이들 상면 및 하면의 연부에 위치하는 개구가 없는 중실 연부(10)까지 직접 공급될 수 있는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화살표(13a 및 13b)로 지시되어 있다. 그러면, 물의 공급은 단지 커버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단지 연부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또는 상이한 이들 방식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웹 폭 조절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프 현탁액 공급 단부, 즉 간극의 상류측 단부에서 펄프 현탁액이 간극의 폭 전체를 따라 간극을 덮고 있다. 도면에는 물 공급 통로(13)가 도시되어 있다. 물 공급 통로는 간극의 유출구로부터 적절한 거리에 하나만 있을 수도 있고, 간극의 측부를 따라 몇 개가 위치할 수도 있다. 물 공급 통로(13)로부터 간극(1)의 연부로 물이 공급되면, 이 공급된 물(15)은 펄프 현탁액(14)과 간극(1)의 측부(11 및 12) 사이에서 머무르게 된다.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공급되는 물(15)은 상면(4) 및 하면(5)의 개구(4a 및 5a)가 과잉의 물을 유출시킬 때까지 간극(1)의 중심을 향해 침투하며, 이 때 펄프 현탁액의 폭은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펄프 현탁액의 연부가 가능한 잘 형성되고, 또한 필터 와이어의 연부가 가능한 한 청결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면, 간극의 유출구로부터 보다 짧은 간격으로 물을 더 많이 공급함으로써 간극의 연부에 항상 물이 충분하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어떻게 물이 간극의 유입 단부에서 펄프 현탁액이 흐르는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가와, 동시에 펄프 현탁액이, 예를 들면 간극의 뒤로부터, 또는 유입 단부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부터 적절하게 직접 공급되는 경우에 물의 공급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이는 해당 지점에 연결된 물 공급 통로를 나타내는 화살표(13c)로 지시되어 있다. 또한, 이 물 공급 방식은 상황에 따라서 단독으로, 측부로부터 이루어지는 물 공급 방식과 함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그 중실 연부로의 물 공급 방식과 함께, 또는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간극의 연부로 공급되는 물은 새로 공급되는 물일 수 있고, 이 경우 물이 완전히 깨끗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분 등의 소량의 고상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제거된 여과수일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극히 소량의 물로도 현재의 필요한 결과를 얻기에 충분하다. 물 공급 통로는 별도의 물 공급 호스이거나, 간극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된 통로 등일 수 있다. 또한, 펄프 현탁액이 필터 와이어의 연부 아래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을 공급함으로써 필터 와이어 사이에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간극의 상면 및 하면의 연부가 일정 두께의 중실 연부를 포함해야 한다.

Claims (7)

  1. 이동 방향이 동일하고, 그 이동 방향으로 좁아지는 간극(1)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통수구(4a, 5a)를 각각 구비한 상면(4) 및 하면(5)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2개의 투수성 필터 와이어(2, 3)와; 간극(1)의 양 연부에 위치해서 펄프 현탁액(14)이 간극(1)으로부터 간극(1)의 횡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측부(11, 12)와; 펄프 현탁액(14)을 2개의 필터 와이어(2, 3) 사이의 간극(1) 내로 그 유입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펄프 현탁액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간극(1)의 상면(4) 및 하면(5)의 통수구(4a, 5a)는 상면(4) 및 하면(5)이 측부(11, 12)와 인접한 중실 연부(10)를 포함하도록 그리고 2개의 필터 와이어(2, 3)의 연부가 중실 연부(10)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치에서, 펄프 현탁액(14)으로부터 물이 제거되는 때에 섬유 웹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섬유 웹 폭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간극(1)의 측부(11, 12)에는 물을 간극(1) 내부를 향하여 공급하는 물 공급 수단이 마련되며, 물 공급 수단을 통해 공급된 물(15)은 간극(1)의 유출구를 향해 펄프 현탁액(14)과 함께 흐르면서, 적어도 최외측에 있는 상면(4) 및 하면(5)의 통수구(4a, 5a)까지는 펄프 현탁액(14)을 간극(1)의 중심을 향해 밀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웹 폭 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물 공급 수단은 간극(1)의 측부(11, 12)와 연결된 물 공급 통로(13)를 포함하고, 이 물 공급 통로(13)를 통해서 간극(1)의 연부로 간극(1)의 측부(11, 12)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웹 폭 조절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 공급 수단은 상면(4)과 하면(5)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 상면(4)과 하면(5) 중 하나 이상의 중실 연부(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13a, 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웹 폭 조절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 공급 수단은 펄프 현탁액(14)을 간극(1)의 유입측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간극(1)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1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웹 폭 조절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간극(1)의 양 연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웹 폭 조절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 공급 수단은 새로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웹 폭 조절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 공급 수단은 펄프 현탁액으로부터 분리된 여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웹 폭 조절기.
KR1020017008999A 1999-01-19 2000-01-18 섬유 웹 폭 조절기 KR100643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90103 1999-01-19
FI990103A FI107056B (fi) 1999-01-19 1999-01-19 Sovitelma kuiturainan leveyden säätämiseks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914A KR20010112914A (ko) 2001-12-22
KR100643623B1 true KR100643623B1 (ko) 2006-11-13

Family

ID=855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999A KR100643623B1 (ko) 1999-01-19 2000-01-18 섬유 웹 폭 조절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68463B1 (ko)
EP (1) EP1153168B1 (ko)
JP (1) JP4548941B2 (ko)
KR (1) KR100643623B1 (ko)
CN (1) CN1137308C (ko)
AT (1) ATE467716T1 (ko)
AU (1) AU2296600A (ko)
BR (1) BR0007441B1 (ko)
CA (1) CA2358904C (ko)
DE (1) DE60044391D1 (ko)
FI (1) FI107056B (ko)
WO (1) WO2000043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6394B (fi) * 2001-05-23 2005-11-15 Metso Paper Inc Selluloosamassan reunan hallintajärjestely rainanmuodostajaa varten sekä menetelmä selluloosamassan reunan hallitsemiseksi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39372C (de) * 1930-09-09 1931-11-25 J M Voith Fa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Ablagerungen in den bei Formatverkleinerung entstehenden toten Ecken an Stoffauflaufkasten
US2956623A (en) * 1957-04-01 1960-10-18 Ikavalko Erkki Proces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aper stock to a wire mesh pulley belt
US2965623A (en) 1957-11-08 1960-12-20 Borden Co Polymerization of vinyl esters
BE789468A (fr) * 1971-10-06 1973-01-15 Beloit Corp Structure a deux toiles submergee pour formation de feuille continue
US3840429A (en) * 1972-08-07 1974-10-08 Beloit Corp Anti-rewet membrane for an extended press nip system
FI760291A (ko) * 1976-02-06 1977-08-07 Tampella Oy Ab
FI74879C (fi) * 1986-11-05 1989-01-16 Rauma Repola Oy Filterbandpress.
JPH0345998U (ko) * 1989-09-07 1991-04-26
JPH0434094A (ja) * 1990-05-22 1992-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サイドデッケル
JP2534233Y2 (ja) * 1991-08-26 1997-04-3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紙料のはみ出し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07441A (pt) 2001-10-16
CA2358904C (en) 2009-04-14
FI107056B (fi) 2001-05-31
DE60044391D1 (de) 2010-06-24
ATE467716T1 (de) 2010-05-15
JP4548941B2 (ja) 2010-09-22
CN1137308C (zh) 2004-02-04
EP1153168A1 (en) 2001-11-14
EP1153168B1 (en) 2010-05-12
FI990103A (fi) 2000-07-20
AU2296600A (en) 2000-08-07
CA2358904A1 (en) 2000-07-27
WO2000043588A1 (en) 2000-07-27
KR20010112914A (ko) 2001-12-22
BR0007441B1 (pt) 2011-01-25
FI990103A0 (fi) 1999-01-19
CN1336974A (zh) 2002-02-20
JP2002535502A (ja) 2002-10-22
US6368463B1 (en) 200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4937A (en) Dust filter apparatus
EP18776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material to a wide high-speed web
CA1215329A (en) Fluid film bearing for use in horizontal belt vacuum filters
JPH08500530A (ja) 液体から固形物を分離するシステム
KR100643623B1 (ko) 섬유 웹 폭 조절기
EP0062983B1 (en) Forming shoes for the former of a paper making machine
DE4320387C2 (de) Bandfiltereinrichtung zur Reinigung von Bearbeitungsflüssigkeiten
JPH0440044B2 (ko)
US3563854A (en) Sealing arrangement for a breast box of a papermaking machine
JPH0359166B2 (ko)
EP0407363A1 (en) A self-cleaning vacuum filter with permanent, endless filter media particularly for industrial lubricating and cooling liquids
US5240609A (en) Sludge filtering device and grid system
SE436210B (sv) Anordning for avvattning av fibermaterialbanor
US4693836A (en) Filter apparatus with bypass prevention
AU668234B2 (en) Device for continuously washing dirty greasy wool
EP0178271B1 (en)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of pulp
US4673514A (en) Fluid film bearing for use in horizontal belt vacuum filters
US3849313A (en) Belt for a vacuum filter
US5868903A (en) Device for dewatering and/or washing suspensions, in particular suspensions of fibrous materials
EP0512287B1 (en) Electro-endosmosis type dehydrator
CA1189456A (en) Filter cleaning apparatus
JPS6055640B2 (ja) 抄造機の漏洩スラリ回収装置
US5330648A (en) Filter media hold down mechanism
DE3226388C2 (de) Vorrichtung zur Abnahme der Ränder der Stoffsuspension beim Austritt des Stoffes aus den Stoffauflauf einer Papiermaschine
EP11159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fibre pulp m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