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214B1 -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214B1
KR100642214B1 KR1020060059486A KR20060059486A KR100642214B1 KR 100642214 B1 KR100642214 B1 KR 100642214B1 KR 1020060059486 A KR1020060059486 A KR 1020060059486A KR 20060059486 A KR20060059486 A KR 20060059486A KR 100642214 B1 KR100642214 B1 KR 10064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em
buffer unit
transmitting
distribution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창
윤명용
Original Assignee
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망과 연동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ISM밴드 대역의 소출력 생활무선을 이용하여 각종 단말기(FRTU, 변압기, etc)에 데이터의 변형이나 가공없이 기존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하여 통신할 수 있는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모뎀, RT, FRTU

Description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RF Modem Geared With Distribution Automaiton System And Transmission/ Rece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T와 단말기 사이의 송수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도2의 RF모뎀에 대한 상세 블럭도이다.
도 4는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S232데이터와 TPG데이터가 먹스부를 통해 RF송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TPG 데이터를 송신측 RF모뎀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T 20 : AP 서버
30 : NMS 40 : RT
50 : RF모뎀 510 : 제 1버퍼부
520 : 제 2버퍼부 530 : 루프 확인부
540 : MUX부 60 : 단말기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망과 연동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밴드 대역의 소출력 생활무선을 이용하여 각종 단말기에 데이터의 가공이나 변형없이 기존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하여 통신할 수 있는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 자동화 시스템(Distribution Automaiton System, DAS)은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선로 자동화용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통신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현장 배전선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고장구간을 신속히 감지하며, 상기 고장 구간에 대한 자동 원격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배전 자동화 망은 단독 망으로 전용선을 이용한 유선모뎀,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Trunked Radio System, TRS) 및 유/무선 혼합망인 Air-Media, 광 망을 이용한 광모뎀 등에 의해 구현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배전 자동화 망에서 RF와 연계되는 최종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은 서로 다른 데이터 통신(RS232, RS485)을 수행하므로 통합적인 운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RF에 의한 무선전송 구간에는 전파지연 및 환경상의 영향으로 많은 손실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배전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인 DNP3.0 프로토콜은 몇 백 Kbps의 데이터 전달시 1비트라도 빠지면 전체 프레임을 버리는 특성 상 단말기(FRTU, 변압기 등)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함께, 종래의 RF 장비는 유선구간과는 달리 무선전송 구간에서의 전송 속도를 알 수 없어 무선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클럭 동기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RF 장비는 RF 링크(Link)를 통한 확인만 가능하고 실제적인 통신 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하여 무선 구간에 대한 실질적인 신뢰도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구간에서의 전파 지연으로 발생하는 아이들(Idle) 비트를 제거하여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이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구간에서의 자동 속도 제어가 가능한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이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구간 사이에 TPG데이터에 의한 통신을 통해 무선 구간에서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배전자동화망과 연동이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자동화망과 연동이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은 배전자동화시스템의 RT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무선(RF)으로 송수신하는 RF모뎀에 있어서, 상기 RF모뎀은 RF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고, DNP3.0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는 제 1버퍼부와 상기 제 1버퍼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리얼로 출력시키는 제 2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버퍼부는 저장된 데이터의 해더(Header)와 랭스(Length)를 분석하여 하이 상태로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 구간을 검출하여 검출된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버퍼부는 멀티캐스팅으로 들어오는 DNP3.0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중첩된 데이터의 손실 없이 시리얼 출력이 가능하도록 다중 버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모뎀은 상기 제 1버퍼부에 TPG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가 스위칭되어 루프 선택자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루프 선택부와 상기 루프 선택부에서 루프 선택자가 검출여부에 따라 TPG데이터와 원격장치(RT) 또는 단말기로부터의 RS232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먹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RF 모뎀은 RF 송신시 RS232의 전송속도에 대응되는 속도 코드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 2버퍼부는 전송된 데이터의 속도 코드를 체크하여 해당 속도에 해당하는 클럭으로 RS232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S232 전송속도는 1.2K, 9.6K, 19.2K, 38.4K, 57.6K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 모뎀은 TPG 데이터 및 RS232 데이터의 송수신을 조절하기 위한 S/W 및 푸시버튼부 및 상기 TPG 데이터 및 RS232 데이터의 송수신을 확인하기 위한 LED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은 배전자동화시스템의 RT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무선(RF)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송신측 RF 모뎀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측 RF모뎀이 수신하는 단계와 (b) 수신된 데이터를 제 1버퍼부에 저장하여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고, DNP3.0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여 전처리 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제 2버퍼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2버퍼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리얼로 원격장치(RT) 또는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제 1버퍼부가 데이터의 해더(Header)와 랭스(Length)를 분석하여 아이들 비트 구간을 검출하여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제 2버퍼부가 다중 버퍼로 구성되어 멀티캐스팅으로 들어오는 DNP3.0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중첩된 데이터의 손실 없이 시리얼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RF모뎀 송 수신 방법은 제 1버퍼부에 TPG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TPG 데이터가 있는 경우 TPG 데이터를 루프 선택부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루프 선택부에서 루프 선택자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루프 선택자가 검출된 경우 TPG 데이터를 먹스부를 통해 송신측 RF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모뎀 송 수신 방법은 원격장치(RT) 또는 단말기로부터 RS232 수신시의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전송속도 코드를 삽입하여 RF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2버퍼부에서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속도 코드를 체크하여, 해당 전송속도의 클럭대로 RS232로 단말기 또는 원격장치(RT)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전 자동화 시스템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AP서버(어플리케이션 서버)(20)와 상기 AP서버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송망을 통해 원격장치(Remote Terminal, 이하' RT라고 함)(40)로 전송하는 중앙장치(Central Terminal, 이하' CT라고 함)(10)와 상기 CT(10)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서버(Network Management System; NMS)(30)와 상기 CT(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다수 의 단말기(60)로 전송하는 RT(40), 상기 RT(40)와 다수의 단말기(60)사이에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 하는 RF모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60)는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 , 변압기 등 최종단에서 CT(1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전송망은 광모뎀, 주파수 공용시스템(TRS) 모뎀, 유선모뎀 및 Air-Media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T와 단말기 사이의 송수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도2의 RF모뎀에 대한 상세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RT(40) 또는 단말기(60)와 RF모뎀(50)은 RS232로 통신을 수행하고, RF모뎀(50) 사이는 RF로 통신을 수행한다.
RF모뎀(50)은 RF232송수신부(580)를 통해 RT(40) 또는 단말기(60)로부터 RS232데이터를 송수신 하고, RF송수신부(570)를 통해 RF모뎀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RF모뎀(50)은 RT(40)단과 단말기(60)단에 각각 배치되어 RT(40)에 수신된 신호를 단말기(60)에 전송하고, 단말기(60)에서 수신된 신호를 RT(40)로 전송한다. 따라서, RT(40)단과 단말기(60)단에 배치되는 RF모뎀(50)은 송신과 수신의 역할을 모두 담당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 RF모뎀과 수신 RF모뎀의 구분없이 하나의 RF모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F모뎀(50)은 RF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아이들(Idle) 비트를 제거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는 제 1버퍼부(510)와 상기 제 1버퍼부(510)로부터 전처리 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시리얼로 출력되는 제 2버퍼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버퍼부(510)는 RT(40) 또는 단말기(6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RF로 수신된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아이들(Idle)비트를 제거하여 통신상의 오류를 방지하고, 비동기적으로 전송속도 클럭(Clock)에 맞추어 전송된 데이터를 자체 클럭으로 동기화 시키고 DNP3.0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아이들(Idle) 비트란, 무선 구간의 전파 지연에 의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비트를 말하며, 상기 아이틀(Idle) 비트는 통신상의 오류를 발생시켜 통신 실패의 원인이 된다.
도 4는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예를 들어, 1 바이트(Byte)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통신에서는 로우(Low)인 1비트의 스타트(Start) 비트, 8비트의 데이터 및 하이(High)인 1비트의 스탑(Stop) 비트의 10비트로 구성되며, 하이(High)로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 구간이 존재한다.
아이들 비트는 통신오류의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하고, 이를 위해 제 1버퍼부(510)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Header)와 랭스(Length)를 분석하여 데이터 사이에 하이(High) 상태로 존재하는 아이들(Idle) 비트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무결성 체크란, DNP3.0 프로토콜은 프레임 안에 보안 및 데이터 보호가 함께 있는 프로토콜이므로 데이터가 RF를 거칠때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었 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DNP3.0은 헤더가 0564의 프레임으로 시작하게 되는데 이를 체크하여 제 1버퍼부(510)에 저장하게 된다. 만일, 헤더(Header)나 랭스(Length)를 체크하여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전체 프레임을 페기하고, 잘못이 없는 경우에만 제 1버퍼부(510)에 저장한다.
따라서, RF로 전송된 데이터에 아이들 비트가 존재하면 DNP3.0 프로토콜의 특성상 해당 데이터를 전체 폐기하여 통신 수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버퍼부(520)는 제 1버퍼부(510)로부터 전처리되어 들어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리얼로 RS232 통신을 통해 RT(40) 또는 단말기(6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2버퍼부(520)는 다중 버퍼 예를 들어, 512K*4의 다중 버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CT(10)에서 단말기(60)로 보내는 데이터는 극히 적은 반면(예를 들어, 24Byte 미만), 단말기(60)에서 상단(RT)으로 보내는 데이터가 매우 많고(예를 들어, 300Byte), CT(10)는 주기적인 폴링방식에 의해서 단말기(60)에 상태 체크를 요구한다. 여기서, 폴링시간이 짧으면 데이터를 중첩해서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제 2버퍼부(520)는 다중 버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DNP3.0 프로토콜의 특성상 멀티로 들어오는 테이터의 처리를 다중으로 구성된 각각의 버퍼에서 처리하여 중첩된 데이터 일지라도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고 시리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F모뎀(50)은 무선구간에 임의의 TPG(Test Pattern Generator)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루프 선택자(Loop Selector)의 검출 여부에 따라 TPG 데이터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루프 선택부(530)와 상기 루프 선택부로부터 전송된 TPG데이터와 RS232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MUX(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구간에서 TPG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송신측 RF모뎀에서 임의의 TPG 데이터를 RF로 송신하고, 수신측 RF모뎀은 TPG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1버퍼부(51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사이에 아이들 비트가 있는 경우 제 1버퍼부(510)는 아이들 비트를 제거한다.
제 2버퍼부(520)는 RF 수신을 통해 제 1버퍼부(510)에서 전송된 데이터 중에 TPG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 후 TPG 데이터가 있으면 TPG 데이터를 루프 선택부(530)로 스위칭한다.
루프 선택부(530)는 루프 선택자(Loop Selector)의 검출여부에 따라 TPG 데이터의 전송여부를 결정하여, 루프 선택자가 검출될 경우 MUX부(540)를 통해 TPG 데이터를 RF로 송신측 RF모뎀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루프 선택자(Loop Selector)란, 루프 테스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자로써, 수신측 RF모뎀은 루프 확인을 위해 TPG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수신측 RF모뎀은 루프 선택자가 검출되도록 구성되고, 송신측 RF모뎀은 TPG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루프 선택자가 검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루프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송신측 RF모뎀에서는 TPG(Test Pattern Generator)가 활성화되 고, 수신측 RF모뎀에서는 루프 선택자(Loop Selector)가 활성화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S232데이터와 TPG데이터가 먹스부를 통해 RF송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MUX부(540)는 TPG 데이터와 RT(40) 또는 단말기(60)에서 송신되는 RS232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루프 선택부(530)에서 루프 선택자가 검출되는 경우 데이터 선택자(DATA SELECTOR) 신호가 TPG 데이터를 인에이블 시켜 TPG 데이터가 송신측 RF모뎀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RS232데이터 전송시에는 데이터 선택자가 RS232데이터를 인에이블 시켜 RS232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송신측 RF모뎀은 수신측 RF모뎀으로부터 전송된 TPG 데이터를 통해 무선 구간에서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W 및 푸시 버튼부(550)와 LED부(560)를 더 포함하여 RF모뎀 외관에서 TPG데이터의 송수신여부, RS232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F모뎀(50)은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알 수 없어 수신측 RF모뎀에서 클럭 동기화가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신측 RF모뎀에서 RF 송신시 속도별 코드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RS232를 통해 1.2K / 9.6K/ 19.2K/ 38.4K/ 57.6K 등의 속도로 송신된 경우 각 속도에 해당하는 속도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에 삽입하여 송신측 RF모뎀을 통해 RF로 전송한다.
수신측 RF모뎀은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제 1버퍼부(510)에서 아이들 버퍼를 제거하고, 무결성을 체크하여 제 2버퍼부(520)로 전송하면, 제 2버퍼부(520)는 속도 코드를 체크하여 속도에 해당하는 클럭으로 RS232을 통해 RT(40) 또는 단말기(60)로 출력한다. 따라서, 무선 구간에서도 자동으로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 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송신측 RF모뎀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측 RF모뎀이 수신한다.(S110) 여기서, RT(4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는 RT(40)단의 RF모뎀이 송신측 RF모뎀이 되고, 단말기(6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는 단말기(60)단의 RF모뎀이 송신측 RF모뎀이 된다. 따라서, RF모뎀은 송신측이 될 수도 있고, 수신측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제 1버퍼부(510)에 저장하여 전처리한다.(S120)
여기서, 전처리란, 무선구간의 전파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고, 무결성을 체크하는 과정을 말한다.
아이들 비트가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DNP3.0 프로토콜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오류로 인식하여 전체 프레임을 폐기하여 통신 실패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여야만 RF를 통한 원할한 통신 수행이 가능해진다.
전처리된 데이터는 제 2버퍼부(52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S130)
그 후, 2버퍼부(520)에 저장된 데이터가 RS232에 시리얼로 출력된다.(S140)
다중 버퍼로 구성된 제 2버퍼부(520)는 DNP3.0 프로토콜의 특성상 멀티캐스 팅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각 버퍼에서 처리하여 중첩된 데이터 일지라도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고 시리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은 송신측 RF모뎀에서 RF를 통한 데이터 전송시, RT(40) 또는 단말기(60)로부터 송신되는 RS232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속도 코드를 데이터에 삽입하는 단계와 제 2버퍼부(520)에서 상기 속도 코드를 체크하여 해당 전송속도로 클럭을 동기화하여 RS232로 데이터를 단말기(60) 또는 RT(4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TPG 데이터를 송신측 RF모뎀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송신측 RF모뎀으로부터 전송된 TPG 데이터를 수신측 RF모뎀이 수신한다.(S210)
수신된 TPG 데이터를 제 1버퍼부(510)에 저장하여 전처리한다.(S220)
그 후, 전처리된 데이터를 제 2버퍼부(520)에 저장한다. (S230)
이어서, 제 2버퍼부(520)에 저장된 데이터 중 TPG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40)
TPG 데이터가 있는 경우 제 2버퍼부(520)는 TPG 데이터를 루프 선택부(530)로 스위칭 한다. (S250)
그 후, 루프 선택부(530)는 루프 선택자(Loop Selector) 검출여부를 확인한다.(S260) 루프 선택자가 검출되면 TPG 데이터를 MUX부(540)를 통해 송신측 RF모뎀 으로 재 전송한다.(S270)
송신측 RF모뎀은 전송된 TPG 데이터를 확인하여 무선 구간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은 무선 구간에서의 지연에 따라 발생하는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여 통신상의 오류를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구간에서의 TPG 데이터 통신을 통해 무선 구간에서의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며, 속도 코드 체크에 의한 자동 속도 제어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배전자동화시스템의 RT와 다수의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무선(RF)으로 송수신하는 RF모뎀에 있어서,
    상기 RF모뎀은
    ISM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고, DNP3.0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는 제 1버퍼부와;
    상기 제 1버퍼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리얼로 출력시키는 제 2버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버퍼부는 저장된 데이터의 해더(Header)와 랭스(Length)를 분석하여 하이 상태로 존재하는 아이들 비트 구간을 검출하여 검출된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버퍼부는 멀티캐스팅으로 들어오는 DNP3.0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중첩된 데이터의 손실 없이 시리얼 출력이 가능하도록 다중 버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뎀은
    상기 제 1버퍼부에 TPG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가 스위칭되어 루프 선택자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루프 선택부 및;
    상기 루프 선택부에서 루프 선택자가 검출여부에 따라 TPG데이터와 원격장치(RT) 또는 단말기로부터의 RS232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먹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모뎀은
    RF 송신시 RS232의 전송속도에 대응되는 속도 코드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 2버퍼부는 전송된 데이터의 속도 코드를 체크하여 해당 속도에 해당하는 클럭으로 RS232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
  6.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PG 데이터 및 RS232 데이터의 송수신을 조절하기 위한 S/W 및 푸시버튼부 및;
    상기 TPG 데이터 및 RS232 데이터의 송수신을 확인하기 위한 LED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속도는 1.2K, 9.6K, 19.2K, 38.4K, 57.6K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
  8. 배전자동화시스템의 RT와 다수의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무선(RF)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배전자동화망과 연계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을 이용한 송신측 RF 모뎀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측 RF모뎀이 배전자동화망 단말기에 수신하는 단계와;
    (b) 수신된 데이터를 제 1버퍼부에 저장하여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고, DNP 3.0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여 전처리 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제 2버퍼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 2버퍼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리얼로 원격장치(RT) 또는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제 1버퍼부가 데이터의 해더(Header)와 랭스(Length)를 분석하여 아이들 비트 구간을 검출하여 아이들 비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제 2버퍼부가 다중 버퍼로 구성되어 멀티캐스팅으로 들어오는 DNP3.0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중첩된 데이터의 손실 없이 시리얼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제 1버퍼부에 TPG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TPG 데이터가 있는 경우 TPG 데이터를 루프 선택부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루프 선택부에서 루프 선택자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루프 선택자가 검출된 경우 TPG 데이터를 먹스부를 통해 송신측 RF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원격장치(RT) 또는 단말기로부터 RS232 수신시의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전송속도 코드를 삽입하여 RF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2버퍼부에서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속도 코드를 체크하여, 해당 전송속도의 클럭대로 RS232로 단말기 또는 원격장치(RT)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망과 연동 가능한 ISM 밴드 대역의 무선 소출력 RF모뎀의 송 수신 방법.
KR1020060059486A 2006-06-29 2006-06-29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KR10064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86A KR100642214B1 (ko) 2006-06-29 2006-06-29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86A KR100642214B1 (ko) 2006-06-29 2006-06-29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214B1 true KR100642214B1 (ko) 2006-11-02

Family

ID=3764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486A KR100642214B1 (ko) 2006-06-29 2006-06-29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2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465A (ja) * 1995-04-28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受信装置の補償方法・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KR19980066078A (ko) * 1997-01-18 1998-10-15 김광호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회로 및 방법
KR20000016067A (ko) * 1996-05-31 2000-03-25 리타 버어그스트롬 무정형의 침전된 실리카
KR20060032232A (ko) * 2004-10-11 2006-04-17 홍덕표 Z-Bus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력 품질 정보의 전력선전송 방법 및 구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465A (ja) * 1995-04-28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受信装置の補償方法・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KR20000016067A (ko) * 1996-05-31 2000-03-25 리타 버어그스트롬 무정형의 침전된 실리카
KR19980066078A (ko) * 1997-01-18 1998-10-15 김광호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회로 및 방법
KR20060032232A (ko) * 2004-10-11 2006-04-17 홍덕표 Z-Bus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력 품질 정보의 전력선전송 방법 및 구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22744A (ko) 트렁크(Trunked) 무선상의 데이터 오버레이(overlay)용 장치 및 방법
KR890004514A (ko) 공중 서비스 트렁킹 시스템용 프로세서 대 프로세서 통신 프로토콜
ATE242569T1 (de) Funkstrecke mit sender und empfänger sowie verfahren zu deren betrieb
US55770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on a multipoint link
CN113994719B (zh) 通信系统、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100233261B1 (ko) 대국장애표시신호를 이용한 1+1 양방향 선로절체 제어방법
KR100642214B1 (ko) 배전자동화망과 연동 가능한 rf모뎀 및 그 송 수신 방법
CA22112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s networks
KR100348573B1 (ko) 이동통신디바이스,이동데이터통신방법,및프로그램기록매체
KR20100085240A (ko) 광대역 통신망에서 제어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1114891B (zh) 使用无线网络中的时间关系来加快arq块的重传的装置和方法
US78133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ime synchroniz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761728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the access area
KR100441649B1 (ko) 사전설정된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로 두 개의 장치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장치
CN108259129B (zh) 基于低移动性网络的通信方法
KR20020041016A (ko) 전화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장치
O'Connell et al. Switched Telemetry System (SwTS) Standard For Bidirectional Telemetry Interoperability
JP2006101065A (ja) Rf光伝送装置
CN102326435B (zh) 通信设备和方法、包含这种设备的网关、装置和系统
KR100192522B1 (ko) 단선검출 기능의 자동교섭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선검출방법
KR100508314B1 (ko) 데이터전송방법
JP398981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スパニングツリー用ブリッジ装置のポート状態変更方法
KR100528410B1 (ko) 고수준 데이터 링크 제어 방식 통신에서 동기 신호 및 패킷 상태 정보 제어 장치
US20020141402A1 (en) Telecommunication auto-looper
JP2008258832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