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886B1 -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886B1
KR100640886B1 KR1020040051205A KR20040051205A KR100640886B1 KR 100640886 B1 KR100640886 B1 KR 100640886B1 KR 1020040051205 A KR1020040051205 A KR 1020040051205A KR 20040051205 A KR20040051205 A KR 20040051205A KR 100640886 B1 KR100640886 B1 KR 10064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oling
temperature
compres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253A (ko
Inventor
이주연
염관호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8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실자의 건강과 온도에 대한 인체 순응도를 고려한 최적의 환경으로 냉방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동하는 냉방 사이클에서 냉방부하를 구동하는 온 시간(T_on)과 냉방부하의 구동을 정지하는 오프 시간(T_off)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온 시간(T_on)과 오프 시간(T_off)의 차(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기준공간에서의 실외 온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오프 시간(T_off)과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실제공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실제공간에 따라 실외온도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실외온도에 따라 냉방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설정된 냉방온도에 따라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외온도와 실제 냉방공간을 고려한 냉방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냉방병과 같은 건강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최적의 냉방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아울러 인체 순응도를 고려하여 냉방운전 지속시간에 따라 냉방온도를 재설정함으로써 내실자의 한냉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건강냉방/인체 순응도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Cooling Function Air-Condition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냉동사이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적용한 분리형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a는 압축기의 온/오프 시간 및 (온 시간 - 오프 시간) 산출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b는 압축기의 실내온도에 따른 온/오프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에 따른 실외온도 예측 그래프
도 6은 압축기의 오프 시간과 (온 시간 - 오프 시간)에 따른 실제 공간 크기 예측 그래프
도 7은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실제 공간 크기에 따른 최종 실외온도 결정 그래프
도 8은 인체 순응도에 따른 실내의 냉방온도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냉방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실자의 건강과 온도에 대한 인체 순응도를 고려한 최적의 환경으로 냉방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시키는 압축기(24)와, 상기 압축기(24)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액상으로 변환시키면서 내부 잠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응축기(22)와, 상기 응축기(22)에서 액상으로 변환된 냉매의 유량 조절로 압력을 저하시키는 팽창수단(28)과, 상기 팽창수단(28)에서 팽창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로 증발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구성 부품은 연결관(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전원이 인가되어 압축기(24)가 작동하게 되면 그 압축기(24)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가 응축기(22)로 유입된다.
이어, 상기 응축기(22)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는 그 응축기 (22)를 거쳐 내부의 잠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액체 상태로 변화된 후 팽창수단(28)으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수단(28)으로 유입된 냉매는 팽창수단(28)을 거치면서 압력 및 온도가 낮아진후 증발기(12)로 유입된다.
상기 증발기(12)로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 냉매는 상기 증발기(12)를 거쳐 기체 상태로 변화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증발기(12)에서 증발된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24)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22)와 증발기(12)는 외부와의 열교환을 이루게 되므로 열교환기라고도 한다.
한편, 하절기와 같은 기온이 높은 계절에 냉방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AIR-CONDITIONER; 일명, 에어컨)는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작용을 통해 냉각시킨 다음 다시 실내로 분출함으로써 실내의 기온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는 기기들의 배치 구조에 따라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냉각 순환작용을 행하는 실내기(10)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20)로 분리 구성된다.
이때, 실내기(10)에는 증발기(12) 및 순환팬(14)이 구비되며 실외기(20)에는 응축기(22)와 압축기(24)와 냉각팬(26)과 팽창수단(28)이 구비되고, 연결관(30)에 의해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구성에 의하면,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 냉매가 압축기(24)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 냉매가 응축기(22)에 의해 냉각 응축되어 고압의 액체 상태로 된 다음, 팽창수단(28)에 의해 저온 저압의 이상(異狀) 상태로 변화된다.
이어, 증발기(12)에서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빼 앗아 증발기(12)의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냉각된 공기는 순환팬(14)에 의해 실내기(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실내의 기온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공기 조화기는 실내온도를 특정치로 설정할 경우 냉방부하에 따라 냉방 용량이 자동 제어됨으로써 실내 온도가 설정된 특정치에 가깝게 유지되는 자동 운전방식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자동운전 방식에 의하면, 실내 온도가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제한범위(대략 -0.5℃) 이상 낮아지면 압축기(24)와 순환팬(14)의 작동이 멈추고, 이 상태에서 실내 온도가 제한범위(대략 +0.5℃) 이상 높아지면 압축기(24)와 순환팬(14)의 작동이 재개됨으로써 실내 온도를 특정치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공기 조화기와 같은 냉방장치의 많은 이용으로 인해 냉방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스트레스가 되어 자율신경의 변조를 일으키는 냉방병에 대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냉방병은 이미 신체가 여름철 기온에 어느정도 적응한 상태에서 냉방의 지속적인 가동으로 인해 저온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일어나는 신체부적응증후군의 일종으로, 두통, 미열, 소화불량 등의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기존의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설정온도로 실내 온도를 제어하는 운전방식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냉방병과 같은 건강장애를 고려한 냉방 알고리즘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냉방병을 유발하는 실내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일정 기온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실내에서 내실자가 장시간 머무를 경우 인체는 실내 온도에 순응하게 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한냉감을 느끼게 된다. 때문에, 내실자는 한냉감을 느낄때마다 공기 조화기의 설정온도를 다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병과 같은 건강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강 냉방 알고리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시 실외 온도와 실내 냉방공간을 고려하여 과잉냉방을 억제하기 위한 최적의 냉방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 순응도를 고려하여 공기 조화기의 냉방온도를 제어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동하는 냉방 사이클에서 압축기를 구동하는 온 시간(T_on)과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오프 시간(T_off)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온 시간(T_on)과 오프 시간(T_off)의 차(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기준공간에서의 실외 온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오프 시간(T_off)과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실제공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실제공간에 따라 실외온도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실외온도에 따라 냉방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설정된 냉방온도에 따라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과잉 냉방을 억제하고 냉방 지속에 따른 인체 순응도를 고려한 건강 냉방 알고리즘을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건강 냉방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 가능하도록 공기 조화기의 키 패널에 건강 냉방 명령에 해당하는 별도의 명령 키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냉방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컨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도 2의 도시부호와 동일하게 기재한다.
사용자로부터 건강 냉방명령이 입력되면(S10), 실외온도 및 냉방이 이루어지는 실제 공간을 산출하기 위해 냉방부하 즉, 압축기(24)의 구동 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24)가 구동하는 온 시간(on time)과 압축기(24)가 정지하는 오프 시간(off time)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압축기(24)의 온 시간과 오프 시간의 차이 값(이하, "(온 시간 - 오프 시간)"이라 칭함)을 산출한다(S20).
이는, 상기 압축기(24)의 온/오프 시간이 실외온도에 반비례하고 실제 냉방공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압축기(24)의 온/오프 시간을 이용하여 실외온도와 실제 냉방공간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냉방부하의 판단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됨과 동시에 기 설정온도(T0)(26℃)로 압축기를 구동시킨다(S21).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시작된 이후, 압축기가 최초로 정지된 시점을 판단한다(S22).
냉방 운전시 압축기의 온/오프를 반복하게 되는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온도가 설정온도(T0)-0.5℃에 도달하면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이후 실내 온도가 설정온도(T0)+0.5℃까지 상승하면 압축기를 다시 온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가 최초로 정지한 후 2 사이클 동안 온/오프를 반복하는 압축기의 평균 온 시간(On 시간)과 평균 오프 시간(Off 시간)을 산출한다(S23).
도 4b에 따른 압축기의 평균 온 시간과 평균 오프 시간의 산출식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On 시간 = {(f1-n0)+(f2-n1)}/2
Off 시간 = {(n0-f0)+(n1-f1)}/2
그리고, 상기 산출된 평균 온 시간에서 평균 오프 시간을 감산하여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을 산출한다(S24).
한편, 압축기의 구동이 시작된 이후 실내 온도가 설정온도(T0)-0.5℃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온도(T0)(26℃)를 +1℃ 상승시킨다(S25).
이후, 실내 온도가 27℃에 도달하지 않으면 냉방을 수행하기 위한 냉방온도를 28℃로 설정하고, 실내 온도가 27℃에 도달하면 냉방온도를 27℃로 설정한다(S26, S27, S28).
이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산출된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을 이용하여 기준공간에서의 실외온도를 판단한다(S30).
통상, 공기 조화기는 자체의 부하에 맞는 공간(이하, 기준 공간이라 지칭함)에 설치하게 되는데,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에 따라 기준공간에서의 실외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도 5는 공기 조화기를 기준 공간에 설치한 상태에서 실험에 의해 정의된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실외온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실외온도의 관계를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한다.
Y = 0.0082[℃/min]*X + 29.775[℃]
이때, Y는 실외온도(단위: ℃) 이고, X는 압축기의 온 시간과 오프 시간의 차이 값 즉, (온 시간 - 오프시간)(단위: 분, min)이다.
즉, 상기 과정(S20)에서 산출된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을 수학식 2에 적용함으로써 기준 공간에서의 실외온도(Y)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S20)에서 산출된 압축기의 오프 시간과 (온 시간 - 오프 시간)을 이용하여 기준 공간이 아닌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실제 공간의 크기를 판단한다(S40).
도 6은 공기 조화기의 서로 다른 설치 공간에 대한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오프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공기 조화기의 기준 공간과 유사한 공간(A)과, 기준공간보다 작은 공 간(B)과, 그리고, 기준공간보다 큰 공간(C)으로 분류하여 각각 다른 환경에서의 오프시간과 (온 시간 - 오프 시간) 관계를 정의한 것이다.
상기 과정(S20)에서 산출된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오프 시간이 하기 조건식 ①, ②에 해당할 경우, 실제 공간을 기준공간에 비해 작은 (소)공간(B)으로 판단한다.
① (온 시간 - 오프 시간) < 0[단위: 분],
② 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15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200[단위: 분]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오프 시간이 하기 조건식 ③, ④, ⑤, ⑥에 해당할 경우, 실제 공간을 기준공간에 비해 큰 (대)공간(C)으로 판단한다.
③ (온 시간 - 오프 시간) > 55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140[단위: 분],
④ 40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550 [단위: 분]이고, 오프 시간 > 180[단위: 분],
⑤ 30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40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210[단위: 분]
⑥ 20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30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230[단위: 분]
한편, 상기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오프 시간이 상기 조건식 ① 내지 ⑥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실제공간을 기준 공간과 유사한 (중)공간(A)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된 실제 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과정(30)에서 결정된 실외온도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실외온도에 따라 냉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냉방온도를 결정한다(S50).
먼저, 도 7은 실제공간 크기에 따른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실외온도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 과정(S40)에서 판단된 실제공간 즉, (소)/(중)/(대) 공간에 따른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실외온도 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소)/(중)/(대) 공간에 따른 (온 시간 - 오프 시간)과 실외온도의 관계를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정의한다.
(A) (중) 공간일 경우,
Y = 0.0082[℃/min]*X + 29.775[℃]
(B) (소) 공간일 경우,
Y = 0.0322[℃/min]*X + 31.866[℃]
(C) (대) 공간일 경우,
Y = 0.0046[℃/min]*X + 29.469[℃]
이때, Y는 실외온도(단위: ℃) 이고, X는 압축기의 온 시간과 오프 시간의 차이 값 즉, (온 시간 - 오프시간)(단위: 분, min)이다.
즉, 상기 과정(S40)에서 실제공간이 판단되면 실제공간에 해당하는 수학식에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X)을 적용함으로써 실제공간에서의 실외온도(Y)를 예측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과정을 통해 예측된 실외온도를 하기 표 1에 적용하여 냉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실내의 냉방온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냉방온도는 내실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쾌적 범위인 26℃ 내지 28℃로 설정한다.
실외온도(Y) 냉방온도
30℃ 이하 26℃
31℃ 내지 32℃ 27℃
33℃ 이상 28℃
그리고, 실내온도가 상기 설정된 냉방온도로 유지되도록 냉방운전을 수행하게 되는데(S60), 상기 냉방운전 지속시간에 따라 냉방온도를 재설정한 후 냉방운전을 수행한다(S70).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과정(S50)에서 설정된 냉방온도가 26℃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1).
이때, 상기 설정된 냉방온도가 26℃일 경우, 냉방운전 지속시간이 제 1 설정시간을 경과하면(S72) 상기 냉방온도(26℃)를 +1℃ 증가시켜 27℃로 냉방운전을 수행한다(S73). 그리고, 상기 냉방온도가 27℃로 설정된 상태에서 냉방운전 지속시간이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하면(S74), 상기 냉방온도(27℃)를 +1℃ 더 증가시켜(S75) 28℃로 냉방운전을 수행한다(S75, S76).
한편, 상기 과정(S50)에서 설정된 냉방온도가 27℃일 경우(S77) 상기 과정(S74~S76)과 마찬가지로 냉방운전 지속시간이 제 2 설정시간 경과하면 상기 냉방온도(27℃)를 +1℃ 증가시켜 28℃로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과정(S50)에서 설정된 냉방온도가 28℃일 경우(S77) 냉방온도의 재설정 과정없이 28℃로 냉방운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즉, 상기 냉방온도가 28℃에 도달하면 더 이상 냉방온도를 올리지 않고 냉방 온도를 28℃로 유지한 상태에서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시간은 26℃, 27℃의 각 냉방온도로 냉방운전을 지속할 경우 인체가 한냉감을 느낄수 있는 시간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시간 경과 후 냉방온도를 소정 레벨 증가시켜 내실자가 느끼는 한냉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기의 온/오프 시간을 이용하여 실외온도와 실제 냉방공간을 예측하고,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냉방온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냉방운전 지속시간에 따라 냉방온도를 재설정함으로써 인체 순응도에 따른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외온도와 실제 냉방공간을 고려하여 냉방온도를 결정함으로써 과잉 냉방을 억제하고 더 나아가 제품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실외온도와 실제 냉방공간을 고려한 냉방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냉방병과 같은 건강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최적의 냉방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인체 순응도를 고려하여 냉방운전 지속시간에 따라 냉방온도를 재설정함으로써 내실자의 한냉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인체 순응도에 따른 냉방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내실자가 느끼는 한냉감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실자가 냉방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 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동하는 냉방 사이클에서 압축기를 구동하는 온 시간(T_on)과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오프 시간(T_off)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온 시간(T_on)과 오프 시간(T_off)의 차(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기준공간에서의 실외 온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오프 시간(T_off)과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실제공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실제공간에 따라 실외온도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실외온도에 따라 냉방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설정된 냉방온도에 따라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압축기의 온 시간(T_on)과 오프 시간(T_off)을 산출하고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산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온도를 설정온도(T0)로 유지하도록,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온도(T0-T)에 도달하면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이어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온도(T0+T)에 도달하면 압축기를 다시 온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a)와,
    상기 (a) 단계에서 실내온도가 최초로 제 1 기준온도(T0-T)에 도달하여 압축기가 오프된 이후 기 설정 주기 동안 상기 (a) 단계의 압축기의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여 압축기의 온 시간(T_on)과 오프 시간(T_off)를 산출하는 단계(b)와,
    상기 (b) 단계에서 설정 주기 동안 산출된 압축기의 온 시간(T_on)과 오프 시간(T_off)을 통해 압축기의 평균 온 시간과 평균 오프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c)와,
    상기 산출된 평균 온 시간에서 평균 오프 시간을 감산하여 그 차이 값(평균 온 시간 - 평균 오프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실내 온도가 제 1 기준온도(T0-T)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온도(T0)에 1 내지 2℃ 증가시킨 온도를 실내의 냉방온도로 설정하여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온도(T0-T)는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기 위한 기준온도로 상기 설정온도(T0)에서 0.5℃를 감산한 온도이며, 상기 제 2 기준온도(T0+T)는 상기 압축기를 온 시키기 위한 기준온도로 상기 설정온도(T0)에서 0.5℃를 가산한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기준공간에서의 실외 온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온 시간(T_on)과 오프 시간(T_off)의 차(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를 하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실외온도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수학식 1:
    Y = 0.0082[℃/min]*X + 29.775[℃]
    이때, Y는 실외온도(단위: ℃) 이고, X는 압축기의 온 시간과 오프 시간의 차이 값 즉, (온 시간 - 오프시간)(단위: 분)이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오프 시간(T_off)과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이용하여 실제공간을 판단하는 단계는
    (1) 하기 조건에 해당할 경우 실제공간을 공기 조화기 자체의 기준 공간에 비해 작은 (소) 공간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① (온 시간 - 오프 시간) < 0 [단위: 분],
    ② 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15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200 [단위: 분]
    (2) 하기 조건에 해당할 경우 실제공간을 공기 조화기 자체의 기준 공간에 비해 큰 (대) 공간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① (온 시간 - 오프 시간) > 55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140[단위: 분],
    ② 40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55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180[단위: 분],
    ③ 30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40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210[단위: 분]
    ④ 200[단위: 분] < (온 시간 - 오프 시간) < 300[단위: 분] 이고, 오프 시간 > 230[단위: 분]
    (3) 상기 (1)와 (2)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실제공간을 공기 조화기 자체의 기준 공간과 유사한 (중) 공간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실제공간에 따라 실외온도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실외온도에 따라 냉방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실제공간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온 시간 - 오프 시간)(T_on-off)을 하기 수학식 2에 적용하여 실외온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학식 2:
    (소) 공간일 경우, Y = 0.0322[℃/min]*X + 31.866[℃]
    (중) 공간일 경우, Y = 0.0082[℃/min]*X + 29.775[℃]
    (대) 공간일 경우, Y = 0.0046[℃/min]*X + 29.469[℃]
    이때, Y는 실외온도(단위: ℃) 이고, X는 압축기의 온 시간과 오프 시간의 차이 값(온 시간 - 오프시간)(단위: 분)
    상기 결정된 실외온도에 따라 냉방을 수행하기 위한 냉방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온도에 따라 냉방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외온도가 30℃ 이하일 경우 냉방온도를 26℃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실외온도가 31℃ 내지 32℃일 경우 냉방온도를 27℃로 설정하는 단계 와,
    상기 실외온도가 33℃ 이상일 경우 냉방온도를 28℃로 설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냉방온도에 따라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냉방온도로 냉방 운전을 수행하면서 냉방 지속시간에 따라 냉방온도를 재설정하여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 지속시간에 따라 냉방온도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냉방온도가 26℃로 설정된 경우, 제 1 설정시간 경과 후 냉방온도를 27℃로 재설정하고, 이어 제 2 설정시간 경과 후 냉방온도를 28℃로 재설정하는 단계와,
    냉방온도가 27℃로 설정된 경우, 제 2 설정시간 경과 후 냉방온도를 28℃로 재설정하는 단계와,
    냉방온도가 28℃로 설정된 경우, 상기 냉방온도로 유지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KR1020040051205A 2004-07-01 2004-07-01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KR10064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205A KR100640886B1 (ko) 2004-07-01 2004-07-01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205A KR100640886B1 (ko) 2004-07-01 2004-07-01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253A KR20060002253A (ko) 2006-01-09
KR100640886B1 true KR100640886B1 (ko) 2006-11-02

Family

ID=3710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205A KR100640886B1 (ko) 2004-07-01 2004-07-01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8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7899A (zh) * 2016-03-31 2016-07-13 苏州长玖节能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特殊访客自动启闭空调的方法及其系统
CN109323419A (zh) * 2018-09-30 2019-02-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电高峰控制空调的方法和装置及空调系统和设备
CN110726231A (zh) * 2019-10-29 2020-0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0929B (zh) * 2019-07-31 2021-04-0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12066524B (zh) * 2020-08-02 2022-05-13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基于电蓄热与舒适度的非住宅楼宇需求灵活性量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837A (ja) 1984-08-01 1986-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温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837A (ja) 1984-08-01 1986-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温度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7899A (zh) * 2016-03-31 2016-07-13 苏州长玖节能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特殊访客自动启闭空调的方法及其系统
CN109323419A (zh) * 2018-09-30 2019-02-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电高峰控制空调的方法和装置及空调系统和设备
CN110726231A (zh) * 2019-10-29 2020-0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253A (ko) 200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11094A1 (zh) 空调强力制冷控制方法
JP2005156017A (ja) 空気調和機
KR100378822B1 (ko) 인버터 에어컨의 절전냉방 운전방법
KR100640886B1 (ko) 공기 조화기의 냉방 제어방법
KR20040045095A (ko) 공기조화기의 소음 저감방법
WO2021223530A1 (zh) 变频空调的控制方法
KR20160097566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225442B2 (ja) 空調装置
JP3756854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60128190A (ko) 공기 조화기 소음 제어 방법
KR100488010B1 (ko) 에어컨의 자동제어방법
KR100810510B1 (ko) 에어컨의 취침운전 제어방법
KR20080012492A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75020A (ko) 에어컨의 냉방 과부하 운전 제어 방법
JP2006090567A (ja) 空気調和機
KR2006006643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방법
KR20060035242A (ko) 저온 냉방 운전 영역에서의 실외기 팬모터 제어 방법
KR200200155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팬제어방법
KR20040033801A (ko) 제습용 에어컨의 베인 제어 방법
JPS63210547A (ja) 空気調和機
KR100863303B1 (ko) 에어컨 운전 제어 방법
JP2010007959A (ja) 温度調整装置
KR100759338B1 (ko) 에어컨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502300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풍량 조절방법
KR100430294B1 (ko) 에어컨의 쾌적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