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737B1 -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 Google Patents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737B1
KR100640737B1 KR1020050042865A KR20050042865A KR100640737B1 KR 100640737 B1 KR100640737 B1 KR 100640737B1 KR 1020050042865 A KR1020050042865 A KR 1020050042865A KR 20050042865 A KR20050042865 A KR 20050042865A KR 100640737 B1 KR100640737 B1 KR 10064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ddha
gold
carving
opening
stat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05004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상의 표면에 금분과 아교를 혼합하여 불상을 칠하고, 불상의 의습(衣褶)과 문양을 따라 천을 오려 부착함으로써 불상의 개금 및 개채를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목불의 경우 나무의 통풍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갈라지거나 옹이진 부분을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을 제공한다.
불상, 개금, 개채

Description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METHOD FOR GOLD MENDING AND COLORING OF BUDDHIST STATU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불상 개금 및 개채방법에 따라 제작된 불상 사진,
도 2는 종래의 불상 개금 및 개채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불상 개금 및 개채방법으로 제작된 불상 사진.
본 발명은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상의 표면에 금분과 아교를 혼합하여 불상을 칠하고, 불상의 의습(衣褶)과 문양을 따라 천을 오려 부착함으로써 불상의 개금 및 개채를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목불의 경우 나무의 통풍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갈라지거나 옹이진 부분을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처님의 존상을 뜻하는 불상은 좁은 의미에서는 부처님 즉, 진리를 깨닫고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여래의 형상만을 의미하나, 넓은 의미에서는 사찰에서 봉안하고 있는 각종의 보살상과 나한상 및 불교의 수호신인 신중상도 불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여래상, 보살상, 신중상, 조사상 등 불교교리와 관린된 모든 형상의 조형물들을 불상이라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불상은 부처님의 거룩한 존상을 대신하여 대중에게 보여지는 것이므로 주기적인 개금(改金) 및 개채(改彩)를 통하여 불상의 원래모습을 보존하고 유지한다.
종래에 불상을 개금 및 개채하는 방법은 불상에 모시나 삼베를 풀로 바르고, 그 위에 하지(육색)처리를 하며, 옻칠이 마르기 전에 금박판을 부착하여 개금처리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쉽게 노화되어 자주 개금 및 개채작업을 해야 하였으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예불행사를 중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불상의 표면을 견고히 하고자 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26929호(공개일 : 203.06.11,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불상의 개금, 개채방법에 따른 작업공정 및 해당 작업공정에 따라 제작된 불상의 사진을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불상표면에 흰색 (아크릴) 물감을 사용하여 바탕을 채색하는 바탕채색작업, 불상 전체에 천을 부착하는 천작업, 밑그림작업 및 돋움질작업, 채색작업, 옻칠작업, 개금작업을 차례로 수행함으로써 불상의 내구성과 입체감 및 생동감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불상의 개금, 개채방법은 불상의 표면보호와 유지에 치중하여 개금작업 전 불상의 표면에 합성수지 물감과 같은 도료를 수회 덧입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목불(木佛)의 경우 두껍게 입힌 합성수지 등이 오히려 나무에 자연적인 통풍을 방해하여 불상의 내구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행기술은 천작업을 불상의 표면 전체에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조각에 옷을 입혀 놓은 것과 같이 조각의 미적영역을 모두 차단시켰으며, 채색된 표면에 옻칠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색상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상 전체에 개금을 한 후 필요없는 부분을 뜯어내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이 비효율적으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상을 개금 및 개채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에 있어서 불상의 개금 및 개채를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목불의 경우 나무의 통풍을 방해하지 않으면 서 갈라지거나 옹이진 부분을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에 있어서,
불상에 금분을 혼합한 아교를 포수하는 단계;
상기 불상의 의습 및 문양을 따라 천을 오려붙이는 단계;
상기 불상에 부착된 천의 의습 및 문양을 따라 고분을 올리는 단계;
상기 고분을 올린 천에 채색하는 단계;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옻칠을 하는 단계;
상기 옻칠된 부분에 개금 및 금분을 올리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불상 개금 및 개채방법으로 제작된 불상을 보인 사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은 최초에 개금 및 개채하고자 하는 불상에 금분을 혼합한 아교를 포수하는 단계(101)를 수행한다.
상기 101단계는 아교에 금분을 혼합함으로써 개금 및 개채하고자 하는 불상에 바로 황금색을 입히는 동시에 목불의 경우에는 나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101단계는 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아교포수와 함께 황금색을 띠는 불상의 밑색 채색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불상의 개금 및 개채 작업공정의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어 도 3의 103단계에서 상기 불상의 의습 및 문양을 따라 천을 오려붙인다. 상기 103단계는 불상에 전체적으로 천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불상의 의습이나 문양부분, 목불의 경우에는 쉽게 갈라질 우려가 있거나 옹이진 부분에만 적절한 문양이 가미된 천을 오려 붙임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나무의 갈라짐이나 변형을 예방한다.
그리고 105단계에서 상기 불상에 부착된 천의 의습 및 문양을 따라 고분을 올리는데, 상기 고분은 백운석(白雲石) 가루, 금분, 옻, 테라핀 등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적정한 농도가 되도록 하여 의습의 옷주름이나 문양 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함은 물론, 오려붙인 천의 가장자리를 따라 올림으로써 마감재의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이후, 107단계에서 상기 고분을 올린 천에 적절한 채색을 수행하고, 1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옻칠을 한 후, 111단계에서 상기 옻칠된 부 분에 금박을 올리거나 금분을 올려 마무리한다.
한편, 상기 109단계 및 111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금분을 옻에 혼합하여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칠함으로써 하나의 단계로 단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에 따라 개금 및 개채된 불상의 특징적인 부분들은 상기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도면에 잘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을 이용하여 불상을 개금 및 개채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불상의 변형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상의 보호를 위한 아교포수와 밑색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불상을 개금 및 개채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상의 필요한 부분에만 천을 오려 부착함으로써 불상을 개금 및 개채하는 작업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불상의 갈라짐이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상의 고분에 금분과 옻을 혼합하여 마무리 함으로써 불상을 개금 및 개채하는 작업시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에 있어서,
    불상에 금분을 혼합한 아교를 포수하는 단계;
    상기 불상의 의습 및 문양을 따라 천을 오려붙이는 단계;
    상기 불상에 부착된 천의 의습 및 문양을 따라 고분을 올리는 단계;
    상기 고분을 올린 천에 채색하는 단계;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개금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개금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금분을 혼합한 옻을 칠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개금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을 올린 부분에 옻칠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옻칠된 부분에 개금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옻칠된 부분에 개금하는 단계는,
    금박에 의한 개금 및 금분에 의한 개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에 사용되는 고분재료는 백운석분, 금분, 옻, 테라핀을 소정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KR1020050042865A 2005-05-23 2005-05-23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KR10064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65A KR100640737B1 (ko) 2005-05-23 2005-05-23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65A KR100640737B1 (ko) 2005-05-23 2005-05-23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737B1 true KR100640737B1 (ko) 2006-11-02

Family

ID=3764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865A KR100640737B1 (ko) 2005-05-23 2005-05-23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39B1 (ko) 2006-11-29 2008-05-07 이영호 공예품의 개금 및 채화방법
KR101070150B1 (ko) 2010-11-05 2011-10-05 최용대 불상 개금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39B1 (ko) 2006-11-29 2008-05-07 이영호 공예품의 개금 및 채화방법
KR101070150B1 (ko) 2010-11-05 2011-10-05 최용대 불상 개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0366A1 (en) Door skin, a method of etching a plate for forming a wood grain pattern in the door skin, and an etched plate formed therefrom
US5354596A (en) Decorative covering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fore
EP0044690A1 (en) Anti-graffiti facing of walls or similar surfaces
KR100640737B1 (ko) 불상의 개금 및 개채방법
KR100827739B1 (ko) 공예품의 개금 및 채화방법
KR100852521B1 (ko) 회화의 채화방법
al Khasawneh et 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hurch icon from baptism museum, Jordan: Case study
KR101638951B1 (ko) 현대적으로 재현된 능화판을 이용한 고서 표지의 복제 방법
KR100640736B1 (ko) 불화제작방법
KR100507450B1 (ko) 불상의 개금,개체 방법
CN1367095A (zh) 一种墨板画的制作方法
US64133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applying a decorative dimensional figure or design to a surface
KR100270790B1 (ko) 불상의 개금,개채 방법
CN1060134A (zh) 墙面装饰印花方法
CN103818100A (zh) 一种装饰木纹类凹版印刷辊中木纹设计的处理方法
JP3560545B2 (ja) 象嵌風細工製品の製造方法
Fuga Artists' techniques and materials
RU109774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изделие
Baydar Structural features and conservation problems of Turkish manuscripts and suggestions for solutions
JP2607861Y2 (ja) 布表装台紙
French et al. The Painting Technique and Treatment History of Eight Late Fifteenth-Century German Panels Ropresenting the Passion of Christ
CN101085590A (zh) 木嵌书画及其制作方法
JPS58170573A (ja) 凹凸模様化粧板の製造方法
KR101070150B1 (ko) 불상 개금방법
Oellermann THE WORKING METHODS OF THE STUDIO OF BERNT NOTKE ILLUSTRATED BY THE CRUCIFIX IN LÜBECK CATHEDRAL, 147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