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253B1 -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 Google Patents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253B1
KR100640253B1 KR1020050031333A KR20050031333A KR100640253B1 KR 100640253 B1 KR100640253 B1 KR 100640253B1 KR 1020050031333 A KR1020050031333 A KR 1020050031333A KR 20050031333 A KR20050031333 A KR 20050031333A KR 100640253 B1 KR100640253 B1 KR 10064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ntact
gas
movable
thermal expansion
expan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072A (ko
Inventor
송기동
정진교
김홍규
이병윤
오연호
이우영
박경엽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25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8Combined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rcuit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 전류의 발생시 그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아크접점, 가동 아크접점, 열팽창실을 구비하는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에 있어서,
상기 가스차단부의 가동부의 가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를 상기 가동 아크접점 쪽에서 고정 아크접점쪽으로 위치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하고, 이 가동 아크접점화된 가동 아크접점의 내부에는 고장전류에 있어서의 소전류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얻기 위한 것으로, 가스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함에 상응하여 가동 아크접점이 고정 아크접점화가 된 고정 아크접점의 후단에는 가동 아크접점과 고정 아크접점의 분리시 발생되는 아크에 의해 가스의 팽창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제2 열팽창실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 아크접점의 선단에는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가스의 배기를 위한 가스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기가 동작시켜야 할 것이 가동 아크접점뿐이므로 기존 차단부와 비교하여 부품 수와 무게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소전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가동 아크접점의 압축실린더를 통해 직접 얻을 수 있으며, 대전류 차단 시에 제2 열팽창실에서 열가스를 유입받아, 대전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제1 열팽창실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Hybrid type gas interrupter with an arc contact having a compressible cylinder}
도 1은 종래 순수 파퍼 소호방식 가스 차단기의 차단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순수 파퍼 소호방식 가스 차단기의 차단부에서의 고장전류 차단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직렬형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 병렬교류형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가스차단기의 차단부에서의 아크 발생시의 충격파 발생지점에서의 가스 밀도분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의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의 가동 아크접점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발췌 확대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의 고장전류 차단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조작기 602...조작기와 차단부 연결로드
603...피스톤 604...가동 아크접점
605...제1 노즐 606...제2 노즐
607...고정 아크접점 608...제1 열팽창실
609...제3 노즐 610...역류방지판
611...가스 배출구 612...제2 열팽창실
613...압축실린더 614...연결통로
615...탱크 604b...가스 배기구
본 발명은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단 동작에 필요한 조작력을 줄여서 전동스프링 조작기나 MDDM형 조작기를 취부할 수 있고, 전류 크기에 따른 차단 성능을 이원화시키며, 복합소호 차단부의 취약한 부분인 소전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계통 및 각종의 전력기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고장전류를 차단해야 하며, 이러한 고장전류를 차단하는 의무를 차단기 (circuit breaker)가 수행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순수 파퍼 소호방식 가스 차단기의 차단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순수 파퍼 소호방식 가스 차단기의 차단부는 조작기(101), 조작기와 차단부의 연결로드(102), 피스톤(103), 실린더 로드(104), 파퍼 실린더(105), 가동 아크접점(106), 제2 노즐(107), 제1 노즐(108), 고정 아크접점(109) 및 탱크(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는 정상 상태에서는 닫혀 있어 정격전류를 흘리면서 전기를 전달하고 있다(스트로크가 0일 때). 하지만, 일단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하여 정상전류의 약 10배 이상에 달하는 고장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조작기(101)의 구동코일이 고장전류에 의해 여자되고 코일에서 발생한 전자력은 조작기(101)의 동작 스위치를 구동시켜 조작기(101)는 도 2a에서와 같이 차단부를 움직이게 된다. 조작기가 차단기의 가동부(연결로드(102), 실린더 로드(104), 파퍼 실린더(105), 가동 아크접점(106), 제2 노즐(107) 및 제1 노즐(108))를 좌에서 우로 당기면, 파퍼 실린더(105) 내의 SF6 가스는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피스톤(103)에 의해 자동적으로 압축된다. 또한, 가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가동 아크접점(106)과 고정 아크접점(109)이 분리되고, 이 두 아크접점 사이에는 아크(200)가 발생한다. 이러한 아크(200)는 도 2d 및 도 2e에서와 같이, 파퍼 실린더(105)에서 압축된 SF6 가스로 불어서 소호하여 고장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방식을 "순수 파퍼 소호방식"이라 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가스 차단기는 조작기(101)가 구동시켜야 할 가동부의 수도 많고, 무게도 많이 나간다. 특히, 차단 능력이 부족할 경우 즉,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파퍼 실린더(105)의 압력상승이 부족할 경우, 파퍼 실린더(105)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차단기의 가동부를 고속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차단기 가동부의 무게가 큰 경우에는 조작기(101)에 기계적으로 큰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조작력에도 한계를 가지게 된다.
기존 차단기에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는 조작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누유와 같은 환경문제, 동작시의 큰 소음, 많은 부품 수에 의한 경제성, 유지보수 문제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유압 또는 공압 조작기의 사용을 규제 또는 배제하고 있으며, 대신에 전동스프링 조작기 또는 MDDM(motot direct drive mechanism)형 조작기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전동스프링 조작기나 MDDM형 조작기는 조작력이 유압 또는 공압방식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 따라서, 전동스프링 또는 MDDM형 조작기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차단에 필요한 조작력을 감소시켜야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조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등장한 것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파퍼 실린더(파퍼실)(305)(405)에 팽창실(313)(413)을 조합한 복합소호 차단부이다. 이 복합소호 차단부는 수천 암페어(A) 이상의 대전류 차단은 차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크 에너지에 의해 자연적으로 팽창하는 가스를 팽창실(313)로 집어넣었다가 팽창실(313)에서 압력이 상승하면 다시 아크로 분사하여 아크를 소호하 는 "열팽창 소호방식"과, 수천 암페어 이하의 소전류 차단은 차단기의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파퍼실(305)(405)에서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가스로 아크를 소호하는 "파퍼 소호방식"을 조합한 차단부이다. 기존의 "순수 파퍼 소호방식" 차단부에서는 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전류 차단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소전류를 차단할 때에도 필요 이상의 파퍼실 압력상승으로 아크를 소호하기 때문에 항상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참조번호 303,403은 피스톤, 304,404는 실린더 로드, 306,406은 가동 아크접점, 307,407은 절연커버, 308,408은 가동 주접점, 309,409는 실드, 310,410은 노즐, 311,411은 고정 아크접점을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복합소호 차단부에서는 파퍼실의 압력상승으로 소전류만 차단하기 때문에 파퍼실의 용적을 축소할 수 있고 따라서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등장한 것이 상기 도 3의 팽창실(313)과 파퍼실(305)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합소호형 가스차단부 일명 "직렬형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와, 도 4의 팽창실(413)과 파퍼실(405)이 병렬로 배치되고 열가스와 냉가스의 유로가 공통으로 하나인, 일명 "병렬교류형 복합소호 가스차단부(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345691호)"이다. 이렇게 해서 어느 정도 조작력을 줄일 수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복합소호 차단부의 경우에도 여전히 조작기가 가동시켜야 할 부품수도 많고, 조작기 측면에서 무게도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의 "직렬형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와 도 4의 "병렬교류형 복합소호 가스차단부"는 팽창실(313)(413)과 파퍼 실린더(파퍼실)(305)(405)가 통해 있기 때문에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얻기 위해 조작기의 기계적인 동작으로 파퍼 실린더 (305)(405) 뿐만 아니라 팽창실(313)(413)도 함께 압축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따라서, 조작기의 조작력을 감소시키는 데 큰 한계가 있으며, 소전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얻을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차단기의 차단성능은 가스압력상승에 지수 함수적으로 비례한다. 즉, 차단성능 ∝P1.4). 또한, 대전류차단 시에 아크 에너지에 의해 팽창된 열가스가 팽창실 뿐만 아니라 파퍼실로도 역류할 수 있기 때문에, 아크 에너지가 작을 경우 대전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팽창된 열가스가 파퍼실로도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열가스의 압력상승이 조작기의 조작력에 반발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파퍼형 차단기는 대전류 차단에 조작력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파퍼 실린더에서 고속으로 압축된 가스의 유동은 노즐로 빠져나오면서 초음속 유동(supersonic flow)으로 변하고, 초음속 유동에 의해 아크접점의 선단에서 충격파가(shock wave)가 발생한다. 이 충격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밀도를 급격히 감소시켜 소전류 차단시에 극간의 절연파괴를 일으키는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소전류 차단성능은 가스밀도에 비례 즉, ∝pb, b는 실험상수).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가스차단부에서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단 동작에 필요한 조작력을 줄여서 전동스프링 조작기나 MDDM형 조작기를 취부할 수 있고, 전류 크기에 따른 차단 성능을 이원화시키며, 복합소호 차단부의 취약한 부분인 소전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 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는,
고장 전류의 발생시 그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아크접점, 가동 아크접점, 열팽창실을 구비하는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에 있어서,
상기 가스차단부의 가동부의 가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를 상기 가동 아크접점 쪽에서 고정 아크접점쪽으로 위치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하고, 이 가동 아크접점화된 가동 아크접점의 내부에는 고장전류에 있어서의 소전류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얻기 위한 것으로, 가스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함에 상응하여 가동 아크접점이 고정 아크접점화가 된 고정 아크접점의 후단에는 가동 아크접점과 고정 아크접점의 분리시 발생되는 아크에 의해 가스의 팽창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제2 열팽창실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 아크접점의 선단에는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가스의 배기를 위한 가스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는, 고장 전류의 발생시 그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아크접점, 가동 아크접점, 열팽창실을 구비하는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에 있어서, 상기 가스차단부의 가동부의 가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601)를 상기 가동 아크접점쪽에 설치되어 있던 것을 고정 아크접점쪽으로 위치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하고, 이 가동 아크접점화된 가동 아크접점(604)의 내부에는 고장전류에 있어서의 소전류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얻기 위한 것으로, 가스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린더(613)가 마련되고, 기존의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함에 상응하여 기존의 가동 아크접점이 고정 아크접점화가 된 고정 아크접점(607)의 후단에는 가동 아크접점(604)과 고정 아크접점(607)의 분리시 발생되는 아크에 의해 가스의 팽창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제2 열팽창실(612)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 아크접점(604)의 선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603)에 의해 압축된 가스의 배기를 위한 가스배기구(604b)가 형성된다. 이 가스배기구(60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한 구멍들의 군집 형태로 형성되며, 개개의 배기구의 크기는 직경이 1.0㎜ 이상이다. 또한, 배기구의 위치는 절연회복 특성에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서 가동 아크접점(604)의 선단의 중심축선(수평축)으로부터 상하 30°∼ 90°사이의 곡면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 열팽창실(612)이 연결통로(614)에 의해 제1 열팽창실(608)과 만나는 연결통로(614)의 끝부위에는 바람직하게는 제2 열팽창실(612)로부터 연결통로(614)를 거쳐 제1 열팽창실(608)로 유입된 가스가 다시 이 연결통로(614)를 통해 제2 열팽창실(61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역류방지판(610)이 마련된 다. 도 6에서 참조번호 602는 조작기와 차단부의 연결 로드, 605는 제1 노즐, 606은 제2 노즐, 609는 제3 노즐, 611은 가스 배출구, 615는 탱크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의 고장전류 차단동작에 대해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개로신호(opening signal)를 받은 차단기의 조작기(601)(도 6 참조)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차단부 연결로드(602)(도 6 참조)는 가동부, 즉 가동 아크접점(604)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움직여 가동 아크접점(604) 내의 압축실린더(613) 내부의 가스를 압축하기 시작한다.
가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도 8b에서와 같이, 가동 아크접점(604)과 고정 아크접점(607)은 분리되고 두 아크접점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크에 의해 주로 제2 열팽창실(612)의 가스(탱크 내에는 SF6 가스가 보통 6bar로 채워져 있다)가 팽창하며, 팽창된 가스의 일부는 연결통로(614)를 통해 제1 열팽창실(608)로 들어가고(이 순간에는 제2 열팽창실(612)의 압력이 제1 열팽창실(608)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역류 방지판(610)이 열리면서 들어간다), 일부는 실린더 로드의 가스배출구(611)쪽으로 빠져나간다. 한편, 가동 아크접점(604)의 압축실린더(613) 내의 가스는 가동부의 이동과 피스톤(603)의 작용으로 지속적으로 압축되면서 동시에 두 아크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를 냉각시킨다.
가동 아크접점(604)이 더욱 이동하여 도 8c에서와 같은 위치에 와 있을 때, 아크 에너지는 더욱 증가하고 이때 팽창된 가스들은 두 아크접점 사이의 공간부에서 제1 열팽창실(608)로 직접 들어가거나 제2 열팽창실(612)과 연결통로(614) 및 역류방지판(610)을 거쳐 제1 열팽창실(608)로 들어가서 제1 열팽창실(612)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이때, 또한 팽창된 일부 가스는 실린더 로드의 가스배출구(611)로 빠져나간다. 한편, 가동 아크접점(604)의 압축실린더 내의 가스는 가동부의 이동과 피스톤(603)의 작용으로 지속적으로 압축되고 있고, 동시에 두 아크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를 냉각시킨다.
제1 열팽창실(612)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제1 열팽창실(612)에 있던 가스들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를 통해 되돌아 나오며 아크를 소호한다. 동시에 압축 실린더(613)에서 압축된 가스는 가동 아크접점(604)의 배기구(604b)를 통해 빠져나와 아크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아크 선단 주변의 가스압력을 상승시킨다.
이후 도 8e에서와 같이, 아크가 소호된 후에 두 아크접점 사이에 남아있는 열가스는 제1 열팽창실(608)에서 나온 잔류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열적회복"에 성공하고, 두 아크접점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그리고 가동 아크접점(604)의 압축 실린더(613)에서의 가스 공급이 지속됨에 따라 "절연회복"에 성공하여 전류 차단에 성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는 가동 아크접점 내부에 압축실린더가 마련되어 있고, 고정 아크접점의 후단에 제2 열팽창실이 마련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갖는다.
1) 조작기가 동작시켜야 할 것이 가동 아크접점뿐이므로 기존 차단부와 비교하여 부품 수와 무게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동스프링 또는 MDDM형 조작기를 훨씬 더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다.
2) 소전류 차단성능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가동 아크접점의 압축실린더를 통해 직접 얻을 수 있다. 특히, 전계가 가장 집중되는 아크접점 선단의 40°∼70°사이에 가스밀도를 직접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파퍼 차단기에서 문제가 되는 충격파 발생의 소지가 전혀 없다.
3) 대전류 차단 시에 아크에너지에 의해 팽창된 열가스가 제2 열팽창실과 연결통로 및 역류 방지판을 거쳐 제1 열팽창실로 유입되어, 대전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제1 열팽창실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4) 대전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이 부족할 경우 제3노즐의 목직경을 조정하여 쉽게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고장 전류의 발생시 그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아크접점, 가동 아크접점, 열팽창실을 구비하는 복합소호 가스차단부에 있어서,
    상기 가스차단부의 가동부의 가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를 상기 가동 아크접점 쪽에서 고정 아크접점쪽으로 위치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하고, 이 가동 아크접점화된 가동 아크접점의 내부에는 고장전류에 있어서의 소전류의 차단에 필요한 압력상승을 얻기 위한 것으로, 가스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아크접점을 가동 아크접점화함에 상응하여 가동 아크접점이 고정 아크접점화가 된 고정 아크접점의 후단에는 가동 아크접점과 고정 아크접점의 분리시 발생되는 아크에 의해 가스의 팽창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제2 열팽창실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 아크접점의 선단에는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가스의 배기를 위한 가스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기구는 다수의 미세한 구멍들의 군집 형태로 형성되며, 개개의 배기구의 크기는 직경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기구의 위치는 상기 가동 아크접점의 선단의 중심축선(수평축)으로부터 상하 30°∼ 90°사이의 곡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팽창실이 연결통로에 의해 상기 제1 열팽창실과 만나는 연결통로의 끝부위에는 제2 열팽창실로부터 연결통로를 거쳐 제1 열팽창실로 유입된 가스가 다시 이 연결통로를 통해 제2 열팽창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역류방지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 가스차단부 구조체.
KR1020050031333A 2005-04-15 2005-04-15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KR10064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333A KR100640253B1 (ko) 2005-04-15 2005-04-15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333A KR100640253B1 (ko) 2005-04-15 2005-04-15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072A KR20060109072A (ko) 2006-10-19
KR100640253B1 true KR100640253B1 (ko) 2006-10-31

Family

ID=3761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333A KR100640253B1 (ko) 2005-04-15 2005-04-15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2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87B1 (ko) * 2007-12-31 2009-12-30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가동부
WO2012002677A2 (ko) * 2010-07-01 2012-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복합 소호형 가스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232B1 (ko) * 2009-02-12 2009-12-16 (주)서전기전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
KR101524800B1 (ko) * 2013-11-14 2015-06-02 한국전기연구원 가스 차단기의 자동이동식 유동가이드
KR101635418B1 (ko) * 2014-09-12 2016-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차단기
KR101909015B1 (ko) * 2016-12-28 2018-10-1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 차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3101A (ja) 1997-02-05 1998-08-21 Fuji Electric Co Ltd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JP2003323837A (ja) 2002-04-26 2003-11-14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JP2004039440A (ja) 2002-07-03 2004-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遮断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3101A (ja) 1997-02-05 1998-08-21 Fuji Electric Co Ltd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JP2003323837A (ja) 2002-04-26 2003-11-14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JP2004039440A (ja) 2002-07-03 2004-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遮断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87B1 (ko) * 2007-12-31 2009-12-30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가동부
WO2012002677A2 (ko) * 2010-07-01 2012-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복합 소호형 가스차단기
WO2012002677A3 (ko) * 2010-07-01 2012-02-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복합 소호형 가스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072A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253B1 (ko)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KR100296226B1 (ko) 가스 차단기
KR101763451B1 (ko) 아크열을 재이용하는 복합소호형 차단기
KR101496903B1 (ko) 차단성능이 향상되는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WO2012002677A2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복합 소호형 가스차단기
KR100584870B1 (ko) 팽창실과 파퍼 실린더가 분리된 복합소호형 가스차단부
KR100770330B1 (ko) 팽창실과 파퍼실이 일체형으로 된 복합소호형 가스차단부
KR100934488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고정부
KR101048005B1 (ko) 압축실 분출가스 제어형 복합 소호 차단기
JP5218449B2 (ja) ガス遮断器
KR101701817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2016923B1 (ko) 이산화탄소 혼합 가스를 이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101501636B1 (ko) 체크밸브를 가지는 복합소호방식 가스 차단기
KR101550299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
KR101095657B1 (ko) 자기 소호형 차단기의 열팽창실
KR101040592B1 (ko)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JP2018113189A (ja) ガス遮断器
KR101017385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고정부
KR101063272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가동부
KR20150144415A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386134B1 (ko) 열팽창실 압력 조절형 복합 소호 가스차단기
KR100345691B1 (ko)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KR100475065B1 (ko) 가스절연 차단기의 소호장치
EP2579287B1 (en) Gas circuit breaker
KR100934487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의 가동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