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868B1 -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 Google Patents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868B1
KR100639868B1 KR1020050109282A KR20050109282A KR100639868B1 KR 100639868 B1 KR100639868 B1 KR 100639868B1 KR 1020050109282 A KR1020050109282 A KR 1020050109282A KR 20050109282 A KR20050109282 A KR 20050109282A KR 100639868 B1 KR100639868 B1 KR 10063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ubscriber
support
casing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근
박태동
최영복
오호석
이원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10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868B1/ko
Priority to CN2006101451723A priority patent/CN197625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1Details of connexions between cable and distribu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9Frames or mounting rack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5Wavelength multiplexing, WD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전송 선로에 사용되는 광분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케이싱에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된 광점퍼코드가 각각의 가입자측 광어댑터에 연결된 상태로 내장되어 상기 가입자측 광어댑터에 가입자선을 커넥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각 가정에 광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넥팅작업 시 분기케이싱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작업상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은, 본체의 전면부에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광분기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케이싱부 및 커버부의 조립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국사로부터 인입된 광케이블을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시키는 광커플러가 내설되는 한편, 상기 케이싱부의 저면에는 분기된 다수 회선의 광점퍼코드가 연결된 가입자측 광어댑터가 외부로 연통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분기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SUBSCRIBER OPTIC-DIVIDING BOX FOR FTTH USING AT WDM, EP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광분기함의 설치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광분기함 커버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광분기함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광분기함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의 케이싱부와 커버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과 케이싱 인출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케이싱 인출수단에 의한 분기케이싱의 후방 복원상태 및 전방 인출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광케이블 지지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광케이블 지지수단에 의한 광케이블의 지지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가입자선 지지수단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가입자선 지지수단에 의한 가입자선의 지지상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분기함 6: 광케이블
7: 가입자선 10: 베이스판
100: 분기케이싱 110: 케이싱부
120: 커버부 130: 광커플러
131: 광점퍼코드 132: 가입자측 어댑터
140: 스플라이스 트레이 200: 케이싱 인출수단
210: 인출지지대 212: 이송장홈
220: 가이드돌기 221: 가이드패널
300: 광케이블 지지수단 310: 광케이블 지지대
311: 지지선 고정블럭 315,415: 삽지장홈
320: 광케이블 지지구 322: 케이블파지홈
330, 430: 제어구 400: 가입자선 지지수단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전송 선로에 사용되는 광분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케이싱에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된 광점퍼코드가 각각의 가입자측 광어댑터에 연결된 상태로 내장되어 상기 가입자측 광어댑터에 가입자선을 커넥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각 가정에 광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넥팅작업시 분기케이싱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작업상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 있어 통신망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발달하고 동영상이나 음성 등과 같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정보의 처리량 및 처리속도의 증가가 요구되면서 통신망의 확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동축케이블 대신 광케이블(Optical cable)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광케이블의 사용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 광케이블이 아파트단지의 관리동(MDF)까지만 들어오고 관리동에서 각 가정까지는 일반 전화선을 사용하던 종래의 시스템을 탈피하여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고품질의 초고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 가정까지 광섬유를 부설하는 FTTH(Fiber to the home)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광 통신망을 구축함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광 가입자의 전송장치와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는 전화국사에서 공급되는 광케 이블로부터 광섬유가 각각의 광 가입자에게 분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전주 등에 광케이블을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하는 광분기함이 설치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종래의 광분기함은 내부에 파장분리기(Mux)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파장분리기의 입력측에 연결된 케이블심선과 전화국사에서 공급되는 광케이블을 융착하는 한편, 상기 파장분리기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케이블심선과 각각의 가입자 세대에 공급되는 가입자선을 일체로 융착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광케이블은 상기 파장분리기에 의해 다수의 회선으로 분리된 후 각각의 가입자 세대로 직접 공급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융착작업은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과도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요구되어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한 융착작업을 탈피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작업자가 파장분리기의 입력 및 출력측에 연결된 각각의 케이블심선에 광어댑터를 일체로 설치하고, 현장에서 전화국사에서 공급되는 광케이블 및 다수 회선의 가입자선에 현장조립 커넥터를 즉석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광어댑터에 끼우는 커넥팅 작업을 통해 광케이블을 각각의 가입자 세대로 공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양자의 방법은 공통적으로 광케이블의 분리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파장분리기가 광분기함의 내벽에 고정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분기작업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분기함의 커버를 개방시키면 상기 파장분리기를 비롯하여 광점퍼코드, 광커넥터 등의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선처리가 깔끔하지 못하며,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로 케이블에 접촉하는 일이 빈번하여 케이블이 손상될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독립화된 별도의 분기케이싱 내부에 광커플러를 내설한 후 상기 광커플러의 입,출력측에 연결된 광점퍼코드를 외부로 연통하게 설치된 국사측 광어댑터 및 다수의 가입자측 광어댑터에 각각 연결하여 광케이블이 세대별로 분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가 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 및 가입자측에 공급하는 가입자선을 상기 각 광어댑터에 커넥팅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을 각 가정까지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광분기함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분기작업시 상기 분기케이싱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넓은 작업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광분기함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부에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광분기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케이싱부 및 커버부의 조립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국사로부터 인입된 광 케이블을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시키는 광커플러가 내설되는 한편, 상기 케이싱부의 저면에는 분기된 다수 회선의 광점퍼코드가 연결된 가입자측 광어댑터가 외부로 연통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분기케이싱을 포함한다. 별도의 분기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은 분기케이싱에 내설된 분기용 구성요소들을 외부와 격리시킴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작업자가 작업 중 구성요소를 자꾸 건드려 구성요소들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분기케이싱에 내설된 광커플러는 WDM(파장분할)용으로 사용되는 파장분배기로 구성되거나 EPON(수동형 광분배망)용으로 사용되는 광스플리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기케이싱의 내부에 분기작업에 따른 데이터손실을 억제하도록 직접적으로 광케이블을 융착으로 접속시키는 스플라이스 트레이가 추가적으로 내설될 수 있다.
또한 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은, 케이싱부에 설치된 국사측 광어댑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거나, 케이싱부에 형성된 케이블통공을 통해 인입된 후 광커플러의 입력측 케이블심선과 직접적으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분기함은 케이싱 인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인출수단은: 본체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판에 일체로 부착되고 양측의 지지판 상하에 이송장홈이 형성된 인출지지대와; 케이싱부의 양측 가이드패널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장홈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분기케이싱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서, 분기작업시 상기 분기케이싱을 케이싱 인출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하여 넓은 작업영역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작업자에 게 작업 용이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홈의 양단에는 분기케이싱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하부로 연통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인접한 위치에는 선택적으로 분기케이싱의 고정상태를 제어하는 캡티브볼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분기케이싱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케이싱 인출수단의 기능성을 보다 더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는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된 가입자선을 간결하게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홀이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체 내부의 가입자선을 간결하고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분기함은 광케이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케이블 지지수단은: 메인지지대 중앙에 부착되고, 전면 상부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케이블지지선을 고정시키는 지지선 고정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선 고정블럭 하부에 한 쌍의 삽지장홈이 이격설치된 광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삽지장홈에 끼워지는 삽지날개가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지날개 사이에 광케이블을 광케이블 지지대에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케이블파지홈이 형성된 광케이블 지지구와; 상기 광케이블 지지구를 관통하여 광케이블 지지대에 광케이블 지지구를 고정상태로 체결시키는 제어구;를 구비하여서, 상기 본체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지지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분기함은 가입자선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선 지지수단은: 메인지지대 양측에 부착되고, 전면부에 한 쌍의 삽지장홈이 이격설치된 가입자 선 지지대와; 상기 삽지장홈에 끼워지는 삽지날개가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지날개 사이에 가입자선을 가입자선 지지대에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가입자선파지홈이 형성된 가입자선 지지구와; 상기 가입자선 지지구를 관통하여 가입자선 지지대에 가입자선 지지구를 고정상태로 체결시키는 제어구;를 구비하여서, 다수의 가입자측 광어댑터에 결합되는 가입자선이 가입자선 지지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분기함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광분기함(1)의 설치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광분기함 커버(5)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광분기함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광분기함(1)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분기함(1)은 도 1과 같이 전주용밴드(2)를 이용하여 전주(3)에 견고하게 설치되며, 본체(4)의 전면부에는 도 2와 같이 커버(5)가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6)이 케이블록크(8)를 통해 본체(4)의 내부로 인입된 후 내부에서 분기작업을 통해 다수 회선의 가입자선(7)으로 분기되어 각각의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광분기함(1)에 있어서, 상기 광분기함(1)의 내부에 별도의 독립적인 분기케이싱(100)이 내설됨을 지배적인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기케이싱 (100)은 선택적으로 전방측으로 인출되어 분기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함을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적인 요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100)의 케이싱부(110)와 커버부(120)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10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10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기케이싱(100)은 광케이블(6)이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된 상태로 내장되는 함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케이싱부(110) 및 커버부(120)의 조립구성으로 대분된다.
케이싱부(110)는 전면부 및 양측면이 개방되고 양측의 테두리부에는 커버부(120)를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11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120)는 케이싱부(110)의 개방된 전면부 및 측면부를 동시에 밀폐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어구(123)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120)를 케이싱부(110)에 일체로 조립하여 밀폐상태의 함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분기케이싱(100)의 내부에는 국사로부터 본체(4)의 내부로 인입되는 광케이블(6)을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시키는 광커플러(130)가 내설되며, 상기 광커플러(130)에 의해 분기된 다수 회선의 광점퍼코드(131)는 상기 케이싱부(110)의 저면에 외부로 연통하게 배치된 다수의 가입자측 광어댑터(132)에 연결된다.
즉 상기 케이싱부(110)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홈(112; 도 5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112)에는 각각 가입자측 광어댑터(132)가 설치되며 이 가입자측 광어댑터(132)에는 광커넥터(133)를 매개로 하여 광커플러(130)에 의해 분기된 다수 회선의 광점퍼코드(131)가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상에서 각 가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가입자선(7)에 현장조립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한 후 상기 커넥터를 가입자측 광어댑터(132)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방법만을 통해 각각의 가정으로 광케이블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커플러(130)로 인입되는 광케이블(6)은 국사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케이싱부(110)에 설치된 국사측 광어댑터(135)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국사측 광어댑터(135)는 광커넥터(133)를 매개로 광커플러(130)의 입력측에 연결된 광점퍼코드(13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광케이블(6)의 결합은 위와 같은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케이싱부(110)에 형성된 케이블통공(136)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후 광커플러(130)의 입력측 케이블심선과 직접적으로 융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더욱 확실한 융착으로 인해 데이터손실의 우려가 없어 더욱 뛰어난 신뢰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분기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커플러(13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우선적으로 WDM(wavelength division multiflexing; 파장분할)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파장분배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수동형 광분배망)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광스플리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광커플러(130)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다만 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6)을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광커플러(130)의 종류를 달리하는 것만으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날 수 없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광어댑터(135)를 이용한 간단한 커넥팅작업에 제한되지 않고, 도 7과 같이 분기케이싱(100)의 내부에 광케이블(6)을 융착작업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스플라이스 트레이(140)를 추가적으로 내설하여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커버부(120)를 분리한 후 직접 융착작업을 통해 광케이블(6)을 분기시킴으로써 분기작업에 따른 데이터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기케이싱(100)은 분기작업시 보다 넓은 작업영역을 확보하여 작업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케이싱 인출수단(200)이라는 특별한 기술구성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기케이싱(100)과 케이싱 인출수단(200)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케이싱 인출수단(200)에 의한 분기케이싱(100)의 전방 인출상태 및 후방 복원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를 위한 케이싱 인출수단(200)은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본체(4)의 내부에 입설된 베이스판(10; 도 3 참조)에 일체로 부착되는 인출지지대(210) 및 상기 인출지지대(210)에 형성된 이송장홈(212)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분기케이싱(100) 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22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인출지지대(210)는 베이스판(10)에 일체로 부착되고 양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지지판(211)을 구비하며, 지지판(211)에는 상하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이송장홈(212)이 수평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110)의 양측 플랜지(111; 도 5 참조) 중앙에 돌출하여 형성된 가이드패널(221; 도 5 참조)의 상하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220)는 이송장홈(212)에 삽입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220)를 이송장홈(212)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킬 경우 분기케이싱(10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후방으로 이송시 분기케이싱(100)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장홈(212)의 양단에는 각각 가이드돌기(220)가 안착되는 안착홈(215)이 연직 하방으로 연통 형성되어 있어서 분기케이싱(100) 전방 인출 상태 또는 후방 복원 상태에서 분기케이싱(100)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 유동 없는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안착홈(215)에 인접하는 위치에 캡티브볼트(216)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캡티브볼트(216)를 이용하여 분기케이싱(100)의 측면을 압지하거나 압지상태를 해제하는 선택적인 조작을 통해 분기케이싱(100)의 고정상태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4)의 바닥면에 설치된 케이블록크(8)를 통해 본체(4)의 내부로 인입된 후 분기케이싱(100)으로 인입되는 광케이블(6)을 본체(4)의 내부에서 보다 간결하고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광케이블 지지수단(300)의 기술구성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광케이블 지지수단(3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광케이블 지지수단(300)에 의한 광케이블(6)의 지지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광케이블 지지수단(300)은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베이스판(10; 도 3 및 도 4 참조)의 하부에 부착된 메인지지대(11)의 중앙에 부착되는 광케이블 지지대(310) 및 상기 광케이블 지지대(310)에 결합되어 광케이블(6)을 지지하는 광케이블 지지구(320), 상기 광케이블 지지구(320)의 고정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구(3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광케이블 지지대(310)는 전면 상부에 지지선 고정블럭(311)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지지선 고정블럭(311)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광케이블(6)에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지지선(6a)이 끼워질 수 있는 지지홀(3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홀(312)에 끼워진 케이블지지선(6a)은 고정부재(313)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지지선 고정블럭(31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삽지장홈(315)이 상하로 이격 설치된다.
상기 광케이블 지지대(310)에 광케이블(6)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광케이블 지지구(320)는 삽지장홈(315)에 각각 끼워지는 삽지날개(321)가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지날개(321)의 사이에는 광케이블(6)을 수직상태로 파지한 채 광케이블 지지대(310)에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케이블파지홈(322)이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 지지구(320)에는 한 쌍의 제어구(330)가 관통되는 한편, 이 제어구(330)는 광 케이블 지지대(31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광케이블 지지구(320)를 광케이블 지지대(310)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4)로 인입된 광케이블(6)은 상기 케이블파지홈(322)을 관통한 상태에서 광케이블 지지구(320)에 의해 광케이블 지지대(310)에 압착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상태의 광케이블(6)로부터 분할되는 케이블지지선(6a)은 지지선 고정블럭(311)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입자측 광어댑터(132)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가입자선(7)을 본체(4)의 내부에 간결하고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는 가입자선 지지수단(40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가입자선 지지수단(4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가입자선 지지수단(400)에 의한 가입자선(7)의 지지상태 정면도이다.
이러한 가입자선 지지수단(400)은 도 12 내지 도 13과 같이 베이스판(10)의 하부에 부착된 메인지지대(11)의 양측에 부착되는 가입자선 지지대(410) 및 상기 가입자선 지지대(410)에 결합되어 가입자선(7)을 지지하는 가입자선 지지구(420), 상기 가입자선 지지구(420)의 고정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구(4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입자선 지지대(410)는 전면부에 한 쌍의 삽지장홈(415)이 상하로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선 지지대(410)에 가입자선(7)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가입 자선 지지구(420)는 삽지장홈(415)에 각각 끼워지는 삽지날개(421)가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지날개(421)의 사이에는 가입자선(7)을 수직상태로 파지한채 가입자선 지지대(410)에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가입자선파지홈(422)이 형성되며, 상기 가입자선 지지구(420)에는 한 쌍의 제어구(430)가 관통되는 한편, 이 제어구(430)는 가입자선 지지대(41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가입자선 지지구(420)를 가입자선 지지대(4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입자선 지지수단(400)의 상부 베이스판(10)에는 다수의 끼움홀(450; 도 4 참조)이 격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입자선(7)을 파지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미도시)를 상기 끼움홀(450)에 끼워 다수 회선의 복잡한 가입자선(7)을 간결하게 정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는 가입자선(7)이 외부로 연통될 수 있는 연통로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각각의 가입자측 광어댑터(132)에 가입자선(7)을 커넥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분기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분기작업시 캡티브볼트(216)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도 9와 같이 분기케이싱(100)을 상부로 들어올린 후 전방으로 인출하여 편리하게 분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독립화된 분기케이싱 내부에 광케이블을 세대별로 분기된 상태로 내설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분기된 광케이블과 연결된 각각의 광어댑터에 가입자선을 커텍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원활하게 공급 할 수 있음은 물론 분기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분기작업에 소요되는 구성요소(파장분리기, 광점퍼코드 등)들이 분기케이싱에 내설되어 외부와 격리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며, 파손 및 손상의 우려가 없게 된다.
더욱이 분기작업시 상기 분기케이싱을 전방으로 인출함으로써 보다 넓은 작업영역을 확보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1)

  1. 본체의 전면부에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광분기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케이싱부 및 커버부의 조립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국사로부터 인입된 광케이블을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시키는 광커플러가 내설되는 한편, 상기 케이싱부의 저면에는 분기된 다수 회선의 광점퍼코드가 연결된 가입자측 광어댑터가 외부로 연통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분기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케이싱에 내설된 광커플러는 WDM(파장분할)용으로 사용되는 파장분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케이싱에 내설된 광커플러는 EPON(수동형 광분배망)용으로 사용되는 광스플리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케이싱의 내부에는 분기작업에 따른 데이터손실을 억제하도록 직접적으로 광케이블을 융착으로 접속시키는 스플라이스 트레이가 추가적으로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은 케이싱부에 설치된 국사측 광어댑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은 케이싱부에 형성된 케이블통공을 통해 인입된 후 광커플러의 입력측 케이블심선과 직접적으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기함은 케이싱 인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인출수단은:
    본체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판에 일체로 부착되고 양측의 지지판 상하에 이송장홈이 형성된 인출지지대와; 케이싱부의 양측 가이드패널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장홈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분기케이싱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서,
    분기작업시 상기 분기케이싱을 케이싱 인출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하여 넓은 작업영역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홈의 양단에는 분기케이싱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하부로 연통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인접한 위치에는 선택적으로 분기케이싱의 고정상태를 제어하는 캡티브볼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다수의 회선으로 분기된 가입자선을 간결하게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홀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기함은 광케이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케이블 지지수단은:
    메인지지대 중앙에 부착되고, 전면 상부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케이블지지선을 고정시키는 지지선 고정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선 고정블럭 하부에 한 쌍의 삽지장홈이 이격설치된 광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삽지장홈에 끼워지는 삽지날개가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지날개 사이에 광케이블을 광케이블 지지대에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케이블파지홈이 형성된 광케이블 지지구와;
    상기 광케이블 지지구를 관통하여 광케이블 지지대에 광케이블 지지구를 고정상태로 체결시키는 제어구;를 구비하여서,
    상기 본체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지지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기함은 가입자선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선 지지수단은:
    메인지지대 양측에 부착되고, 전면부에 한 쌍의 삽지장홈이 이격설치된 가입자선 지지대와;
    상기 삽지장홈에 끼워지는 삽지날개가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지날개 사이에 가입자선을 가입자선 지지대에 밀착상태로 지지하는 가입자선파지홈이 형성된 가입자선 지지구와;
    상기 가입자선 지지구를 관통하여 가입자선 지지대에 가입자선 지지구를 고정상태로 체결시키는 제어구;를 구비하여서,
    다수의 가입자측 광어댑터에 결합되는 가입자선이 가입자선 지지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를 위한 WDM, 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KR1020050109282A 2005-11-15 2005-11-15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KR10063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282A KR100639868B1 (ko) 2005-11-15 2005-11-15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CN2006101451723A CN1976257B (zh) 2005-11-15 2006-11-15 用于ftth的wdm、epon用的用户光分路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282A KR100639868B1 (ko) 2005-11-15 2005-11-15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868B1 true KR100639868B1 (ko) 2006-10-31

Family

ID=3762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282A KR100639868B1 (ko) 2005-11-15 2005-11-15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9868B1 (ko)
CN (1) CN1976257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4765A (en) * 1996-05-23 1998-09-08 The Siemon Company Cable management enclosure
KR100377823B1 (ko) * 1998-07-24 2003-03-26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광배선반과 광배선 시스템
US6236795B1 (en) * 1999-06-07 2001-05-22 E. Walter Rodgers High-density fiber optic cable distribution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6257B (zh) 2010-12-01
CN1976257A (zh)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7841B (zh) 线缆配线系统
US8315057B2 (en) Embedded communication enclosure
KR20170048241A (ko) 듀플렉스 및 평행한 멀티-섬유 솔루션 사이의 이행을 위한 광 섬유 솔루션
US4986762A (en) Termination module for use in an array of modules
KR100699907B1 (ko) 초고속 정보통신건물용 광분배함
CN201247881Y (zh) 插座装置
US8891928B2 (en) Fiber optic splice enclosures having interchangeable endplate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9817201B2 (en) Sliding assembly and method for fiber management
MX2007011242A (es) Portador de modulo de divisor universal para centro de distribucion de fibras opticas.
WO2006138460A1 (en) Compact blind mateable optical splitter
CN101529298A (zh) 光纤电缆保持装置
MX2007011251A (es) Modulo de distribucion para centro de distribucion de fibras opticas.
US9609404B2 (en) Telecommunications module
KR101694313B1 (ko)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0639868B1 (ko) Ftth를 위한 wdm,epon용 가입자 광분기함
KR102348788B1 (ko) 공동주택 통신실에 설치되는 초고속 정보통신 광분배함
EP2131223A1 (en) Exchange cabling storage apparatus
KR200423984Y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KR100797408B1 (ko) 모듈러형 광패치패널 장치
KR100829714B1 (ko) 광선로종단장치
KR100975118B1 (ko) 광섬유 접속판
CN201974554U (zh) 一种多电信运营商共用的光分路器箱
KR101078352B1 (ko) 광분배 저장셀프
RU203156U1 (ru) Корпус модуля оптического разветвителя
CN202886684U (zh) 用于光纤网络的光分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