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105B1 -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105B1
KR100639105B1 KR1020050023513A KR20050023513A KR100639105B1 KR 100639105 B1 KR100639105 B1 KR 100639105B1 KR 1020050023513 A KR1020050023513 A KR 1020050023513A KR 20050023513 A KR20050023513 A KR 20050023513A KR 100639105 B1 KR100639105 B1 KR 100639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p
length
mark
ba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912A (ko
Inventor
이태현
김경용
박석만
김윤진
송무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05002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10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4Treatment of water in water supply networks, e.g. to prevent bacterial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공급되어 고속으로 제조되는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불량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장치는 스프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프 공급롤러와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장치와 상기 스프 봉지의 접착부에 마련되어 절단위치를 표시하는 마크를 감지하기 위한 마크 감지장치와 상기 마크를 따라 절단된 낱개의 스프 봉지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시스템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접착부에 마련된 마크의 위치가 올바른지를 확인하는 하기 위한 마크 정위치 판단단계와 상기 스프 봉지에 포함되는 내용물의 함량을 확인하는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와 절단된 낱개 스프 봉지의 절단길이를 확인하는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스프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연속으로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내용물 함량, 마크 정위치 및 스프 절단 길이의 불량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어, 스프를 고속으로 제조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ERROR SENSING DEVICE AND SYSTEM OF STAPLE FI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두께 감지창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시스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크 정위치 판단단계에서 판단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에서 판단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에서 판단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연속 공급되는 봉지 3: 접착부
5: 내용물 함량부 7: 마크
10: 스프 불량 감지장치 12,22: 공급 롤러
20: 분말 스프 불량 감지장치 30,70: 두께 감지장치
40,80: 마크 감지장치 45,85: 절단 장치
50,90: 길이 감지장치 60: 후레이크 스프 불량 감지장치
95: 마이크로 프로세서 110: 마크신호
120: 내용물 감지신호 130: 펄스파
본 발명은 라면 및 기타 인스턴트 식품에 들어가는 스프의 고속 제조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스프 및 후레이크 스프 봉지의 내용물 함량, 마크 위치 및 절단된 길이에 있어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라면은 국수를 증숙시킨 후 기름에 튀겨서 만든 유탕면에 스프를 별첨한 인스턴트 건조식품으로 수분이 많은 식품에 비해 단위 중량당 영양분이 많으며, 튀긴 식품이므로 지방이 많아 120g당 500kcal의 열량을 내는 고칼로리 식품이다.
이러한 라면 및 기타 인스턴트 식품에는 면에 맛을 내기 위하여, 화학 조미료 등으로 만들어진 분말스프와 각종 야채 등을 건조시켜 만든 후레이크 스프가 첨가된다. 이와 같은 스프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연속으로 공급되는 봉지에 낱 개의 스프 봉지를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접착부를 형성하고, 스프의 내용물을 상기 낱개 봉지에 넣은 후 스프를 투입하는 투입구를 밀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접착부에는 낱개 스프 봉지로 절단하기 위한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대량으로 스프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스프 봉지에 담겨지는 내용물 함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스프 봉지를 절단하기 위한 마크의 위치가 정위치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 낱개로 절단된 스프 봉지의 길이가 적당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였는데, 상기와 같이 연속 공급되는 스프에 여러 가지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사람이 일일이 불량여부를 확인하여 불량으로 제조된 스프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 봉지에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 함량, 마크 정위치 및 스프 절단 길이를 사람이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불량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스프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장치는 스프를 연속 공급하기 위한 스프 공급 롤러와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장치와 상기 스프 봉지의 접착부에 마련되어 절단위치를 표시하는 마크를 감지하기 위한 마크 감지장치와 상기 마크를 따라 절단된 낱개의 스프 봉지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께 감지장치는 스프 봉지의 양면을 밀착하면서 스프 봉지의 두께에 따라 상하 왕복 운동하는 롤러와 일단은 상기 롤러를 지지하고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반복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타단의 왕복 거리를 감지하여 스프 봉지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 공급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부에는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엔코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 감지장치는 절단 봉지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와 절단된 스프를 공급하는 구동부에 마련되어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시스템은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접착부에 마련된 마크의 위치가 올바른지를 확인하는 마크 정위치 판단단계와 상기 스프 봉지에 포함되는 내용물의 함량을 확인하는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와 절단된 낱개 스프 봉지의 절단길이를 확인하는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크 정위치 판단단계는 상기 마크를 감지하는 마크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마크 신호와 스프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내용물 감지 신호의 간격을 스프 공급 롤러의 구동부에 마련된 엔코더에서 발생시킨 펄스 신호로 측정하여 마크 위치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는 스프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내용물 감지 신호의 길이를 스프공급 롤러의 구동부에 마련된 엔코더에서 발생시킨 펄스 신호로 측정하여 내용물 함량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는 스프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감지센서에서 발생시킨 스프 길이 신호의 길이를 절단 스프 공급 롤러의 구동부에 마련된 엔코더에서 발생시킨 펄스 신호로 측정하여 스프 절단 길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연속 공급되는 봉지(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의 스프(2)를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접착부(3)와, 상기 접착부(3) 사이에 내용물이 포함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내용물 함량부(5)와 스프 봉지의 접착부(3)에 마련되어 절단되는 위치를 표시한 마크(7)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장치(1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프 봉지(1)에 담겨지는 내용물 함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스프가 절단되는 위치를 나타낸 마크(7)가 적당한 위치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 낱개로 절단된 스프의 길이가 적당하지 않은 경우 등과 같은 불량을 감지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마련되어 분말 스프(1)의 불량을 감지하는 분말 스프 불량 감지장치(20)와 우측에 마련된 후레이크 스프(61)의 불량을 감지하는 후레이크 스프 불량 감지장치(60)가 동시에 마련되어 있어 분말 스프(1)와 후레이크 스프(61)의 불량 여부를 한꺼번에 감지 할 수 있다.
분말 스프 및 후레이크 스프 불량 감지장치(20,60)는 각각 연속 공급되는 스프(1,61)를 공급하기 위한 스프 공급 롤러(12,22)와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1)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장치(30,70)와 상기 스프 봉지(1,61)의 접착부(3)에 마련되어 절단위치를 표시하는 마크(7)를 감지하기 위한 마크 감지장치(40,80)와 마크를 따라 낱개의 스프 봉지(2)로 절단하는 절단 장치(45,85)와 상기 마크(7)를 따라 잘린 낱개의 스프 봉지(2)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장치(50,90)를 포함한다.
분말 스프 불량 감지장치(20)와 후레이크 스프 불량 감지장치(60)는 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바, 이하에서는 분말 스프 불량 감지장치(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하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다수개의 스프 공급 롤러(12)는 구동축(14)을 중심으로 각각의 롤러(12)가 연속으로 공급되는 스프(1)의 일면과 밀착하면서 회전하여 스프(1)의 이송 방향을 바꾸면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스프 공급 롤러(12) 중 두개의 스프 공급 롤러(12a,12b) 사이에는 연속으로 공급되는 낱개 스프 봉지(2)에 포함되는 내용물 함량의 불량 여부를 스프의 두께가 감지되는 길이로 판단하는 두께 감지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두께 감지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1) 의 외면과 밀착하면서 스프 봉지(1)의 두께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롤러(31)와 일단은 상기 롤러(31)를 지지하는 축(31a)이 되고 대략‘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32)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롤러(31)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반복적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재(34)와 상기 회전부재(34)의 타단이 좌우 왕복 운동함에 따라, 좌우로 왕복되는 거리를 감지하여 스프 봉지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센서(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4)는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35)에 지지된다.
낱개 스프 봉지(2)에 내용물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해 스프 공급 롤러(12) 구동축(14)의 후면에 후술할 제 1엔코더(16)를 설치하여 스프 접착부(3)와 내용물 함량부(5)가 지나는 동안 상기 제 1엔코더(16)에서 발생시킨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불량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감지장치(30)를 지나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1)는 접착부(3)에 표시된 마크(7)가 정위치에 표시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마크 감지센서(40)를 지나게 된다.
마크 감지센서(40)를 지나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는 절단 장치(45)에 의해 낱개의 스프 봉지(2)로 절단된다.
절단 장치(45)에 의해 절단된 낱개의 스프 봉지(2)는 길이 감지장치(50)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절단되었는지 판단된다. 길이 감지장치(50)는 절단된 스프 봉지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52)와 공급 롤러(53)를 구동하는 구동축(54)의 후면에 마련되어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후술할 제 3엔코더(5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프 불량 감지장치(10)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도4에 도시 되어 있다.
타기기 연동신호(58)는 다른 장치와 본 장치인 스프 불량 감지장치(10)가 연동하면서 작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제 1마크 감지센서(40)와 제 2마크 감지센서(80)에서는 각각 분말 스프(1)와 후레이크 스프(61)의 마크(7)를 감지하여 각각 마크 신호를 발생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95)로 보낸다.
제 1두께 감지센서(36)와 제 2두께 감지센서(76)에서는 분말 스프(1)와 후레이크 스프(61)에 내용물 함량여부를 판단하여 각각 내용물 감지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95)로 보낸다.
제 1절단 봉지 길이 감지센서(52)와 제 2절단 봉지 길이 감지센서(92)에서는 낱개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분말 스프(1)와 후레이크 스프(61)의 길이를 감지하여 각각 스프 길이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95)로 보낸다.
제 1엔코더(16)는 분말 스프의 마크 정위치 및 충전물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펄스파를 발생시키고, 제 2엔코더(26)는 후레이크 스프의 마크 정위치 및 충전물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펄스파를 발생시키고, 제 3엔코더(56)는 낱개 절단되어 공급되는 분말 스프 및 후레이크 스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펄스파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에서 각각의 장치에서 발생된 신호들은 마이크로 프로세서(95)로 입력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95)는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비교, 판단하여 스프의 불량여 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95)에서 판단된 결과는 모니터(97)를 통해 표시되고, 타 기기에 그 결과를 전달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동작 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98)로 보내진다. 모니터(97)와 제어 장치(98) 사이에는 양 장치의 통신을 위한 모듈인 RS232C(96)가 마련되어 있어, 모니터(97)에서 입력한 제어 수치에 따라 제어 장치(98)와 연결된 타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흐름으로 동작하게 된다.
스프 불량 감지장치(10)가 작동하면 모니터(97)에서 설정된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95)로 전송되어, 기기가 운전 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기기가 운전 중이면 마크 위치 판단단계(S101)로 넘어가게 되고, 기기가 운전 중이 아니면 기기가 운전될 때 까지 기다리게 된다. 마크 위치 판단단계(S101)에서는 접착부(3)에 마크(7)가 정위치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마크 위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마크 에러 경보를 발생하게 되고, 마크 위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S102)로 넘어가게 된다.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S102)에서는 낱개의 봉지(2)에 포함된 내용물의 함량이 적당한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내용물 함량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함량 에러 경보를 발생하게 되고, 내용물 함량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S103)로 넘어가게 된다.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S103)에서는 절단된 낱개의 스프 길이가 적당한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스프 절단 길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길이 에러 경보를 발생하게 되고, 스프 절단 길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그 결과를 모니터(97)와 제어 장치(98)로 전송하여 모니터(97)에 결과값이 표시된다.
연속 공급되는 복수개의 낱개의 스프(2)가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판단단계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프의 마크 위치, 내용물 함량, 스프 절단 길이에 있어 불량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의 각 단계에서 어떻게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지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마크 정위치 판단단계(S101)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크 감지센서(40)에서 마크(7)를 감지하여 발생한 마크신호(110)와 두께 감지센서(36)에서 내용물의 두께를 감지하여 발생한 내용물 감지신호(120)의 간격을 제 1 엔코더(16)에서 발생시킨 펄스파(130)로 측정하여 마크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스프의 내용물 함량부(5a)가 끝나는 위치에서부터 다른 스프의 내용물 함량부(5b)가 시작되는 위치까지의 거리, 즉 접착부(3)의 거리는 16mm이며 접착부(3)의 정 중앙에 마크(7)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크 감지센서(40)에서 발생한 마크 신호(110)와 두께 감지센서(36)에서 발생한 내용물 감지신호(120)의 거리(L1)는 8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약간의 오차를 인정하기 위해 마크 신호(110)의 8mm±5mm 이내에 내용물 감지신호(120)가 오는 것은 정상상태로 판단한다. 마크신호(110)와 내용물 감지신호(120)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해서 마크신호(110)와 내용물 감지 신호(120) 사이의 펄스파(130)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그 간격이 얼마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 1엔코더(16)에서 발생시킨 하나의 펄 스파(130a)와 다음 펄스파(130b)와의 간격이 1mm로 일정한데, 마크신호(110)와 내용물 감지신호(120) 사이에 11개의 펄스파(130)가 포함되어 있다면, 접착부(3)에 표시되어 절단위치를 나타내는 마크(7)로부터 내용물이 들어있는 내용물 위치의 간격은 11mm가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95)는 마크(7) 위치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접착부(3)에 표시되어 절단위치를 나타내는 마크(7)로부터 내용물이 들어있는 내용물 위치의 간격이 3mm 미만이거나 13mm 초과일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95)는 마크(7) 위치가 잘못 표시된 것으로 판단하여 마크 에러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S102)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감지센서(36)에서 발생한 내용물 감지신호(120)의 길이를 제 1엔코더(16)에서 발생시킨 펄스파(130)로 측정하여 내용물 함량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스프가 내용물을 포함하여 일정 두께를 유지하는 길이(L2)는 40mm이상이 되는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감지센서(36)에서 스프에 내용물이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내용물 감지신호(120)를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내용물 감지 신호(12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 1 엔코더(36)에서 발생시킨 펄스파(130)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내용물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 1 엔코더(36)에서 발생시킨 하나의 펄스파(130a)와 다음 펄스파(130b)의 간격이 1mm로 일정한데, 내용물 감지신호(120)의 길이(L2) 사이에 50개의 펄스파(130)가 포함되어 있다면, 내용물이 포함되어 있는 길이(L2)는 50mm인바 정상으로 판단하는 반면, 내용물 감지신호(120)의 길이(L2) 사이에 35개의 펄스파(130)가 포함되어 있다면, 내용물이 포함되어 있는 길이는 35mm가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95)는 내용물 함량을 불량으로 판단하게 되어 함량 에러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S103)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 길이 감지센서(52)에서 발생한 스프 길이 신호(140)의 길이를 제 3 엔코더(56)에서 발생시킨 펄스파(150)로 측정하여 절단된 낱개 스프의 길이(L3)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절단 장치(45)에서 절단된 낱개 스프의 길이(L3)는 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약간의 오차를 인정하기 위해 스프의 길이가 80mm±5mm 이내이면 정상적으로 절단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길이 감지센서(52)에서 발생시킨 스프 길이 신호(140)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 3엔코더(56)에서 발생시킨 펄스파(150)를 카운트하여 그 길이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제 3엔코더(56)에서 발생시킨 하나의 펄스파(150a)와 다음 펄스파(150b)의 간격이 1mm로 일정한데, 하나의 스프 길이 신호(140)의 길이(L3) 사이에 80개의 펄스파(150)가 포함되어 있다면, 절단된 낱개의 스프 길이(L3)는 80mm가 되어 정상으로 판단하는 반면, 하나의 스프 길이 신호(140)의 길이(L3) 사이에 70개의 펄스파(150)가 포함되어 있다면, 절단된 낱개의 스프 길이(L3)는 70mm가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95)는 절단된 스프 길이(L3)를 불량으로 판단하여 길이 에러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연속으로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내용물 함량, 마크 정위치 및 스프 절단 길이의 불량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바, 스프를 고속으로 제조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스프를 연속 공급하기 위한 스프 공급 롤러와,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장치와, 상기 스프 봉지의 접착부에 마련되어 절단위치를 표시하는 마크를 감지하기 위한 마크 감지장치와, 절단 봉지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와 절단된 스프를 공급하는 구동부에 마련되어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엔코더를 구비하여 상기 마크를 따라 절단된 낱개의 스프 봉지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스프 불량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감지장치는 스프 봉지의 양면을 밀착하면서 스프 봉지의 두께에 따라 상하 왕복 운동하는 롤러와 일단은 상기 롤러를 지지하고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반복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타단의 왕복 거리를 감지하여 스프 봉지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불량 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 공급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부에는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엔코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불량 감지장치.
  4. 삭제
  5. 연속 공급되는 스프 봉지의 접착부에 마련된 마크의 위치가 올바른지를 확인하는 마크 정위치 판단단계와 상기 스프 봉지에 포함되는 내용물의 함량을 확인하는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와 절단된 낱개 스프 봉지의 절단길이를 확인하는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불량 감지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정위치 판단단계는 상기 마크를 감지하는 마크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마크 신호와 스프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내용물 감지 신호의 간격을 스프 공급 롤러의 구동부에 마련된 엔코더에서 발생시킨 펄스 신호로 측정하여 마크 위치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불량 감지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함량 판단단계는 스프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센서에서 발생한 내용물 감지 신호의 길이를 스프공급 롤러의 구동부에 마련된 엔코더에서 발생시킨 펄스 신호로 측정하여 내용물 함량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스프 불량 감지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 절단 길이 판단단계는 스프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감지센서에서 발생시킨 스프 길이 신호의 길이를 절단 스프 공급 롤러의 구동부에 마련된 엔코더에서 발생시킨 펄스 신호로 측정하여 스프 절단 길이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불량 감지시스템.
KR1020050023513A 2005-03-22 2005-03-22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 KR10063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13A KR100639105B1 (ko) 2005-03-22 2005-03-22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13A KR100639105B1 (ko) 2005-03-22 2005-03-22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12A KR20060101912A (ko) 2006-09-27
KR100639105B1 true KR100639105B1 (ko) 2006-10-30

Family

ID=3763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513A KR100639105B1 (ko) 2005-03-22 2005-03-22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39B1 (ko) 2017-06-01 2018-06-01 주식회사 한국매크로 영상을 이용한 고속, 반복 길이 측정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872A (ko) * 1990-12-19 1992-07-25 천광찬 라면스프 포장기의 공스프 감지장치
JPH06134696A (ja) * 1992-10-23 1994-05-17 Toyo Eng Corp フィルム製連続包袋リボンのシ−ル部分検出方法
KR19980014243A (ko) * 1996-08-06 1998-05-25 김기태 필로우 자동포장기
KR100283698B1 (ko) * 1998-03-10 2001-06-01 이상윤 공포장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4051225A (ja) * 2002-05-31 2004-02-19 Nippon Seiki Co Ltd 充填包装袋の厚み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872A (ko) * 1990-12-19 1992-07-25 천광찬 라면스프 포장기의 공스프 감지장치
JPH06134696A (ja) * 1992-10-23 1994-05-17 Toyo Eng Corp フィルム製連続包袋リボンのシ−ル部分検出方法
KR19980014243A (ko) * 1996-08-06 1998-05-25 김기태 필로우 자동포장기
KR100283698B1 (ko) * 1998-03-10 2001-06-01 이상윤 공포장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4051225A (ja) * 2002-05-31 2004-02-19 Nippon Seiki Co Ltd 充填包装袋の厚み検出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836980000 *
101998001424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12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0763B1 (en) Defect detection device and bag packaging system equipped with defect detection device
EP2887056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packaging body
JP5152181B2 (ja) 粉体供給装置、粉体充填包装機および粉体包装体の製造方法
EP1440924B1 (en) An apparatus for detection of multiple documents in a document transport
JPH107290A (ja) 用紙スタックの高さを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639105B1 (ko) 스프의 불량 감지장치 및 시스템
JP4096112B2 (ja) ウェッブの位置合せ装置
CN213353975U (zh) 一种用于检测打码机构漏打码的监测系统
JP2002211798A (ja) 折り状態の精度を特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3086871A1 (en)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EP0709649B1 (en) Container inspection with diameter measurement
JP3175930U (ja) X線検査装置
US6744515B1 (en) Heat seal position measurement device for plastic film
CN108307616A (zh) 部件安装系统及部件安装方法以及修正值计算装置
US8139707B2 (en) Device for counting printed products of an imbricated stream of products
JPH05112335A (ja) 商品充填包装方法及び装置
JP5715521B2 (ja) 小袋切断装置および小袋供給装置
JP3712450B2 (ja) 欠品トレー検知装置
CN206827088U (zh) 一种基于plc控制的立式打贴码装置
JP2000061699A (ja) 回転式有核錠剤機
JP4892815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2003156438A (ja) 農産物非破壊品質判定装置
CN109573615B (zh) 一种传送装置及其检测方法和传送系统
US9358819B1 (en) Egg carton printer system and method of use
CN214729812U (zh) 一种具有称量功能的粉末产品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