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11B1 -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811B1
KR100638811B1 KR1020050038072A KR20050038072A KR100638811B1 KR 100638811 B1 KR100638811 B1 KR 100638811B1 KR 1020050038072 A KR1020050038072 A KR 1020050038072A KR 20050038072 A KR20050038072 A KR 20050038072A KR 100638811 B1 KR100638811 B1 KR 10063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water
dissolution
water tank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선
배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시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시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시라이프
Priority to KR102005003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8Transportable devices to obtain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용량이 크면서도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며 효율적으로 과포화 산소수를 생산할 수 있고 오랫동안 용존산소를 유지할 수 있는 산소수 제조장치. 산소수 제조장치는 수조에 담겨진 물을 순환시키면서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순환되는 물 흐름에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 믹서, 복수의 수직 용해관, 및 마찰용해관을 구비한다. 펌프는 수조의 토출구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된다. 믹서는 펌프에 연결되며,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기포 형태로 물 흐름 내에 분산시켜서 물/산소 혼합물을 생성한다. 복수의 수직 용해관은 믹서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이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를 구비하며, 직렬접속되어 있다. 마찰용해관은 소정의 보빈에 감겨져 있고, 입구가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 중 마지막 용해관의 하단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유체흐름 상으로 상기 수조에 접속되며,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산소수 제조장치는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클립이 복수개 쌍만큼 고정되어 있는 수직 패널에 상기 복수개 쌍의 클립에 끼워져 고정되며, 클립에 고정되는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이 보빈의 역할을 하게 되어, 마찰용해관이 복수의 수직 용해관에 감겨지게 된다.
산소수, 산소, 용해, 과포화, 정수기

Description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Superoxygenated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소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제1 내지 제4 용해관의 외측면에 마찰용해관이 감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용해관에서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조
12, 22, 38. 42, 52, 62, 72, 82: 연결호스
20: 순환펌프 30: 산소원
32: 산소 게이지 34: 노브
40: 믹서
50, 60, 70, 80: 용해관
90: 마찰용해관
본 발명은 액체에 기체를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화학적 촉매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물에 산소를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량의 물에 많은 양의 산소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해하는 것이 필요한 응용분야가 많이 있다. 예컨대, 산소가 호기성 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기 때문에, 산소를 물에 용해시키는 기법은 화학공장, 제지공장 및 이와 유사한 다른 종류의 공장에서의 수처리 분야에도 활용된다. 즉, 물에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박테리아가 오염을 야기하는 유기물질을 생분해하는 것을 촉진시켜 수처리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밖에도, 산소수는 양어장이나 수경재배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아울러, 용존산소가 풍부한 물을 마시는 것은 인체에도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산소수를 섭취하게 되면, 인체의 혈중산소농도가 증가되어 섭취자의 신진대사가 향상되고 여러 유익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운동선수는 폐기능 바이패스로 인해 맥박수를 증가시킴이 없이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근력과 지구력, 그리고 심계기능이 향상되고 피로회복이 촉진된다. 또한, 혈액중에 보강된 산소 중 일부는 대뇌에 공급되어 사고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산소는 공부하는 학생에게도 유용하다.
물에 산소를 용해시키는 가장 전형적인 방법은 산소가 풍부한 기체를 산기 등의 방법으로 물에 유입시켜 산소와 물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용해효율이 낮아서, 포화농도 가까이 산소를 용해시킬 수는 있지만 과포화가 요구되는 응용분야에는 적용될 수가 없다. 아울러, 용해된 산소가 쉽게 탈기된 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고농도 용존 산소수를 제조하고자 하는 응용분야에는 사실상 현실 적용이 불가능하다.
물속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종래의 다른 방법 중 하나는 밀폐된 용기에 물과 산소를 충진하고 가압된 상태에서 장시간 체류시켜 용해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견고한 탱크, 고양정 펌프 및 고압산소 탱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우며 산소수의 단위생산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정수기나 냉온수기와 같은 소규모 장치에서 식수에 산소를 용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피와 중량, 생산단가, 소음 등의 문제로 인해 적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정수기나 냉온수기와 같은 소규모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와 중량이 작으며 소음이 적으면서, 용존산소 농도가 높은 과포화 산소수를 제조할 수 있는 산소수 제조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량이 크면서도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며 효율적으로 과포화 산소수를 생산할 수 있고 오랫동안 용존산소를 유지할 수 있는 산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소수 제조장치는 수조에 담겨진 물을 순환시키면서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순환되는 물 흐름에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 믹서, 복수의 수직 용해관, 및 마찰용해관을 구비한다. 펌프는 상기 수조의 토출구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된다. 믹서는 펌프에 연결되며,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기포 형태로 물 흐름 내에 분산시켜서 물/산소 혼합물을 생성한다. 복수의 수직 용해관은 믹서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이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를 구비하며, 직렬접속되어 있다. 마찰용해관은 소정의 보빈에 감겨져 있고, 입구가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 중 마지막 용해관의 하단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유체흐름 상으로 상기 수조에 접속되며, 상기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산소수 제조장치는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클립이 복수개 쌍만큼 고정되어 있는 수직 패널에 상기 복수개 쌍의 클립에 끼워져 고정되며, 클립에 고정되는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이 보빈의 역할을 하게 되어, 마찰용해관이 복수의 수직 용해관에 감겨지게 된다.
상기 산소수 제조장치의 동작원리는 이론적으로 이중경막 이론에 의해 설명이 가능하다 (루이스 및 화이트 공저, Inc. Eng. Chem. 16호 1215쪽 (1924년) 참조). 이중경막이론에 따르면, 액체에서의 기체확산 속도를 나타내는 물질전달계수는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5023939285-pat00001
여기서, dm/dt는 물질전달계수, Kg는 기체의 확산계수, A는 기체가 이를 통해 확산되는 면적, Cs는 용액 중 기체의 포화농도, C는 용액 중 기체의 농도를 나타낸다. 위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물질전달속도는 액상물질과 기상물질의 접촉면 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물에 대한 산소의 용해도는 물과 산소기포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물과 접촉하는 산소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산소는 빨리 용해된다.
이와 같은 이론적 원리에 입각해서, 본 발명에 의한 산소수 제조장치는 가압된 상태에서 산소기포를 미세하게 분할시켜가는 한편으로 물과 산소기포간의 마찰을 유발함으로써, 물과 산소기포의 접촉면적을 크게 증가시키고 신속한 용해 및 과포화를 촉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산소수 제조장치는 냉온수기나 정수기와 같은 식수 제공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산소수 제조장치가 냉온수기나 정수기 내부에 설치되어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고, 냉온수기나 정수기 외부에 설치되어 냉온수기나 정수기로부터 물을 받아들여 이 물에 산소를 용해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냉온수기는 상부면에 생수통이 안착되는 상면덮개가 설치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일정량의 식수를 각각 저장하는 냉수조와 온수조가 장착되며, 냉수조의 외주연부에는 증발기 파이프가 설치되고, 온수조 하측에는 히터가 삽입, 설치되며, 생수조와 온수조가 각각의 연결 호스를 통해 전면부에 노출된 냉, 온수 취출구에 연통된다. 냉온수기는 상기 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산소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용해시키기 위하여, 펌프, 믹서, 복수의 수직 용해관, 및 마찰용해관을 구비한다. 펌프는 상기 수조의 토출구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된다. 믹서는 펌프에 연결되며,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기포 형태로 물 흐름 내에 분산시켜서 물/산소 혼합물을 생성한다. 복수의 수직 용해관은 믹서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 되어 있고, 각각이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를 구비하며, 직렬접속되어 있다. 마찰용해관은 소정의 보빈에 감겨져 있고, 입구가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 중 마지막 용해관의 하단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유체흐름 상으로 상기 수조에 접속되며, 상기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투입라인을 통해 투입되는 식수를 필터에 의해 정수하여 냉수조와 온수조에 저장하며, 냉수조의 외주연부에는 증발기 파이프가 설치되고, 온수조 하측에는 히터가 삽입, 설치되며, 생수조와 온수조가 각각의 연결 호스를 통해 전면부에 노출된 냉, 온수 취출구에 연통된다. 정수기는 상기 냉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산소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용해시키기 위하여, 펌프, 믹서, 복수의 수직 용해관, 및 마찰용해관을 구비한다. 펌프는 상기 수조의 토출구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된다. 믹서는 펌프에 연결되며,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기포 형태로 물 흐름 내에 분산시켜서 물/산소 혼합물을 생성한다. 복수의 수직 용해관은 믹서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이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를 구비하며, 직렬접속되어 있다. 마찰용해관은 소정의 보빈에 감겨져 있고, 입구가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 중 마지막 용해관의 하단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유체흐름 상으로 상기 수조에 접속되며, 상기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소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산소수 제조장치는 수조(10)에 담겨진 식수에 산소를 용해시켜 다시 수조(10)에 복 귀시키고 이러한 순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식수에 산소를 과포화시키는 장치로서, 순환펌프(20)와, 산소원(30)과, 믹서(40)와,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과, 마찰용해관(90)을 포함한다.
순환펌프(20)는 유입구가 제1 연결호스(12)를 통해 수조(10) 하단의 토출구에 접속되고 유출구가 제2 연결호스(22)를 통해 티형 접속구(40)에 접속되어 있어서, 수조(10)에 담겨진 식수를 믹서(40)와,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과, 마찰용해관(90)을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식수에 산소가 순환 용해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산소원(30)으로는 산소가 충진된 산소탱크가 사용된다. 산소탱크의 상단에는 산소 유량을 표시하기 위한 산소 게이지(32)와, 필요에 따라 산소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노브(34)가 설치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력스윙흡착 방식, 멤브레인 방식 또는 전기분해방식 산소발생장치 또는 여타 방식의 산소공급기가 산소원(20)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산소원(20)이 장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믹서(40)의 제1 입구는 제2 연결호스(22)를 통해 순환펌프(20)의 유출구에 접속되고, 제2 입구는 제3 연결호스(36)를 통해 산소원(30)에 접속되어 있어서, 산소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수조(10)로부터 공급되는 식수 내에 기포 형태로 분산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믹서(40)는 티형 접속구(Tee Fitting)에 의해 구현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믹서(40)가 벤추리형 인젝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3 연결호스(36)를 통해 산소나 식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 연결호스(36) 중간에는 체크밸브(38)가 설치된다.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 각각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입구와 출구가 마련된 원통형 관 형태로 되어 있다. 각 용해관(50~80)의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에는 연결호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엘보우 피팅(Elbow Fitting)이 부착된다. 제1 용해관(50)의 상단 입구는 제4 연결호스(42)를 통해 믹서(40)의 출구에 접속되고, 제2 용해관(60)의 상단 입구는 제5 연결호스(52)를 통해 제1 용해관(50)의 하단 출구에 접속되며, 제3 용해관(70)의 상단 입구는 제6 연결호스(62)를 통해 제2 용해관(60)의 하단 출구에 접속되고, 제4 용해관(80)의 상단 입구는 제7 연결호스(72)를 통해 제3 용해관(70)의 하단 출구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접속되는 용해관들(50~80)은 제4 연결호스(42)를 통해 유입되는 식수/산소 혼합물 내에 기포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산소를 식수 내에 과포화 수준으로 용해시킨다.
제4 용해관(40)의 하단 출구는 마찰용해관(90)을 통해 수조(10)의 반환구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용해관(90)은 나일론 또는 여타의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으며, 8~40 미터(m)의 길이를 갖는다. 마찰용해관(90)은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의 외측면에 감겨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마찰용해관(90)은 제4 용해관(90)으로부터 받아들인 식수/산소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켜 대부분의 잔류산소 기포가 식수에 용해되도록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식수의 산소용해도를 증가시킨다. 마찰용해관(90)의 출구는 수조(10)에 접속되며, 이에 따라 마찰용해관(90)에 의해 잔류산소가 용해된 산소수는 수조(10)로 복귀하게 된다.
도 2는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의 외측면에 마찰용해관(90)이 감겨진 상 태를 보여준다. 용해관 설치를 위한 수직 패널(100)에는 8개의 클립(110~142)이 나사에 의해 체결, 부착되어 있으며, 각 용해관은 상하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클립에 의해 수직 패널(100) 측면에 고정된다. 예컨대 제1 용해관(50)은 제1 및 제2 클립(110, 112)에 외측면을 끼움으로써 고정되고, 제2 용해관(60)은 제3 및 제4 클립에 외측면을 끼움으로써 고정되며, 제3 용해관(70)은 제5 및 제6 클립에 외측면을 끼움으로써 고정되고, 제4 용해관(80)은 제7 및 제8 클립(140, 142)에 외측면을 끼움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찰용해관(90)은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의 외측면에 감져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과 마찰용해관(90)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 패널(100)은 냉온수기나 정수기와 같은 응용장치의 하우징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산소수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수조(10)에 담겨진 식수는 순환펌프(20)의 입구로 공급된 후 가압되어 제2 연결호스(22)를 통해 믹서(40)에 공급된다. 산소원(3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는 믹서(40)에서 물과 혼합된다. 믹서(40)에 의해 혼합된 식수와 산소의 혼합물은 제4 연결호스(42)를 통해 제1 용해관(50) 상단 입구에 공급된다.
제1 용해관(50) 상단 입구에 공급된 식수/산소 혼합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해관(50) 내부에서 중력으로 인해 하방으로 분산낙찰된다. 분산낙찰되는 식수/산소 혼합물은 혼합물 수면과 충돌하고, 이로 인해 제1 용해관(50) 하측에 있는 식수/산소 혼합물에는 다량의 작은 기포가 생성된다. 제1 용해관(50) 내에서 난류 상태 식수/산소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기포들 중 일부는 부력으로 인해 상방으로 부상하여 제1 용해관(50) 상측에 고이게 되는데, 가압된 상태에 있는 하측의 식수/산소 혼합물은 이처럼 고여 있는 산소에 내부적으로 폭기되어 식수에 보다 많은 산소가 용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측으로 부상하여 고이는 일부 기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포들을 포함한 혼합물은 제1 용해관(50) 내에서의 하향 내압으로 인해 하방으로 흘러내려간다. 상방으로 부상하는 기포들은 하향 혼합물 흐름과 충돌하면서 보다 작은 기포들로 분할되고, 하향 혼합물 흐름에 의해 다시 하측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하향 혼합물 흐름 내에 있는 기포의 일부는 하단 출구에 도달하기 전에 부력에 의하여 다시 상방으로 부상할 수 있지만, 혼합물 흐름과의 충돌로 인해 하측으로 휩쓸려내려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랜덤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랜덤하고 반복적인 운동을 통해, 혼합물 내에 있는 기포들은 미세기포로 쪼개지고, 물속에 물리적으로 강제용해되는 산소가 증가하면서 물의 용존산소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용해관(50)은 크기가 큰 산소기포가 보다 작은 크기의 기포들로 쪼개지도록 함과 아울러, 산소가 혼합물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서 그 동안 산소가 혼합물에 최대한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미세 기포를 함유하는 식수/산소 혼합물은 제1 용해관(50) 내에서의 하향 내압으로 인해 제1 용해관(50)의 하단 출구를 빠져나가 제5 연결호스(52)를 통해 제2 용해관(60) 상단 입구에 공급되어, 보다 많은 산소가 제2 용해관(60)에서 식수에 용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용해관(60)에서의 유체 흐름과 산소 용해 과정은 제1 용해관(50)에서와 유사하다. 즉, 제2 용해관(60) 상단 입구에 공급된 식수/산소 혼합물은 제2 용해관(60) 내부에서 중력으로 인해 하방으로 분산낙찰된다. 분산낙찰되는 식수/산소 혼합물은 혼합물 수면과 충돌하고, 이로 인해 제2 용해관(60) 하측에 있는 식수/산소 혼합물에는 다량의 작은 기포가 생성된다. 제2 용해관(60) 내에서 난류 상태 식수/산소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기포들 중 일부는 부력으로 인해 상방으로 부상하여 제2 용해관(60) 상측에 고이게 되는데, 가압된 상태에 있는 하측의 식수/산소 혼합물은 이처럼 고여 있는 산소에 내부적으로 폭기되어 식수에 보다 많은 산소가 용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측으로 부상하여 고이는 일부 기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포들을 포함한 혼합물은 제2 용해관(60) 내에서의 하향 내압으로 인해 하방으로 흘러내려간다. 상방으로 부상하는 기포들은 하향 혼합물 흐름과 충돌하면서 보다 작은 기포들로 분할되고, 하향 혼합물 흐름에 의해 다시 하측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하향 혼합물 흐름 내에 있는 기포의 일부는 하단 출구에 도달하기 전에 부력에 의하여 다시 상방으로 부상할 수 있지만, 혼합물 흐름과의 충돌로 인해 상당수는 더 미세한 기포로 쪼개어져 하측으로 휩쓸려내려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랜덤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랜덤하고 반복적인 운동을 통해, 혼합물 내에 있는 기포들은 초미세기포로 쪼개지고, 물속에 물리적으로 강제용해되는 산소가 증가하면서 물의 용존산소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미세 기포를 함유하는 식수/산소 혼합물은 제2 용해관(60) 내에서의 하향 내압으로 인해 제2 용해관(60)의 하단 출구를 빠져나가 제6 연결호스(62)를 통해 제3 용해관(70) 상단 입구에 공 급되어, 보다 많은 산소가 제3 용해관(70)에서 식수에 용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3 용해관(70) 및 제4 용해관(80)에서의 유체 흐름과 산소 용해 과정은 제1 및 제2 용해관(50, 60)에서와 유사하다. 즉,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에서 식수/산소 혼합물에 있는 산소 기포들은 초미세기포로 쪼개지고 기포들과 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물속에 용해되는 산소가 증가하면서 물의 용존산소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제4 용해관(80)을 통과한 물/미세산소기포 혼합물은 마찰용해관(90)에 공급되는데, 이 마찰용해관(90)는 물/산소 혼합물에 포함된 잔류산소 기포가 물에 철저히 용해되도록 하게 된다. 다수의 곡선부를 구비한 마찰용해관(90)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마찰용해관(90) 내부를 흐르는 물/산소 혼합물에는 난류가 형성되는데, 이 난류는 물/산소 혼합물에 포함된 대부분의 잔류산소 기포가 물에 강제용해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을 통과한 물/산소 혼합물에 포함된 대부분의 잔류산소 기포는 마찰용해관(90)에서 물에 용해될 수 있게 된다.
마찰용해관(90)에서 거의 완전하게 산소가 용해된 산소수는 수조(10)로 복귀하여 수조(10)에 담겨져 있는 물과 혼합된다. 이후, 수조(10)에 담겨져 있는 산소수는 다시 순환펌프(20)에 의해 믹서(40)에 공급되어 믹서(40)와 제1 내지 제4 용해관(50~80)과 마찰용해관(90)에 의해 용존산소가 보다 풍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산수수 재순환 과정은 의도하는 용존산소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의 산소수 제조장치는 중량과 부피가 작기 때문에, 정수기나 냉온수기와 같은 장치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생수통이 안착되는 상면덮개가 설치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일정량의 식수를 각각 저장하는 냉수조와 온수조가 장착되며, 냉수조의 외주연부에는 증발기 파이프가 설치되고, 온수조 하측에는 히터가 삽입, 설치되며, 생수조와 온수조는 각각의 연결 호스를 통해 전면부에 노출된 냉, 온수 취출구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온수기에 있어서, 냉수조에 제1 연결호스(12) 및 마찰용해관(90)을 연결하고, 수조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냉온수기 내부공간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산소수 발생장치를 냉온수기에 적용하여 과포화 산소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온수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냉온수기에 있어서, 산소수 발생장치는 냉온수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또는 사용자가 냉수나 온수를 취출하는 중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냉수조에 담겨진 냉수를 순환시키면서 산소를 용해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냉온수기의 구성은 이상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종래의 냉온수기에 관한 문헌,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202612호 기재내용을 토대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정수기는 생수통 안착 구조가 없고 식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부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냉온수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냉온수기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정수기 수조에 제1 연결호스(12) 및 마찰용해관(90)을 연결하고, 수조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정수기 내부공간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산소수 발생장치를 정수기에 적용하여 과포화 산소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의 구성은 이상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종래의 정수기에 관한 문헌, 예컨대 등록실용신안공보 273318호 기재내용을 토대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과포화된 산소가 산소수로부터 기화됨으로 인해 수조(10) 내에 축적되는 과잉 산소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수조(10)에 추가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의 설명에서는 산소용해장치가 계속적으로 수조에 담겨진 식수를 순환시키면서 산소를 용해시키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수조에 용존산소 센서를 설치하고 용존산소농도가 원하는 일정수준 농도 예컨대 90 ppm 이나 120 ppm에 도달하면 산소발생장치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소수 제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으며 저렴한 가격에 제작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과포화 산소수를 생산할 수 있고 오랫동안 용존산소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존산소량에 따라 산소용해 사이클이 필요한 만큼 반복된 후 대기상태에 있도록 제어가 되기 때문에 운전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기화학적 촉매나 첨가체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물에 산소를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차적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산소수는 음용으로 사용되거나, 양어장 또는 수경재배 등에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대기압하의 개방된 수조에 담겨진 다량의 물에 순환식으로 산소를 용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는 공장에서의 수처리 분야에도 활용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수조에 담겨진 물에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용해시키기 위한 산소수 제조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토출구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기포 형태로 물 흐름 내에 분산시켜서 물/산소 혼합물을 생성하는 믹서;
    상기 믹서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이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를 구비하며, 직렬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용해관; 및
    소정의 보빈에 감겨져 있고, 입구가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 중 마지막 용해관의 하단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유체흐름 상으로 상기 수조에 접속되며, 상기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키는 마찰용해관;
    을 구비하는 산소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클립이 복수개 쌍만큼 고정되어 있는 수직 패널;
    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은 상기 복수개 쌍의 클립에 끼워져 고정되는 산소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보빈이 상기 수직 패널 상의 클립에 고정되는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이어서, 상기 마찰용해관이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에 감겨져 있는 산소수 제조장치.
  4. 상부면에 생수통이 안착되는 상면덮개가 설치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일정량의 식수를 각각 저장하는 냉수조와 온수조가 장착되며, 냉수조의 외주연부에는 증발기 파이프가 설치되고, 온수조 하측에는 히터가 삽입, 설치되며, 생수조와 온수조가 각각의 연결 호스를 통해 전면부에 노출된 냉, 온수 취출구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원;
    상기 냉수조의 토출구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기포 형태로 물 흐름 내에 분산시켜서 물/산소 혼합물을 생성하는 믹서;
    상기 믹서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이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를 구비하며, 직렬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용해관; 및
    소정의 보빈에 감겨져 있고, 입구가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 중 마지막 용해관의 하단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유체흐름 상으로 상기 수조에 접속되며, 상기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키는 마찰용해관;
    을 구비하는 냉온수기.
  5. 원수투입라인을 통해 투입되는 식수를 필터에 의해 정수하여 냉수조와 온수조에 저장하며, 냉수조의 외주연부에는 증발기 파이프가 설치되고, 온수조 하측에는 히터가 삽입, 설치되며, 생수조와 온수조가 각각의 연결 호스를 통해 전면부에 노출된 냉, 온수 취출구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는 정수기에 있어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원;
    상기 냉수조의 토출구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를 기포 형태로 물 흐름 내에 분산시켜서 물/산소 혼합물을 생성하는 믹서;
    상기 믹서에 유체흐름 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이 상단 입구와 하단 출구를 구비하며, 직렬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용해관; 및
    소정의 보빈에 감겨져 있고, 입구가 상기 복수의 수직 용해관 중 마지막 용해관의 하단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유체흐름 상으로 상기 수조에 접속되며, 상기 혼합물에 난류를 생성시키는 마찰용해관;
    을 구비하는 정수기.
KR1020050038072A 2005-05-06 2005-05-06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KR10063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72A KR100638811B1 (ko) 2005-05-06 2005-05-06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72A KR100638811B1 (ko) 2005-05-06 2005-05-06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811B1 true KR100638811B1 (ko) 2006-10-25

Family

ID=3762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72A KR100638811B1 (ko) 2005-05-06 2005-05-06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8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7958A1 (en) * 2006-10-18 2008-04-24 Jung Seon Cho Device for dissolving oxygen into water and apparatus for making superoxygenated water employing the same
KR101033664B1 (ko) 2010-09-14 2011-05-12 윤미자 수조용 산소용해기
KR200453691Y1 (ko) 2010-03-17 2011-05-23 양승해 산소수 제조장치
KR101060526B1 (ko) 2010-09-13 2011-08-30 윤미자 산소용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88Y1 (ko) 2002-09-16 2003-03-03 조정선 고농도 산소수 용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88Y1 (ko) 2002-09-16 2003-03-03 조정선 고농도 산소수 용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7958A1 (en) * 2006-10-18 2008-04-24 Jung Seon Cho Device for dissolving oxygen into water and apparatus for making superoxygenated water employing the same
KR200453691Y1 (ko) 2010-03-17 2011-05-23 양승해 산소수 제조장치
KR101060526B1 (ko) 2010-09-13 2011-08-30 윤미자 산소용해기
KR101033664B1 (ko) 2010-09-14 2011-05-12 윤미자 수조용 산소용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799B1 (ko) 산소용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TW482744B (en) Process for enriching a liquid with oxygen and apparatus for enriching a liquid with oxygen to an oxygen concentration of at least 40 mg/l.
KR100638812B1 (ko)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CN101721929B (zh) 含纳米气泡液体制作装置以及含纳米气泡液体制作方法
US7422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water dispensed from a water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US20230373825A1 (en) Device for dissolving gas in liquid
WO2005115598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solving gases in liquids
US10392279B2 (en) Eductor-based membrane bioreactor
KR100638811B1 (ko) 과포화 산소수 제조장치
JP7218016B2 (ja) 微細気泡形成装置
CN101014543A (zh) 用来制备氧溶解度有所提高的水的方法和装置
US20110049032A1 (en) Device for dissolving oxygen into water and apparatus for making superoxygenated water employing the same
US7802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of two fluids
JP2011218343A (ja) 気液混合用のノズル、気液混合機構およびその用途
CN101578238B (zh) 具有文氏管配给装置的重力式水净化设备
WO2008083896A1 (en) Gravity-f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ith venturi dosing device
CN102173499B (zh) 将氧溶解到水中的装置和采用该装置制造过充氧水的设备
CN208717080U (zh) 一种复式涡流气浮结合pva固化微生物废水处理设备
CN203238082U (zh) 一种曝气搅拌消毒装置
KR100968752B1 (ko) 멀티폭기교반기기
KR100942531B1 (ko) 산소수 제조장치
CN215403150U (zh) 一种污水处理设备的混药装置
CN201179427Y (zh) 混合装置
AU730780B2 (en) Oxygenating apparatus, method for oxygenating water therewith, and applications thereof
CN2628542Y (zh) 混氧活化电解臭氧水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