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689B1 -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689B1
KR100638689B1 KR1019990059280A KR19990059280A KR100638689B1 KR 100638689 B1 KR100638689 B1 KR 100638689B1 KR 1019990059280 A KR1019990059280 A KR 1019990059280A KR 19990059280 A KR19990059280 A KR 19990059280A KR 100638689 B1 KR100638689 B1 KR 10063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ubber pad
elastic member
adjusting
ro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208A (ko
Inventor
정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19990059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6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5Mechanical mounting details of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는 회전축과 고무패드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가 불일정하므로 마찰력이 커서 뻑뻑하게 회전되거나, 마찰력이 작아서 헐겁게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조절수단과 고무패드를 주요요소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축과 고무패드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의 제조시 발생되는 제조오차 및 각종 치수관리상의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회전축과 고무패드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회전각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ADJUSTING DEVICE FOR ROTATING ANGLE OF DISPLAY}
도 1은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비디오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디스플레이 회전각 조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는 종래 디스플레이 회전각 조정장치의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각 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각 조정장치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회전각 조정장치 21 : 고무패드
21a: 요입홈 21b: 고정돌기
22 : 조절나사 22a: 조절공
23 : 안착판 23a: 걸림턱
23b: 걸이구 24 : 탄성부재
25 : 커버 25a: 결합공
26 : 고정볼트 27 : 나사공
28 : 지지편 30 : 마찰조절수단
40 : 탄성부재고정수단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회전축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회전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임의의 각도로 회전된 디스플레이를 안정되고,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비디오폰의 사시도로서, 상기 비디오폰은 조작부 및 송수화기가 구비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와 연결되어 그 내측에 엘시디(2a)가 내장되어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어 개폐되는 디스플레이(2)로 구성된다.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회전각 조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결합상태의 측단면도로서, 종래의 회전각 조정장치(10)는 상기 디스플레이(2)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어 회전시 회전중심을 이루는 두개의 원통형 회전축(2b)과, 상기 각 회전축(2b)의 외면에 접촉되어 마찰되는 만곡형상의 요입홈(11a)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상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신축성 고무패드(11)와, 상기 각 고무패드(11)의 양측을 지지토록 본체(1)의 상면 일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편(12)과, 상기 회전축(2b)의 결합부 상부를 덮으며 하부의 본체(1)와 볼트(14)로 결합되는 반원통형 커버(13)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3a는 상기 볼트(14)가 관통되는 결합공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2)의 하측에 위치되는 회전축(2b)을 상기 고무패드(11)의 요입홈(11a)에 안착시켜 마찰을 위한 접촉을 하고, 상기 커버(13)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13a)과 나사공(15)을 일치시키며 상기 회전축(2b)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볼트(14)로 고정시켜 상기 회전축(2b)과 고무패드(11)를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고무패드(11)는 고무재질 또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적용되므로 상기 볼트(14)를 조임에 따라서 변형되어 상기 회전축(2b)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되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회전축(2b)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임의의 회전각도에서도 중력을 상쇄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무패드(11)의 제작시 그 높이나 요입홈(11a)의 형상치수를 일정한 값으로 관리하기 곤란하였으며, 반원통형의 상기 커버(13)를 상기 회전축(2b)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마찰력이 발생되는 위치인 상기 회전축(2b)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볼트(14)로 고정시키므로 상기 회전축(2b)과 고무패드(11)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가 불일정하게 되어 일부의 디스플레이(2)는 마찰력이 커서 뻑뻑하게 회전되고, 다른 디스플레이(2)는 마찰력이 작아서 헐겁게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회전축과 고무패드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임의의 회전각에서도 중력을 상쇄시키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의 양단 하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용 회전축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하부를 가압하여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마찰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조절수단은 상기 본체를 조절나사로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패드와 마찰조절수단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부재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고정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토록 상기 고무패드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상부에는 걸이구가 형성된 안착판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토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25)의 양단 하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2)용 회전축(2b)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무패드(21)와, 상기 고무패드(21)의 하부를 가압하여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마찰조절수단(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조절수단(30)은 상기 본체(1)를 조절나사(22)로 관통하여 상하 로 이동된다.
상기 고무패드(21)와 마찰조절수단(3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4)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부재(24)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부재고정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고정수단(40)은 상기 탄성부재(24)의 일측을 고정토록 상기 고무패드(21)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1b)와, 상기 탄성부재(24)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상부에는 걸이구(23b)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나사(22)와 접촉되는 하부의 외주에는 걸림턱(23a)이 형성된 안착판(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패드(21)는 상기 각 회전축(2b)의 외면과 접촉되는 상단에 만곡형상의 요입홈(21a)이 형성된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각 고무패드(21)를 지지토록 그 양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지지편(28)이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5a는 상기 볼트(26)가 관통되는 결합공이고, 27은 상기 볼트(26)가 체결되는 나사공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2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2)와 결합되는 상기 본체(1)에 상기 마찰조절수단(30)인 조절나사(22)를 암나사로 이루어진 조절공(22a)을 하측에서 상부로 관통시키고, 상기 조절나사(22)의 상부에는 그 외주에 걸림턱(23a)이 형성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원판형의 안착판(23)이 위치된다.
상기 마찰조절수단(30)의 상부에는 중간에 구비된 탄성부재(24)의 이탈을 방 지하며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고정수단(40)이 구비되는 바, 상기 탄성부재(24)의 상단은 상기 고무패드(21)에 돌출된 고정돌기(21b)와 결합되고, 그 하단은 상기 안착판(23)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걸이구(23b)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드(21)의 양측에는 지지편(2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2)의 하측에 위치되는 회전축(2b)을 상기 고무패드(21)의 요입홈(21a)에 안착시켜 마찰을 위한 접촉을 하고, 상기 커버(25)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25a)과 나사공(27)을 일치시키며 상기 회전축(2b)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볼트(26)로 고정시켜 상기 회전축(2b)과 고무패드(21)를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고무패드(21)는 종래와 동일하게 고무재질 또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적용되므로 요입홈(21a)이 변형되어 상기 회전축(2b)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상기 회전축(2b)과 고무패드(21)와의 마찰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마찰조절수단(30)의 조절나사(22)를 조여서 상기 안착판(23)과 스프링(24)을 상향으로 이동시켜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마찰력이 과도할 경우에는 상기 조절나사(22)를 풀어서 상기 안착판(23)과 스프링(24)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최적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회전축(2b)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임의의 회전각에서도 헐거워짐이나 과도한 조임없이 중력을 상쇄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는 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조절수단과 고무패드를 주요요소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축과 고무패드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의 제조시 발생되는 제조오차 및 각종 치수관리상의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회전축과 고무패드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회전각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의 양단 하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용 회전축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하부를 가압하여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마찰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조절수단은 상기 본체를 조절나사로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와 마찰조절수단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부재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고정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토록 상기 고무패드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상부에는 걸이구가 형성된 안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KR1019990059280A 1999-12-20 1999-12-20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KR10063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280A KR100638689B1 (ko) 1999-12-20 1999-12-20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280A KR100638689B1 (ko) 1999-12-20 1999-12-20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208A KR20010057208A (ko) 2001-07-04
KR100638689B1 true KR100638689B1 (ko) 2006-10-27

Family

ID=1962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280A KR100638689B1 (ko) 1999-12-20 1999-12-20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6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208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272B1 (en) Hinge device for use in electric equipment
EP0221132B1 (en) Tilt and rotate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ructure
KR100364732B1 (ko) Lcd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KR200171619Y1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US20030172497A1 (en) Hinge device for use in electric equipment
KR20030065955A (ko)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구조
KR100638689B1 (ko) 디스플레이의 회전각 조정장치
JP4883854B2 (ja) 回転スタンド
CA1328651C (en) Tilt and swivel mechanism
US20090201661A1 (en)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KR100357128B1 (ko) 영상표시기기의 모니터 받침대
US20030172496A1 (en) Hinge device for use in electric equipment
KR200180209Y1 (ko) 평판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JPH11303850A (ja) チルトヒンジ
KR200270429Y1 (ko) 힌지장치
JP3971545B2 (ja) スキャナ保持装置
KR900011358Y1 (ko) 모니터와 tv의 경사 및 회전 조절장치
JP3097542U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台座構造
KR0185094B1 (ko) 냉장고 운반용 손잡이조립체
JPH0229358Y2 (ko)
KR200145801Y1 (ko) 모니터의 경사회전조절장치
KR200205287Y1 (ko) 모니터 방향조절장치
KR0117457Y1 (ko) 세탁기의 수평조절다리
JP3418973B2 (ja) 受け枠の高さ調整装置
KR100328660B1 (ko) 씨디 체인저의 트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