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86B1 -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86B1
KR100638486B1 KR1020050067539A KR20050067539A KR100638486B1 KR 100638486 B1 KR100638486 B1 KR 100638486B1 KR 1020050067539 A KR1020050067539 A KR 1020050067539A KR 20050067539 A KR20050067539 A KR 20050067539A KR 100638486 B1 KR100638486 B1 KR 10063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transformer
power saving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527A (ko
Inventor
서순종
Original Assignee
서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종 filed Critical 서순종
Priority to KR102005006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4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가변용 트랜스포머와 전류 트랜스포머를 설치하여 전압제어에 의한 절전과 동시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은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탭이 변경되어 입력전압을 가변하는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 상기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에 의해 가변된 입력전압으로 인하여 흐르는 전류를 일정한 전류비에 의해 낮추는 전류 트랜스포머;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정상전류일 때, 온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과전류일 때, 온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의 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부하에 전달하고, 상기 전류의 양을 판독 가능하게 하는 CT(계기용 변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파 차단, 절전 제어

Description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The power saving control system intercepting a electromagnetic wave}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의 제어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에 사용된 TRIAC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가변용 트랜스포머와 전류 트랜스포머를 설치하여 전압제어에 의한 절전과 동시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나 방전등 및 형광등과 같이 전기를 동력이나 조명으로 이용하는 기기는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들을 초기에 스타트시킬때에는 비교적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고, 부하가 작동된 후에는 부하의 효율범위 또는 입력전압의 허용범위 내에서 전압을 가감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초기 점등시에는 고전압이나 저전압이 입력되어 기기의 효율이 저하되고, 부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력제어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97-0015239)가 있다. 이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코일의 입력전압에 따라 복수 개의 트리거(trigger) 신호를 발생하여 전류코일의 자속을 감지시키기 위하여 결합된 자속쇄교코일의 권선수를 스위칭하는 복수 개의 TRIAC의 게이트에 공급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96-0061136)에도 실내의 조명을 위한 전원의 효율 및 역률을 개선하고, 입력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출력함으로써 조명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절전제어장치 및 절전제어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어장치들은 본 발명과 같이 전자파 간섭현상을 차단하는 기능과 CPU에 절전기능을 메모리화하여 정밀제어하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압가변용 트랜스포머와 전류 트랜스포머를 설치하여 전압제어에 의한 절전과 동시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가변용 트랜스포머와 전류 트랜스포머를 설치하여 전압제어에 의한 절전과 동시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은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탭이 변경되어 입력전압을 가변하는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 상기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에 의해 가변된 입력전압으로 인하여 흐르는 전류를 일정한 전류비에 의해 낮추는 전류 트랜스포머;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정상전류일 때, 온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과전류일 때, 온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의 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부하에 전달하고, 상기 전류의 양을 판독 가능하게 하는 CT(계기용 변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은 입력되는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동시키는 전압 변동부(21), 상기 전압 변동부(21)의 변동하는 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하는 정전압 처리부(24), 상기 정전압 처리부(24)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아 부하(26a, 26b)에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는 출력 제어부(25), 상기 정전압 처리부(24)의 출력단에 과부하가 걸릴 때에 출력을 부하(26a, 26b)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바이패스(bypass) 처리부(41), 입력전압과 출력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 상기 감지수단(3)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압과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파악하여 상기 전압 변동부(21)의 전압 변동율을 제어하고, 부하(26a, 26b)에 전기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 및 상기 제어부(1)에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해 주는 디스플레이(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전압 처리부(24)는 다수의 탭으로 이루어진 전압 트랜스포머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시키는 것으로서 보통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지수단(3)은 다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압 변동부(21)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입력전압 센서(31), 상기 정전압 처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출력전류 센서(32), 상기 정전압 처리부(2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출력전압 센서(33), 상기한 다수의 센서(31∼33)들의 출력을 증폭해 출력하는 다수의 앰프(34∼36),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한 제어부로 입력해 주는 셀렉터(37) 및 상기 셀렉터(37)의 출력을 입력받아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38)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 처리부(41)와 출력 제어부(25)는 제어부(1)의 제어를 받아 작동하는 릴레이 드라이버(42, 43)에 의하여 연결 또는 차단되는 제어를 받게 된다.
전원 공급부(10)는 상기한 구성 요소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산하여 공 급해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의 제어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의 제어원리는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100), 전류 트랜스포머(200), 제1스위치(300), 제2스위치(400) 및 CT(500)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100)는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탭이 변경되어 입력전압을 가변한다. 상기 탭은 다수의 탭으로 이루어지는데, 5개의 탭(100a, 100b, 100c, 100d, 100e)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220V, 176V, 132V, 88V 및 44V와 같이 5단계로 구성되어 220V보다 낮은 입력전압의 단계에서도 무부하시에는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220V로 복귀한다. 상기 스위칭 소자로는 양방향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TRIAC(600)이 사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100)를 사용하여 전압을 가변하는 이유는 조명등과 같은 부하를 점등시킬 경우에 점등 후 일정시간(수 초~수 분) 동안은 220V로 전압을 공급하고, 그 이후는 이보다 낮은 전압을 공급하여 절전을 하기 위한 것이다.
외국 및 국내의 전기공급 규정에 의하면, 전기 사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정격전압에서 ±6%의 전압 허용범위를 정하여 전압을 공급한다. 220V의 경우에 207~233V 범위의 전압을 각 수용가에 공급을 하고 있으며, 이는 전압강하를 고려한 송전방식으로 전선에서 손실되는 선로저항을 고려하여 220V보다 높은 전압을 송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압을 최상의 조건으로 하여 자동 조절하여 과전압을 제어하여 효과적인 절전이 실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절전기의 특성 중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트랜스포머 코어를 고투자율의 자성재료를 사용해 고조파를 저감시켜 열 발생을 억제시키고, 자체 손실을 최소화하며, 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제품의 중량 및 원가를 줄일 수 있는 고효율의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였다.
외국 및 국내의 경우에 전력난 해소를 위하여 전기 전자제품에 대한 대기전력의 규제가 점차 강화되는 현실에서 절전기 자체의 소비전력의 주원인인 트랜스포머 자체의 소비전력의 최소화가 요구되었다. 트랜스포머 철심으로 사용되는 코어에는 교류전기장과 자기장이 계속 가해져서 이런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재료는 자기이력과 와전류 손실의 최소화에 기초하여야 한다. 교류 자기장에 의해 와전류가 흐르게되면 저항열에 의한 전력손실은
Figure 112005040546097-pat00001
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의 철심의 저항을 최대로 하여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자기이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포머의 코어를 고투자율 연자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절전장치에 무부하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조파로 인한 전력손실을 방지하는 고효율의 트랜스포머를 사용한다.
절전제어 시스템의 주요원리는 전력회사에서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전압을 정격전압 207~233V의 범위에서 자동조절하여 절전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절전기는 대전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품의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압을 가변하는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입력전압 변동시 신속하게 과전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CPU에 의한 고속신호처리를 하여 안정적인 전압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연속적인 탭 변경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어브서버(absorber) 회로를 내장하였다.
또한, 과전압으로 인한 전기제품의 고장 및 수명보호를 위한 방법으로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른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정전압과의 ±3V 허용범위를 갖는 기능을 내장하였으며, 이는 전압변동없이 일정하게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조명 및 동력부하에 역률을 증대시켜 양질의 전압을 부하에 공급함에 있다.
절전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품 내부의 트랜스포머로 인하여 전자파(자기장)가 매우 강하게 발생된다. 이것을 HI3604 측정기로 확인해보면 150mG~550mG까지의 전자파 자기장이 발생되며, 전자파의 자기장은 전류에 비례하여 발생하므로 이를 차단하여 절전기 내부에 장착된 PCB 전자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절전기 설치로 인한 자기장의 발생으로 인한 주변 정밀기기 및 모니터 화면 떨림 현상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트랜스포머를 투자율과 자속밀도, 보자력이 각각 다른 2~3종류의 자성재료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씌우는 방식으로 적용하여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단하여 기존 절전기의 단점인 EMI(Electromagnectic Interference) 현상을 차단하여 절전기 설치로 인한 주변 기기의 장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절전기의 기능을 CPU에 메모리화하여 입력전압 표시, 출력전압 표시, 정전압 출력전류, 표시 과부하 차단전류 설정, 무부하 손실 차단복귀 및 고장표시 기능을 내장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하게 하여 고장 및 A/S를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이 편리하도록 설계된 절전제어 시스템이다.
부하의 배전계통에서 UPS(무정전공급전원장치), 모터, 정류기, 인버터 및 조명등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고조파로 인하여 변압기의 과열 및 정상적인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전기기기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TVSS 회로에 의한 과도 써지 전압제어 및 능동적인 고정밀 노이즈 필터를 입력 및 출력부에 장착하여 고조파를 제거하여 전기사용의 효율을 개선하여 전기제품 고장방지 및 수명을 보호하도록 내장함으로써 근본적으로 EMI 현상을 제거하였다.
전류 트랜스포머(200)는 상기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에 의해 가변된 입력전압으로 인하여 흐르는 전류를 일정한 전류비에 의해 낮춘다.
제1스위치(300)는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정상전류일 때, 온된다. 즉, 평상시에 온되는 스위치이다. 이때, 제2스위치는 오프되어 있다.
제2스위치(400)는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과전류일 때, 온된다. 즉, 입력전압의 불균형 등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온되는 스위치로서 전류를 바이패스하여 흐르게 한다. 이때, 제1스위치는 오프되어 있다.
제1스위치(300)와 제2스위치(400)는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어 어떤 순간에 하나의 스위치만이 온되도록 되어 있다.
CT(500)는 상기 제1스위치(300) 또는 제2스위치(400)의 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일정한 전류비로 낮추어 부하에 전달한다. 입력전압의 불균형으로 인한 과전류 발생시 CT 전류를 이용하여 메모리 기능에 의한 초고속 전자 바이패스로 전환하여 절전기와 부하를 동시에 보호하며 과부하 해제시 메모리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절전상태로 복귀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기존의 절전장치는 전기공급원의 주메인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절전 실행상태에서 사용자의 대부분이 업무종료 후, 부하측의 조명부하를 비롯하여 동력 전기제품의 스위치를 직접 오프함으로써 전압 트랜스포머에서 제어된 상태의 전압이 전류용 트랜스포머에 공급되어 제품 자체의 소비전력이 2~3배로 증가한 상태에서 1일 평균 12시간을 절전기가 무부하 상태로 운전되고 있다. 이는 전력절감을 방해하는 주원인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 절전기 제품의 최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CT 전류를 감지하여 절전상태의 전압 트랜스포머의 스위칭 구간을 최초의 정격입력전압 스위칭 구간으로 자동전환시켜 전류용 트랜스포머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무부하 운전시 발생되는 제품자체의 손실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하는 기능이며, 사용자가 부하 스위치를 온시에도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절전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에 사용된 TRIAC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IAC는 역병렬로 접속된 2개의 SCR(실리콘 제어정류기)과 거의 같은 기능을 갖는 3단자 교류 스위치이다.
특성을 살펴보면 TRIAC는 SSS와 같지만 게이트가 있고, (+)이든(-)이든 어떤 극성의 게이트 신호라도 트리거(trigger)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회로가 간단하고 부품수도 적게드는 이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교류 전력제어에 적합한 소자라고 할 수가 있다. 전류가 T2에서 T1으로 흐를 때에는 화살표가 700을 나타내는 pnpn 스위치로 전류가 흐르고, 전류가 T1에서 T2로 흐를 때에는 화살표가 800을 나타내는 pnpn 스위치로 전류가 흐른다. 게이트 영역은 약간 복잡하나, 어떠한 게이트 바이어스에서도 트리거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본 업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고효율 트랜스포머를 사용함으로써 제품 자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전압을 가변하는 전압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전압제어에 의한 절전이 가능하다.
(3) 절전기에 정전압 기능을 내장하여 전압의 변동없이 일정하게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4) CT 전류를 이용하여 무부하시 제품 자체의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5)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단하여 전자파 간섭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6) CPU에 절전기의 기능을 메모리화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7) TVSS 회로를 사용하여 과도 서지전압을 제어하고, 능동적인 고정밀 노이즈 필터를 사용하여 고조파를 제거함으로써 전기사용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탭이 변경되어 입력전압을 가변하는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
    상기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에 의해 가변된 입력전압으로 인하여 흐르는 전류를 일정한 전류비에 의해 낮추는 전류 트랜스포머;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정상전류일 때, 온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에 의해 낮추어진 전류가 과전류일 때, 온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의 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부하에 전달하고, 상기 전류의 양을 판독 가능하게 하는 CT(계기용 변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양방향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는 TRI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와 전류 트랜스포머의 코어는 고투자율의 자성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는 CPU에 의해 고속으로 신호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가변용 트랜스포머는 어브서버(absorber)회로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KR1020050067539A 2005-07-25 2005-07-25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KR10063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539A KR100638486B1 (ko) 2005-07-25 2005-07-25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539A KR100638486B1 (ko) 2005-07-25 2005-07-25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449U Division KR200386783Y1 (ko) 2005-03-10 2005-03-10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527A KR20060097527A (ko) 2006-09-14
KR100638486B1 true KR100638486B1 (ko) 2006-10-27

Family

ID=3762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539A KR100638486B1 (ko) 2005-07-25 2005-07-25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5347A1 (en) * 2019-11-14 2023-08-30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A transformer assembly for electric grids and a related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527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6063A (zh) 一种用于三相配电变压器的无触点有载自动正反调压分接开关装置
KR20100111645A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200386783Y1 (ko)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JP2016525259A (ja) 非絶縁型ac−dc電源装置
KR100638486B1 (ko)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절전 제어시스템
GB2520336A (en) Voltage regulation
KR200412847Y1 (ko) 자동전압조정 기능을 가진 절전 시스템
WO2001093645A1 (en) A power supply altering means
KR101313011B1 (ko) 에너지 절약형 고·저압 배전반 운전제어방법
KR100524114B1 (ko) 분전반
KR100607846B1 (ko) 무접점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잉여 전력 조절 절전 장치및 방법
KR20070073546A (ko) 자동전압조정 기능을 가진 절전 시스템
KR200389751Y1 (ko) 무정전 바이패스 리니어 교류 전력제어장치
KR200371153Y1 (ko) 트로이덜 코일을 이용한 폐회로 권선식 무접점 릴레이제어 전력 절감기
CN203747430U (zh) 一种用于三相供配电系统的平衡节电器
KR20080098144A (ko)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KR100649429B1 (ko) 전압전류 비례제어 가로등 절전기
KR20060118930A (ko) 위상비교제어를 이용한 리니어 교류 전력제어장치
KR200388502Y1 (ko) 전압전류 비례제어 가로등 절전기
US20130249503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re-phasing the current of a domestic electrical network
JP3100040U (ja) 交流三相回路用の省電力装置
CN102142780A (zh) 多电路集成封装三相调压模块
KR200296798Y1 (ko) 교류 전압 자동 조절 장치
KR100900691B1 (ko) 상호유도리액터를 이용한 전압강하보상장치.
CN203387716U (zh) 一种简易式照明节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