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144A -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 Google Patents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144A
KR20080098144A KR1020070043451A KR20070043451A KR20080098144A KR 20080098144 A KR20080098144 A KR 20080098144A KR 1020070043451 A KR1020070043451 A KR 1020070043451A KR 20070043451 A KR20070043451 A KR 20070043451A KR 20080098144 A KR20080098144 A KR 2008009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winding
bypa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효섭
양진자
박원식
Original Assignee
신효섭
양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효섭, 양진자 filed Critical 신효섭
Priority to KR102007004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8144A/ko
Publication of KR2008009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공급계통으로부터 각 수용가에 안정된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 전력이 인입되는 입력단(10)과 부하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단(20) 및 입력단(10)과 출력단(20) 사이의 직렬권선으로 구성된 제1트랜스부(30)와, 상기 제1트랜스부(30)에 대해 병렬 설치되어 상기 제1트랜스부(30)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스위칭부(40)와, 상기 입력단(10)을 통해 설정된 기준 이상의 전압이 입력단으로 유입될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40)가 단락되면서 상기 제1트랜스(30)에 유도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로권선으로 유도되어 전압강하가 이루어진 후에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분로권선(45)과,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40)의 턴온동작에 의해 제1트랜스(30)로 유입되던 전원이 상기 다운트랜스로 유도될 때 부하측으로부터 유도되는 고전압의 역전을 방지하면서 전력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운트랜스와 병렬연결되는 저항부(50)및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와 인터록시스템에 의해 자동절환되면서 다운트랜스부와 저항부측의 접점을 단속하는 절환스위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력절감장치, 바이패스, 저항부, 릴레이

Description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Electric power saver equipped with the protective function of diverging coil}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전력절감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장치의 회로에서 바이패스 상태와 절전상태시의 회로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전력절감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입력단 15 : 제어부
20 : 출력단 30 : 제1트랜스(직렬권선)
40 : 바이패스 스위치 45 : 분로권선
50 : 권선저항부 60 : 절환스위치부
L1 : 압력전압표시램프 L2 : 바이패스 표시램프
L3 : 절전표시램프 L4 : 과부하표시램프
본 발명은 분로권선의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 즉 최종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가정기기나 사무용기기 및 산업용기기에 과접압의 유입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압 소모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은 한전에서 송전되는 고압의 전력이 변압기와 계량기, 분(배)전반 등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전기제품에 적합한 전압으로 조정되어 공급된다.
국내의 경우 일반 가정용 전원은 단상 220V로 공급되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가전기기들의 경우도 공급되는 기준전압에 알맞게 220V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원은 변압기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송전중 전력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준전압보다 약간 높게 송전하게 되므로, 지역에 따라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압이 205~235V 정도의 차이를 발생하게 되며, 220V용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일반 가전제품 역시 공급되는 전압의 오차를 감안하여 일정범위 이내에서는 그 동작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오차범위, 즉 195V~235V의 범위 이내에서 동작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220V용으로 인식되고 있는 일반 가전기기는 공급되는 전압이 기준전압인 220V가 아니더라도 상기 오차범위 내의 전압만 공급되면 아무런 이상 없이 동작하게 된다.
즉, 일반 가전기기가 동작되기 위해서는 최소전압인 195V 이상만 공급되면 되며, 최고전압인 235V가 공급되더라도 가전기기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지만, 높은 전압으로 공급되는 경우 전력사용량(P=I·V; P:전력, I:전류, V:전압)이 증가하여 소비자가 전기사용료를 많이 지출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준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전기소모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압의 변동으로 인해 가전기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종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이 과전압 또는 저전압일때 항상 균일한 전압이 부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AVR, UVR, 인버터 등의 전력절감기가 종래에 다수 안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 안출된 전력절감기의 경우, 고전압이 유입되면 이를 설정된 기준전압으로 감압시키고, 저전압이 유입되면 설정된 기준전압만큼 승압시켜 가전기기에 항상 균일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가전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과전압의 공급에 따른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과전압을 감압시켜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은 효과는 있으나, 반면에 저전압의 경우 승압시키는데 또 다른 전력소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체 소비전력 절감에는 큰 효과를 거둘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력절감장치가 갖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부하에 설정된 일정한 전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과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소비량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절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패스상태에서 전력절감상태로 절환시 발생되는 역전(逆轉) 고전압이 유기되어 분로권선 및 다른 전력공급계통의 각종 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수용가에 안전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절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는 전력공급계통으로부터 각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압이 일정범위 이내로 조절되어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 전력이 인입되는 인입단과 출력단 및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직렬회로상에 포함된 직렬권선으로 이루어진 제1트랜스부와, 상기 직렬권선으로 구성된 제1트랜스부에 대해 병렬 설치되어 상기 제1트랜스부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스위치와, 상기 입력단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이하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의 온(on)동작에 의해 그대로 출력단으로 공급되어 부 하에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설정된 기준 이상의 전압이 입력단으로 유입될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부가 단락되면서 턴온되어 입력된 과전압을 감압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분로권선과,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부의 온동작에 의해 제1트랜스로 유입되던 전력이 상기 분로권선으로 유도되어질때 발생되는 이상(異常) 고전압의 역전으로 분로권선 및 기타 다른 전력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분로권선에 병렬연결되는 권선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입력단에는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입력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으로 제1트랜스나 분로권선으로 전력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권선저항부와 분로권선의 각 일단에는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부와 인터록시스템에 의해 바이패스 스위치의 턴온시에 저항부에 접촉되어 있다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의 턴오프시에는 분로권선측으로 절환되는 릴레이 또는 마그네틱스위치(MS)로 구성되는 절환스위치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절감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력절감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장치는 입력단(10)과 출 력단(20), 제어부(15), 직렬권선회로의 제1트랜스(30), 바이패스 스위치(40), 분로권선(45), 권선저항부(50), 릴레이 및 마그네틱스위치(MS)로 구성되는 절환스위치(60), 과부하보호부(70)와 입력전압의 도통상태를 표시하는 입력전압표시램프(L1)와 입력전압이 바이패스 상태임을 표시하는 바이패스표시램프(L2), 바이패스스위치의 오프시에 분로권선측으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절전상태를 표시하는 절전표시램프(L3), 과부하표시램프(L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단(10)은 전력공급계통으로부터 일정한 전압이 유입되는 단자로 사용되는 설비나 장소에 따라 일반 가정용인 단상 2선식(220V)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삼상 3(4)선식(380V)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20)은 입력단으로 도통된 전압이 부하에 필요한 수준으로 조절되어 각 부하에 제공되는 출력단자이다.
상기 제1트랜스(30)는 입력단(10)과 출력단(20) 사이에 직렬설치되는 직렬권선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40)는 입력단으로 저전압(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이 도통될 경우 출력단의 부하측으로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스(30)에 인입되는 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기접속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로권선(45)은 상기 제1트랜스의 직렬 권선회로 측에 병렬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제1트랜스와 상대적으로 전압이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정된 기준이상의 전압이 유도되는 경우 적절히 전압을 다운시켜 각 부하에 일정한 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권선저항부(50)는 상기 분로권선(45)과 병렬 설치되어지되, 그 일단에 설치된 상기 절환스위치(60)에 의해 분로권선(45)의 일단과 접점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트랜스(30)측에서 분로권선(45)으로 유기되는 고전압을 억제하도록 한다.
상기 절환스위치(60)는 상기 바이스패스 스위치(40)와 인터록장치에 의해 바이패스 스위치(40)가 턴온 상태일 경우 분로권선(45) 일단의 스위칭접점부(a)를 단락된 상태로 유지시키다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40)가 턴 오프상태로 절환된 경우 분로권선(45)의 일단에 구비된 스위치접점부(a)를 연결하여 분로권선(45)으로 유도된 소정의 전압이 감압된 후에 출력단(20)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입력단(10)에 연결 설치된 제어부(15)는 입력단으로 유입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전압 이상인지 또는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40) 기능을 제어하여 제1트랜스(30)로 입력된 전압이 도통되도록 하고, 입력된 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40)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절환스위치(60)에 신호를 보내 단락된 다운트랜스인 분로권선(45)의 스위칭 접점부(a)에 연결되도록 각종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전압의 레벨을 감지한 후에 비교 판단하는 레벨측정부와 타이머 등을 포함하고, 또한 각 표시램프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부하보호부(70)는 상기 직렬권선의 제1트랜스(30)와 다운트랜스인 분로권선(45)에 연결되어 출력단을 통해 연결된 부하측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과부하로 인해 회로부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과열되는 상태를 감시하는 온도감지기로 구성되어 과부하 발생시나 이상발생시에 바이패스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입력전압표시램프(L1)는 입력단을 통해 정상적으로 일정한 전압이 유입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단(10)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표시램프(L2)는 바이패스 스위치부의 턴온 동작으로 제1트랜스부로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상기 다운트랜스인 분로권선측으로 전원이 유도되어 절전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절전표시램프(L3)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과부하표시램프(L4)는 출력단(20)측에 연결된 부하측으로부터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과부하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해 구비되며, 과부하상태가 표시되면 바이패스 상태로 절환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장치의 동작회로도를 참조하면서 바이패스상태와 전력절감상태의 회로동작 내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는 입력단(10)에서 유입되는 전압을 제어부에서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인지 아니면 기준전압 이상인지를 먼저 판단한 후에, 유입되는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로 판단될 경우에는 바이패스 스위치(40)에 턴온 신호를 보내져 스위치접점이 연결되어 제1트랜스(30)를 경유하여 입력된 전압이 곧바로 출력단(20)으로 공급되어 출력단(20)에 연결된 부하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상태와, 입력단(10)에 도통되는 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릴레이(60)에 신호가 보내져 다운트랜스측 의 스위치접점부를 연결하여 분로권선(45)으로 유도된 전압이 설정된 기준 이하로 다운되어 출력단(2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절전상태로 구분되어 동작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장치의 바이패스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입력단(10)을 통해 도통된 입력전압이 출력단(20)에 연결된 부하(가전기기)에 필요한 전압(통상 209V~215V)의 범위 이내에서 임의로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의 신호를 받은 바이패스 스위치(40)가 턴온되면서 제1트랜스(TR1;30)를 통과하여 출력단(20)으로 그대로 공급되어 부하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시퀀스 회로상에 표시된 TM은 타이머로서 제어부에서 판단된 입력전압의 레벨이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MS1)측에 연결된 타이머(TM1)와 스위치(sw1)가 온상태가 유지되어 제1트랜스(TR1)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4b는 절전상태에 따른 회로도로서, 입력된 전원이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바이패스 스위치(MS1)가 턴오프되면서 다운트랜스(TR2)인 분로권선으로 전압이 유도되는데, 다운트랜스(TR2)인 분로권선으로 유도된 과전압은 부하에 필요한 기준전압으로 강하된 후에 다운트랜스(TR2)측에 연결된 타이머(TM2)와 스위치(sw2)가 온 상태가 되면서 출력단측으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부(MS1)의 턴오프 동작신호와 함께 상기 절환스위치의 릴레이(RY1) 접점이 연결되어 다운트랜스(TR2)에 유도된 후 감압된 전압이 출력단측으로 공급되어 부하에 필요한 적절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과전압이 입력부로 도통된 후에 전압강하가 이루어지면서 부하에 필요한 안정된 전압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과전압이 부하에 공급됨으로 인해서 소비되었던 기준전압 이상의 잉여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절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부인 권선저항부(50)는 상기 다운트랜스인 분로권선(45)과 병렬 설치되어 제1트랜스(30)를 통해 바이패스 되고 있던 전원이 기준전압 이상으로 공급될 경우, 제어부에 의해 바이패스 스위치(MS1)가 턴오프되면서 다운트랜스(TR2)측으로 전압이 유도되어질 때, 매우 높은 이상 고전압이 역류되어 분로권선 및 전력공급계통의 각종 장치(변압기 등)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전압을 유도 소멸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항부의 말단과 상기 다운트랜스인 분로권선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부와 인터록시스템에 의해 동작되는 절환스위치(60)는 통상 릴레이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MS)로 구성되어 바이패스 스위치가 턴온된 경우, 분로권선인 다운트랜스측의 접점에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시점에 권선저항부측에 접촉된 접점(b)으로부터 단락되면서 다운트랜스측의 접점(a)으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이동되어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고전압이 상기 다운트랜스를 거치면서 전압강하가 이루어진 후에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과전압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감압시켜 부하측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여 전력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40)가 턴오프(Turn off)된 후 릴레이부에 신호 가 전달되어 접점 b에서 접점 a로 스위치가 이동되는 사이에 상술한 역전(逆轉) 이상 고전압은 권선저항부(50)로 유기되어 소멸되고 다운트랜스인 분로권선(45)에는 아주 작은 저전압만이 유도되어 a측 접점을 통해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상 고전압으로 분로권선의 훼손이나 기타 다른 전력공급계통의 장치가 훼손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바이패스 상태에서 절전상태로 절환되도록 하며, 상기 절환스위치의 접점 절환시간은 약 30mm/sec 이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5에는 본 발명에 따른 3상 4선식 전력절감장치회로도와 이의 시퀀스회로를 함께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의 동작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과부하보호부(70)의 NFB1이 온된 상태에서 제어부에 의해 MS1이 턴온 되어 입력단의 전원이 출력단으로 공급된다.
시퀀스 회로상의 SW1이 온되면 제어부에 의해 바이패스 상태 또는 절전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되고, SW2에 의해 MS3, MS4, MS5가 탭절환되어 절전모드를 선택하게 되며, R1, R2, R3 및 MS6는 분로권선보호장치로 부착되어 있으며, R1, R2, R3의 저항값에 의한 전력손실을 없애기 위해 MS6가 제어부에 의해 오프 또는 온 상태로 제어된다. RX1은 제어부에 있는 접점으로써 분로권선의 보호를 위하여 MS1이 오프되고 MS2가 온 상태에서 MS6가 온되게 하여 R1, R2, R3의 소모전력을 없애기 위한 회로이며, RX2, RX3은 바이패스 또는 절전모드에서 임의로 탭조정을 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서 선택적으로 임의조정할 수 있는 접점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절감장치는 각 수용가에 공급되는 다양한 전압레벨에 따라 적절한 범위 이내에서 가전기기(부하)의 동작에 필요한 기준 전압을 설정한 후에 사용하게 되면,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입력부에 전원이 도통되는 경우 바이패스상태가 유지되어 부하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설정된 기준전압 이상이 입력단으로 도통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상태가 절전상태로 절환되면서 입력단으로 도통된 고전압이 감압되면서 안정된 기준전압으로 다운되어 출력단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균일한 범위 이내에서 각 부하에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잉전력의 공급으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일어나는 것을 예방하여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바이패스 상태에서 절전상태로 전환되는 절환 시점에 부하측으로부터 역전(逆轉)되는 이상(異常) 고전압(3000V 이상으로 관측됨)으로 전력공급계통의 각 장치가 소손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권선저항부를 설치하여 이 권선저항부를 통해 이상(異常) 고전압이 소멸된 후에 절환스위치의 접점이 상기 다운트랜스측에 연결되어 다운트랜스 측으로 유도된 전압이 일정한 전압강하 후에 출력단으로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분로권선의 다운트랜스에 대해 권선저항부(50)와 릴레이(또는 MS)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출력부하 전류량에 따라 다운트랜스로 유기되는 고전압 발생을 억제하므로써 다운트랜스의 분로권선 및 제1트랜스의 직렬권선의 절연파괴를 방지하고, 제1트랜스와 다운트랜스의 턴수 비에 의해 발생하는 권선저항값을 임의로 조정하여 분로권선에 유기되는 고전압을 소멸시켜 회로 를 보호한 후에는 제어부에 의해 접점 b에서 접점 a로 절환되어 저항값에 의한 전력손실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단상 및 삼상절감기 모두에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단상 2선식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삼상 3선식의 경우도 분로권선측에 병렬로 설치된 권선저항부와 절환스위치가 각각 설치되고 또한 각 분로권선에 직렬로 1개씩의 절환스위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는 입력되는 전압크기에 따라 기준전압보다 높게 도통된 경우 과잉전압이 불필요하게 부하에 공급되어 전력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바이패스 상태에서 절전상태로 전환시 발생되는 이상 고전압을 권선저항부를 통해 소멸되도록 하여 분로권선과 기타 전력공급기기의 소손을 방지하여 고가의 장비손실과 수용가의 불편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절감장치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외부 전력이 인입되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을 통해 도통된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단;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권선으로 구성된 제1트랜스부; 입력단에 도통되는 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제1트랜스부에 대해 바이패스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스부에 병렬 설치되는 바이패스 스위치; 입력단에 도통된 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가 단락되면서 턴온되어 입력된 과전압을 감압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하며 말단부에 단락가능한 접점부가 구비된 분로권선;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가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로 전환될 때 이상(異常) 고전압의 역류를 방지하여 분로권선 및 기타 전력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그 말단에 단락가능한 접점이 구비되어 상기 분로권선과 병렬 설치되는 권선저항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와 상반되게 동작되도록 인터록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바이패스 스위치의 턴온시에 상기 권선저항부 말단 접점부에 연결되어 있다가 바이패스 스위치가 턴오프로 전환시에 상기 권선저항부의 접점에서 분로권선의 접점부로 자동 절환되도록 상기 권선저항부와 분로권성의 양측 접점부 사이에 설치되는 절환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측에는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으로 제1트랜스나 분로권선으로 전력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입력단으로 도통되는 전압의 크기를 일정시간 단위로 모니터링하여 바이패스 상태에서 절전상태로 또는 절전상태에서 바이패스 상태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칭부와 분로권선의 절환스위치 접점을 상반되게 단속하기 위한 타이머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 또는 출력단 측에는 과부하보호부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KR1020070043451A 2007-05-04 2007-05-04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KR20080098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51A KR20080098144A (ko) 2007-05-04 2007-05-04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51A KR20080098144A (ko) 2007-05-04 2007-05-04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144A true KR20080098144A (ko) 2008-11-07

Family

ID=4028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451A KR20080098144A (ko) 2007-05-04 2007-05-04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81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1411A (zh) * 2017-06-26 2017-11-24 上海雍敏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开关工作模式选择的接口电路
CN108418495A (zh) * 2018-04-27 2018-08-17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利用串联变压器部分容量的电动机节能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1411A (zh) * 2017-06-26 2017-11-24 上海雍敏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开关工作模式选择的接口电路
CN107391411B (zh) * 2017-06-26 2024-01-02 深圳市合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开关工作模式选择的接口电路
CN108418495A (zh) * 2018-04-27 2018-08-17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利用串联变压器部分容量的电动机节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1645A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98144A (ko) 분로권선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력절감장치
KR20140036481A (ko) 분로권선을 구비하여 과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력절감장치
JP2008099468A (ja) サイリスタのターンオフを検出する方法
KR20100128603A (ko) 분로권선을 구비하여 과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력절감장치
KR101048035B1 (ko)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제어기
KR101446502B1 (ko) 영상 고조파 저감 장치를 적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42355A (ko) 분로권선을 구비하여 과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력절감장치
KR100699352B1 (ko) 전력피크제어를 수행하는 발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392618Y1 (ko) 탭 절환방식을 이용한 가포화 리액터식 절전장치
KR101313011B1 (ko) 에너지 절약형 고·저압 배전반 운전제어방법
KR200412847Y1 (ko) 자동전압조정 기능을 가진 절전 시스템
KR100665960B1 (ko) 복합식 전자개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74860Y1 (ko) 이중화회로를 이용한 고주파 방식 축전지용 충전기
KR200356564Y1 (ko) 자동전압조절 기능이 구비된 트로이덜 3상 전력 절감기
KR200300986Y1 (ko) 가포화 리액터식 절전장치
KR102467245B1 (ko) 전력절감장치
KR101185484B1 (ko) 비상시 상시전원 자동 연결기능을 갖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060118929A (ko) 전압과 전류 동시 제어방식 상호유도리액터식 전기절감장치
KR200296798Y1 (ko) 교류 전압 자동 조절 장치
KR20070073546A (ko) 자동전압조정 기능을 가진 절전 시스템
KR20050120010A (ko) 이중화회로를 이용한 고주파 방식 축전지용 충전기
KR100649429B1 (ko) 전압전류 비례제어 가로등 절전기
KR20060118930A (ko) 위상비교제어를 이용한 리니어 교류 전력제어장치
KR100544524B1 (ko) 트로이덜 코일을 이용한 3상 전력 절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