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266B1 -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 Google Patents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266B1
KR100638266B1 KR1020040027743A KR20040027743A KR100638266B1 KR 100638266 B1 KR100638266 B1 KR 100638266B1 KR 1020040027743 A KR1020040027743 A KR 1020040027743A KR 20040027743 A KR20040027743 A KR 20040027743A KR 100638266 B1 KR100638266 B1 KR 10063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ture
concentrate
concentrated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761A (ko
Inventor
이기성
한용구
고동규
조주환
이경목
Original Assignee
바이오 헬퍼 주식회사
(주) 에코바이오 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 헬퍼 주식회사, (주) 에코바이오 메드 filed Critical 바이오 헬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26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은, 고련, 고삼, 측맥, 야국을 알콜추출하고, 농축하여 추출농축액1을 각각 제조하고, 동백, 진랑, 사군자, 백지, 여로를 열수추출하고, 농축하여 추출농축액2를 각각 제조한 다음, 준비한 추출농축액1과 추출농축액2 각각을 같은 비율로 모두 혼합하여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작물에 해를 끼치는 각종 해충에 대한 특이적인 살충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이 제공되며, 또한, 살충효과를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살충, 추출, 농축액, 고삼, 측백, 동백

Description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CONCENTRATED MIXTURE OF PLANT EXTRACTS HAVING INSECTICIDAL A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은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에 관한 것이다.
살충제 및 농약의 사용이 1939년 뮐러에 의해 디디티(DDT)가 개발되면서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화학농약이 초기에는 큰 효과를 보았으나, 그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동물과 인체에도 축척되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부메랑 효과에 의해 환경의 파괴와 먹이사슬의 파괴도 점점 심각해져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종래의 화학농약은 살충제가 포함된 농약성분의 85 ~ 90 % 가 대기, 토양, 수계에 산포되어 지속적으로 환경을 파괴시키고, 병해충에 내성 및 저항성이 커지고, 인체에 해를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미생물제제, 병과 해충에 강한 품종의 육종, 천연농약의 개발 등 인체에 해가 전혀 없고 잔류 농약이나 환경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68021(식물병 방제용 한약추출물 비료와 그 제조방법)에는, 천문동, 빈랑자, 백부근, 천련자, 정향, 건강, 지유, 사군자, 지모, 대계, 학슬, 황백피, 사상자, 목통, 길경, 하고초, 애엽, 오배자, 흑죽, 포공영, 연교, 금은화, 여로, 건칠피, 용뇌, 연초엽의 한액재를 추출하고, 맥반석가루를 넣고 교반하고 여과하여 제조하는 식물병 방제용 한약추출물 비료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68255(소리쟁이 추출물 함유 식물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에는, 소리쟁이 또는 참소리쟁이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3-0009511(농작물 병충해 방지제)에는, 은행나무의 줄기 및 잎, 칡의 줄기 및 잎을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추출농축액과 익모초의 줄기 및 잎의 미세분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병충해 방지제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비료 및 병충해 방제제는 살충활성이 크지 않아, 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물에 해를 끼치는 각종 해충에 대한 특이적인 살충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은, 고련, 고삼, 측맥, 야국을 알콜추출하고, 농축하여 추출농축액1을 각각 제조하고, 동백, 진랑, 사군자, 백지, 여로를 열수추출하고, 농축하여 추출농축액2를 각각 제조한 다음, 준비한 추출농축액1과 추출농축액2 각각을 같은 비율로 모두 혼합하여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은, 고련, 고삼, 측맥, 야국을 각각 분쇄한 다음, 분쇄물 1 ㎏당 75 % 에틸알콜 2 ℓ를 넣고, 4 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이 알콜추출물을 90 ~ 100 ℃로 가열하여 6 배 농축시켜 추출농축액1을 각각 제조한다.
동백, 진랑, 사군자, 백지, 여로는 각각 1 ㎏당 물 10 ℓ를 넣고 24 시간동안 90 ~ 100 ℃로 가열하여 열수추출한 다음, 이 열수추출물 1 ℓ당 75 % 에틸알콜 6 ℓ를 넣고 6 시간동안 90 ~ 100 ℃로 가열하면서 농축시킨 후, 여과하여 추출농 축액2를 각각 제조한다.
준비한 추출농축액1과 추출농축액2 각각을 모두 같은 비율로 혼합한 다음, 30 % 에틸알콜을 넣고 농도와 부피를 조정한 다음, 여과하여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물학적 방제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미생물 살충용 농약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200 여가지 한약재와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해충의 치사율, 치사시간을 관찰하면서 유의한 살충효과를 보이는 9 가지 식물을 선별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제조시 이용된 식물은, 고련, 고삼, 측맥, 야국, 동백, 진랑, 사군자, 백지, 여로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의 선별한 9 가지 식물을 이용하여 가장 살충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연구를 해오던 끝에, 고련, 고삼, 측맥, 야국은 알콜추출한 후 농축을 하는것이 가장 살충활성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동백, 진랑, 사군자, 백지, 여로는 열수추출한 후 알콜추출하고 농축하는 것이 가장 살충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렇게 발명된 본 발명의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은 액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건조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시 400 ~ 1,200 배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은 농작물의 해충인 벼멸구(BPH : Brown PlantHopper), 점박이응애(TSSM : Two Spotted SpiderMite), 담배거세미나방(TCW : Tobacco CutWorm), 청벌레, 굴파리, 진딧물, 배나무이, 파밤나방, 심식나방, 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민달팽이, 진딧물, 벼물바구미, 이화명나방, 혹명나방 등에 특이적인 살충활성 스펙트럼을 보이며, 이들은 천적, 꿀벌, 인축에 대한 무독성으로 환경보전 및 정화작용이 있는 다기능적 환경배려형 농약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효과를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은 토양개량제, 퇴비부숙제, 엽면살포제, 관주살포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시 사용되는 식물재료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련은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 Benn)의 껍질을 말하며, 건위작용과 소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삼은 콩과식물로서, 항알레르기 활성이 크며, 이뇨작용, 자궁수축작용, 해열, 진통, 살충효과 등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야국은 들국화의 약명으로, 독을 푸는 효능이 있으며, 부스럼이나 정창에 효과가 있으며, 간의 열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측백은 편백과의 교목으로서, 보혈제, 지혈제, 자양, 강장제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백은 간과 신장을 보하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며 풍습을 없애고 경련이나 마비를 풀어 주며, 경락을 통하게 하고, 각기, 고혈압, 신장염, 당뇨병, 암, 위장병, 간질, 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빈랑은 야자수과 열매로서, 빈랑 열매는 촌충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변비, 부종, 두통에 효과가 있으며, 유행성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피부진균을 억제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군자는 사군자과의 덩굴성 식물로서, 회충구제, 피부병, 위장병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지는 미나리과의 식물로 구릿대라고 하며, 백지의 뿌리와 줄기는 감기, 정혈, 진통, 진정, 진해, 빈혈, 부인병, 두통, 이뇨, 역기, 간질, 건위, 사기, 치통, 통경 등의 약으로 쓰며, 항균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로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혈압강하, 간보호작용, 담즙분비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뱃속의 기생충을 죽이는 효능이 있고, 여로의 뿌리를 물로 달여서 소, 말, 개 등을 목욕시키면 피부에 기생하는 진드기, 벼룩 같은 벌레를 다 죽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와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
시중에서 고련, 고삼, 측백, 야국, 동백, 빈랑, 사군자, 백지, 여로를 준비하였다.
고련(소태나무 껍질), 고삼(뿌리, 줄기), 측백(잎, 줄기), 야국(뿌리, 줄기) 은 각각 분쇄한 다음, 각각의 분쇄물 1 kg에 75 % Et-OH 2 ℓ를 잠길정도로 가하여 4 시간동안 흔들면서 추출하였다.
상기의 알콜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90 ℃로 가열 하면서 6 배 농축시켜 추출농축액1을 각각 제조하였다.
동백(꽃, 잎), 빈랑(뿌리), 사군자(뿌리), 백지(껍질), 여로(뿌리)는 분쇄하지 않고, 각각 물 10 ℓ에 1 kg씩 넣은 후 24 시간동안 90 ℃로 가열하여 열수추출하였다.
상기의 열수추출물 1 ℓ에 75 % Et-OH 6 ℓ를 가하여 6 시간동안 90 ℃로 가열하여 농축한 후 여과하여 추출농축액2를 각각 제조하였다.
준비한 추출농축액1과 추출농축액2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다음, 30 % Et-OH로 volume을 조정하여 여과한 후 최종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추출혼합액의 비교제조
실시예 1과 같이 재료를 준비하였다.
고련, 고삼, 측백, 야국은 각각 분쇄한 다음, 각각의 분쇄물 1 kg에 75 % Et-OH 2 ℓ를 잠길정도로 가하여 4 시간동안 흔들면서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동백, 빈랑, 사군자, 백지, 여로는 분쇄하지 않고, 각각 물 10 ℓ에 1 kg씩 넣은 후 24 시간동안 90 ℃로 가열하여 열수추출하였다.
상기의 열수추출물 1 ℓ에 75 % Et-OH 6 ℓ를 가하여 6 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각각의 추출액을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활성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물추출 농축혼합액과 비교예 1의 추출혼합액을 준비하였다.
살충활성 분석은 자체 분석은 물론 화학연구소에 위탁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표 3과 같다.
1. 분무법(Spray method)
1) 점박이응애 : 지름 3cm 원형 강낭콩옆에 성충 약 30 마리를 잡아넣고 후드내에서 일정 약액을 살포 후 음건시킨 후 24h, 48h 후 살충율을 검정하였다.
2) 벼멸구 : 벼의 어린 유묘를 5 本을 탈지면에 말아 시험관에 넣은 후 3 령충 20마리를 잡아넣고 후드 내에서 약액을 살포 후 음건 시킨 후 24h, 48h 후 살충율 검정하였다.
3) 진딧물, 청벌레, 굴파리, 배나무이, 심식나방, 파밤나방, 총채벌레, 온실가루이등은 발생 포장에 직접 분무법으로 적용한 후 살충효과를 관찰하였다.
2. 잎 침적법(Leaf dipping method)
1) 담배거세미나방 : 지름 5cm 원형 양배추잎을 준비된 약액에 약 30초간 침 적 후 후드 내에서 음건시킨 후 담배거세미나방의 3 령 유충을 10마리씩 접종하여 24h, 48h 후 살충율 조사하였다.
2) 배추좀나방 : 지름 5cm 원형 형 양배추잎을 준비된 약액에 약 30초간 침적 후 후드 내에서 음건시킨 후 배추좀나방 3 령 유충을 10마리씩 접종하여 24h, 48h 후 살충율 조사하였다.
3) 복숭아혹진딧물 : 지름 5.5cm 원형 형 담배잎을 준비된 약액에 약 30초간 침적 후 후드 내에서 음건시킨 후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을 10마리씩 접종하여 24h, 48h 후 살충율 조사하였다.
<표 3> 살충활성율 조사결과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1
벼멸구(Brown Planthopper) 24 h 100 100
48 h 100 100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 24 h 10 100
48 h 30 100
점박이응애(Two Spotted Spider Mite) 24 h 0 100
48 h 0 100
담배거세미나방(Tobacco Cutworm) 24 h 0 50
48 h 20 100
총채벌레 24 h 100 100
48 h 100 100
굴파리 24 h 100 100
48 h 100 100
* 숫자는 assay 결과를 Mortality(%)로 표시함.
- 100인 경우 100 % 살충율을 나타냄, 0인 경우는 약효가 없는 것을 나타냄.
3. 살충활성 분석 결과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살충활성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은 비교예 1의 추출혼합액보다 살충 스펙트럼은 물론 살충효과가 월등했다.
즉, 농축시키지 않은 추출혼합액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 담배거세미나방에 살충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사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방제가 매우 어려운 담배 거세미 나방에도 살충효과를 증진시켰다.
또, 총채벌레, 진딧물, 청벌레, 굴파리, 온실가루이, 배나무이, 파밤나방, 심식나방에 대한 실충시험은 발생 포장에서 직접 분무법으로 적용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사용한 군에서 24 시간안에 모두 100 %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꿀벌과 천적 곤충 및 인축에는 전혀 해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작물에 해를 끼치는 각종 해충에 대한 특이적인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이 제공되며,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6)

  1. 식물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련, 고삼, 측맥, 야국을 알콜추출하고, 농축하여 추출농축액1을 각각 제조하고,
    동백, 진랑, 사군자, 백지, 여로를 열수추출한 후, 에틸알콜을 넣고 농축시켜 추출농축액2를 각각 제조한 다음,
    준비한 추출농축액1과 추출농축액2 각각을 같은 비율로 모두 혼합하여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추출농축액1의 제조시, 고련, 고삼, 측맥, 야국을 각각 분쇄한 다음, 분쇄물 1 ㎏당 75 % 에틸알콜 2 ℓ를 넣고, 4 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이 알콜추출물을 90 ~ 100 ℃로 가열하여 6 배 농축시켜 추출농축액1을 각각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추출농축액2의 제조시, 동백, 진랑, 사군자, 백지, 여로는 각각 1 ㎏당 물 10 ℓ를 넣고 24 시간동안 90 ~ 100 ℃로 가열하여 열수추출한 다음, 이 열수추출물 1 ℓ당 75 % 에틸알콜 6 ℓ를 넣고 6 시간동안 90 ~ 100 ℃로 가열하면서 농축시킨 후, 여과하여 추출농축액2를 각각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추출농축액의 혼합시, 추출농축액1과 추출농축액2를 각각 같은 비율로 혼합한 다음, 30 % 에틸알콜을 넣고 농도와 부피를 조정한 다음, 여과하여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6.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추출 농축혼합액을 이용하여, 벼멸구,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 담배거세미나방, 총채벌레, 굴파리, 온실가루이, 청벌레, 파밤나방, 심식나방, 민달팽이, 진딧물, 벼물바구미, 이화명나방, 혹명나방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
KR1020040027743A 2004-04-22 2004-04-22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KR10063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43A KR100638266B1 (ko) 2004-04-22 2004-04-22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43A KR100638266B1 (ko) 2004-04-22 2004-04-22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61A KR20050102761A (ko) 2005-10-27
KR100638266B1 true KR100638266B1 (ko) 2006-10-25

Family

ID=3728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743A KR100638266B1 (ko) 2004-04-22 2004-04-22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81B1 (ko) 2009-07-16 2012-06-18 (주)오비티 나방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고삼뿌리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 추출물을 이용한 나방방제제 조성물 및 방제방법
KR101621037B1 (ko) 2015-07-28 2016-05-17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깍지벌레류 방제용 농약 조성물
KR20220078154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수면처리와 토양처리가 가능한 작물해충에 대한 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57B1 (ko) * 2005-12-05 2007-05-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여로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베라트라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농업용 살균제 조성물
KR101537758B1 (ko) * 2012-11-07 2015-07-22 주식회사 남보 초오, 고련피 및 소리쟁이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8157393B (zh) * 2017-12-13 2021-08-20 中央民族大学 一种白芷提取物及其作为植物抗菌物的应用
CN112772686A (zh) * 2021-01-06 2021-05-11 四川成康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杀虫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81B1 (ko) 2009-07-16 2012-06-18 (주)오비티 나방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고삼뿌리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 추출물을 이용한 나방방제제 조성물 및 방제방법
KR101621037B1 (ko) 2015-07-28 2016-05-17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깍지벌레류 방제용 농약 조성물
KR20220078154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수면처리와 토양처리가 가능한 작물해충에 대한 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61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ri Neem: the divine tree Azadirachta indica
CN103535389B (zh) 植物源果树杀虫剂
CN1152403A (zh) 纯中药制剂无毒农药
Mondal et al. Azadirachta indica-A tree with multifaceted applications: An overview
CN101427692B (zh) 植物农药及其制备方法
US20050158403A1 (en) Preparation of chinese herbal composite recipe used in horticulture
Oparaeke et al. Evaluation of botanical mixtures for insect pests management on cowpea plants
CN1256873A (zh) 博落回在农药制备中的应用
KR1008523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KR100638266B1 (ko) 살충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농축혼합액
Ghosh Climate impact on red spider mite (Tetranychus sp. Koch) infesting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and their management using plant extracts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CN1402992A (zh) 纯植物防病驱虫剂及其制作方法
Mwangi Evaluation of botanical pesticides and coloured sticky insect traps For Management of Insect pests (Thrips, Whiteflies And Aphids) In French Beans (Phaseolus Vulgaris L.)
KR102605615B1 (ko) 토양해충방제와 토양개량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조성물
CN109169736A (zh) 一种以薄荷和苦瓜为基材的驱虫剂及制备方法、应用
CN1284270A (zh) 防治农作物病虫害的植物农药及制备方法
KR20130080667A (ko) 후추 속 식물과 라반듈라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용 조성물
CN106818930A (zh) 一种防治水稻病虫害的植物源双杀液及其制备方法
El-Zoghby Studies on the impact of successive sprays with certain insecticides on whitefly and aphids infesting roselle plants and its yield in Aswan governorate, Egypt
Imbaya Efficacy of Leaf Extracts of Artemisia annua And Thevetia peruviana Against Aphis fabae and non-target Organisms on Solanum scabrum
KR102540101B1 (ko) 수면처리와 토양처리가 가능한 작물해충에 대한 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umar et al. Herbal pesticides, a natural weapon to control the insect pests: A review
CN108935538A (zh) 一种农林业害虫防治液体农药及其制作和使用方法
Abiodun et al. Bioefficacy of Petiveria alliacea and Annona squamosa against Podagrica species of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in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