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654B1 -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 Google Patents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654B1
KR100637654B1 KR1020040102730A KR20040102730A KR100637654B1 KR 100637654 B1 KR100637654 B1 KR 100637654B1 KR 1020040102730 A KR1020040102730 A KR 1020040102730A KR 20040102730 A KR20040102730 A KR 20040102730A KR 100637654 B1 KR100637654 B1 KR 10063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attachment portion
retaining wall
gap
leakag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074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04010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6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내부 및 외부의 틈새를 메꿀 수 있도록 옹벽에 부착되는 옹벽부착부; 창틀에 부착되는 창틀부착부; 및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를 사용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코니, 옹벽부착부, 창틀부착부, 연결부,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Description

창틀누수차단 마감재{Molding material for protecting rain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창틀의 상부과 옹벽사이 틈새, 창틀의 하부과 옹벽사이 틈새 및 창틀의 측면과 옹벽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중에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중에서 연결부와 옹벽부착부가 분리된 형태의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건물의 측면옹벽과 창틀 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마감재가 건물의 하부옹벽과 창틀 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건물의 상부옹벽과 창틀 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건물의 측면부옹벽과 창틀 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건물의 상부옹벽과 창틀 사이 틈새 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건물의 하부옹벽과 창틀 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건물의 하부옹벽과 창틀 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건물의 상부면과 창틀 사이 틈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20, 40, 50, 60 :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12, 22, 32, 42, 52, 62 : 창틀부착부
14, 24, 34, 44, 54, 64 : 옹벽부착부
16, 26, 36, 46, 56, 66 : 연결부
50-1 :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일체형 사출물
50-2 :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분리결합형 사출물
100 : 창틀 200 : 옹벽
500 : 지지대
본 발명은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를 사용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에 생긴 내부 및 외부의 틈새를 메꾸기 위하여 시공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은 물론 아파트 또는 대형 건물에는 사람 또는 화물의 출입을 위한 여러 형태 및 크기의 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와의 공기의 순환 및 채광 또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창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가구가 입주하여 거주하는 대부분의 아파트에는 전방부, 후방부 또는 전후방 모두에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발코니에는 외부와의 차단을 위해 창틀 또는 샤시가 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틀 또는 샤시는 건물의 발코니 또는 창을 형성하는 벽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창틀, 샤시프레임 및 그 샤시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한편, 창틀 및 샤시프레임의 시공 후에는 대부분 그 창틀 또는 샤시프레임과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바닥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 같은 틈새를 마감 또는 마무리하기 위해 그 틈새에 발포재와 같은 백업재를 채워넣은 후 실리콘 본드로 최종 마무리하고 있다.
발코니의 방수턱에 샤시가 설치되는 경우 발코니 샤시와 방수턱에 우레탄 코팅을 도포 시공을 하였는데 창틀 또는 샤시를 설치하는 경우 창틀과 옹벽 사이 및 샤시와 옹벽 사이에 틈새에 코팅한 우레탄 코팅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종래의 방법은 우레탄을 일정한 용기에 폴리우레탄, 경화제 및 석유를 넣고 손이나 기계로 반죽을 하여 작업장소로 운반하여야 하고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크기에 알맞는 백업재인 발포재를 채워넣고 우레탄을 도포하며 필요한 경우 면을 평평하고 반듯하게 하기 위해서 마스킹테이프를 사용한다.
종래의 우레탄 시공방법은 루프를 이용하여 준비된 백업재를 끼워넣는 작업이 필요하며 용기에 폴리우레탄, 경화제 및 석유를 넣고 섞어야 하고 2 내지 3시간 후에는 경화가 이루어져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우레탄 시공 후 시공도구의 손질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우레탄 시공방법은 여름과 겨울, 낮과 밤의 기온차가 40 내지 50도를 오르내릴 때 우레탄의 수축 팽창이 반복되면 샤시와 옹벽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누수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우레탄 시공방법은 우레탄 코팅 후 가스가 발생하여 기포가 생기고 사용자의 불만이 많아 재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우레탄은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묻으면 청소가 불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 및 출원인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 위해 옹벽의 면 또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하는 옹벽부착부; 창틀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창틀부착부;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에 관한 발명을 특허출원 제2004-95683호로 선출원한 바가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선출원에 대한 개량발명으로서 출원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에 샤시가 설치된 발코니의 4면 또는 다면을 깔금하게 마무리하는 것이며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비가 저렴하며 외부 누수를 획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 위해 옹벽의 면 또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하는 옹벽부착부; 창틀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창틀부착부;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는 옹벽부착부(14)가 2개의 다리가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1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14)와 창틀부착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며 내부에 2개의 공간부(18, 18')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24)가 2개의 다리가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2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24)와 창틀부착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6)가 유연하게 굽어지며 내부에 2개의 공간부(28, 28')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34)가 ㄴ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3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34)와 창틀부착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44)가 2개의 다리가 있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42)가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44)와 창틀부착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54)가 3개의 다리가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5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54)와 창틀부착부(52)를 연결하는 연결부(5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또는 옹벽부착부(64)가 1개의 다리가 있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6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64)와 창틀부착부(62)를 연결하는 연결부(6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감재는 옹벽부착부, 창틀부착부 및 연결부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마감재 사출물을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마감재 사출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결부가 옹벽부착부 및 창틀부착부와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 마감재 형태이거나 연결부가 옹벽부착부 또는 창틀부착부와 분리 결합되는 분리결합형 마감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감재는 PVC수지, ABS수지, 폴리우레탄 탄성체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및 폴리초산비닐수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마감재는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도록 옹벽에 부착되는 옹벽부착부, 창틀에 부착되는 창틀부착부 및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사출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사출물을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는 크기로 절 단하여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의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접착제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100)과 옹벽(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가 창틀(100)과 옹벽(200)의 면 또는 모서리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부착하는 단계로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시공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도록 옹벽에 부착되는 옹벽부착부; 창틀에 부착되는 창틀부착부; 및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은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의 발코니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창틀, 문짝틀, 샤시프레임 및 커튼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감재를 시공하는 틈새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에서 생기는 틈새로서 창틀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의 틈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감재는 창틀이 설치되는 내벽 및 외벽에 전부 창틀누수차단를 위한 마감재로 시공할 수 있으며 창틀과 상부옹벽 사이의 틈새, 창틀과 하부옹벽 사이의 틈새 및 창틀과 측면부옹벽 사이의 틈새 모두에 창틀누수차단를 위한 마감재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 또는 베란다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꾸기 위하여 누수차단 작업을 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플레 이트(plate) 형태로 길게 형성된 창틀누수차단 마감재(50-1)를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된 것을 준비한 후 상기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사출물(50-1)을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기에 알맞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만들어 사용하기 위한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마감재 사출물은 옹벽부착부(54-1), 창틀부착부(52-1) 및 연결부(56-1)가 일체형(50-1)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출물 형태로 먼저 사출제작하여 알맞는 크기로 절단한 후 사용한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는 연결부(56-2)가 옹벽부착부(54-2) 또는 창틀부착부(52-2)와 분리한 형태(50-2)로 먼저 사출제작하여 알맞는 크기로 절단한 후 분리된 형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분리결합형(50-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실시예 1
도 4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측면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1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했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10)를 틈새에 끼워 시공하는 경우 먼저 마감재의 옹벽부착부(14)와 창틀부착부(12)를 접착재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100)과 측면부옹벽(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14)와 창틀부착부(12)가 창틀(100) 모서리와 측면부옹벽(200)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옹벽부착부(14)의 2개의 다리 형태 공간부(19)는 실리콘본드를 사용하여 옹벽에 단단하게 부착시켰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10)를 측면부옹벽에 시공할 때 창틀누수차단 마감재(10)를 부착한 후 필요한 경우 마감재(10)와 옹벽(200) 사이 또는 마감재(10)와 창틀(100) 사이를 실리콘 본드로 발라서 마무리를 하였다.
실시예 2
도 5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하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2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했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20)를 틈새에 끼워 시공하는 경우 먼저 마감재의 옹벽부착부(24)와 창틀부착부(22)를 접착재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100)과 하부옹벽(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24)와 창틀부착부(22)가 창틀(100) 모서리와 하부옹벽(200)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옹벽부착부(24)의 2개의 다리 형태 공간부(29)는 실리콘본드를 사용하여 옹벽에 단단하게 부착시켰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20)를 하부옹벽에 시공할 때 창틀누수차단 마감재(20)를 부착한 후 필요한 경우 마감재(20)와 옹벽(200) 사이 또는 마감재(20)와 창틀(100) 사이를 실리콘 본드로 발라서 마무리를 하였다.
실시예 3
도 6과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상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2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했다. 마감재의 시공방법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시공하였다.
실시예 4
도 7과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측면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2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했다. 마감재의 시공방법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시공하였다.
실시예 5
도 8과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상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3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했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30)를 틈새에 끼워 시공하는 경우 먼저 마감재의 옹벽부착부(34)와 창틀부착부(32)를 접착재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100)과 상부옹벽(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34)와 창틀부착부(32)가 창틀(100) 모서리와 상부옹벽(200) 모서리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30)를 하부옹벽에 시공할 때 창틀누수 차단 마감재(30)를 부착한 후 필요한 경우 마감재(30)와 옹벽(200) 사이 또는 마감재(30)와 창틀(100) 사이를 실리콘 본드로 발라서 마무리를 하였다.
실시예 6
도 9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하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4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했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40)를 틈새에 끼워 시공하는 경우 먼저 마감재의 옹벽부착부(44)와 창틀부착부(42)를 접착재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100)과 하부옹벽(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44)와 창틀부착부(42)가 창틀(100)과 하부옹벽(200)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옹벽부착부(44)의 2개의 다리 형태 공간부(49)는 실리콘본드를 사용하여 옹벽에 단단하게 부착시켰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40)를 하부옹벽에 시공할 때 창틀누수차단 마감재(40)를 부착한 후 필요한 경우 마감재(40)와 옹벽(200) 사이 또는 마감재(40)와 창틀(100) 사이를 실리콘 본드로 발라서 마무리를 하였다.
실시예 7
도 10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하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5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 은 누수를 방지했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50)를 틈새에 끼워 시공하는 경우 먼저 마감재의 옹벽부착부(54)와 창틀부착부(52)를 접착재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100)과 하부옹벽(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54)와 창틀부착부(52)가 창틀(100) 모서리와 하부옹벽(200)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옹벽부착부(24)의 3개의 다리 형태 공간부(59)는 실리콘본드를 사용하여 옹벽에 단단하게 부착시켰다. 상기 공간부(59)에 실리콘본드를 바른 후 시공할 때 가운데 다리(54')를 이용하여 실리콘 본드가 고루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50)를 하부옹벽에 시공할 때 창틀누수차단 마감재(50)를 부착한 후 필요한 경우 마감재(50)와 옹벽(200) 사이 또는 마감재(50)와 창틀(100) 사이를 실리콘 본드로 발라서 마무리를 하였다.
실시예 8
도 11과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틀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100)과 상부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500)를 밀어넣어 받치고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6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했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60)를 틈새에 끼워 시공하는 경우 먼저 마감재의 옹벽부착부(64)와 창틀부착부(62)를 접착재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100)과 상부옹벽(200)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64)와 창틀부착부(62)가 창틀(100) 모서리와 상부옹벽(200)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60)를 하부옹벽에 시공할 때 창틀누수차단 마 감재(60)를 부착한 후 필요한 경우 마감재(60)와 옹벽(200) 사이 또는 마감재(60)와 창틀(100) 사이를 실리콘 본드로 발라서 마무리를 하였다.
본 발명은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에 샤시가 설치된 발코니의 4면 또는 다면을 깔금하게 마무리할 수 있으며 시공시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비가 저렴하며 외부 누수를 획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건축산업상 매우 우용한 것이다.











Claims (3)

  1.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 위해 옹벽의 면 또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하는 옹벽부착부; 창틀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창틀부착부;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는 옹벽부착부(14)가 2개의 다리가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1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14)와 창틀부착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며 내부에 2개의 공간부(18, 18')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24)가 2개의 다리가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2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24)와 창틀부착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6)가 유연하게 굽어지며 내부에 2개의 공간부(28, 28')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34)가 ㄴ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3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34)와 창틀부착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44)가 2개의 다리가 있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42)가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44)와 창틀부착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옹벽부착부(54)가 3개의 다리가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5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54)와 창틀부착부(52)를 연결하는 연결부(5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 또는
    옹벽부착부(64)가 1개의 다리가 있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창틀부착부(62)가 ㄱ자 꺽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옹벽부착부(64)와 창틀부착부(62)를 연결하는 연결부(66)가 주름이 있어 유연하게 굽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옹벽부착부, 창틀부착부 및 연결부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마감재 사출물을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태의 마감재 사출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연결부가 옹벽부착부 및 창틀부착부와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 마감재 형태이거나 연결부가 옹벽부착부 또는 창틀부착부와 분리 결합되는 분리결합형 마감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KR1020040102730A 2004-12-08 2004-12-08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KR10063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730A KR100637654B1 (ko) 2004-12-08 2004-12-08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730A KR100637654B1 (ko) 2004-12-08 2004-12-08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17U Division KR200378502Y1 (ko) 2004-12-09 2004-12-09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074A KR20060064074A (ko) 2006-06-13
KR100637654B1 true KR100637654B1 (ko) 2006-10-26

Family

ID=3715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730A KR100637654B1 (ko) 2004-12-08 2004-12-08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6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074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68B2 (en) Method of installing windows into a concrete structure
US8490350B1 (en) Exterior window and door trim
RU2573297C2 (ru) Улучшенные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откосов оконных проемов
US20050178079A1 (en) Modular insert fenestration system
US20110258944A1 (en) NP-EIFS Non-Permissive Exterior Insulation and Finish Systems concept technology and details
US3375627A (en) Method of anchoring a frame in an opening
US9341018B2 (en) Combined flood proof door and window
JP63998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US20150233168A1 (en) Methods and systems of interior window framing
CA3017715A1 (en) Vinyl jamb system
CA2591605C (en) Joint sea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637654B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KR20160040485A (ko)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19461B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8502Y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KR200379083Y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KR200384079Y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테이프
EP0476978A1 (en) Do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70030347A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60091808A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테이프
US20080148644A1 (en) Water lock barrier for preventing flood damage
KR20230140868A (ko) 팽창 테이프를 이용한 창호 시공 방법
GB2258880A (en) Window and door assemblies
AU2016244341B2 (en) Modified window detail
KR20110028068A (ko) 건물 외벽용 마감 판넬의 코킹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