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625B1 -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625B1
KR100637625B1 KR1020040078574A KR20040078574A KR100637625B1 KR 100637625 B1 KR100637625 B1 KR 100637625B1 KR 1020040078574 A KR1020040078574 A KR 1020040078574A KR 20040078574 A KR20040078574 A KR 20040078574A KR 100637625 B1 KR100637625 B1 KR 10063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tube
elastic
ge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571A (ko
Inventor
최용집
Original Assignee
최용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집 filed Critical 최용집
Priority to KR102004007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6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4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resilient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16B1/02Means for securing elements of mechanisms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전후 포크가 일체로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의 선단에 상기 전륜을 조향시키는 조향축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측에 안장축으로 연결되는 안장이 마련되는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분을 형성하는 중공의 관으로 상부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4개의 가이드홀 및 이 가이드홀의 하측 내주연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로크 해제홈 및 로크 돌기로 된 로크부 그리고 하부 내측에 내경지름을 축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조향관과, 상기 조향관의 외주연에 끼움되는 중공의 관으로서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승강 슬리브와, 상기 조향관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이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하면에 형성되는 기어이 그리고 하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로크 해제홈에 끼움되어 회전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과 승강 슬리브와 일체로 가이드홀을 따라 승강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승강관의 관통구멍과 가이드홀과 슬리브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4개의 연결축이 십자 형태로 배치되고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축의 끝단에는 조향을 위한 핸들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압력을 작용하는 크로스바와, 상기 승강관의 하측에 위치되어 기어이와 교합되며 승강관의 수직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로크 돌기에 걸림되거나 또는 로크 해제홈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을 하는 방향 기어이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하측으로 삽입 끼움되는 상돌부와 이 상돌부의 하측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판 그리고 이 지지판의 하측으로 하돌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돌부의 주연으로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조향관의 스토퍼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와 승강관을 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는, 사용자가 핸들에 가압력을 작용하게 되면 탄성 복원력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탄성 복원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한 역동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자전거, 이륜, 탄력, 탄성력, 점프

Description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Elastic Handle Contrivance of two wheeled vehicl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가 적용되는 이륜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에서 조향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에서 조향관의 로크부 상에서의 회전관의 방향 기어이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에서 조향관을 횡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을 기준으로 조향관의 로크부와 회전관의 방향 기어이의 상호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전거 2 : 메인 프레임
3 : 조향축 10 : 조향관
11 : 가이드홀 12 : 로크부
13 : 스토퍼 20 : 승강 슬리브
30 : 승강관 32 : 기어이
33 : 회전방지돌기 40 : 크로스바
41 : 연결축 42 : 핸들
50 : 회전관 51 : 방향 기어이
60 : 지지체 70 : 탄성체
본 발명은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탄력 승강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차는 흔히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지칭하며, 이때 자전거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사용하는 생활용 자전거와, 벨로드롬이나 도로에서 경주에 사용되는 경기용 자전거,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산악용 자전거인 M.T.B 와, 험한 비포장 도로에서 속도를 내거나 묘기를 보여주는 B.M.X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전거는 평탄한 도로위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턱이나 보도블럭의 시작 및 끝 지점과 같은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충 격력이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과도한 충격 발생시에는 자전거의 파손과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안정된 주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286770호를 통해 "자전거의 탄력 핸들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자전거의 탄력 핸들장치는 핸들축이 탄성에 의해 상하 유동되게 하여 주행시 도로상에 돌출된 장애물을 통과할 때 충격력을 흡수 및 완충시켜 원활한 주행을 유지하면서 충격에 의한 자전거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는 핸들에 가압력을 작용하는 시점과 탄력을 받는 시점이 항상 동시에 연관적으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즉, 탑승자가 장애물을 만나는 시점에서 핸들에 가압력을 작용하여야만 반발력이 발생하므로 탑승자가 반발력 작용시점을 예상해서 핸들에 가압력을 작용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핸들을 가압하여 복원 탄성력을 생성하고 이 복원 탄성력을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반발력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이고 역동적인 동작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는,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전후 포크가 일체로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의 선단에 상기 전륜을 조향시키는 조향축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측에 안장축으로 연결되는 안장이 마련되는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분을 형성하는 중공의 관으로 상부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4개의 가이드홀 및 이 가이드홀의 하측 내주연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로크 해제홈 및 로크 돌기로 된 로크부 그리고 하부 내측에 내경지름을 축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조향관과; 상기 조향관의 외주연에 끼움되는 중공의 관으로서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승강 슬리브와; 상기 조향관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이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하면에 형성되는 기어이 그리고 하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로크 해제홈에 끼움되어 회전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과 승강 슬리브와 일체로 가이드홀을 따라 승강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승강관의 관통구멍과 가이드홀과 슬리브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4개의 연결축이 십자 형태로 배치되고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축의 끝단에는 조향을 위한 핸들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압력을 작용하는 크로스바와; 상기 승강관의 하측에 위치되어 기어이와 교합되며 승강관의 수직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로크 돌기에 걸림되거나 또는 로크 해제홈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을 하는 방향 기어이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하측으로 삽입 끼움되는 상돌부와 이 상돌부의 하측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판 그리고 이 지지판의 하측 으로 하돌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돌부의 주연으로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조향관의 스토퍼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와 승강관을 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관에 형성되는 방향 기어이는 등간격을 두고 3~7개소에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조향관의 로크 돌기는 회전관의 방향 기어이와 접촉하는 선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이 경사면은 회전관의 방향 기어이의 선단과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동일 방향으로 가공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가 적용되는 이륜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에서 조향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핸들(42)장치는 전륜과 후륜 그리고 이들 전륜과 후륜을 각각 지지하는 전후 포크를 일체로 형성하고, 선단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륜을 조향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조향축(3)과, 후단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안장이 결합되는 안장축을 일체로 형성한 메인 프레임(1)을 구비하는 통상의 이륜차에 적용 실시되며 본 발명에서는 자전거(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탄력핸들(42)장치는 크게 조향축에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체인 조향관(10)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체인 승강 슬리브(20), 승강관(30) 그리고 크로스바(40) 및 회전관(50)과 지지체(60) 및 탄성체(70)로 구성된다.
상기 조향관(10)은 이륜차의 메인 프레임(1) 선단측에 위치하여 앞바퀴인 전륜에 조향력을 작용하는 조향축(3)의 상단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상기 조향축(3)에 일체로 연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조향관(10)은 조향축(3)과 대동소이한 지름을 갖는 중공의 관으로 제공되며 조향축(3)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부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4개의 가이드홀(11)이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가이드홀(11)은 후술할 크로스바(4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때의 행정구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향관(10)은 상기 가이드홀(11)의 하측 내주연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로크 해제홈(12a)과 로크 돌기(12b)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때의 상기 로크 해제홈(12a)과 로크 돌기(12b)는 후술할 회전관(50)의 승강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크 돌기(12b)는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와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경사면을 형성하며, 이 경사면은 후술할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의 선단과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삼각편 형상의 요입홈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관(10)은 하부 내측에 내경 지름을 축소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고리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스토퍼(13)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스토퍼(13)는 후술할 탄성체(7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용접 또는 나사체결을 통해 조향관(10)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조향관(10)은 상면이 개방된 형태이므로 도 4에서와 같이 캡(cap)에 의해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캡은 나사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향관(10)은 조향축(3)의 상부분을 형성하면서 조향축 (3)과 일체로 조향을 위해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며 그 내부로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승강 슬리브(20)는 상술한 조향관(10)의 외주연에 끼움되는 중공의 관으로서, 상기 조향관(10)을 따라 상하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조향관(10)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갖는다.
이러한 승강 슬리브(20)는 상기 조향관(10)에 형성된 가이드홀(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관통구멍(21)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21)으로는 후술할 크로스바(40)의 연결축(41)이 삽입 통과하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승강관(30)은 상술한 조향관(10)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승강을 이루는 부재로서, 관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향관(10) 내에서 원활한 승강이 이뤄질 수 있는 지름을 갖는다.
이러한 승강관(30)은 상기 조향관(10)에 형성된 가이드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31)이 형성되며, 이 관통구멍(31)은 상술한 승강 슬리브(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과 동일한 위치 동일한 크기로서 구비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승강관(30)은 하면에 기어이(32)가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와 선택적으로 교합하는 구조이며, 승강관(30)의 하측 외주면으로는 회전방지돌기(3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이 회전방지돌기(33)는 상기 로크 해제홈(12a)에 끼움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승강관(30)이 회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 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관(30)은 조향관(10)내에서 자유롭게 상하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조향관(10)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가지며, 상기 승강 슬리브(20)는 조향관(10)의 외측에 위치되어 자유롭게 승강을 이룰 수 있도록 조향관(10)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승강관(30)은 회전방지돌기(33)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은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40)는 상술한 승강관(30)과 승강 슬리브(20)와 일체로 조향관(10)의 가이드홀(11)을 따라 승강을 이루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조작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부재이다.
이러한 크로스바(4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연결축(41)이 십자형태로 배치되며, 각 연결축(41)은 상술한 승강관(30)의 관통구멍과 조향관(10)의 가이드홀(11)과 승강 슬리브(20)의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40)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축(41)의 끝단에 조향을 위한 핸들(42)을 연결하는 구성이며, 이때의 상기 핸들(42)은 사용자가 이륜차의 조향을 위해 사용할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가압력을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크로스바(40)는 각 연결축(41)이 교차되는 지점상에서 서로 나사체결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관(50)은 상술한 승강관(30)의 하측에 위치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승강관(30)의 기어이(32)와 선택적으로 교합되는 방향 기어이(51)가 등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되는 구조로서, 상기 방향 기어이(5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관(30)의 기어이(32)의 어느 한면에 제한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바라보면 상단부분이 경사면을 형성한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관(50)은 상기 승강관(30)의 수직 이동시 후술할 탄성체(70)의 탄성지지력을 받아 상기 조향관(10)의 로크부(12)와 연동하여 기어이(32)를 따라 일방향 순차 회전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체(60)는 상술한 회전관(50)의 하측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상향 돌출되는 상돌부(61)와, 이 상돌부(61)의 하측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판(62) 그리고 이 지지판(62)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돌부(6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상돌부(61)는 상술한 회전관(50)의 하측으로 삽입 끼움되는 구조이고, 상기 지지판(62)은 대략 원판형태로 구비되며 상술한 조향관(10)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체(60)는 후술할 탄성체(70)의 탄성력을 안정되게 회전관(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체(70)는 상술한 회전관(50)에 탄성력을 작용하기 위한 부재로서, 통상의 코일 형태의 탄성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상단은 상술한 지지체(60)의 하돌부(63) 주연을 커버하면서 지지판(62)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조향관(10)의 스토퍼(13) 상면에 지지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륜차용 탄력핸들(42)장치에서 크로스바(40)를 이용한 탄력핸들(42) 작용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킹장치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이동체인 크로스바(40)의 일측에 후크핀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후크핀의 끝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조향관(10)의 일측에 걸림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핸들(42)장치의 작동과정을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핸들(42)장치에서 조향관(10)의 로크부(12) 상에서의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의 접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탄력핸들(42)장치에서 조향관(10)을 횡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을 기준으로 조향관(10)의 로크부(12)와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의 상호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가 이륜차용 탄력핸들(42)장치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핸들(42)을 하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는 핸들(42)이 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 핸들(42)을 연결하고 있는 크로스바(40)가 일체로 하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크로스바(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관(10)의 가이드홀(11)을 따라 아래로 이동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40)가 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조향관(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승강 슬리브(20)와 조향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승강관(30) 및 이 승강관(30)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관(50)이 일체로 연동하여 하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고 이와 동시에 탄성체(70)가 가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관(50)이 하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되면 승강관(30)의 기어이(32)와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가 교합된 상태로 하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면서 조향관(10)에 형성된 로크부(12)를 통과하면서 상기 방향 기어이(51)가 경사면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가 로크 돌기(12b) 및 승강관(30)의 기어이(32)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가 로크부(12)의 로크 해제홈(12a)에 진입하여 상향 이동하거나 또는 로크 돌기(12b)에 걸림되어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가 로크 돌기(12b)에 걸림된 상태에서는 탄성체(70)가 압축된 상태이므로 이 탄성체(70)는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갖게 되고, 이러한 복원 탄성력은 사용자가 회전관(50)의 방향 기어이(51)가 로크 해제홈(12a)으로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구간만큼 가압하는 것에 의해 해제되어 결과 적으로 핸들(42)이 탄력 상승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는, 사용자가 핸들에 가압력을 작용하게 되면 탄성 복원력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탄성 복원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한 역동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즉, 승차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탄성 복원력을 생성 및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과 주행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전후 포크가 일체로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의 선단에 상기 전륜을 조향시키는 조향축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측에 안장축으로 연결되는 안장이 마련되는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분을 형성하는 중공의 관으로 상부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4개의 가이드홀 및 하단측에 방향 기어이가 선택적으로 걸림되게 돌출 형성되는 로크 돌기 및 이 로크 돌기와 교대로 형성되어 방향 기어이가 통과되는 로크 해제홈으로 된 로크부 그리고 하부 내측에 내경 지름을 축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조향관과;
    상기 조향관의 외주연에 끼움되는 중공의 관으로서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승강 슬리브와;
    상기 조향관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이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하면에 형성되는 기어이 그리고 하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로그 해제홈에 끼움되어 회전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과 승강 슬리브와 일체로 가이드홀을 따라 승강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승강관의 관통구멍과 가이드홀과 슬리브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4개의 연결축이 십자 형태로 배치되고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축의 끝단에는 조향을 위한 핸들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압력을 작용하는 크로스바와;
    상기 승강관의 하측에 위치되어 기어이와 교합되며 승강관의 수직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로크 돌기에 걸림되거나 또는 로크 해제홈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을 하는 방향 기어이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하측으로 삽입 끼움되는 상돌부와 이 상돌부의 하측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판 그리고 이 지지판의 하측으로 하돌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돌부의 주연으로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조향관의 스토퍼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와 승강관을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에 형성되는 방향 기어이는 등 간격을 두고 3~7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로크 해제홈과 로크 돌기는 3~7개소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3.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4.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관의 로크 돌기는 회전관의 방향 기어이와 접촉하는 선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이 경사면은 회전관의 방향 기어이의 선단과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동일 방향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KR1020040078574A 2004-10-02 2004-10-02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KR10063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74A KR100637625B1 (ko) 2004-10-02 2004-10-02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74A KR100637625B1 (ko) 2004-10-02 2004-10-02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806U Division KR200375847Y1 (ko) 2004-11-23 2004-11-23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71A KR20060029571A (ko) 2006-04-06
KR100637625B1 true KR100637625B1 (ko) 2006-10-25

Family

ID=3713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574A KR100637625B1 (ko) 2004-10-02 2004-10-02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38B1 (ko) * 2006-08-01 2008-04-17 최용집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CN103661728A (zh) * 2013-07-09 2014-03-26 天津富士达集团有限公司 用于折叠自行车把横管旋转和锁紧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71A (ko)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694B2 (en) Tricycle
JP4686765B2 (ja) 三輪車
US6578861B2 (en) Reciprocating type driving mechanism
WO2014106311A1 (zh) 可调整车架长度及角度的自行车车架结构
JP4297967B1 (ja) 前二輪自転車
US20080296865A1 (en) Wheel-Equipped Stand for a Two-Wheeled Vehicle
JP2011522734A (ja) ツインフレーム自転車
KR100637625B1 (ko)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KR200375847Y1 (ko)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US6609721B2 (en) Self propelled multi-axle scooter
KR100721412B1 (ko) 주행모드 선택-전환형 승마자전거
KR100822338B1 (ko) 이륜차용 탄력 핸들장치
JP5317338B2 (ja) 2分割前輪自転車
JP2003212177A (ja) 小型3輪スクータ
KR200386729Y1 (ko) 외륜 자전거
EP1203714A2 (en) Tricycle
JP7357419B1 (ja) スイング機能付き車両
JP7042534B1 (ja) 自転車
TWI500550B (zh) Adjustable riding mode of the bicycle frame structure
JP3180848U (ja) 子供用乗り物
KR200374726Y1 (ko) 핸들로 중심을 잡는 외발 자전거
JP3058882U (ja) 自転車
KR200432616Y1 (ko) 자전거 스탠드
KR200251016Y1 (ko) 자전거
KR20110055764A (ko) 자전거의 핸들에 조향장치가 있고, 자전거의 프레임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세발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