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555B1 - 자동차용 컵 장착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 장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555B1
KR100636555B1 KR1020050087627A KR20050087627A KR100636555B1 KR 100636555 B1 KR100636555 B1 KR 100636555B1 KR 1020050087627 A KR1020050087627 A KR 1020050087627A KR 20050087627 A KR20050087627 A KR 20050087627A KR 100636555 B1 KR100636555 B1 KR 100636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ox
support
support pla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05008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컵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 대쉬보드나 의자의 등받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컵 장착대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또는 의자의 뒷면에 삽입/취출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으로, 그 케이스의 내부로 컵을 수납하여 지지하는 컵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육면체상의 케이스인 박스와, 상기 박스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로 스윙됨으로서 내부 규격을 조절하여 수납되는 다양한 규격의 컵을 위주에서 물어서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박스에 힌지 고정되어 아래로 스윙되어 내려졌을 때 수납되는 컵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장착대는 전체 규격이 작아서 어디든지 장착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규격의 컵을 장착할 수 있으며, 게다가 캔이나 병 등도 견고히 장착할 수 있으며, 특히 손쉽게 취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음료용 컵이나 캔 등이 냉각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서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차량, 컵 장착, 컵 홀더, 컵 지지

Description

자동차용 컵 장착대{Cup attachmen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컵 장착대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컵 장착대의 전개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컵 장착대의 다른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컵 장착대의 또 다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 발명에의 전개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박스
11. 상면 111. 반홀요홈
12. 전면 121. 터치버튼
13. 측면 14. 후면
2. 지지판
21. 탄지부 211. 반홀요홈 22. 스프링
23. 힌지부
3. 받침
31. 가로대 32. 걸림턱 33. 탄지구
41. 전후진장치(실린더)
5. 하우징 51. 에어콘용 그릴
61. 수납케이스 62. 보울트 62'. 보울트체결구 63. 지지구
63'. 가이드 홈 64. 컵끼움판 64'. 가이드 65. 컵받침대
66. 탄성재 67. 요(凹)홈 68. 이탈방지편 69. 지지대
69'. 탄성재 70. 손잡이 71. 컵 72, 72'. 힌지구멍
73. 탄성걸림편 74, 74'. 컵호울 75. 승강지지대
76, 76'. 힌지핀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컵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 대쉬보드나 의자의 등받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에 관한 발명이다.
자동차에는 운행 중에 사용자(운전자 또는 보조자 등)가 음용하는 음료용의 캔이나 컵 및 병 등을 수납하여 지지하면서 하시(何時)라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컵 홀더 또는 컵 장착대(이하 '컵 장착대'라 함) 등이 설치되어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는데, 이중에서 특히 착탈식으로 되어 사용 시에는 뽑아내어 장착대로 사용하다가, 불필요할 경우 다시 집어넣어 사용자에게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선호되고 있다.
도 6은 종래 발명을 그 내부 구성을 알 수 있도록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상태도이다.
이러한 구조로서는 1991년 06월 13일부로 공고된 공고번호 실1991-0004036호가 있으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발명은, 수납식 컵홀더에 있어서, 브라켓에 힌지축으로 힌지연결 되어지는 수납케이스(61)내에 지지구(63)를 보울트(62)로 체결시키고, 상기 지지구(63)에 컵끼움판(64)을 끼운 후, 상기 컵끼움판(64)에 승강지지대(75)를 통하여 컵받침대(65)가 힌지(76, 76')로 고정결합되도록 구성시키되, 상기 지지구(63)에는 양측면에 탄성재(66)와 상부면에 요홈(67)이 형성된 한쌍의 이탈방지편(68)과 가이드홈(63') 및 탄성재(69')가 쓰워지는 수직지지대(69)가 갖추어지고, 상기 컵끼움판(64)은 탄성걸림편(73)과 컵호울(74)과 가이드(64') 및 손잡이(70)가 형성되며, 상기 컵받침대(65)는 컵호울(74')을 갖춘 안경테형상으로 힌지구멍(72')가 수평의 지름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지지대(75)는 컵받침대(65)를 컵끼움판(64)에 부착시켜주도록 H자형상의 단면으로 각단에 힌지핀(76, 76')이 갖추어진 것으로 구성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컵끼움판(64)의 컵호울(74)에 컵(71)을 놓으면 컵(71)하부는 컵받침대(65)에 놓여지고, 컵의 몸체는 상기 컵호울(74)에서 지지되어 옆으로 쓰러지지 않게 된다. 특히, 컵호울(74)은 어떠한 음료용기라도 수납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며 컵받침대(65)는 그 호울(74')이 가장 작은 용기의 크기에 맞추어 빠지지 않도록 하였음으로서 차량운행 중 안전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비록 그 출원인은 다양한 컵 규격에 적용 가능하다고 하지만, 이는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지 일단 제작된 컵 홀더에는 지정된 규격의 컵만 장착이 가능하여 사이즈 적응 능력이 없는 것이며, 또한 밑면이 좁고 윗면이 넓은 컵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서 캔이나 병 등의 수납에는 적합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규격이 작아서 어디든지 장착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규격의 컵을 장착할 수 있으며, 게다가 캔이나 병 등도 견고히 장착할 수 있으며, 특히 손쉽게 취출이 가능한 컵 장착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대의 위치를 특정의 위치로 함으로서 음료용 컵이나 캔 등이 냉각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컵 장착대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또는 의자의 뒷면에 삽입/취출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으로, 그 케이스의 내부로 컵을 수납하여 지지하는 컵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육면체상의 케이스인 박스와, 상기 박스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로 스윙됨으로서 내부 규격을 조절하여 수납되는 다양한 규격의 컵을 외주에서 물어서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박스에 힌지 고정되어 아래로 스윙되어 내려졌을 때 수납되는 컵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후단에는 1개소 이상 상기 박스에 탄지되어 지지판을 최상단에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장설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박스의 후단에는 1개소 또는 2개소에 전후진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박스의 전면에는 상기 전후진장치를 작동시키는 터치버튼이 장착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박스를 수납하는 하우징이 에어콘용 그릴의 하단에 구비되어 이 하우징에 상기 박스가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컵 장착대만을 사시상태로 도시하는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컵 장착대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로 도시한 전개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컵 장착대는 외부 뼈대를 이루는 박스(1)와, 다양한 규격의 컵(71)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는 지지판(2)과, 수납되는 컵(71)이나 캔 등이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3)을 기본 구조로 하는데, 이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박스(1)는 육면체 상으로 되어 있지만, 하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면(11)은 전면에서 일부만 덮여서 반원상으로 절개된 반홀요홈(111)으로 마감되며, 측면(13)과 후면(14)은 박스(1)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평면의 단체(單體)형으로 도시하였지만, 후술하는 지지판(2) 및 받침(3)의 힌지축이 설치 될 수 있다면 빗살형이나 좁은 스트립 바(Strip bar)상으로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지지판(2)은 박스(1)의 후부 측면(13)에 후단이 힌지로 지지되는 것으로, 이때 힌지부(23)는 지지판(2)의 두께나 물성에 따라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소정두께로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의 직각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2)의 선단은 상기 박스(1)의 상면(11)이 끝나는 위치와 약간 중복되는 길이로 되는 것으로, 반홀요홈(211)으로 마감되는 바, 박스(1) 상면(11)의 반홀요홈(111)과 지지판(2)의 반홀요홈(211)이 겹쳐져서 타원상의 천공을 이루게 되며, 힌지의 뒷부분은 유연한 소재로 되어 라운드되는 끝단이 상기 박스(1)의 후면(14)과 접촉되어 지지판(2)이 항상 최상단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탄지부(21)가 있으며, 이는 구성 소재의 탄성력에 따라 지지판(2) 후단의 전면적 또는 일부면적만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받침(3)은 박스(1)의 후부 측면(13)에 후단이 힌지로 지지되는 것이고, 선단은 그 끝단이 상부로 경사되는 가로대(31)가 형성되어 있는데, 받침(3)과 가로대(31)는 끝이 위쪽으로 밴딩된 평판상으로 될 수도 있지만, 경량화를 감안하면 양 가장자리로 2개의 받침(3)이 그 종단에서 가로대(31)로 연결되는 역 "ㄷ"자 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단인 힌지 뒷부분에 받침(3)을 상시로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탄지구(33)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술한 탄지부(21)와 동일하게 형성시키거나,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구조를 택할 수 있으며, 받침(3)이 하단으로 스윙될 때 그 최하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박스(1)의 측면(11)에 가로지르거나 돌기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턱(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컵 장착대의 다른 상태도로서 도 3a는 탄지부(21)가 탄성체로 지지되는 것을 도 3b는 스프링(22)으로 지지되는 것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컵 장착대는 지지판(2)의 탄지부(21)가 특히 스프링(22)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스프링(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을 축심으로 하여 감겨서 박스(1)로부터 지지판(2)이 탄지되도록 하는 핀(Pin)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박스(1)와 지지판(2)간을 탄지하는 코일(Coil)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컵 장착대의 또 다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컵 장착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의 후면(14)에 전후진장치(41)로서 유공압 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를 하나 또는 두 개 장착하고 박스(1)의 전면(12)에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터치버튼(121)을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컵 장착대는 박스(1)를 적절히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5)이 에어콘용 그릴(51)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5) 내에 박스(1)가 수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컵 장착대는 이하와 같이 작용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박스(1)는 육면체상으로 되어, 하면은 개방되고, 상면(11)은 전면에서 일부만 덮이도록 하여 경량화 및 자제 비용을 최소화하였으며, 상면(11)의 반홀요홈(111)은 컵(71)·캔·병 등을 외주에서 지지하는 용도이며, 후 술하는 지지판(2)의 반홀요홈(211)과 세트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2)은 박스(1)의 후부 측면(13)에 후단이 힌지로 지지되고, 지지판(2)의 선단은 상기 박스(1)의 상면(11)이 끝나는 위치와 약간 중복되는 길이로 되어 반홀요홈(211)으로 마감되고, 힌지의 뒷부분은 유연한 소재로 되어 라운드되는 끝단의 탄지부(21)가 라운드되어 상기 박스(1)의 후면(14)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지지판(2)이 박스(1)내에서 상시로 최상단으로 지지되어서 상면(11)의 반홀요홈(111)과 지지판(2)의 반홀요홈(211)이 겹쳐져서 타원상의 천공을 이루게 되며, 이 상태에서 컵(71)의 하단부를 타원상의 반홀요홈(111, 211)사이로 밀어 넣으면, 탄지부(21)의 라운드 반경이 더 작아지면서 지지판(2)이 아래로 밀려 반홀요홈(111, 211)의 간격이 벌려짐으로 컵(71)이나 캔 등의 외주 사이즈에 맞게 벌려져서 컵(71)등이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컵(71)을 꺼내면 탄지부(21)의 라운드 반경이 커지면서 지지판(2)을 다시 들어올려 최상단으로 복원시킨다.
게다가, 받침(3)은 박스(1)의 후부 측면(13)에 후단이 힌지로 지지되는 것이고, 선단은 그 끝단이 상부로 경사되는 가로대(31)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3)을 상시로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탄지구(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침(3)도 상시로는 최상단에 위치하지만 컵(71)이 장착되면 컵(71)의 하단에 밀려서 밑으로 내려지는데, 상기 박스(1)의 측면(11)에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스윙될 때 그 최하점을 지지하게 되어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지지되는데, 가로대(31)의 경사각도에 의해 이 상태에서 가로대(31)는 수평을 이루고 컵(71)의 밑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 리고, 컵(71)을 꺼내면 받침(3)은 다시 최상단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판(2)과 받침(3)은 상시로 박스(1)내에 수납되게 되어 컴펙트한 사이즈가 됨으로 후술하는 하우징(5)의 규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지지판(2)의 탄지부(21)가 특히 스프링(22)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탄지부(21)의 소재가 열화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수 있는 점을 개선하여 내구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물론 라운드 되는 탄지부(21)와 스프링(22)을 함께 사용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박스(1)의 후면(14)에 전후진장치(41)를 장착하고, 박스(1)의 전면(12)에 터치버튼(121)을 설치하였음으로, 터치버튼(121)을 눌러서 전후진장치(41)를 작동시킴으로서 박스(1)를 하우징(5)내부로 넣었다가 빼었다가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박스(1)를 적절히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5)이 에어콘용 그릴(51)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5) 내에 박스(1)가 수납되어 있어서, 컵(71)을 꽂으면, 에어콘용 그릴(51)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컵(71)측으로 맞닿게 되어 냉장상태를 보다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어서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장착대는 전체 규격이 작아서 어디든지 장착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규격의 컵을 장착할 수 있으며, 게다가 캔이나 병 등도 견고히 장착할 수 있으며, 특히 손쉽게 취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음료용 컵이나 캔 등이 냉각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서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또는 의자의 뒷면에 삽입/취출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으로, 그 케이스의 내부로 컵을 수납하여 지지하는 컵 장착대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육면체상의 케이스인 박스(1)와,
    상기 박스(1)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로 스윙됨으로서 내부 규격을 조절하여 수납되는 다양한 규격의 컵(71)을 외주에서 물어서 지지하는 지지판(2)과,
    상기 박스(1)에 힌지 고정되어 아래로 스윙되어 내려졌을 때 수납되는 컵(71)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3)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의 후단에는 1개소 이상 상기 박스(1)에 탄지되어 지지판(2)을 최상단에 복귀시키는 스프링(22)이 장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의 후단에는 1개소 또는 2개소에 전후진장치(41)가 설치되고, 상기 박스(1)의 전면에는 상기 전후진장치(41)를 작동시키는 터치버튼(121)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를 수납하는 하우징(5)이 에어콘용 그릴(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이 하우징(5)에 상기 박스(1)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장착대.
KR1020050087627A 2005-09-21 2005-09-21 자동차용 컵 장착대 KR10063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627A KR100636555B1 (ko) 2005-09-21 2005-09-21 자동차용 컵 장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627A KR100636555B1 (ko) 2005-09-21 2005-09-21 자동차용 컵 장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555B1 true KR100636555B1 (ko) 2006-10-20

Family

ID=3762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627A KR100636555B1 (ko) 2005-09-21 2005-09-21 자동차용 컵 장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5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424A (zh) * 2011-05-11 2011-12-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具有储物盒的轿车仪表板
KR101292504B1 (ko) 2012-02-29 2013-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트레이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91-569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97-32352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97-5068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5382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21359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424A (zh) * 2011-05-11 2011-12-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具有储物盒的轿车仪表板
KR101292504B1 (ko) 2012-02-29 2013-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JP4895550B2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CA2188209C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US5628486A (en) Conceal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US5379978A (en) Vehicular convertible cupholder
KR100636555B1 (ko) 자동차용 컵 장착대
US6010047A (en) Compact dual arm container holder
US7226102B2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ular tray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KR100761513B1 (ko) 컵홀더
JP3644581B2 (ja) ホルダー
KR200286568Y1 (ko) 컵홀더
KR10043200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2003034173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CN217455860U (zh) 车载手机支架及车辆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US2835543A (en) Service tray for automobiles or the like
CN219115304U (zh) 一种翻转式杯托
JP2572744Y2 (ja) カップホルダ
JP3786102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JP2003291734A (ja) 車両用容器保持装置
JP2572800Y2 (ja) 自動車用ドリンクホルダ
JP3038174U (ja) 自動車用小物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