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227B1 -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227B1
KR100636227B1 KR1020050020024A KR20050020024A KR100636227B1 KR 100636227 B1 KR100636227 B1 KR 100636227B1 KR 1020050020024 A KR1020050020024 A KR 1020050020024A KR 20050020024 A KR20050020024 A KR 20050020024A KR 100636227 B1 KR100636227 B1 KR 10063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ibute
content
directory
directories
attribu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045A (ko
Inventor
한국현
어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227B1/ko
Priority to US11/283,672 priority patent/US20060206515A1/en
Priority to EP06250159A priority patent/EP1701277A3/en
Priority to CNA2006100032031A priority patent/CN1831821A/zh
Publication of KR2006009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의 탐색에 대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컨텐츠 속성을 기반으로 한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텐츠의 속성에 의해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며, 그리고 속성 디렉토리들의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Method for generating directory structure to search contents}
도 1은 종래의 디렉토리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의 개념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컨텐츠와 컨텐츠 속성의 연관성을 맵핑시킨 테이블이다.
도 10은 컨텐츠 속성에 대한 속성값 리스트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대한 컨텐츠의 탐색에 대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컨텐츠 속성을 기반으로 한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범주를 명확히 구분짓지 못하고 탐색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와 가장 가까운 컨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양이 방대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찾는 과정 자체에서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 이와 같이 방대한 양의 컨텐츠를 다루기 위해서 컨텐츠 어드레서블 메모리(contents addressable memory) 개념이 등장하였고,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검색 기법 및 디렉토리 구조 등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모든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할 수 있는 컨텐츠 검색 방법을 구현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자신이 찾고자 하는 컨텐츠의 제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컨텐츠 검색 엔진을 제공해주면 만족할 것이다. 그러나, 컨텐츠의 제목에 대해서는 전혀 기억을 하지 못하고 컨텐츠의 장르나 가수 등의 부가 정보만을 기억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범주 구분에 따른 검색이 가능토록 컨텐츠 디렉토리 구성을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신이 어떤 컨텐츠를 원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모르고 단지 느낌이나 단편적인 생각을 가지고 검색에 임하는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컨텐츠마다 연관성이 있는 다른 컨텐츠로의 연결고리를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최근 방대한 양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실용화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검색이 아닌 디렉토리 구조에 의한 탐색 기법에 대해서는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기존의 일반적인 디렉토리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컨텐츠들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와 같은 계층적 분류로 구분짓는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1단계 분류 는 영화/음악/문서, 2단계 분류는 1970년대이전/1980년대/1990년대/2000년대, 3단계 분류는(영화의 경우) 공포/다큐멘터리/드라마/멜로/코미디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디렉토리 구조는 최하위 디렉토리 구조까지 결정되어야, 선택된 분류에 해당되는 컨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는 구조이다.
기존의 디렉토리 구조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은 최상위 분류부터 최하위 분류까지 차례로 선택하여 하위 디렉토리를 찾아 들어가는 형태이다. 최하위 디렉토리 중 하나가 선택되면 비로소 해당 분류에 속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디렉토리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서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최상위 분류부터 최하위 분류까지의 분류 경로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둘째, 분류의 계층 구조가 초기에 고정되기 때문에, 추후 분류가 애매한 컨텐츠가 등장할 경우에는 분류하기가 어렵다.
셋째, 최상위 분류부터 최하위 분류까지 경로를 따라 들어가야만 비로소 컨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다.
넷째, 컨텐츠의 다양한 속성들을 기존의 디렉토리 구조에 포함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각 컨텐츠는 분류 이외에도 여러 가지 속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감독, 키워드, 주연, 상영시간, 주제곡, 작곡가, 제작국가 등이 속성에 해당한다. 이렇게 다양한 속성들은 기존의 디렉토리 구조에 반영이 거의 불가능하며, 대부분의 경우 최하위 분류로 들어가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다시 속성보기에서 하이퍼링크 등을 통해 원하는 속성을 갖는 컨텐츠를 찾을 수 있는 검색 기능을 제공하 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컨텐츠 디렉토리 구조를 제안하여 사용자에게 방대한 컨텐츠의 탐색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속성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인 속성값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디렉토리 구조의 생성 방법으로서, (a) 컨텐츠의 속성에 의해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속성 디렉토리들의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c) 임의의 속성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선택한 속성의 속성값들에 의해 분류되고, 상기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속성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속성 서브 디렉토리는 선택한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디렉토리들, 선택한 속성의 속성값들에 의해 분류된 속성값 디렉토리들 및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컨텐츠 디렉토리내의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한 컨텐츠와 동일한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서브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임의의 속성값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컨텐츠의 속성에 의해 분류되고, 선택 한 속성값을 포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속성값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속성값 서브 디렉토리는 선택한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디렉토리들 및 선택한 속성값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서브-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컨텐츠 서브 디렉토리내의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한 컨텐츠와 동일한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서브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서브 디렉토리들중 임의의 서브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선택한 속성 디렉토리를 제외한 속성 디렉토리들 및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서브-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각 서브 디렉토리에는 선택한 컨텐츠의 속성값을 표시한다.
컨텐츠와 연관된 속성만으로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와 컨텐츠 속성의 연관성을 맵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시간 마다 갱신되며, 바람직하게는 컨텐츠가 추가될 때마다 갱신된다.
미리 저장된 상기 속성에 대한 속성값 리스트를 이용하여 속성값 디렉토리들을 생성한다.
속성값 리스트는 소정시간 마다 갱신되며, 바람직하게는 컨텐츠가 추가될 때 마다 갱신된다.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속성 디렉토리들, 속성값 디렉토리들, 컨텐츠 서브 디렉토리 및 컨텐츠 서브-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렉토리 구조의 개념을 도시한 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루트 디렉토리는 속성 1 내지 속성 9 및 Contents로 구성된 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루트 디렉토리 내의 Contents에는 모든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속성 1 내지 속성 9는 컨텐츠가 갖고 있는 전체 속성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속성 1 내지 속성 9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언제든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속성 2에 대한 서브 디렉토리는 속성 1, 속성 2의 속성값 1, 속성 2의 속성값 2, 속성2의 속성값 3, 속성 3 내지 속성 9 및 Contents를 포함한다. 이러한 속성 2의 서브 디렉토리 내의 Contents에는 속성 2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다. 상기 속성값 1 내지 속성값 3은 선택한 속성 2에 대한 세부 정보이며, 이러한 속성값들은 어떠한 속성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속성 2의 속성값 2에 대한 서브 디렉토리는 속성값 2에 속해있는 속성 2를 제외한 속성 1, 속성 3 내지 속성 9 및 Contents를 포함한다. 이로한 속성 2의 속성값 2의 서브 디렉토리 내의 Contents에는 속성값 2를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다양한 속성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인 속성값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컨텐츠 검색을 위하여 디렉토리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1).
선택한 디렉토리가 루트 디렉토리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2).
판단 결과, 만약 루트 디렉토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컨텐츠의 모든 속성에 의해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 및 전체 컨텐츠를 포함한 컨텐츠 디렉토리로 구성된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한다(S303).
한편, S303과정에서 속성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컨텐츠와 컨텐츠 속성의 연관성을 맵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9에는 컨텐츠와 컨텐츠 속성의 연관성을 맵핑시킨 테이블이 도시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시간 마다 갱신되며, 바람직하게는 컨텐츠가 추가될 때마다 갱신된다.
상기 S302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루트 디렉토리가 아닌 속성 디렉토리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한다(S304).
판단 결과, 만약 속성 디렉토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한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 디렉토리, 선택한 속성의 속성값에 의해 분류된 속성값 디렉토리 및 선택한 속성을 갖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된 서브 디렉 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5).
한편, 상기 S305과정에서, 속성값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속성에 대한 속성값 리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속성값 리스트는 소정시간 마다 갱신되며, 바람직하게는 컨텐츠가 추가될 때마다 갱신된다.
상기 S304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속성 디렉토리가 아닌 속성값 디렉토리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한다(S306).
판단 결과, 만약 속성값 디렉토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한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 디렉토리 및 선택한 속성값을 갖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브-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된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7).
상기 S306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속성값 디렉토리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의 선택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08).
상기 S308과정에서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한 컨텐츠가 현재 속하는 디렉토리와 동일한 디렉토리로 구성되며, 선택한 컨텐츠의 속성값을 표시한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9).
그리고 나서, 상기 S303과정, S305과정, S307과정 및 S309과정을 수행한 후,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각각 수행한다(S310, S311 및 S312). 상기 S310, S311 및 S312과정을 수행한 결과,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서브 디렉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수행하며(S313), 만약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종료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 도 이다.
도 4는 루트 디렉토리를 선택한 후, A0."영화" 속성을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다.
루트 디렉토리는 다양한 A0.속성으로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 및 A0.Contents로 구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된다. 여기서 A0.속성들은 가수, 감독, 문서, 소요시간, 연도, 영화, 음악, 작곡가, 조연, 주연, 주제곡, 키워드 및 파일타입으로 구성된다.
A0.속성들중 "영화"를 선택하면, 선택한 속성 "영화"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서브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상기 서브 디렉토리는 속성"영화"에 대한 속성값들로 분류된 속성값 디렉토리인 공포, 다큐멘터리, 드라마, 멜로 및 코미디를 포함하며, "영화"를 제외한 나머지 A0.속성들중 "영화"와 연관된 속성으로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A1. 감독, 소요시간, 연도, 조연, 주연, 주제곡, 키워드, 파일타입) 및 "영화"속성을 포함하는 A1.Contents를 포함한다.
이러한 속성값 디렉토리 생성시, 이하의 도 10의 속성값 리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영화"와 연관된 속성으로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A1. 감독, 소요시간, 연도, 조연, 주연, 주제곡, 키워드, 파일타입)를 생성할 때, 이하의 도 9에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디렉토리 구조에서 "영화"의 속성값중 "공포"를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공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화"의 속성값중 "공포"를 선택하면, "영화"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중 "영화"와 연관된 속성으로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A2. 감독, 소요시간, 연도, 조연, 주연, 주제곡, 키워드, 파일타입) 및 "영화"이 속성값이 "공포"인 모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A2.Contents로 구성된 서브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도 6은 상기 도 5의 디렉토리 구조에서 A2.Contents를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다.
"A2.Contents"를 선택하면, A2.Contents는 A1.Contents중 "영화"의 속성값이 "공포"인 모든 컨텐츠를 포함한다. 즉, A2.Contents는 가위, 간첩, 귀신, 나이트, 독약, 물귀신, 별들의 전쟁, 불나방, 살인, 악몽을 포함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디렉토리 구조에서 귀신.mpg 컨텐츠를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다.
"귀신.mpg" 컨텐츠를 선택하면, A2.디렉토리에 포함된 "귀신.mpg" 컨텐츠의 속성값들로 구성된 서브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도 8은 상기 도 7의 디렉토리 구조에서 주연-한주연을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낸다.
"주연-한주연"을 선택하면, A2.디렉토리에서 "주연"을 제외한 속성값들 및 A2.Contents중 "주연" 속성값이 "한주연"인 컨텐츠를 포함한 Contents로 구성된 서브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도 9는 컨텐츠와 컨텐츠 속성의 연관성을 맵핑시킨 테이블이다.
"영화" 속성을 갖는 컨텐츠는 상기 도 9에서와 같이 "○"로 표시된 속성들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속성 디렉토리 생성시 이러한 테이블을 이용하면, 속성 디렉토리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는 속성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빈 속성 디렉토리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속성 디렉토리 생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컨텐츠 속성에 대한 속성값 리스트를 나타낸 도이다.
"영화" 속성에 대한 속성값으로는 코미디, 멜로, 드라마, 공포 및 다큐멘터리가 있으며, "음악" 속성에 대한 속성값으로는 클래식, 가요, 팝송, 락 및 OST가 있다.
속성값 디렉토리 생성시, 선택된 속성은 없어지고 대신 해당 속성값들이 추가된다. 이때, 선택된 속성의 속성값 리스트를 미리 보유하고 있으면, 속성값 디렉토리 생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 정확한 분류 경로를 몰라도 찾을 수 있으며, 계층적인 분류로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고 속성에 의해 분류하 므로, 속성의 추가 및 분류에 적합하며, 컨텐츠의 모든 속성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폴더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수준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다양한 속성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인 속성값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디렉토리 구조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의해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속성 디렉토리들의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임의의 속성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선택한 속성의 속성값들에 의해 분류되고, 상기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속성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서브 디렉토리는 상기 선택한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디렉토리들, 상기 선택한 속성의 속성값들에 의해 분류된 속성값 디렉토리들 및 상기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c1) 상기 컨텐츠 디렉토리내의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컨텐츠와 동일한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서브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d) 상기 임의의 속성값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의해 분류되고, 상기 선택한 속성값을 포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속성값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값 서브 디렉토리는 상기 선택한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디렉토리들 및 상기 선택한 속성값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컨텐츠 서브-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d1) 상기 컨텐츠 서브 디렉토리내의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컨텐츠와 동일한 속성들에 의해 분류된 서브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e) 상기 (d1)단계에서 생성된 서브 디렉토리들중 임의의 서브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속성 디렉토리를 제외한 속성 디렉토리들 및 상기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로 구성된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서브-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디렉토리에는 선택한 컨텐츠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속성만으로 분류된 속성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 속성의 연관성을 맵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시간 마다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컨텐츠가 추가될 때마다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상기 속성에 대한 속성값 리스트를 이용하여 속성값 디렉토리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값 리스트는 소정시간 마다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값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가 추가될 때마다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속성을 포함한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속성 디렉토리들, 속성값 디렉토리들 및 컨텐츠 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속성값을 포함한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속성 디렉토리들, 속성값 디렉토리들 및 컨텐츠 서브-서브 디렉토리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20024A 2005-03-10 2005-03-10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KR10063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24A KR100636227B1 (ko) 2005-03-10 2005-03-10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US11/283,672 US20060206515A1 (en) 2005-03-10 2005-11-22 Method of generating directory structure for content search
EP06250159A EP1701277A3 (en) 2005-03-10 2006-01-13 Method of generating directory structure for content search
CNA2006100032031A CN1831821A (zh) 2005-03-10 2006-01-27 产生用于内容搜索的目录结构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24A KR100636227B1 (ko) 2005-03-10 2005-03-10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45A KR20060099045A (ko) 2006-09-19
KR100636227B1 true KR100636227B1 (ko) 2006-10-19

Family

ID=3660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024A KR100636227B1 (ko) 2005-03-10 2005-03-10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06515A1 (ko)
EP (1) EP1701277A3 (ko)
KR (1) KR100636227B1 (ko)
CN (1) CN18318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89B1 (ko) 2007-01-31 2009-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10209061A1 (en) * 2010-02-19 2011-08-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playing back audio files with an audio reproduction device
CN102332058A (zh) * 2011-10-18 2012-01-25 浙江大学 一种葡萄藤式医学知识构建方法和系统
CN104572746B (zh) * 2013-10-24 2018-03-20 世纪禾光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矩阵式信息发布及访问方法和系统
CN108255907A (zh) * 2017-06-30 2018-07-06 勤智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目录生成方法、系统及基于该目录生成方法的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4923A (en) * 1994-06-21 1998-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Facility for the intelligent selection of information objects (persona)
US5701469A (en) * 1995-06-07 1997-12-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ccurate search results using a content-index
GB2380575B (en) * 1997-09-21 2003-12-17 Microsoft Corp A method of querying a data provider
US7305400B2 (en) * 2000-03-09 2007-12-04 The Web Acc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research task by interchangeably utilizing a multitude of search methodologies
US6934721B2 (en) * 2001-10-09 2005-08-2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managing information for an application program using a file management system
US7409644B2 (en) * 2003-05-16 2008-08-05 Microsoft Corporation File system shell
US7840892B2 (en) * 2003-08-29 2010-11-23 Nokia Corporation Organization and maintenance of images using meta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06515A1 (en) 2006-09-14
EP1701277A2 (en) 2006-09-13
CN1831821A (zh) 2006-09-13
EP1701277A3 (en) 2006-11-29
KR20060099045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2370B1 (en) Document-based synonym generation
KR101659097B1 (ko) 복수의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들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944609B2 (en) Search results using editor feedback
US7836077B2 (en) Document searching tool and method
US8082266B2 (en) Index for data retrieval and data structuring
US9576057B2 (en)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keyword space
JP5147947B2 (ja) クエリ別検索コレクション生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321456B2 (en) Generating metadata for association with a collection of content items
US80605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mposite data files
US85548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terms relevant to web pages using social network messages
US20090228482A1 (en) Network search method, system and device
US8204916B2 (en) Hierarchical presentation of search results
JP2002041546A (ja) 階層的統計分析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174730A1 (en) Digital Resources Searching and Mining Through Collaborative Judgment and Dynamic Index Evolution
KR100636227B1 (ko) 컨텐츠 탐색을 위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방법
Schedl et al. Towards an automatically generated music information system via web content mining
KR20090111243A (ko) 지식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JP2008225584A (ja) 物品推薦装置、物品推薦システム、物品推薦方法及び物品推薦プログラム
KR100831055B1 (ko)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
JP3855647B2 (ja) ディレクトリ編集型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ディレクトリ編集型情報検索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WO200206918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archiving and retrieving data in a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