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041B1 -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6041B1 KR100636041B1 KR1020000004163A KR20000004163A KR100636041B1 KR 100636041 B1 KR100636041 B1 KR 100636041B1 KR 1020000004163 A KR1020000004163 A KR 1020000004163A KR 20000004163 A KR20000004163 A KR 20000004163A KR 100636041 B1 KR100636041 B1 KR 1006360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ntact
- contacts
- quadrants
- quadr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호 접속 시스템은 내부에 접촉부들의 배열을 갖는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와 정합 가능하고 내부에 접촉부들의 배열을 갖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복수의 배향으로 정합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 내의 다수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4개의 쿼드런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쿼드런트는 몇몇 접촉부를 한 배향으로 둘러싼다. 각각의 쿼드런트는 다른 상기 쿼드런트의 배향과 상이한 배향을 갖는다.
상호 접속, 접촉부, 커넥터, 정합, 대칭형, 하우징
Description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사용시의 서로 다른 사시도.
도1c 내지 도1f는 헤더를 구비한 리셉터클의 4개의 가능한 서로 다른 정합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제1 구성 요소의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2 구성 요소의 서로 다른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제2 구성 요소의 소조립체의 사시도.
도4b 및 도4c는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구성 요소의 소조립체의 서로 다른 분해 사시도.
도5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구성 요소에 대한 접촉 배열을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구성 요소에 대한 다른 접촉 배열을 도시한 개략도.
도7은 제2 구성 요소에 대한 또 다른 접촉 배열을 도시한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특징을 반영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접촉 모듈 중 하나의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접지 접촉부의 일단부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호 접속 시스템
11 : 헤더
13 : 리셉터클
15 : 절연 하우징
17 : 기부
23, 25 : 핀
27 : 실드
31 : 후방 하우징
33 : 모듈
35 : 전방 하우징
63 : 신호 접촉부
65 : 접지 접촉부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속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커넥터와 하나의 배향으로 정합하는 것만 허용한다. 고속 커넥터의 제한된 정합성에 대한 하나의 이유는 커넥터의 형상이다. 대부분의 고속 커넥터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즉, 고속 커넥터는 접촉 열에 대하여 동일하지 않은 개수의 접촉 행을 갖는다. 그래서, 커넥터는 하나의 커넥터의 열이 대응하는 커넥터의 열과 정렬될 때에만 정합할 수 있다.
고속 커넥터의 제한된 정합성에 대한 다른 하나의 이유는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의 배열이다. 통상,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의 배향은 커넥터의 길이를 가로질러 동일하게 유지된다. 고속 커넥터의 이러한 "극성(polarization)"은 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들 커넥터는 하나의 특정한 배향으로만 정합할 수 있다.
이렇게 "극성" 커넥터는, 고속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면서, 불균형한 접촉력을 나타낸다. 각각의 접촉은 일반적으로 다른 접촉부에 의해 발생된 힘과 같은 배향을 갖는 힘을 커넥터 내에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불균형한 힘은 기판 상의 관통 구멍에서 납땜 연결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삽입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커넥터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개선된 고속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선택적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대응하는 커넥터와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대칭형의 접촉 배열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균형있는 접촉력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내부에 접촉부들의 배열을 갖는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와 정합 가능하고 내부에 접촉부들의 배열을 갖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시스템에 의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서 달성된다.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복수의 배향으로 정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 내의 다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서 달성된다. 커넥터는 4개의 쿼드런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쿼드런트는 한 배향으로 배향된 몇몇 접촉부를 내장한다. 각각의 쿼드런트는 다른 상기 쿼드런트의 배향과 상이한 배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용도와 이점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2개 이상의 전기 또는 전자 구성 요소가 다수의 배향으로 상호 접속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속 시스템(10)은 도터보드(D1, D2)를 배면, 즉 마더보드(M)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호 접속 시스템은 대략 2개의 도터보드를 마더보드에 접속시킬 수 있으며, 도터보드(들)는 마더보드의 단지 한 측면에만 위치될 수 있다. 도터보드(D1, D2)는 마더보드(M)에 다수의 배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1a 및 도1b가 수평 배향의 도터보드(D1) 및 수직 배향의 도터보드(D2)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호 접속 시스템(10)의 융통성은 각각의 도터보드(10)가 마더보드(M)에 적어도 4개의 배향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호 접속 시스템(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와 같다.
상호 접속 시스템(10)은 헤더(11)와 리셉터클(13) 등의 적어도 2개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3)은 직각의 리셉터클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M, D1 및/또는 D2)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다른 적당한 리셉터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헤더(11)는 도터보드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은 마더보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헤더(11)와 리셉터클(13)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도터보드(D1, D2) 또는 마더보드(M)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호 접속 시스템(10)은 도터보드(D1, D2)와 마더보드(M)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일의 종단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시스템(10)은 4개의 헤더(11)와 2개의 리셉터클(13)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4개 이상 또는 이하의 헤더가 제공될 수 있으며, 2개 이상 또는 이하의 리셉터클이 제공될 수 있다. 도1c 내지 도1f를 또한 참조하면, 헤더(11)와 리셉터클(13)은 서로에 대하여 4개의 배향으로 90°편향되어 접속 가능하다. 측면 A1 내지 측면 A4는 도시된 4개의 위치의 측면 B1 내지 측면 B4에 위치될 수 있다. 다중의 커넥터가 사용되면, 어떤 것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어 있게 되거나 접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11, 13)는 도터보드(D1 및/또는 D2)를 마더보드(M)에 대략 4개의 배향으로 장착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도2a 및 도2b는 마더보드(M)에 장착하기 전의 하나의 헤더(11)를 나타낸다. 헤더(11)는 절연 하우징(15)을 포함한다. 하우징(15)은 덮개(19)에 의해 둘러싸여진 기부(17)를 포함한다. 기부(17)는 신호 접촉부, 즉 핀(23)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구멍(21)을 포함한다. 신호 핀(23)은 헤더(11)의 정합면(17a) 및 장착면(17b) 모두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접지 접촉부, 또는 핀(25)과 접지 실드(27)의 배열은 각각의 신호 핀(23)의 측면들을 둘러싼다. 기부(17) 내의 구멍(29)은 접지 핀(25)과 접지 실드(27)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신호 핀(23)과 같이, 접지 핀(25)은 헤더(11)의 정합면(17a) 및 장착면(17b) 모두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접지 실드(27)는 기부(17) 내에 유지된다. 접지 핀(25)과 접지 실드(27)는 서로 직접 접촉하여 연속성을 제공한다.
리셉터클(13)들 중의 하나는 도3a, 도3b, 도4a 내지 도4c,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 하우징(31), 모듈(33) 및 전방 하우징(35)을 포함한 여러 구성 요소들은 리셉터클(13)을 형성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 하우징(31)은 일반적으로 측벽(36, 37)과 후방벽(39)과 상부벽(41)으로 형성된 개방 구조물이다. 후방 하우징(31)의 개방된 내부는 나란히 배열된 일련의 모듈(33)의 후방 부분을 수용한다. 리셉터클(13)은 측벽(36, 37)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정렬 포스트(43)를 사용하여 도터보드(D1, D2) 위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정렬 포스트(43)는 도터보드(D1, D2) 내에서 대응하는 관통 구멍(도시 안됨)과 맞물린다.
전방 하우징(35)도 또한 일반적으로 정합면(45)과 측벽(47, 49)과 하부벽(51)과 상부벽(53)으로 형성된 개방 구조물이다. 전방 하우징(35)의 개방된 내부는 나란히 배열된 일련의 모듈(33)의 전방 부분을 수용한다. 전방 하우징(35)은 각각의 하우징 상의 래치 구조물(55, 57)을 각각 사용하여 후방 하우징(31)에 고정된다. 전방 하우징(35)은 모듈(33)을 후방 하우징(31) 내에 설치한 다음 후방 하우징에 고정된다. 일단 조립되면, 리셉터클(13)은 도터보드(D1, D2)에 장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35)의 정합면(45)은 도입선(59)의 배열을 포함한다. 도입선(59)은 헤더(11)로부터 대응하는 신호 핀(23)과 접지 핀(25)을 수용한다. 헤더(11)가 리셉터클(13)과 정합하면, 리셉터클(13)의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는 헤더(11)의 신호 핀(23) 및 접지 핀(25)과 맞물린다. 이러한 특징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모듈(33)은 리셉터클(13)에 대한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를 내포한다.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구성 요소가 모듈(33)을 형성한다. 모듈(33)은 웨이퍼(61), 신호 접촉부(63) 및 접지 접촉부(65)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더 많은 구성 요소들이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구성 요소들은 균일한 모듈로서 제공될 필요가 없다. 웨이퍼(61)는 절연 재료의 블록일 수 있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61)는 여러 부분(61a, 61b)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변경적으로 웨이퍼(61)는 하나의 부분으로부터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4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61)의 제1 주요 표면(67)은 신호 접촉부(63) 및/또는 접지 접촉부(65)가 내부에 있는 일련의 채널, 홈 또는 구멍(68)을 구비한다. 모듈(33)을 나란히 배열하면, 제1 모듈(33)의 제1 주요 표면(67)은 제2 인접 모듈(33)의 제2 주요 표면(69)과 맞닿을 수 있다. 모듈(33)을 나란히 설치하기 위해서, 제2 주요 표면(69)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탄할 수 있다. 웨이퍼(61)의 상부면은 돌출부(71)를 포함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1)는 조립 전후에 후방 하우징(31)의 전방 모서리와 맞닿을 수 있다. 후방 하우징(31)의 전방 모서리와 돌출부(71) 사이의 상호 작용은 모듈(33)을 후방 하우징(31) 내에 정렬하는 것을 돕는다. 웨이퍼(61)는 돌기(71a)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돌기(71a)는 후방 하우징(31) 내의 홈(도시 안됨)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신호 접촉부(63)는 도터보드(D1, D2)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단부(73)와, 헤더(11)의 신호 핀(23)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정합 단부(75)와, 중간부(77)를 포함한다. 도4a 내지 도4c는 도터보드(D1, D2) 내의 도금된 관통 구멍(도시 안됨)과 맞물리는 가압-끼워맞춤 미부를 갖는 장착 단부(73)를 나타낸다. 그러나, 장착 단 부(73)에 대한 다른 형태의 말단부가 사용될 수 있다. 통상, 오버-몰딩(over-molding) 공정은 신호 접촉부(63)를 웨이퍼(61) 내에 끼워 넣는다. 그러나,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정합 단부(75)는 헤더(11)의 신호 핀(23)과 맞물리는 이중 비임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비임 접촉부의 비임(79, 81)은 서로에 대하여 대체로 직각으로 배열된다. 이 배열에서, 분기부는 신호 핀(23)의 인접 표면과 맞물린다. 비임(79, 81)은 신호 핀(23)의 삽입시에 편향된다. 삽입 중 비임(79, 81)을 따른 신호 핀(23)의 이동은 양호한 와이핑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비임(79, 81)의 편향에 의해 신호 핀(23)에 부여된 힘은 양호한 접촉 압력 또는 접촉 수직력을 제공한다.
신호 접촉부(63)와 같이, 접지 접촉부(65)는 도터보드(D1, D2)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단부(83)와, 헤더(11)의 접지 핀(25)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정합 단부(85)와, 중간부(87)를 포함한다. 도4a 내지 도4c는 도터보드(D1, D2) 내의 도금된 관통 구멍(도시 안됨)과 맞물리는 가압-끼워맞춤 미부를 갖는 장착 단부(83)를 나타낸다. 그러나, 장착 단부(83)에 대한 다른 형태의 말단부가 사용될 수 있다. 정합 단부(85)는 헤더(11)의 접촉 핀(25)과 맞물리기 위해 이중 비임 형태의 접촉 배열을 사용한다. 정합 단부(85)는 제2 비임(91)에 대체로 직각으로 배열된 제1 비임(89)을 포함한다. 제1 비임(89)의 작은 표면은 접지 핀(25)을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임(89)은 양호한 접촉력과 와이핑 동작을 제공한다.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비임(91)은 정지부(93)와 가동부(95)로 분기된 다. 제2 비임(91)의 가동부(95)의 접촉 핀(25)과의 맞물림시, 가동부(95)는 편향된다. 다른 접촉부와 같이, 이러한 편향은 양호한 접촉력과 와이핑 동작을 제공한다.
모듈(33) 내의 신호 접촉부(63)는, 모듈(33) 내의 접지 접촉부(65)와 모듈(33)의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배향을 유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하나의 모듈(33) 내의 신호 접촉부(63)와 접지 접촉부(65)는 다른 모든 모듈(33) 내의 신호 접촉부(63) 및 접지 접촉부(65)와 동일한 배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모듈(33) 내에서 신호 접촉부(63)와 접지 접촉부(65)의 배열을 명료하게 하는 것을 돕는다.
도5는 리셉터클(13)을 형성하기 위해 신호 접촉부(63)와 접지 접촉부(65)로 나란히 접속된 6개의 모듈(33)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략 6개의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6개의 모듈(33)은 실제 서로에 대하여 거울 대칭형인 2가지 형태의 모듈(33a, 33b)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가지 보다 많거나 적은 형태의 모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모듈은 서로에 대하여 거울 대칭형일 필요는 없다. 신호 접촉부(63)의 일반적인 L자 형상은 비임(79, 81)의 위치와 대체로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접지 접촉부(65)의 일반적인 L자 형상은 비임(89, 91)의 위치와 대체로 일치한다. 리셉터클(13)의 중심(C)을 관통하는 2개의 선(L1, L2)은 4개의 쿼드런트(quadrant, Q1, Q2, Q3, Q4)를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 접촉부(63)는 대응하는 접지 접촉부(65)와 접촉쌍(97)을 형성한다. 도5에 도시된 배열에서, 각각의 접촉쌍(97)의 신호 접촉부(63)와 접지 접촉부(65)는 동일한 배향을 갖는다. 즉, 접촉쌍(97)의 신호 접촉부(63)와 접지 접촉부(65)는 동일한 배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쿼드런트 내의 각각의 접촉쌍(97)의 배향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하나의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의 배향은 다른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의 배향과 상이하다. 통상, 하나의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은 인접한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에 대하여 90°로 회전된다. 예를 들어, 쿼드런트(Q1) 내의 접촉쌍(97)은 쿼드런트(Q2) 내의 접촉쌍(97)에 대하여 90°로 회전된다.
하나의 모듈(33)이 하나 이상의 쿼드런트 내에 있는 접촉부(63, 65)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모듈(33) 내의 몇몇 접촉부(63, 65)의 배향은 동일한 모듈(33) 내의 다른 접촉부(63, 65)의 배향과 상이할 수 있다. 통상, 하나의 쿼드런트 내에 있는 모듈(33) 내의 접촉쌍(97)은 다른 쿼드런트 내에 있는 동일한 모듈(33) 내의 접촉쌍(97)의 거울 대칭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5의 모듈(33a)은 쿼드런트(Q1, Q4) 내에 접촉쌍(97)을 구비한다. 쿼드런트(Q1) 내에 있는 모듈(33a) 내의 접촉쌍(97)은 쿼드런트(Q4) 내의 접촉쌍(97)의 거울 대칭형이다. 다른 배열도 또한 가능하다. 적당한 위치에서, 하나의 쿼드런트 내의 접촉부는 인접한 쿼드런트 내의 접촉부에 대하여 90°로 회전될 수 있다.
원한다면, 헤더(11)와 리셉터클(13)은 더 고속의 작동을 위해 부가적인 차폐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리셉터클(13)은 선(L1, L2)을 따라 부가적인 접지 실드 또는 핀(도시 안됨)을 제공할 수 있다. 선(L1, L2)을 따라 부가적인 차폐물을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대칭 특징을 저해하지 않는다.
도6은 리셉터클(13') 내의 신호 접촉부(63')와 접지 접촉부(65')의 다른 배열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리셉터클(13')의 중심(C)을 관통하는 2개의 선(L1, L2)은 4개의 쿼드런트(Q1, Q2, Q3, Q4)를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 접촉부(63')는 대응하는 접지 접촉부(65')와 접촉쌍(97')을 형성한다. 도6에 도시된 배열에서, 각각의 신호 접촉부(63')는 각각의 접촉쌍(97') 내의 각각의 접지 접촉부(65')로부터 대향의 배향을 갖는다. 즉, 신호 접촉부(63')는 접촉쌍(97') 내에서 접지 접촉부(65')와 대면한다.
각각의 접촉쌍(97') 내에서 접지 접촉부(65')로부터 신호 접촉부(63')의 대향 배향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5를 참조하여 전술한 나머지 특징들도 적용된다. 즉, 쿼드런트 내의 모든 접촉쌍(97')은 동일한 배향을 갖는다. 또한, 하나의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의 배향은 다른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의 배향과 상이하다. 통상, 하나의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은 인접한 쿼드런트 내의 접촉쌍(97')에 대하여 90°로 회전된다. 결국, 하나의 쿼드런트 내의 모듈(33a') 내에 있는 접촉부(63', 65')는 모듈(33b') 내의 다른 접촉부(63', 65')와 상이한 배향을 갖는다. 통상, 하나의 쿼드런트 내에 있는 모듈(33') 내의 접촉쌍(97a')은 다른 쿼드런트 내에 있는 모듈(33a') 내의 접촉쌍(97b')에 대하여 90°로 회전된다.
도5 또는 도6에 도시된 배열에서, 리셉터클(13, 13') 내의 접촉부(63, 65, 63', 65')는 선(L1, L2)에 대하여 대칭형이다. 선(L1, L2)이 리셉터클(13, 13')의 중심(C)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리셉터클(13, 13') 내의 접촉부(63, 65, 63', 65')는 리셉터클(13, 13')의 중심(C)에 대하여 대칭형이다. 그 결과, 리셉터클(13, 13')은 헤더(11)와 적어도 4개의 배향으로 정합할 수 있다. 종래의 "극성" 커넥터와 비교하면, 본 발명은 전기 시스템의 설계에 융통성을 제공한다.
도5 및 도6과 유사한 도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리셉터클(13")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3")은 각각의 쿼드런트가 16개의 접촉쌍을 구비하므로 4개의 쿼드런트(Q1, Q2, Q3, Q4) 내에 배열된 64개의 접촉쌍(97)의 배열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3")은 모듈 형태(33"a, 33"b)의 8개의 모듈(33")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듈(33")은 접촉부(63, 65)의 8개의 접촉쌍(97)과, 하나의 쿼드런트 내에 하나의 배향으로 배열된 4개의 접촉쌍(97a)과, 다른 하나의 쿼드런트 내에 제2의 90°편향된 배향으로 배열된 4개의 접촉쌍(97b)을 구비한다. 다른 적당한 개수의 접촉쌍이 각각의 모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00)은 일반적으로 하우징(102)과 이 하우징(102)에 접속된 모듈 조립체(104)를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일반적으로 제1 하우징 부재(106)와 제2 하우징 부재(108)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106, 108)는 성형된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우징(106)은 상부(110), 배면(112), 2개의 측면(114), 보통 개방된 전방부(116), 보통 개방된 하부(118), 및 수용 영역(120)을 포함한다. 상부(110)는 모듈 장착 구멍(122)을 포함한다. 배면(112)은 모듈 장착 구멍(124)을 포함한 다. 전방부(116)는 제2 하우징 부재(108) 내에 삽입하고 제2 하우징 부재(108)와 접속하기 위해 측면(114)으로부터의 연장부(126)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108)는 정합 커넥터의 수형 핀의 전방 단부를 커넥터(100) 내로 삽입하기 위해 전방면(130)을 통하는 구멍 또는 도입선(12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 조립체(104)는 일반적으로 6개의 접촉 모듈(132)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략 6개의 접촉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모듈(132)은 서로에 대하여 거울 대칭형인 2세트의 2가지 형태의 접촉 모듈(132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을 또한 참조하면, 각각의 접촉 모듈(132)은 일반적으로 일체의 프레임(140), 신호 접촉부(142), 및 접지 접촉부(144)를 포함한다. 프레임(140)은 성형된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와 같은 유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40)은 상부 측면(146), 하부 측면(148), 후방 측면(150), 전방 측면(152), 및 2개의 횡배향 측면(154, 156)을 포함한다. 상부 측면(146)은 래치(158)를 포함한다. 래치(158)는 접촉 모듈(132)을 제1 하우징 부재(106)에 접속시키기 위해 모듈 장착 구멍(122)들 중의 하나에 삽입된다. 후방 단부(150)는 돌출부(160)를 또한 포함한다. 돌출부(160)는 모듈(132)을 제1 하우징 부재(106)에 접속시키기 위해 모듈 장착 구멍(124)들 중 하나로 삽입된다. 프레임(140)은 접지 접촉부(144)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측면(154)을 따라 채널(162)을 포함한다. 프레임(140)은 신호 접촉부(142)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40)은 신호 접촉부(142)의 부분 상에 오버-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경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프레임(140)은 접지 접촉부(144)의 부분 상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프레임(140)의 전방 측면(152)은 포켓(164)과 수용 영역(16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촉 모듈은 3개의 제1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a)와 3개의 제2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b)로 구성된 6개의 신호 접촉부(142)를 구비한다. 신호 접촉부(142)는 각각 제1 단부(166), 중간부(168) 및 제2 단부(170)를 구비한다. 제1 단부(166)는 관통-구멍 납땜 미부를 구비하지만, 표면 장착 납땜 미부와 같은 다른 적당한 제1 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중간부(168)는 모두 직각으로 구부린 형상을 갖지만, 서로 다른 길이 또는 크기를 가지므로 신호 접촉부가 일렬 또는 공통 평면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제2 단부(170)는 각각 서로로부터 90°편향되어 향하는 2개의 편향 가능한 아암(172, 174)을 포함한다. 제1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a) 내의 아암(172, 174)은 제2 형태의 신호 접촉부(142b) 내의 아암(172, 174)과 거울 대칭으로 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형태 또는 배향의 제2 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132)에 대한 접지 접촉부(1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일체형 부재 또는 다중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접지 접촉부(144)는 제1 단부(176), 중간부(178) 및 제2 단부(180)를 포함한다. 제1 단부(176)는 가압-끼워맞춤 미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표면 장착 납땜 미부와 같은 다른 적당한 형태의 제1 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중간부(178)는 일반적으로 제1 부분(182)과 제2 부분(184)을 포함한다. 제1 부분(182)은 접지 접촉부(144)를 프레임(140)에 견고하게 접속하기 위해 프레임(140)의 슬롯(162) 내에 위치된다. 제2 부분(184)은 프 레임(140)의 측면(154)을 따라 연장된다. 중간부(178)는 2개의 단부(176, 180)가 서로에 대하여 거의 직각이 되도록 거의 직각으로 구부린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적당한 형상의 중간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11을 또한 참조하면, 제2 단부(180)는 3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제2 단부(180a, 180b, 180c)를 포함한다. 제1 형태의 제2 단부(180a)는 코너에 슬롯(186a)을 구비하고, 슬롯(186a)의 대향 측면 상에는 상부 아암(188a)과 측면 아암(190a)을 구비한다. 2개의 편향 가능한 돌출부(192a, 194a)는 아암(188a, 190a)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형태의 제2 단부(180b)는 일반적으로 제1 형태의 제2 아암(180a)의 거울 대칭형이다. 제2 형태의 제2 단부(180b)는 코너에 슬롯(186b)을 구비하고, 측면 아암(190b)과 하부 아암(196b)을 구비한다. 2개의 편향 가능한 돌출부(192b, 194b)는 아암(196b, 190b)으로부터 연장된다. 제3 형태의 단부(180c)는 2개의 코너에 2개의 슬롯(186c1, 186c2)을 구비하고, 상부 아암(188c), 하부 아암(196c) 및 측면 아암(190c)을 구비한다. 2개의 편향 가능한 돌출부(192c, 194c)는 제1 슬롯(186c1) 내로 연장되며, 2개의 편향 가능한 돌출부(192c, 194c)는 제2 슬롯(186c2) 내로 연장된다. 측면 아암(190c)은 제3 슬롯(198)을 또한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적당한 형태의 제2 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9를 다시 참조하면, 모듈 조립체(104)가 조립될 때 접지 접촉부(144)들은 신호 접촉부들에 대한 전자기 차폐물을 형성하기 위해 신호 접촉부들을 효과적으로 둘러싸도록 결합한다.
본 발명이 다양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거나 전술된 실시예에 수정 및 부가가 이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떠한 단일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설명에 따라 이의 넓이와 범위가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다양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거나 전술된 실시예에 수정 및 부가가 이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떠한 단일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설명에 따라 이의 넓이와 범위가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대응하는 커넥터와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 상호 접속 시스템이며,4개의 제1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를 형성하는 제1 커넥터와,상기 제1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 중 하나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제1 커넥터 접촉부들과,4개의 제2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를 형성하는 제2 커넥터와,상기 제2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 중 하나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제2 커넥터 접촉부들을 포함하고,4개의 제1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 중 하나에 배치된 제1 커넥터 접촉부는 나머지 3개의 제1 커넥터 접촉부들 중 2개와는 다르게 배향되고, 4개의 제2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 중 하나에 배치된 제2 커넥터 접촉부는 나머지 3개의 제2 커넥터 접촉부들 중 2개와는 다르게 배향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2개 이상의 배향으로 상호 정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접촉부들의 배열은 4개의 제1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의 가상의 교차점에 대해 대칭이며, 상기 가상의 교차점은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중심에 위치하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접촉부들은 신호 접촉부들과 접지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접촉부는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내의 접촉부들은 각각 4개의 제1 커넥터 기준 쿼드런트 중 하나에 배치되며, 쿼드런트 내에 각각의 접촉부는 다른 쿼드런트 내의 각각의 접촉부의 배향과 상이한 배향을 갖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하나의 쿼드런트 내의 각각의 접촉부는 인접한 쿼드런트 내의 각각의 접촉부로부터 90°로 배향된 상호 접속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접지 접촉부의 각각은 상기 신호 접촉부의 각각과 결합되어 접촉쌍을 형성하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촉쌍의 상기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는 동일한 배향을 갖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촉쌍의 상기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는 대향 배향을 갖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적어도 4개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상호 접속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내의 상기 접촉부는 동일한 개수의 행과 열을 형성하는 상호 접속 시스템.
- 전기 커넥터이며,절연 하우징과,상기 절연 하우징 내의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고,상기 전기 커넥터는 4개의 쿼드런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쿼드런트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일부분을 다른 쿼드런트의 배향과 상이한 배향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은 인접한 쿼드런트에 대하여 90°인 전기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4163A KR100636041B1 (ko) | 1999-01-28 | 2000-01-28 |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0/117,957 | 1999-01-28 | ||
KR1020000004163A KR100636041B1 (ko) | 1999-01-28 | 2000-01-28 |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6041B1 true KR100636041B1 (ko) | 2006-10-19 |
Family
ID=4175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4163A KR100636041B1 (ko) | 1999-01-28 | 2000-01-28 |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604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66059A (en) * | 1992-09-08 | 1993-11-30 | Hewlett-Packard Company | Generic rotatable connector assembly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packages |
-
2000
- 2000-01-28 KR KR1020000004163A patent/KR1006360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66059A (en) * | 1992-09-08 | 1993-11-30 | Hewlett-Packard Company | Generic rotatable connector assembly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packag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07401B1 (en) | Electrical connector mateable in a plurality of orientations | |
US11605919B2 (en) | Backplane connector with stable structure | |
US6322379B1 (en) | Connector for electrical isolation in a condensed area | |
EP1005706B1 (en) | High speed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receptacle for use therein | |
US6905367B2 (en) | Modular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a modular frame and electrically shielded signal path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0208058B1 (ko)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
US6343955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system | |
EP1190469B1 (en)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 |
US6540559B1 (en) |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 pattern | |
KR940011264B1 (ko) | 접지 구조물을 갖고 있는 커넥터 | |
US6227882B1 (en) | Connector for electrical isolation in a condensed area | |
KR20010071195A (ko) | 접지 및 크로스토크 감소 성능이 개선된 고밀도 전기상호접속 시스템 | |
JPH11224742A (ja) | モジュラコネクタ | |
US20210151938A1 (en) | Connector | |
US6296518B1 (en) |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11539152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better anti-interference performance | |
CA2381145A1 (en) | High 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enhanced grounding and cross-talk reduction capability | |
CN113437549A (zh) | 具有电缆插座连接器的插座组件 | |
EP0907219B1 (en) | Punched sheet coax header | |
EP0996993B1 (en) | Latched an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s | |
GB2428337A (en) |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 |
US10965062B1 (en)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ductive coating to reduce crosstalk | |
KR100790762B1 (ko) | 케이블 커넥터 및 그 조립용 키트 | |
KR100636041B1 (ko) | 다수의 배향으로 정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 |
KR100624625B1 (ko) | 좁은 영역에서의 절연을 위한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