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757B1 -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757B1
KR100635757B1 KR1020050006307A KR20050006307A KR100635757B1 KR 100635757 B1 KR100635757 B1 KR 100635757B1 KR 1020050006307 A KR1020050006307 A KR 1020050006307A KR 20050006307 A KR20050006307 A KR 20050006307A KR 100635757 B1 KR100635757 B1 KR 10063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hexahedr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441A (ko
Inventor
박경일
강욱규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7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Abstract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는 활물질층이 도포된 전극판에 전극탭을 부착시키는 전극탭 설치부를 갖는 권취기에 있어서, 전극탭 설치부는 전극탭을 전극판에 부착시키되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 되는 부착부 및 전극판의 저면측에 전극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부착부와 대응되게 설치된 받침부를 포함하므로, 전극판은 승하강 유닛에 의해 승하강 되므로 전극판의 저면에 받침부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전극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차 전지, 전극판, 전극탭, 권취장치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 Electrode plate rollin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에 의해 전극탭이 부착된 전극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전극탭 설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맨드릴 101 : 삽지홈
200 : 전극 조립체 210 : 제1전극판
215 : 제1전극탭 300 : 전극탭 설치부
310 : 받침부 320 : 부착부
321 : 부착부 브라켓 323 : 연결부재
325 : 극판이송부재 400 : 커터부
500 : 이송롤러
본 발명은 전극판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극판을 권취시키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콤팩트하고 경량화 된 전기/전자 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들은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전지 팩을 내장하고 있다. 내장된 전지 팩은 휴대용 전기/전자 장치를 일정기간 동안 구동시키기 위해 일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 팩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충ㆍ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채용하고 있다. 이차 전지에는 대표적으로, 니켈-카드뮴(Ni-Cd) 전지와 니켈-수 소(Ni-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ion) 전지 등의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제1,2전극판 그리고,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Li-ion)의 이동만을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와,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 내측에 주입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해액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 또는 음극을 띠는 제1,2전극판은 기판상에 활물질을 도포한 후, 이를 건조하여 압연한 다음 일정 크기에 맞추어 절단되고, 절단된 제1,2전극판은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되어 전극 조립체를 이룬다. 이때, 극성을 갖는 제1,2전극판에는 전극 조립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1,2전극탭이 각각 설치되어 제1,2전극판이 갖 는 극성을 전달시킨다.
제1,2전극탭은 제1,2전극판이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되기 위해 맨드릴로 이송되기 전에 제1,2전극판에 각각 부착된다. 여기서, 제1,2전극판은 저면에 제1,2전극탭이 부착될 때 부착면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면에 제1,2전극탭을 각각 제1,2전극판에 부착시키는 부착부가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권취장치는 받침부가 제1,2전극판의 저면과 접촉되면서 이송되므로 각 전극판의 활물질층이 받침부와 접촉되어 전극판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부는 반복되는 가압으로 받침부가 손상되므로 받침부의 교체주기가 짧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받침부는 자주 교체되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부에 의해 전극판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의 교체주기를 길게 하여 생산단가를 절감시키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활물질층이 도포된 전극판에 전극탭을 부착시키는 전극탭 설치부를 갖는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설치부 는 상기 전극탭을 상기 전극판에 부착시키되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 되는 부착부 및 상기 전극판의 저면측에 상기 전극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부착부와 대응되게 설치된 받침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하강 유닛은 상기 전극판의 저면과 접촉되는 극판이송부재와, 상기 극판이송부재와 상기 부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극판이송부재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극판이송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이송롤러인 것이 좋다.
상기 받침부는 그 전후면이 다각형인 다각형 기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는 중심부에 육면체가 설치되고, 육면체의 전후방면을 제외한 면에 각각 보조육면체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육면체는 상기 보조육면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보조육면체는 정육면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조육면체는 상기 육면체의 전/후방면을 제외한 마주보는 두 면에 상기 육면체와 부정합을 이루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육면체는 상기 육면체의 일면에 전/후방을 제외한 에지부측에 각각 하나씩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부의 단부는 상기 받침부의 곡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에 의해 전극탭이 부착된 전극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전극탭 설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권취장치는 전극 조립체(20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전극 조립체(200)는 제1전극탭(215)이 부착된 제1전극판(210), 제2전극탭(미도시)이 부착된 제2전극판(220) 및 상기 제1전극판(210)과 제2전극판(220)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230,230a)가 권취되어 이루어진다.
즉, 전극 조립체(200)는 제1전극판(210), 제2전극판(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가 각각 한 장의 스트립(strip)으로 이루어져, 세퍼레이터(230), 제1전극판(210), 세퍼레이터(230a), 제2전극판(220)의 순으로 배치되어, 젤리-롤형(jelly-roll type)으로 권취된다. 전극 조립체(200)의 최외곽면에는 고정테이프(250)가 부착되어 젤리롤 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200)가 풀리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200)를 고정시킨다.
제1전극판(210)은 양극일 수 있으며,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제1전극집전체의 양면에 코팅된 제1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활물질로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Ni1-xCoxO2(0<x<1), L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전극판(220)은 음극일 수 있으며,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제2전극집전체의 양면에 코팅된 제2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제2활물질는 탄소(C) 계열 물질, Si, 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230,230a)는 제1전극판(210)과 제2전극판(220)의 쇼트(short)를 방지하고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하(charge), 예를 들면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폴리플로필렌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group)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세퍼레이터(230,230a)는 제1전극판(210) 및 제2전극판(220)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제1전극판(210) 및 제2전극판(220)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에 권취장치는 전극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가 공급되는 각각의 공급부(120,140,130,130a)와, 공급된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를 소정의 길이로 커팅시키는 커터부(400)와,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를 권취시키는 맨드릴(100) 그리고, 각각의 공급부(120,140,130,130a)에서 권출되는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롤러(500)를 포함한다.
공급부(120,130,130a,140)는 제1전극판(210)이 권취된 제1전극판 공급부(120)와, 제2전극판(220)이 권취된 제2전극판 공급부(140) 및 세퍼레이터 공급부(130,130a)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공급부(120,130,130a,140)는 제1전극판(210)과 제2전극판(220) 사이에 세퍼레이터(230,230a)가 개재된다.
제1전극판 공급부(120)와 제2전극판 공급부(140)에는 각각의 공급부(120,1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공급부(120,140)에 권취된 제1,2전극판(210,220)들이 권출될 때 제1전극탭(210)과 제2전극탭(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전극탭 설치부(300)가 설치된다.
전극탭 설치부(300)는 제1,2전극판(210,220)의 일면에 제1전극탭(215)과 제2전극탭(미도시) 각각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판(210)을 예로 들면, 전극탭 설치부(300)는 제1전극판(2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전극판(210)을 지지하는 받침부(310)와 제1전극탭(215)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1전극탭(215)을 부착시키는 부착부(320)가 포함된다.
부착부(320)는 제1전극판(210)에 제1전극탭(215)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승하강 유닛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제1전극탭(215)이 제1전극판(210)에 용접되도록 한다.
승하강 유닛은 제1전극판(2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극판이송부재(325)와, 극판이송부재(325)와 부착부(3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23)와, 연결부재(323)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재(323)에는 부착부 브라켓(321)이 추가로 설치되어 그 내측에 부착부(320)가 설치되고, 부착부 브라켓(321)은 연결부재(323)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부착부 브라켓(321)과 연결될 수 있다.
극판이송부재(325)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롤러로서, 롤러는 제1전극판(210)의 저면에 접촉되어 제1전극판(210)에 코팅된 활물질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1전극판(210)의 이송을 안내한다.
받침부(310)는 부착부(320)와 제1전극판(21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받침부(310)는 그 전/후면이 다변을 갖는 다각형으로서, 다각형 기둥인 것이 좋다.
이를 테면, 받침부(310)는 정육면체나 정오각기둥이나, 정육각기둥 등이 가능하다. 이때, 받침부(310)는 전/후면의 중심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각 변과 인접한 각 면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부착부(320)와 대응되는 받침부(310) 면의 넓이는 일정해야 하므로, 받침부(310)는 많은 면을 가질 경우, 받침부(310)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받침부(310)는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육면체(311)가 설치되고, 육면체(311)의 전/후방면을 제외한 마주보는 두 면에 각각 보조 육면체(313)가 설치된다. 육면체(311)는 보조 육면체(313)보다 크게 형성되며, 보조 육면체(313)는 정육면체인 것이 좋다. 육면체(311)는 정육면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보조 육면체(313)는 육면체(311)의 전/후방면을 제외한 마주보는 두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육면체(311)와 부정합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육면체(313)는 육면체(311)의 일면에 전/후방을 제외한 에지부측에 각각 하나씩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육면체(311)에는 보조 육면체(313)가 적어도 4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310)의 정육면체(311)는 받침부(310)가 회전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에지부에 각각 보조 정육면체(311)를 설치하여 정육면체(311)의 회전각도에 따라 육면체(311)와 인접하지 않는 보조 정육면체(313)의 면이 제1전극판(210)의 저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받침부(310)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기둥형 받침부(310)는 원의 중심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씩 회전가능하여 제1전극판(210)과 접선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받침부(310)와 대응되는 부착부(320)의 단부는 받침부(310)의 원과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전극탭(215)이 제1전극판(210)에 부착될 때, 제1전극탭(215)이 권취될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착부(320)는 제1전극탭(215)과 접촉되는 단부가 받침부(310)의 곡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 좋다.
부착부(320)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제1전극탭(215)을 제1전극판(210)에 부착시킨다.
커터부(400)는 각각의 공급부(120,140,130,130a)에서 권출되는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들을 소정의 길이로 커팅한다. 즉, 커터부(400)는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들을 하나의 전극 조립체(200)를 구성하기 위한 길이로 커팅한다.
맨드릴(100)은 회전하면서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들을 권취시키는 것으로서, 그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을 갖는 몸체부(미도시)와, 몸체부(미도시)의 장축에 형성되어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들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지홈(101) 그리고, 몸체부(미도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송롤러(500)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과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각각의 공급부(120,140,130,130a)에서 권출되는 제1,2전극판(210,220), 세퍼레이터(230,230a) 및 고정테이프(250)의 이송을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각각의 공급부(120,140,130,130a)는 제1,2전극판(210,220)과 세퍼레이터(230,230a)를 권출시킨다.
권출된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각각의 이송롤러(500)에 의해 커터부(400) 측으로 인입된다.
이송되는 제1,2전극판(210,220)에는 소정의 위치에서 전극탭 설치부(300)에 의해 제1전극탭(215)과 제2전극탭(미도시) 각각이 부착된다.
여기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탭 설치부(300)는 제1전극탭(215)이 부착되기 전에는 부착부(320)가 승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부착부 브라켓(321)에 설치된 부착부(320)는 제1전극판(210)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부착부 브라켓(321)과 연결부재(320)에 의해 연결된 극판이송부재(325)는 제1전극판(210)의 저면에 위치된다.
이때, 제1전극판(210)은 부착부(320)가 승강된 상태이므로, 극판이송부재(325)에 안착된 채 소정간격 상승된 상태로 이송된다. 즉,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롤러로 된 극판이송부재(325)는 제1전극판(210)의 저면에 접촉되어 제1전극판(210)의 이송을 안내하고, 받침부(3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제1전극판(210)의 저면과 받침부(310)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제1전극판(210)은 제1전극탭(215)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에 이송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판(210)에 제1전극탭(215)을 부착시키기 위해 전극탭 설치부(30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하강한다. 이에, 부착부(320)는 단부가 제1전극탭(215)의 상면에 접촉되고, 제1전극탭(215)은 제1전극판(210)의 상면에 안착되며, 받침부(310)는 제1전극판(210)의 저면과 접촉되어 제1전극탭(215)이 부착되는 제1전극판(210)을 지지한다.
이때, 극판이송부재(325)는 제1전극탭(215)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제1전극판(210)에 부착되는 동안 작동을 멈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전극탭(215)을 부착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받침부(310)는 제1전극판(210)과 접촉되어 닳아 소모되면 교체해야 한다.
이에, 다수의 면을 갖는 받침부(310)는 다음면이 제1전극판(210)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이동된다.
즉, 육면체(311)에 보조 육면체(313)가 설치된 받침부(310)는 육면체(311)와 인접하지 않는 보조 육면체(313)의 일면이 소모되면, 타면으로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고, 타면이 소모되면, 받침부(310)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다음 보조 육면체(313)의 일면이 사용될 수 있다.
원통형 받침부(310)는 처음 제1전극판(210)과 접선을 이루는 면이 소모되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제1전극판(210)과 접선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원통형 받침부(310)가 사용될 경우, 부착부(320)는 그 단부가 받침부(310)의 곡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제1전극탭(215)은 제1전극판(210)이 권취될 때 발생되는 곡면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1전극탭(215)과 제2전극탭(미도시)이 부착된 제1,2전극판(210,220)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230,230a)와 함께 맨드릴(100)의 삽지홈(101)에 삽입되고,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가 삽지홈(101)에 삽입되면 구동부(미도시)는 구동되어 맨드릴(100)을 회전시킨다.
맨드릴(100)이 회전되면, 맨드릴(100)은 외면에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가 권취된다.
맨드릴(100)에 의해 권취된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는 커터부(400)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커팅된다.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가 권취되면, 권취된 제1,2전극판(210,220) 및 세퍼레이터(230,230a)의 외부에는 일측에 배치된 고정테이프 공급부(150)에서 공급된 고정테이프(250)가 부착되어 전극 조립체(200)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는 전극판 설치부가 전극판과 함께 승하강 가능함에 따라, 전극판의 저면에 받침부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전극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전극판 권취장치는 받침부가 다수의 면을 갖거나 원통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받침부의 일면에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교체해야 할 경우, 받침부를 소정간격 이동 또는 회전시켜 재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활물질층이 도포된 전극판에 전극탭을 부착시키는 전극탭 설치부를 갖는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 설치부는 상기 전극탭을 상기 전극판에 부착시키되 승하강유닛에 의해 승하강 되는 부착부; 및
    상기 전극판의 저면측에 상기 전극판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부착부와 대응되게 설치된 받침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유닛은 상기 전극판의 저면과 접촉되는 극판이송부재;와,
    상기 극판이송부재와 상기 부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및
    상기 극판이송부재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부착부 브라켓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이송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이송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그 전후면이 다각형인 다각형 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중심부에 육면체가 설치되고, 육면체의 전후방면을 제외한 면에 각각 보조육면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는 상기 보조육면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육면체는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육면체는 상기 육면체의 전/후방면을 제외한 마주보는 두 면에 상기 육면체와 부정합을 이루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육면체는 상기 육면체의 일면에 전/후방을 제외한 에지부측에 각각 하나씩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단부는 상기 받침부의 곡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KR1020050006307A 2005-01-24 2005-01-24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KR10063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07A KR100635757B1 (ko) 2005-01-24 2005-01-24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07A KR100635757B1 (ko) 2005-01-24 2005-01-24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441A KR20060085441A (ko) 2006-07-27
KR100635757B1 true KR100635757B1 (ko) 2006-10-17

Family

ID=3717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307A KR100635757B1 (ko) 2005-01-24 2005-01-24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7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441A (ko)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452B1 (ko) 원통형 전지의 극판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1604052B1 (ko)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의 전극판 이송 장치
KR101664244B1 (ko) 전극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이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 전극 및 이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646508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JP2010186683A (ja) 捲回型電極電池とその製造方法及び機器及び車両
KR100987848B1 (ko) 전극 조립체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0635707B1 (ko)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KR100686825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권취장치
KR102273773B1 (ko) 이차전지용 권취장치 및 이차전지용 권취방법
JP2002270242A (ja) 非水系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6931B1 (ko) 조립형 권심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의 권취장치
KR101165462B1 (ko) 극판 권취장치
KR20060085442A (ko)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KR101956935B1 (ko) 권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취 방법
KR101141216B1 (ko) 전극조립체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0635757B1 (ko)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KR101590671B1 (ko) 초음파 용접장치 및 초음파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0635706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권취장치
KR100579382B1 (ko) 이차 전지용 전극판 권취장치
KR100624940B1 (ko) 이차 전지의 극판 권취장치
KR100659875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권취장치
KR100646562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권취장치
KR100670528B1 (ko)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KR101083111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권취장치
JP2006040880A (ja) 二次電池用電極板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る二次電池用電極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