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477B1 - 화물적재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화물적재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477B1
KR100635477B1 KR1020050001836A KR20050001836A KR100635477B1 KR 100635477 B1 KR100635477 B1 KR 100635477B1 KR 1020050001836 A KR1020050001836 A KR 1020050001836A KR 20050001836 A KR20050001836 A KR 20050001836A KR 100635477 B1 KR100635477 B1 KR 10063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ase member
cargo
plate memb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495A (ko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엘팔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엘팔레트 filed Critical (주)에이엘팔레트
Priority to KR102005000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4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dynamo-electric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화물을 지게차나 크레인로 들어올려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을 할 때 또는 가까운 거리를 이동시킬 때 등에 화물을 받쳐주는데 널리 사용되는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기초부재의 상면에는 이 기초부재와 직교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상판부재를 착설하고 상기 기초부재의 각 저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착설되는 받침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상판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판부재를 착설하여 되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와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들은 각각 양쪽편의 하단과 그 안쪽에 위치하는 각 내측편의 하단이 보강편에 의해 봉합되어 양쪽부분의 상·하면이 모두 봉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4각형태의 관체로 되며 서로 마주하는 2개면의 중간부에 각각 보강홈이 수직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외체와 4각형태의 관체로 되며 상기 외체의 내부에 보강홈을 기준으로 한 양쪽의 각 공간부내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팔레트

Description

화물적재용 팔레트{pallette for stacking articles}
도 1a는 종래 팔레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동 종래 팔레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4a는 동 팔레트에 사용되는 기초대와 상·하판의 일예를 확대한 측면도
도 4b는 동 팔레트에 사용되는 기초대와 상·하판의 다른예를 확대한 측면도
도 5는 동 팔레트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부재
11 ; 양쪽편 12 ; 보강편
14 ; 미끄럼방지 돌기
20 ; 상판부재
30 ; 받침부재
31 ; 외체 32 ; 내체
311 ; 2개면 312 ; 보강홈
40 ; 하판부재
본 발명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화물을 지게차나 크레인로 들어올려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역을 할 때 또는 가까운 거리를 이동시킬 때 등에 화물을 받쳐주는데 널리 사용되는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명단축이 방지됨은 물론 제조원가가 절감되게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팔레트로는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팔레트(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36053호)가 있는데, 이 선출원 팔레트는 도 1a-b에서와 같이 기초대(1)는 단순한 4각 형상의 파이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팔레트에 화물을 올려놓는 과정에서 또는 팔레트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받침대(2)들에 의해 받쳐지지 아니하는 받침대들 사이의 부분에 수직하중이 걸리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이 쉽게 절곡되기 때문에 팔레트의 수명단축이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방형태의 각 받침대(2)들은 캡(2a)의 내부에 보강부재(2b)를 결합한 이중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수직하중이나 충격에는 견디게 되지만, 상기 캡과 보강부재는 관통된 내부가 서로 직교되게 장착되는 것이어서 보강부재를 캡내에 결합하면 4개의 면들 중 2개의 면만 2겹으로 되고 다른 2개의 면은 1겹으로 되므로 이 부분에 지게차의 포크가 부딛치게 되는 등 측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면 이 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팔레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기초대(1)들의 상하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기초대와 직교되게 착설되는 각 상판 및 하판(3)들은 "
Figure 112005001056483-pat00001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수직하중이나 충격에는 견디게 되지만, 각 양쪽편(3a)에 측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양쪽편이 안쪽으로 밀려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므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각 양쪽편이 주저앉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판 및 하판들은 상기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부분을 최소한 1㎜ 이상의 동일한 두께로 되게 제작하였기 때문에 재료의 소모가 많아 생산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명단축이 방지되는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자체 강도가 전체적으로 충분히 보강됨은 물론 원재료의 사용량이 감소되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팔레트를 제공함에 따라 달성되는데, 이 팔레트는 기초대와 상판 및 하판이 동일한 구조로 됨은 물론 원재료의 사용량이 감소되게 함과 동시에 받침대와 함께 수직이나 측방향의 하중 및 충격 등이 가해져도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동 팔레트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열되는 수개의 기초부재(10)와, 이들 기초부재와 직교되게 그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착설되는 다수개의 상판부재(20)와, 상기 기초부재의 각 저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착설되는 수개의 받침부재(30)와,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을 가로지르게 상기 상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받침부재의 저면에 착설되는 하판부재(40)로 구성된다.
기초부재(10)와 상판 및 하판부재(20)(40)들은 도 4a에서 보는바와 같이 양쪽편(11)(21)(41)들의 각 하단에는 보강편(12)(22)(42)을 안쪽으로 수평절곡 연장하여서 되는 "
Figure 112005001056483-pat00002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편이 각 양쪽편의 하단과 그 내측에 위치하는 각 내측편(13)(23)(43)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게 하여 양쪽부분의 상·하면이 각각 봉합된 "
Figure 112005001056483-pat00003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4a에서와 같이 보강편(12)(22)(42)을 안쪽으로 수평절곡한 경우에는 수직하중이나 충격에는 어느 정도 견디게 되지만, 측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편이 아무런 역활을 하지 못하게 되어 양쪽편(11)(21)(41)이 쉽게 안 쪽으로 밀려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기초부재(10)와 상·판부재(20)(40)는 전부분의 두께(t)를 최소 1㎜이상으로 되게 제작하여야 된다.
그러나, 도 4b에서와 같이 양쪽부분의 하단을 보강편(12)(22)(42)으로 각각 봉합하여 상기 양쪽부분의 상·하면이 모두 봉합되게 하면, 측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상단은 물론 하단도 상기 보강편에 의해 안쪽으로 밀리지 않게 보강되기 때문에 양쪽편(11)(21)(41)이 쉽게 찌그러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기초부재(10)와 상·하판부재(20)(40)의 각 수직부분의 두께(t₁)는 최대 0.7 내지 0.9㎜ 정도로, 또, 각 수평부분의 두께(t₂)는 최대 0.6 내지 0.8㎜ 정도로 제작하여도 수직 및 수평하중이나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게 되며, 이들의 두께에 비례하여 원재료의 사용량이 감소됨과 동시에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기초부재(10)와 상·하판부재(20)(40) 및 받침부재(30)들이 각각 배열되는 간격과 갯수는 받쳐주고자하는 화물의 크기나 중량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는 것이며, 각각의 접속부분은 리벳 등으로 견고하게 결착된다.
또한, 기초부재(10)와 상·하판부재(20)(40)의 각 양쪽부분의 상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4)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접속부분은 물론 적재되는 화물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받침부재(30)는, 4각형태의 관체로 되며 서로 마주하는 2개면(311)의 중간부에 각각 보강홈(312)이 수직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소정길이의 외체(31)와, 4각형태 의 관체로 되며 상기 외체의 내부에 보강홈을 중심으로 한 양쪽의 공간부내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내체(32)로 구성된다.
외체(31)는, 받침대(30)가 기초대(20)의 양단측에 착설되는 경우에는 보강홈(312)이 형성된 2개면(311) 중에서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면의 상단을 상기 보강홈을 제외하고 기초대의 상하폭과 비례하게 절단하여 상기 기초대의 양단이 외체의 상단부내에 수용되게 하며, 상기 받침대가 기초대의 중간측에 착설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홈부분을 제외한 2개면의 상단을 모두 절단하여 상기 기초대가 상단부를 관통하게 함으로써 서로 단단히 착설되게 한다.
내체(32)는, 그 길이와 크기를 외체(31)의 양쪽 공간부와 같게 함과 동시에 상기 외체에 결합할 때 길이방향이 서로 직교되게 결합한다.
이렇게 하면, 외체(31)와 내체(32)를 각각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결이 서로 직교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수직하중이나 충격은 물론 수평하중이나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는, 기초부재도 상판 및 하판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된 것을 사용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2개면에 보강홈이 형성된 외체와 이 외체의 양쪽 내부공간에 각각 내체를 서로의 결이 직교되게 결합시켜 되는 받침부재를 서로 착설하여 제작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구성되어 하중이나 충격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에서 가해져도 쉽게 찌그러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됨은 물론 그 수명의 단축이 방지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특히, 기초부재 및 상·하판부재는 각기 양쪽부분의 하면도 보강편에 의해 각각 봉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보강편이 내·외측편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기 때문에 측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양쪽편이 쉽게 안쪽으로 찌그러지지 않게 받쳐지므로 각기 수직부분과 수평부분의 두께들을 종래에 비해 얇게 제작하여도 수직 및 수평하중이나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게 되어 수명단축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이에 따라 이들의 두께가 얇게 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원재료의 사용량이 감소됨과 동시에 제조원가도 절감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8)

  1. 받침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기초부재와, 상기 기초부재의 상면에 상기 기초부재와 직교되게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착설된 복수의 상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와 기초부재가 각각
    Figure 112006025898765-pat00017
    형과
    Figure 112006025898765-pat00018
    형의 단면을 가지며, 양측이
    Figure 112006025898765-pat00006
    형으로 폐쇄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의 받침부재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상기 상판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착설된 복수의 하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가
    Figure 112006025898765-pat00019
    형의 단면을 가지며, 양측이
    Figure 112006025898765-pat00009
    형으로 폐쇄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 상판부재 또는 하판부재들의 각 수직부분의 두께는 0.7 - 0.9㎜로 되고, 각 수평부분의 두께는 0.6 - 0.8㎜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 상판부재 또는 하판부재들의 각 양쪽부분의 상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4각형태의 관체로 되며 서로 마주하는 2개면의 중간부에 각각 보강홈이 수직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외체와, 4각형태의 관체로 되며 상기 외체의 내부에 보강홈을 기준으로 한 양쪽의 각 공간부내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체는 길이와 부피가 상기 외체의 양쪽 공간부와 같게 되며, 상기 외체와는 길이방향 및 압출 성형시 외면에 형성되는 결이 서로 직교되게 결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4각 형태의 관체로 되며 서로 마주하는 2개면의 중간부에 각각 보강홈이 수직방향으로 요입형성된 외체와, 4각 형태의 관체로 되며 상기 외체의 내부에 보강홈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의 공간내부에 결합되는 하나의 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20050001836A 2005-01-07 2005-01-07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063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836A KR100635477B1 (ko) 2005-01-07 2005-01-07 화물적재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836A KR100635477B1 (ko) 2005-01-07 2005-01-07 화물적재용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495A KR20060081495A (ko) 2006-07-13
KR100635477B1 true KR100635477B1 (ko) 2006-10-17

Family

ID=3717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836A KR100635477B1 (ko) 2005-01-07 2005-01-07 화물적재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829B1 (ko) 2015-07-16 2016-01-07 주식회사 엘에스에이팔레트 팔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338B1 (ko) * 2006-04-10 2006-12-27 한국파렛트 주식회사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
CN106986084A (zh) * 2017-05-24 2017-07-28 山东新明玻璃钢制品有限公司 智能型托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165U (ko) 1973-06-15 1975-03-04
KR200291166Y1 (ko) 2002-07-16 2002-10-07 김종선 파렛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165U (ko) 1973-06-15 1975-03-04
KR200291166Y1 (ko) 2002-07-16 2002-10-07 김종선 파렛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829B1 (ko) 2015-07-16 2016-01-07 주식회사 엘에스에이팔레트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495A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KR100697812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US20120037050A1 (en) non-flat deck-board pallet
US20100326334A1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KR100987566B1 (ko) 조립식 파레트
US20060096508A1 (en) Modular pallet
MX2013000709A (es) Plataforma metalica con bastidor y superficie de soporte de panel.
KR100635477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CA3070969A1 (en) Closed polygonal cell shipping pallet
EP1744966A1 (en) Foam block
US11267611B2 (en) Pallet for carrying a load
KR20090000936U (ko) 파렛트랙 구조물용 보강비임 구조.
MX2013000710A (es) Plataforma metalica con construccion de esquina mejorada.
RU108021U1 (ru) Поддон
JP6875852B2 (ja) 積載ラック
JP4421496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931140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0714398B1 (ko) 조립식 플라스틱 팔레트
KR200400807Y1 (ko) 파레트용 지지대
CN214144152U (zh) 预埋件放置装置
JP2922838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7355383B2 (ja) パレット
JP3237013U (ja) パレット
KR200191394Y1 (ko) 팔레트용 부재
JP3226744U (ja) パレット段積み用キットおよび段積み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