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726B1 -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726B1
KR100634726B1 KR1020050032213A KR20050032213A KR100634726B1 KR 100634726 B1 KR100634726 B1 KR 100634726B1 KR 1020050032213 A KR1020050032213 A KR 1020050032213A KR 20050032213 A KR20050032213 A KR 20050032213A KR 100634726 B1 KR100634726 B1 KR 10063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retaining wall
support
spac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무용
황기수
이권주
성진경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건설공법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건설공법,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한국건설공법
Priority to KR102005003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7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69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A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slab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without a wall girder and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thereby are provided to prevent leak by reducing the joint surface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and to cut down construction cost by omitting the wall girder in constructing the slab. A slab construction structure(104) includes a support girder(110) inserted in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and supported by a girder support unit installed to an H-pile, an inner reinforcing beam(113) fixed to the support girder by a gusset plate, a deck plate(116) supported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ing beam and installed in a slab, a form unit(117) for forming a slab boundary along an interface of the slab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ing beam, and a support frame(120)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to transmit for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The support frame is composed of plural wale support frames(121) arranged continuously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The wale support frame comprises a wale(122) horizontally supported on an upper bracket by welding and provided with a backfill part transmitting earth pressure, and plural struts(123) welded into the wale and connected to the slab in an upper part of the inner reinforcing beam and the support girder with the form unit.

Description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 및 테두리보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he rim be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 및 테두리보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he rim be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leted;

도 2는 종래 슬래브, 테두리보 및 지하옹벽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made a conventional slab, rim beam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tructure for constructing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Figure 4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5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도 5b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도 6은 도 5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내측보강보의 단부와 지지거더의 거싯 플레이트간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ure 5b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end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and the gusset plate of the support gird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내측보강보로 ㄷ-형강 대신 H-형강이 사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H-beam instead of the c-beam as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흙막이벽에 상부 브라켓 및 웨일, 스트럿, 버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부분평면도,8A and 8B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and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bracket and a wale, a strut, and a support member are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웨일의 방향을 달리하여 설치한 상태도,9 is a state diagram installed in a different direction of the wale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스트럿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t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본 발명에서 뒷채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Figure 11a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ackfil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b는 도 11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11B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1A,

도 12a ~ 도 12f는 본 발명에서 슬래브 시공 후 지하옹벽 순타시공 과정을 보인 단면도,12a to 12f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for the net retaining wall after the slab constru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 13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는 도 13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내측보강보로 ㄷ-형강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1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3,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c-beam as an inner reinforcement beam;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2실시에에서 내측보강보로 H-형강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1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H-shaped steel as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 15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도 15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5,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 18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은 도 18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18,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엔드 플레이트의 형상을 달리하여 제작한 그레이팅 지지틀의 여러 예를 도시한 단면도,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everal examples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manufactured by varying the shape of the end plate 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크로스 철근의 배치방향을 달리하여 제작한 그레이팅 지지틀의 여러 예를 도시한 평면도, 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 grating support frame manufactured by varying an arrangement direction of cross bars in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그레이팅 지지틀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면도,22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shown in FIG.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크로스 철근이 플랫 바의 상하 중간부분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작된 그레이팅 지지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rating support frame manufactured by allowing the cross bars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flat bar 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흙막이벽 101 : H-파일100: retaining wall 101: H- pile

102 : 슬래브 103 : 지하옹벽102: slab 103: basement retaining wall

104 :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 110 : 지지거더104: slab construction structure 110: support girder

111 : 하부 브라켓 112 : 받침보111: lower bracket 112: support beam

113 : 내측보강보 114 : 거싯 플레이트113: medial reinforcement 114: gusset plate

115 : 체결수단 116 : 데크 플레이트115: fastening means 116: deck plate

117 : 거푸집 수단 118 : 철망형 거푸집117: formwork 118: wire mesh formwork

119 : 상부 브라켓 120 : 지지틀 구조체119: upper bracket 120: support frame structure

121 : 웨일 지지틀 122 : 웨일121: wale support frame 122: wale

123 : 스트럿 124 : 버팀부재123: strut 124: bracing member

125a, 125b : 뒷채움부 126 : 철근125a, 125b: backfill 126: rebar

127 : 철망형 거푸집 128 : 스터드127: wire mesh formwork 128: stud

129a : 상부 연결철근 129b : 하부 연결철근129a: Upper connecting bar 129b: Lower connecting bar

131a, 131b : 수직철근 132 : 엔드 플레이트131a, 131b: vertical rebar 132: end plate

133 : 스터드 134 : 개별 엔드 플레이트133: stud 134: individual end plate

135 : 스터드 141 : 그레이팅 지지틀135: stud 141: grating support frame

142a, 142b : 엔드 플레이트 144b : 플랫 바142a, 142b: end plate 144b: flat bar

144c : 크로스 철근144c: cross rebar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벽으로 SCW 또는 CIP가 시공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slab and the bas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omitted the rim bea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SCW or CIP is constructed as a retaining w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slabs and basement retaining walls, in which a structural structure and a frame beam using the same are omitted.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In general, there are two ways to build underground structures.

지하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에 흙막이 공사를 한 다음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토사를 전부 반출한 뒤 맨 아래층부터 구조물을 축조해 올라가는 순타설공법과, 흙막이를 시공하고 1층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그 구조물을 흙막이용 버팀부재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지반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축조해 내려가는 역타설공법이 그것이다.After constructing the earthquake on the ground where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install the temporary facility to support the earthquake while excavating the ground, take out all the earth and sand, and build the structure from the bottom floo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floor structure, using the structure as a retaining member for the earthquake, the reverse casting method is to construct the structure while drilling the grou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최근 토지 이용의 극대화 차원에서 지하공사가 점차 고심도화되고 있고, 특히 순타설공법에 의한 시공시에는 흙막이 붕괴의 위험이나 주변 건물들 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 발생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불안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있어서, 근래에는 역타설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underground construction has been increasingly intensified in order to maximize land use. In particular, when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by the net pouring method, not only the construction of cracks due to the risk of earthquake collapse or the settlement of nearby buildings, but also visually unstable construction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long periods of time, the reverse casting method has been widely applied in recent years.

이 역타설공법은 지하구조물 축조시에 지상 1층부터 단계적으로 시공해 내려가는 방식이므로, 지하구조물과 지상구조물의 시공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지상 1층의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복공판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Since the reverse casting method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ground structure from the ground floor step by step,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ground structure can proceed at the same time, and the floor of the ground floor can be used as a workshop.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not necessary.

이러한 역타설공법으로는 지반을 정지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하는 방법(Concrete on Grade)과, 지반을 어느 정도 굴착하고 지반을 고른 뒤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Form on Supporting) 등이 있다. Such a reverse casting method involves placing concrete slabs and beams on the ground while the ground is stopped (concrete on grade), and excaving the ground to some extent, selecting the ground, and then placing the clubs and installing the formwork to place the concrete. (Form on Supporting).

한편, 역타설 시공시에는 통상적으로 흙막이벽과 바닥 슬래브가 만나는 외곽 경계부분에 띠장 또는 접합거더 역할을 하는 철근 콘크리트 테두리보(perimeter beam)가 설치되고, 모든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이 끝난 뒤에는 맨 아래층부터 위층으로 올라가면서 흙막이벽 안쪽에 합벽(지하옹벽)을 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verse casting, a reinforced concrete perimeter beam, which acts as a strip or a joining girder, is usually installed at the outer boundary where the earth wall and the floor slab meet, and after completion of the slab construction of all basement floors, As you go upstairs, you will build a plywood (underground retaining wall) inside the retaining wall.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지하층의 슬래브 및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성 및 작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formwork and work for the slab and rim beam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la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follows.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 및 테두리보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 및 테두리보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ormwork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he rim be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he rim be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a는 거푸집 설치상태에서 콘크리트의 양생 중을, 도 1b는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 해체상태를 나타내며, 이들 도면은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15) 지지를 위한 지지거더(7)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Figure 1a shows the concrete during curing in the form installed state, Figure 1b shows the state of the form dismantled after curing of the concrete, these figures are in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girder (7)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15) is installed It is a cross section of.

도 1a에서 도면부호 2는 흙막이벽(1) 내에 수직 시공된 엄지말뚝, 즉 수직 강재빔인 H-파일(pile)을 나타낸다.In FIG. 1 a,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n H-pile, which is a thumb pile, ie a vertical steel beam, installed vertically in the retaining wall 1.

주지된 바와 같이, 흙막이벽(1)의 형식으로는 주열식 벽으로서 SCW(Soil Cement Wall)와 CIP(Cast In-Place Pile)가 있고, 이들은 엄지말뚝으로서 통상 H-파일(2)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H-파일(2)이 배면의 토압 및 수압을 직접 지지하는 수직 휨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As is well known, the form of the retaining wall 1 includes a heat cement wall (SCW) and a cast in-place pile (CIP), which usually use an H-pile 2 as a thumb pile. This H-pile 2 serves as a vertical bending member that directly supports the earth pressure an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rear surface.

테두리보(17)의 시공을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흙막이벽(1)을 시공한 뒤 굴토작업을 먼저 하고, 버림 콘크리트(3)를 타설한 뒤 동바리(4)를 설치하여 거푸집을 지지시키게 된다.For the construction of the rim beam 17, as shown in the prior art,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1) and the first work to excavate, cast concrete (3) and install the copper bar (4) to form the formwork Supported.

여기서, 시공하고자 하는 테두리보(17)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그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각재(5)를 복수개의 동바리(4)로 지지시키고, 이 각재(5) 위에는 테두리보 하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6)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지지시키며, 이 수평의 합판 거푸집, 즉 거푸집 하판(6) 위로는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거푸집 옆판, 미도시됨)을 수직으로 고정 배치하여 지지시킨다.Here, the lumber 5 which is arranged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beam 17 to be constructed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copper wheels 4, on the rim beam 5, plywood for molding The formwork 6 is placed horizontally to support it, and on top of this horizontal plywood formwork, that is, the formwork plywood formwork (formwork side plate, not shown) for rim beam side forming is fixed and supported vertically. .

이때 상기 각재(5)는 시공하고자 하는 테두리보(17)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각각의 각재(5)가 모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동바리(4)로 지지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lumber (5)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beam 17 to be constructed, each of the lumber (5)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copper wheels (4) as shown .

또한,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로서, 도면부호 7은 철골보 구조물인 지지거더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5는 지지거더(7)에 의해 지지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바, 상기 지지거더(7)로는 통상 H-형강이 사용되고, 그 일단부가 동바리(4) 및 거푸집 하판(6) 등에 의해 지지되며, 일단부 끝단에는 임베디드 플레이트(embedded plate)(8)가 용접 및/또는 고정 브라켓(9a)과 체결부재(9b)에 의해 수직으로 결합된다.In addition, as a slab construction structure,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support girder which is a steel golbo structure, and 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deck plate supported by the support girder 7, and the support girder 7 is usually H-shaped steel. It is used,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copper wheel 4, the formwork lower plate 6, etc., and at one end, an embedded plate 8 is welded and / or fixed bracket 9a and fastening member 9b. Combined vertically by

이와 같이 지지거더(7)가 설치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8)가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지지거더(7)에서 테두리보(17)에 결합되는 구조체가 된다. In this way, in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girder 7 is installed, the embedded plate 8 serves as a formwork for forming the rim beam side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a structure coupled to the rim beam 17 in the support girder 7.

그리고, 도 1a는 지지거더(7)가 설치되는 위치에서의 종방향 단면도이기 때문에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 즉 거푸집 옆판이 미도시되었으나, 이 거푸집 옆판은 시공하고자 하는 테두리보(17)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임베디드 플레이트(8)의 양 측방으로 길게 설치되며, 이는 각 지지거더(7) 끝단의 임베디드 플 레이트(8)와 함께 테두리보 성형공간의 측면을 이루게 된다.And, Figure 1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girder (7) is installed, plywood formwork for forming the side beams, that is, the formwork side plate is not shown, this formwork side plate is the edge beam 17 to be construct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embedded plate 8 is installed long both sides, which together with the embedded plate 8 of the end of each support girder 7 forms the side of the rim beam forming space.

또한, 테두리보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성형공간, 즉 H-파일(2)을 포함한 흙막이벽(1), 거푸집 하판(6), 임베디드 플레이트(8) 및 미도시된 거푸집 옆판이 형성하는 사각 단면형상의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는 길이방향의 철근(11) 및 스터럽 철근(12)을 설치함과 더불어 지하옹벽 공간 내 매립되는 연결철근(19)을 상하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배근작업을 하고,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서 흙막이벽(1)에 내장된 H-파일(2)의 플랜지면에는 벽의 일부를 제거한 후 전단연결부재인 스터드(예, 3 ×2열 = 6개)(13)가 용접 시공된다.In addition, the square space of the cross-section formed by the molding space in which the frame for the concrete is poured, that is, the retaining wall (1) including the H- pile (2), the form lower plate (6), the embedded plate (8) and the formwork side plate (not shown) In the frame beam forming space,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 11 and the stirrup reinforcing bar 12 are installed, and the reinforcing work for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connecting bar 19 embedded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up and down, and the frame beam forming In the space, the flange surface of the H-pile 2 embedded in the retaining wall 1 is removed, and then a stud (for example, 3 x 2 rows = 6 pieces) 13, which is a shear connection member, is welded to the flange surface of the H-pile 2. .

또한,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서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드(8)에도 전단연결부재인 스터드(14)가 용접 시공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스터드(13,14)는 테두리보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는 바, 이들은 H-파일(2)과 테두리보(17)간, 그리고 테두리보(17)와 임베디드 플레이트(8)간 상호 결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시공되는 것들이다.In addition, the stud 14, which is a shear connection member, is welded to the embedded plate 8 in the edge beam forming space, and the studs 13 and 14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re embedded in the edge beam concrete, and these are H -These are constructed to increase the mutual binding force between the pile (2) and the edge beam 17, and between the edge beam 17 and the embedded plate (8).

이와 같이 슬래브(16) 및 테두리보(17) 시공을 위한 거푸집 등 구조체를 모두 설치하고 나면, 슬래브 및 보 콘크리트 타설시에 상기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하여 테두리보(17)를 성형한다.After installing all the structures such as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6) and the rim beam (17), when the slab and beam concrete is poured, the concrete is poured together in the rim beam forming space to form the rim beam (17). .

그리고,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동바리(4) 및 각재(5), 합판 거푸집(거푸집 하판 및 옆판)(6) 등은 해체하고, 철골보인 지지거더(7) 및 임베디드 플레이트(8) 등은 영구 구조체로 사용하게 된다.Then, after the concrete is cured, the copper bar (4) and the lumber (5), plywood formwork (form lower plate and side plate) (6), etc. are dismantled, the steel girders support girder (7) and embedded plate (8) is permanent It will be used as a structure.

이후 하층으로 내려가면서 각 층에 대해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슬래 브 및 테두리보를 단계적으로 시공하게 되며, 모든 지하층에 대하여 슬래브 및 테두리보의 시공이 완료되면, 옹벽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 시공을 하여 테두리보가 드러나지 않도록 옹벽(합벽) 순타시공을 하게 된다.After going down to the lower floor and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s for each floor step by step slab and rim beam construction step by step, and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rim beam for all basement is completed, retaining wall formwork and concrete construction border The retaining wall (plywood) is to be constructed so that the beam is not exposed.

통상, 옹벽 시공은, 상기와 같이 맨 아래층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순타시공하는 순타시공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거나, 슬래브 시공 후 그 상측의 옹벽을 시공하고 이후 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한 뒤 다시 그 상측의 옹벽을 시공하는 역타시공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a smooth construction method of smooth construction while rising from the bottom layer as described above, or after the slab construction, constructs the retaining wall on the upper side, and then performs the lower slab construction, and then again the retaining wall on the upper side. Work is done in reverse construction method to construct the construction.

도 2는 종래 슬래브, 테두리보 및 지하옹벽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지지거더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 즉 지지거더와 지지거더 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취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lab, rim beam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made,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girder is not installed, that i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support girder and the support girder.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브(16)와 테두리보(17)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흙막이벽(1) 내측으로 옹벽 거푸집(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18)을 시공하게 된다.As show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6 and the rim beam 17 is completed, a retaining wall formwork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retaining wall 1, an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 space to retain the retaining wall 18. Will be constructed.

도 2를 참조로 하여 간단히 지하 2층까지만의 예를 설명하면, '경우 1'에서 ①→②→③→④→⑤의 시공순서는 옹벽(18)을 순타시공할 경우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며, '경우 2'에서 ①→②→③→④→⑤의 시공순서는 옹벽(18)을 역타시공할 경우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a simple example up to the second basement floor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1,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① → ② → ③ → ④ → ⑤ shows the sequence when the retaining wall 18 is smoothly constructed. In the case 2,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① → ② → ③ → ④ → ⑤ shows the sequence when reverse retaining the retaining wall 18.

한편,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ures 1a and 1b, and Figure 2 has the following problems.

테두리보 시공에 따른 문제점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 합판 거 푸집(6)과 동바리(4)를 이용함으로써, 동바리 설치에 따른 토공작업 지연과 콘크리트 타설시 가끔 거푸집 파괴 등에 의해 작업 차질이 많이 발생하고, 거푸집 설치가 복잡하여 시공성 저하 및 원가 증대의 문제가 발생한다. As a problem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im beam,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general plywood formwork (6) and the copper barry (4), a lot of work disturbances occur due to the delay of earthwork work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copper bar and the occasional formwork destruction during concrete pouring As a result, the formwork is complicated to install, resulting in poor constructionability and cost increase.

특히, 동바리(4)의 이용시에는 연약 지반상에서의 지지가 불안정하고, 또한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 이상으로 보양되지 않으면 해체가 불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중 동바리의 존치로 인해 아래층의 굴토공사가 진행되지 못하여 공기가 지연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opper barrier 4 is used, support on the soft ground is unstable, and disassembly is impossible unless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is maintained above a certain lev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must be delayed.

더구나, 동바리 등 가설자재는 역타설 시공시 굴토작업장 외부로 반출한 뒤 굴토 후 다시 아래층으로 이동하여 설치해야 하고, 이를 각 층의 시공시마다 반복해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데 있어서 번잡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temporary materials such as dongbari should be moved to the lower floor after the excavation after installation to the outside of the gulto workshop during the construction of reverse casting, and this should be repeated for the construction of each floor. This will be.

또한, 동바리의 소운반 및 재조립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과다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모든 작업이 인력에 의존하는 노동집약적이기 때문에 기능공의 인력 부족이 점차 심화되는 현실에서 동바리의 사용은 원가 절감을 어렵게 한다.In addition,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ransporting and reassembling the club are not only economically unfavorable, but also the labor-intensive labor shortage of all workers makes the use of copper club cost-effective. Makes it difficult.

그리고, 철골구조를 사용한 역타 공사시에 테두리보 시공을 위하여 거푸집 작업을 위한 목공작업이 중간 중간에 실시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odworking work for the formwork for the rim beam construction during the reverse construction using the steel structure has to be carried out in the middle.

특히, 역타설 시공시에 데크 플레이트(15)를 설치하여 데크 슬래브(deck slab)(16)를 시공하고 있는데 반하여, 테두리보(17)의 시공을 위해 목재로 된 합판 거푸집(6)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두리보 거푸집 작업을 위한 목공작업 인원이 단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In particular, the deck slab (16) is installed by installing the deck plate (15) during reverse casting, whereas the plywood formwork (6) made of wood is used as it 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im beam (17). In such cases, woodworking personnel for the edging beam formwork should be intermittent.

이와 같이 철공공 외에 목공작업공의 이질공종 인력이 투입됨으로써, 공사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인력 투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In this way, by adding the heterogeneous workforce of the woodworker in addition to the ironworker,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 efficiency of manpower input is greatly reduced.

또한, 테두리보(17)와 철골보(지지거더)(7)의 접합부 부분 거푸집 작업시에 철골보(7)를 거푸집으로 지지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시공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고, 큰 춤의 철골보(7)와 테두리보(17)의 접합을 위하여 테두리보 춤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등 비경제적으로 설계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el beams 7 should be supported as formwork at the joint formwork of the rim beam 17 and the cheolgolbo (supporting girder) 7, this also becomes a factor of deteriorating the workability, and a large dance steel beam (7). ) And the edge beam dance is larger than necessary for the bonding of the edge beam 17 and the edge beam 17.

또한, 거푸집 옆판 설치시에 거푸집 하판 등을 발판으로 하여 작업자가 그 위로 올라가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because the worker has to work on the formwork as a scaffold when the formwork side plate is installed as a scaffold.

또한, 스터럽 및 보강 철근량의 과다 소요, 연결철근의 사용량 과다로 인한 재료 낭비의 문제점이 있고, 테두리보 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가공 및 조립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배근 설치를 위한 조립시간이 필요하여 공기 지연 및 공사비 증대의 요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excessive amount of stirrup and reinforcing bar, waste of material due to excessive use of connecting bar, complicated reinforcing and assembly of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and assembly time for installing reinforcement is needed. It is a factor of delay and increase of construction cost.

또한, 슬래브(16)가 선시공되고 옹벽(18)이 후시공됨에 따라서 테두리보(17)의 상, 하면과 옹벽(18)간에는 접합면이 발생하는 바, 이 접합면에서의 누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누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공 후 접합면간에 에폭시를 주입해야 하는 보수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In addition, as the slab 16 is pre-installed and the retaining wall 18 is post-installed, a joint surface occu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im beam 17 and the retaining wall 18. In order to solve such a leak problem, a repair work must be performed to inject epoxy between the joint surfaces after construction.

상기한 테두리보와 옹벽간의 접합 관련 문제는 도 2의 '경우 2'에서와 같은 옹벽 역타시공시에 특히 문제가 되는데, 콘크리트의 수축에 따라서 테두리보(17)의 하면과 옹벽(18) 상단의 접합면간에 틈새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는 에폭시 주입 등 보수작업을 실시하여 해결하였으나 반드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The above problem related to the joining between the rim beam and the retaining wall is particularly a problem when the retaining wall reverse construction as shown in the 'case 2' of FIG. 2, the bottom of the rim beam 17 and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18 in accordance with the shrinkage of the concrete The gap between the joining surfaces can be large, which is solved by repair work such as epoxy injection, but it is a part that needs improvement.

또한, 옹벽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투입구(충전파이프를 테두리보에 대략 1m 간격으로 매입함)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inlet for filling the retaining wall concrete (buying the filling pipe at intervals of about 1 m to the rim beam) is required, which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workability is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슬래브의 시공시에 테두리보 시공이 생략 가능하여 테두리보 시공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고, 동바리 및 합판 거푸집의 사용이 필요 없으며, 지하옹벽 내 접합면 축소에 따른 누수 방지 효과와 더불어, 테두리보와 상, 하층 옹벽간을 연결하던 연결철근이 필요 없게 되는 동시에 테두리보에 들어가던 철근량이 줄어들어 경제적이고, 옹벽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충전파이프를 테두리보에 매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omit the edge beam construction when the slab construction can be solved a number of problem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edge beam,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pper bar and plywood form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joint surface in the basement retaining wall, and to eliminate the need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workability because the filling pipe does not need to be embedded in the rim beam, and a slab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rim beam is omit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지지거더 및 데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하층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basement layer including a support girder and a deck plate,

일단부가 지하옹벽 공간 내에 삽입되어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된 거더 지 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거더와; 상기 지지거더와 동일 높이로 하여 이웃한 두 상기 지지거더의 일단부에 단부가 거싯 플레이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각 지지거더간에 설치되는 내측보강보와; 상기 지지거더와 내측보강보 위에 지지되면서 슬래브 공간에 설치되는 데크 플레이트와; 슬래브의 선시공 및 지하옹벽의 후시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거더와 내측보강보 위에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을 따라서 설치되는 슬래브 경계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 수단과; 흙막이벽과 슬래브간 힘 전달이 가능하도록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gird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and supported by the girder supporting means installed in the H-pile of the retaining wall; An inner reinforcement beam having end portions fixed to one end of two adjacent support girders through a gusset pl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support girders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girders; A deck plate installed in the slab spac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Forming means for slab interface forming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reinforcement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to enable pre-installation of the slab and post-installation of the base retaining wal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to enable the force transfer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특히, 상기 지지틀 구조체가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되는 복수개의 웨일 지지틀로 구성되고, 상기 각 웨일 지지틀은,In particular, the support frame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le support frame that is continuously dispos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each of the wale support frame,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된 상부 브라켓들 위에 횡으로 지지되도록 용접 설치되고 흙막이벽과의 사이에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가 시공되는 웨일과; 일단부가 상기 웨일에 용접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거푸집 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거더 및 내측보강보 상측의 슬래브와 연결될 수 있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트럿;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les welded to be supported transversely on the upper brackets installed on the H-pile of the retaining wall, and having a backfill portion installed for transferring earth pressur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a plurality of strut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 girder and the upper slab of the inner side reinforcement through the formwork, with the other end welded to the wale.

여기서, 상기 거푸집 수단이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철망형 거푸집이고, 상기 각 스트럿이 이 철망형 거푸집을 관통하여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ormwork means is a wire mesh formwork which is installed along the interface of the entire boundary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strut is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through the wire mesh formwork.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거푸집 수단이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철망형 거푸집이고, 상기 각 스트럿의 타단부 끝단에 개별 엔드 플레이트가 용접 설치 되어 이 엔드 플레이트가 지지거더 및 내측보강보 위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각 엔드 플레이트의 이면에는 상기 철망형 거푸집을 관통하여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되는 스터드가 용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ormwork means is a wire mesh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entire boundary surface, the individual end plate is welded to the other end of each strut is fixed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Studs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through the wire mesh formwork are welded to the rear surface of each end plate.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틀 구조체가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는 복수개의 그레이팅 지지틀로 구성되되, 상기 각 그레이팅 지지틀은 양측의 두 엔드 플레이트와, 이 두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끝단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플랫 바와, 이 플랫 바에 대해 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철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엔드 플레이트 중 일측의 엔드 플레이트가 상기 거푸집 수단 바깥쪽으로 내측보강보 위에, 타측의 엔드 플레이트가 흙막이벽과의 사이에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를 가지면서 이웃한 상부 브라켓들 위에 횡으로 지지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ating support frames in a continuous arrangement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each grating support frame having two end plates on both sides and an end between the two end plate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flat bars fixed to the end plat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cross reinforcing bars are fixed laterally fixed to the flat bar, the end plate on one side of the two end plates is the inner reinforcement outside the formwork means Above, the other en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laterally on the adjacent upper brackets and welded while having a backfill for earth pressure transmission between the earth wall.

상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거푸집 수단이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철망형 거푸집이고, 상기 철망형 거푸집을 관통하는 연결철근들이 상기 그레이팅 지지틀 상측에서 지하옹벽 공간과 슬래브 공간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ormwork means is a wire mesh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entire boundary surface, the connecting bars penetrating the wire mesh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retaining wall space and the slab space above the grating support frame It is done.

한편, 본 발명은, 지하층의 슬래브 및 지하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lab and basement retaining wall of the basement layer,

(a)시공되는 건물의 경계선을 따라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그 안쪽 지중에 골조용 기둥을 시공하는 단계와; (b)흙막이벽 안쪽 지반의 터파기를 진행하여 흙막이벽과 골조용 기둥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c)흙막이벽의 해당 H-파일에 각각 하부 브라켓을 설치한 뒤 이웃한 두 하부 브라켓 위에 받침보를 설 치하고, 이어 받침보 위에 일단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방법으로 각 지지거더를 상기 받침보와 골조용 기둥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와; (d)흙막이벽과 골조용 기둥 사이에 설치된 각 이웃한 두 지지거더의 일단부 사이에 지지거더와 동일 높이로 하여 거싯 플레이트를 매개로 내측보강보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e)상기 지지거더 및 내측보강보 위로 슬래브 공간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e)상기 지지거더와 내측보강보 위에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을 따라서 슬래브 경계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 수단을 설치하고,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지지틀 구조체를 연결 설치하는 단계와; (g)상기 거푸집 수단을 경계로 하는 슬래브 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와; (h)상기 (b)단계 ~ (g)단계를 하층으로 내려가면서 단계적으로 반복하여 전 지하층의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와; (i)지하옹벽의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층부터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지하옹벽의 순타시공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installing a retaining wall along the boundary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and constructing a frame pillar in the inner ground thereof; (b) exploding the ground of the soil wall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soil wall and the frame pillar; (c) each supporting girders are installed on the supporting beams by installing a lower bracket on the corresponding H-pil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n installing a support beam on two adjacent lower brackets, and then supporting and fixing one end on the support beam. Installing between the frame pillars; (d) fixing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through the gusset pl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support girder between one end of each neighboring two support girders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frame pillar; (e) installing a deck plate in the slab space above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e) Forming means for forming the slab interfac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and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structur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Steps; (g) constructing the slab by placing concrete in the slab space bounded by the formwork means; (h) constructing the slabs of the entire basement layer by repeating step (b) to (g) down to the lower layer step by step; (i) installing the formwork of the basement retaining wall and placing concrete to perform the net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retaining wall while going up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특히,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거푸집 수단으로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철망형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틀 구조체로서 웨일에 스트럿들을 설치하여 제작한 복수개의 웨일 지지틀을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하되, 상기 각 웨일을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한 상부 브라켓들 위에 횡으로 지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각 스트럿의 단부를 상기 철망형 거푸집에 관통시켜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하고, 흙막이벽과 상기 웨일 사이에는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in the step (e), a plurality of wale support frames are prepared by installing the wire mesh formwork along the entire boundary surface with the formwork means and installing the struts on the wales as the support frame structure. The slabs are continuously arranged between the slab spaces, and each of the wales is horizontally supported on the upper brackets installed on the H-pile of the wall, and the end of each strut is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by inserting the end of the strut into the slab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wa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fill for the earth pressure transmission.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거푸집 수단으로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철망형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틀 구조체로서 복수개의 그레이팅 지지틀을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하되, 양측의 두 엔드 플레이트와, 이 두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끝단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플랫 바와, 이 플랫 바에 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철근으로 이루어진 그레이팅 지지틀을 사용하고, 상기 두 엔드 플레이트 중 일측의 엔드 플레이트를 상기 거푸집 수단 바깥쪽으로 내측보강보 위에, 타측의 엔드 플레이트를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한 상부 브라켓들 위에 고정 지지시키는 한편, 흙막이벽과 상기 타측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in the step (e), a wire mesh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formwork along the entire boundary surface, and a plurality of grating support fram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space and the slab space in the basement wall space as the support frame structure. A grating support frame including two end plates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flat bars having ends fixed to the end plates between the two end plates, and a plurality of cross bars installed laterally fixed to the flat bars. One end of the two end plates on the inner reinforcement to the outside of the formwork means, while the other end plate is fixedly supported on the upper brackets installed on the H-pile of the retaining wall, while the retaining wall and the Between the end plates on the other side, a backfill for the earth pressure And that is characterized.

여기서, 상기 크로스 철근들이 상기 플랫 바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그레이팅 지지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ross bars ar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grating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lat bar, respectively.

또는, 상기 크로스 철근들이 상기 플랫 바의 상하 중간부분을 관통하는 그레이팅 지지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cross bars ar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grating support fram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flat bar.

또한, 상기 지지틀 구조체로서 크로스 철근들이 플랫 바와 직각으로 배치된 직교형 그레이팅 지지틀과, 크로스 철근들이 플랫 바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경사배치형 그레이팅 지지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using a combination of orthogonal grating support frame cross bars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flat bar, and inclined arrangement type grating support frame cross bars are arrang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at ba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흙막이벽으로서 SCW 또는 CIP가 시공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지 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SCW or CIP is constructed as a retaining wall, and a slab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s omitt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엄지말뚝으로서 H-파일이 수직 시공된 CIP나 SCW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흙막이벽'으로 통칭하기로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the vertical construction CIP or SCW as a thumb pile, it will b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soil wal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out separating them.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로서 흙막이벽(100) 및 그 내부의 H-파일(101)을 횡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하였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100 and The H-pile 101 therein is shown in cross s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또한, 도 5a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내측보강보(113)의 단부와 지지거더(110)의 거싯 플레이트(gusset plate)(114)간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and FIG. 6 is a line 'C-C' of FIG. 5B. A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end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nd the gusset plate 114 of the support girder 110.

도 5a와 도 5b는 슬래브(deck slab)(102)가 시공된 상태이면서 지하옹벽이 시공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지지거더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 즉 지지거더와 지지거더 사이의 위치에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하부 브라켓(111), 받침보(112) 및 지지거더(110)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5A and 5B show a state where the deck slab 102 is constructed and before the basement wall is constructed, FIG. 5A shows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girder is not installed, that is, between the support girder and the support girder.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bracket 111, the support beam 112, and the support girder 110 together.

도 6에서는 연결구조를 명확히 보이기 위하여 내측보강보(113)와 거싯 플레이트(114), 이들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수단(115), 지지거더(110)의 단면만을 도시하였다.6 shows only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nd the gusset plate 114, the fastening means 115 fastening them, and the support girder 110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connection structure.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내측보강보로 ㄷ-형강 대신 H-형강이 사용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흙막이벽에 상부 브라켓 및 웨일(wale), 스트럿(strut)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부분평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H-beam instead of the c-beam as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i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bracket, a wale, and a strut are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먼저, 흙막이벽(100)으로서 SCW 또는 CIP를 시공한 뒤, 흙막이벽(100)에 각 지지거더(11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거더 지지수단이 설치되며, 이 거더 지지수단은 흙막이벽(100)의 H-파일(101)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브라켓(111)과, 이 하부 브라켓(111) 위에 고정 지지되는 받침보(112)로 구성된다. First, after constructing the SCW or CIP as the barrier wall 100, girder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one end of each support girder 110 is installed on the barrier wall 100, the girder support means is a barrier wall 100 The lower bracket 11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H-pile 101, and the support beam 112 is fixedly supported on the lower bracket 111.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이웃한 두 H-파일(101)의 플랜지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H-파일(101)이 설치된 위치에서 흙막이벽(100)의 일부를 면갈이하고, 노출된 두 H-파일(101)의 플랜지면상에 하부 브라켓(111)을 용접하여 설치한다.In more detail, first, a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100 is shred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H-pile 101 is installed so that the flange surfaces of the two neighboring H-piles 101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wo exposed H- are exposed. The lower bracket 111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flange surface of the pile 101.

이 하부 브라켓(111)으로는 H-형강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하부 브라켓(111)상에는 횡으로 지지되도록 받침보(112)가 용접 설치된다.The lower bracket 111 can be used to cut the H-shaped steel, the support beam 112 is welded on the lower bracket 111 so as to be supported laterally.

상기 받침보(112)는 도 5b에서와 같이 지지거더(110)의 일단부를 직접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H-형강의 사용이 가능하다.The support beam 112 is to directly support one end of the support girder 110 as shown in Figure 5b, it is possible to use the H-shaped steel.

그리고, 데크 플레이트(116)를 지지하기 위한 철골보 구조물인 지지거더(110)가 각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때 각 지지거더(110)는 일단부가 상기 받침보(112)에 의해 지지되고, 반대쪽 타단부가 종래와 마찬가지로 미도시된 골조용 기둥에 지지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girders 110, which are steel frame structures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116, are installed at respective positions, wherein each support girder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eam 112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thereof at the opposite end thereof. Is supported on the frame pillar not shown as in the prior art.

여기서, 각 지지거더(110)의 일단부는 받침보(112) 위에 지지된 상태로 용접 되며, 결국 지지거더(110)는 일단부가 받침보(112)와 하부 브라켓(111)을 매개로 하여 흙막이벽(100)의 H-파일(101)에 고정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Here, one end of each support girder 110 is welded in a supported state on the support beam 112, and eventually the support girder 110 has an earth end wall through the support beam 112 and the lower bracket 111 through the end. It takes a form that is fixedly supported on the H-pile 101 of (100).

상기 지지거더(110)의 일단부는 추후 시공되는 지하옹벽(도 12f에서 도면부호 103임)의 공간(도면상 옹벽 콘크리트 타설 라인의 좌측 공간) 내에 삽입되어 지하옹벽의 콘크리트 속에 완전 매립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지하구조물에서 상기 지지거더(110)는 일단부가 지하옹벽 내에 매립되어 영구 구조체로 사용된다.One end of the support girder 110 is inserted into a space (left space of the retaining wall concrete placing line on the drawing)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3 in FIG. 12F) to be completely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In this way, in the underground structure, one end of the support girder 110 i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and used as a permanent structure.

그리고, 이웃한 두 지지거더(110)의 일단부 사이에는 내측보강보(113)가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며, 이 내측보강보(113)는 지지거더(110)와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래브(102)와 지하옹벽간 경계부를 따라 길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is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two adjacent support girders 110,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the support girder 110, the slab 102 )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ment retaining wall.

상기 내측보강보(113)는 양 단부가 두 지지거더(110)에 설치된 거싯 플레이트(114)에 볼팅되어 고정되는데, 내측보강보의 단부가 거싯 플레이트를 매개로 지지거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구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is fixed to both ends are bolted to the gusset plate 114 installed on the two support girders 110, the end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girder via the gusset plate Is as shown in FIG.

각 지지거더(110)의 일단부에서 내측보강보(113)의 단부가 지지되는 위치에는 지지거더(110) 양측 내부 공간에 각각 거싯 플레이트(114)가 용접되어 고정 설치되고, 각 거싯 플레이트(114)와 해당 방향쪽 내측보강보(113)의 단부가 중첩되는 대응면끼리 서로 볼팅되어 체결되는 바, 이에 의해 좌, 우측 내측보강보(113)가 지지거더(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길게 고정 지지될 수 있게 된다.In the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are supported at one end of each support girder 110, the gusset plate 114 is welded and fixed to both inner spaces of the support girder 110, and each gusset plate 114 is fixed. )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s overlapping ends of the inner side reinforcement beams 113 are bol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whereby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 reinforcement beams 113 are fixed to both sides about the support girder 110. It can be supported.

상기 각 거싯 플레이트(114)는 일부가 지지거더(110)의 측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 돌출된 부분이 내측보강보(113)의 단부 대응면(수직부면)에 중첩된 상태로 볼팅되도록 되어 있다.Each gusset plate 114 is a part of the structure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support girder 110, the protruding portion is superimposed on the end corresponding surface (vertical side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It is intended to be bolted.

상기 내측보강보(113)로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형강(channel)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ㄷ-형강은 그 상면이 지지거더(110)의 상부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설치된다.As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s shown in Figure 5a and 5b can be used c-shaped (channel),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beam is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support girder 110 It is installed as possible.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보강보(113)로서 ㄷ-형강 대신 H-형강이 사용될 수 있으며, H-형강이 사용되는 경우에서도 ㄷ-형강이 사용될 때와 마찬가지로 거싯 플레이트(114)와 해당 방향쪽 H-형강의 단부가 중첩되는 대응면끼리 서로 볼팅되어 체결되고, 이에 의해 H-형강으로 실시된 내측보강보(113)가 지지거더(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길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may be H-beams instead of c-beams, and even when H-beams are used, the gusset plate 114 may be used as with the c-beams. Corresponding surfaces of which the ends of the corresponding H-beams overlap each other are bol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whereby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made of H-beams can be fixed to both sides about the support girder 110 in a long way. do.

상기 내측보강보(113)로 사용되는 H-형강은 상부 플랜지면이 지지거더(110)의 상부 플랜지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설치된다.H-shaped steel used as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flange surface is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support girder 11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거더(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거더(110) 위로는 슬래브 시공용 거푸집 구조체인 데크 플레이트(116)가 종래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며,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에는 거푸집 수단(117)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deck plate 116, which is a formwork for slab construction, is installed above the support girder 110 in the state where the support girder 11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nd formwork means is provid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117 is installed.

상기 거푸집 수단(117)은 슬래브(102)의 선시공 및 지하옹벽(103)의 후시공이 가능하도록 지지거더(110)와 내측보강보(113) 위에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을 따라 설치되는 슬래브 경계면 성형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철망형 거푸집(118)의 사용이 가능하다.The formwork means 117 is install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on the support girder 110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to enable the pre-installation of the slab 102 and the post-installation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103. As for the slab interface shaping, it is possible to use wire mesh formwork 118.

이 철망형 거푸집(118)은 통상 메탈 리브 라스(metal rib lath)라고 불리는 거푸집으로, 이는 철망 라스(lath)에 리브(rib)를 두어 제작된 거푸집이며, 현재 네트 거푸집 공법에서 사용되는 거푸집이다.The wire mesh formwork 118 is a formwork commonly referred to as metal rib lath, which is a form made by placing ribs on a wire mesh lath, and is currently used in a net formwork.

상기 철망형 거푸집(118)은 내측보강보(113), 그리고 후술하는 스트럿(123) 및 연결철근(129a,129b)들과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wire mesh formwork 118 may be fixed by welding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and the struts 123 and the connecting bars 129a and 129b to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116)가 설치된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종래의 테두리보 성형공간임)의 경계면을 따라 철망형 거푸집(118)이 설치됨으로써, 지하옹벽 공간과는 별개로 슬래브 공간에만 콘크리트를 우선적으로 타설할 수 있게 되며, 종래의 테두리보가 삭제된 채 슬래브(102) 시공 후 지하옹벽(도 12f의 도면부호 103임) 시공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 mesh formwork 118 is install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where the deck plate 116 is installed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which is a conventional edge beam forming space), so that only the slab space is separated from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It is possible to pour preferentiall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retaining wall (denoted by 103 in FIG. 12F) after the slab 102 is constructed while the conventional rim beam is deleted.

또한, H-파일(101)이 설치된 위치에서 흙막이벽(100)을 면갈이한 후 노출된 H-파일(101)의 플랜지면상에 상부 브라켓(119)을 용접하여 설치하며, 이 상부 브라켓(119)으로는 'ㄱ'자 단면의 앵글(angle)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H-pile 101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of the wall wall 100 after the face-mounted and the upper bracket 119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flange surface of the exposed H-pile 101, this upper bracket 119 ) Can be used by cutting the angle of the cross-section 'a' to the required length.

상기 상부 브라켓(119)과 하부 브라켓(111)이 모두 설치되는 H-파일(101)에서는 상부 브라켓(119)을 하부 브라켓(111) 상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하부 브라켓(111)이 설치되지 않은 H-파일(101)에도 동일 높이로 하여 상부 브라켓(119)을 설치한다.In the H-pile 101 in which both the upper bracket 119 and the lower bracket 111 are installed, the upper bracket 119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lower bracket 111, and the lower bracket 111 is installed. The upper bracket 119 is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even in the non-H-pile 101.

그리고, 상기 상부 브라켓(119)상에는 횡으로 지지되도록 웨일(122)을 용접하여 설치하는데, 도 8a와 도 8b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흙막이벽(100)에서 이웃한 H-파일(101) 3개씩을 반복되는 하나의 단위로 하여, 3개 H-파일(101) 중 중간에 위치한 H-파일을 제외한 나머지 양쪽 2개의 H-파일에 상부 브라켓(119)을 설치하고, 2개의 상부 브라켓(119) 위에 웨일(122) 1개씩을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 다. In addition, the upper bracket 119 is installed by welding the wale 122 so as to be supported laterally.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FIGS. 8A and 8B, the H-pile 101 adjacent to the retaining wall 100 is installed. The upper bracket 119 is installed on both of the two H-files except for the H-file in the middle of the three H-files 101, and the two upper brackets ( 119) can be installed by welding one wale (122).

상기 각 단위의 H-파일(101) 3개에 대하여 2개의 상부 브라켓(119)과 1개의 웨일(122)이 설치될 수가 있는 것이다.Two upper brackets 119 and one wale 122 may be provided for three H-piles 101 of each unit.

또한, 상기 각 웨일(122)에는 횡방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트럿(123)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이 스트럿(123)들은 일단부가 해당 웨일(122)에 용접된 상태로 타단부가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truts 123 disposed laterally are disposed on the wales 1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truts 123 have the other end in the slab space with one end welded to the corresponding wales 122.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여기서, 상기 각 스트럿(123)은 일단부가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철망형 거푸집(118)의 절개부위를 통과하여 슬래브 공간 내측으로 삽입된다. Here, each of the struts 123 is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through the cutting portion of the wire mesh formwork 118 is install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상기 웨일(122)으로는 ㄷ-형강(channel)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ㄷ-형강은 개구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 9의 (a)도면 또는 (b)도면과 같이 설치할 수 있다.The w-channel 122 may be used as a c-beam, and the c-beam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a) or (b) of FIG.

도 9에서 (a)도면의 예는 웨일(122)의 개구되는 방향이 슬래브(102)를 향하도록 한 것으로, 우측의 스트럿(123)들이 웨일(122)의 내측면에 단부가 용접되어 설치되고, 웨일(122)의 반대쪽 외측면과 흙막이벽(100)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뒷채움된다.In the example of FIG. 9A,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wale 122 is directed toward the slab 102. The struts 123 on the right side are welded to the inner side of the wale 122. , Concrete is backfilled between the opposite outer surface of the wale 122 and the retaining wall 100.

반면, (b)도면의 예는 웨일(122)의 개구되는 방향이 흙막이벽(100)을 향하도록 한 것으로, 우측의 스트럿(123)들이 웨일(122)의 외측면에 단부가 용접되어 설치되고, 웨일(122)의 내부공간을 포함한 흙막이벽(100)과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뒷채움된다.On the other hand, (b) the drawing is such tha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wale 122 is directed toward the retaining wall 100, the struts 123 on the right side is welded to the outer end of the wale 122 is installed The concrete is backfilled with the retaining wall 100 including the inner space of the wale 122.

그리고, 상기 스트럿(123)으로는 도 10의 단면을 갖는 여러 종류의 길이부재 중에 선택된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strut 123, one selected from several kinds of length members having a cross section of FIG. 10 may be used.

도 10은 본 발명에서 스트럿으로 사용 가능한 각 부재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스트럿(123)으로 (a)'ㄱ'자 단면의 앵글, (b)ㄷ-형강(채널부재), (c)스틸 바(steel bar), (d)원형 파이프, (e)각형 파이프 중에 선택된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each member that can be used as a str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a) 'a' cross section, (b) c-beam (channel member), (c) to the strut 123 Steel bar, (d) round pipe, (e) square pipe may be used.

본 발명에서 상기 2개의 상부 브라켓(119)에 의해 지지되는 1개의 웨일(122)과, 이 웨일(122)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트럿(123)은 1조의 웨일 지지틀(121)을 구성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흙막이벽(100)의 H-파일(101) 3개씩 마다 1조의 웨일 지지틀(121)이 동일하게 반복 설치되어, 전체적으로는 지지틀 구조체(120)로서 흙막이벽(100)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복수개의 웨일 지지틀(121)이 연결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wales 122 supported by the two upper brackets 119 and a plurality of struts 123 installed on the wales 122 constitute a pair of wale support frames 121, and As described above, one set of wale support frames 121 are repeatedly provided in the same manner for each of the three H-piles 101 of the retaining wall 100, and as a whole, as the support frame structure 120,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lab space are provided. A plurality of wale support frame 121 is connected between.

이와 같이 상기 지지틀 구조체(120)는 흙막이벽(100)과 슬래브(102)간 힘 전달이 가능하도록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100)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흙막이벽(100)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되는 복수개의 웨일 지지틀(121)로 구성된다.As such, the support frame structure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lab space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to enable the force transmission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lab 102, and the retaining wall 100 And a plurality of wale support frames 121 continuously arranged between the slab space.

상기 각 웨일 지지틀(121)의 크기는 현장 작업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정한다. The size of each wales support frame 121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field working conditions.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각 웨일 지지틀(121)이 흙막이벽(100)으로부터 전해지는 불균등 토압에 의해 비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비틀림방지용 버팀부재(124)를 설치하며, 각 버팀부재(124)는 이웃한 두 스트럿(123)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설치한다.Preferably, in order to prevent each of the wale support frames 121 from being twisted by the uneven earth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retaining wall 100, a plurality of torsion preventing brace members 124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8B. Each bracing member 124 is installed in an inclined direction between two adjacent struts 123.

상기 버팀부재(124)는 스트럿(123)의 상면에 용접되어 설치되는데, 'ㄱ'자 단면의 앵글이나 바(bar) 등의 금속 길이부재로 실시 가능하며, 바람직한 설치예로서 2개의 버팀부재(124)가 3개의 스트럿(123)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되, 중앙에 위치된 스트럿(123)의 흙막이벽(100)쪽 일단부에 두 버팀부재(124)의 일단부가 용접되고, 두 버팀부재(124)의 타단부가 좌우 측방으로 위치된 스트럿(123)의 슬래브(102)쪽 타단부에 용접된다. The brace member 124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t 123 is installed, it can be implemented as a metal length member, such as the angle of the 'b' cross-section (bar), two brace member ( 124 is installed in three struts 123 in an inclined direction, one end of the two support members 124 is welded to one end of the earth wall 100 of the strut 123 located in the center, and two support members ( The other end of 124 is welded to the other end of the slab 102 side of the strut 123 located left and right.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 구조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흙막이벽(100)과 웨일(122) 사이의 공간에는 뒷채움부(125a)를 시공하여, 이 뒷채움부(125a)에 의해 흙막이벽(100)과 웨일(122)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Then, the backfill portion 125a is construct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wale 122 in the state where each structure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wale are formed by the backfill portion 125a. Let 122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뒷채움부(125a)는 흙막이벽(100)으로부터 전해지는 토압을 웨일(12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이 웨일(122)로 전달된 토압은 스트럿(123)들을 통해 슬래브(102)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게 된다.The back filling portion 125a serves to deliver the earth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retaining wall 100 to the wale 122, and thus the earth pressure transmitted to the wale 122 is transferred to the slab 102 through the struts 123. It can be distributed evenly.

뒷채움부의 시공예로서, 흙막이벽과 웨일 사이의 공간 전체에 무근 콘크리트 채움을 하거나, 또는 흙막이벽과 웨일 사이의 공간에 H-형강이나 ㄷ-형강(채널)의 토막을 복수 위치에 끼워 넣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construction of the backfill, it is performed by filling the entire concret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wale or inserting a piece of H-beam or c-shaped steel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wale in multiple positions. Can be.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막이벽(100)과 웨일(122) 사이의 공간 전체에 무근 콘크리트 채움을 하기 위하여, 이웃한 상부 브라켓(119) 위에 복수 가닥의 철근(126)들을 횡으로 지지시켜 설치한 후, 그 위에 철망형 거푸집(127)을 깔고, 이 철망형 거푸집(127) 위에 콘크리트를 대략 웨일(122) 높이까지 채움하여(도 5a 및 도 5b 참조), 공간의 전구간에 걸쳐 무근 콘크리트 뒷채움부(125a)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strands of reinforcing bars 126 are laterally supported on the neighboring upper bracket 119 in order to fill the entire concret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wale 122. After installation, the wire mesh formwork 127 is laid thereon, and concrete is filled on the wire mesh formwork 127 to approximately the height of the wale 122 (see FIGS. 5A and 5B), and The concrete backfill portion 125a is formed.

또는 도 11a와 도 11b에서와 같이 뒷채움부(125b)로서 H-형강이나 ㄷ-형강의 토막(125c)들을 사용하는 경우, 각 형강 토막(125c)을 H-파일(101)이 시공되지 않은 위치에서 흙막이벽(100)과 웨일(122) 사이에 끼워 넣는다. Alternatively, when using H-beam or c-beam stubs 125c as the backfill 125b,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H-pile 101 is not constructed for each section stub 125c. Insert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wale 122.

한편, 첨부한 도면에서 도면부호 128은 내측보강보(113)의 상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용접 설치되는 스터드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29a 및 129b는 각각 철망형 거푸집(118)을 통과하여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 연결철근 및 하부 연결철근을 나타낸다.Meanwhil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ence numeral 128 denotes a stud that is wel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nd reference numerals 129a and 129b respectively pass through the wire mesh formwork 118. The upper connecting bar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are connected to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상기 내측보강보(113) 상면의 스터드(128)는 슬래브(102) 시공 후 그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슬래브(102)와 내측보강보(113)간 결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철근(129a,129b)은 슬래브(102)와 지하옹벽(103)간 접합부의 전구간을 따라 상하 각 위치에 설치되어 추후 콘크리트 시공되는 슬래브(102)와 지하옹벽(도 12f에서 도면부호 103임)을 구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The stud 128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is embedded in the concret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2 serves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lab 102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 Reinforcing bars 129a and 129b ar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sitions along the entire section of the junction between the slab 102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103 so that the slab 102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reference numeral 103 in FIG. 12F) are concretely constructed later. It is structurally connected.

결국,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테두리보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흙막이벽(100)의 H-파일(101)에 용접된 하부 브라켓(111), 이 하부 브라켓(111) 위에 고정된 받침보(112), 이 받침보(112) 위에 고정된 지지거더(110) 및 이 지지거더(110)에 의해 지지되는 내측보강보(113), 이 내측보강보(113)와 슬래브(102)를 상호 결착하는 스터드(128), 슬래브(102)와 지하옹벽(103)을 연결하는 상,하부 연결철근(129a,129b)에 의하여, 흙막이벽(100), 슬래브(102) 및 지하옹벽(도 12f에서 103임)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conventional rim beam is not installed, the lower bracket 111 welded to the H-pile 101 of the retaining wall 100, the support beam 112 fixed on the lower bracket 111, The support girder 110 fixed on the support beam 112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supported by the support girder 110, studs for binding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and the slab 102 mutually ( 128),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129a and 129b connecting the slab 102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103 form the retaining wall 100, the slab 102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103 in FIG. 12F). It is possible to integrate structurally and stably.

도면부호 131a, 131b는 지하옹벽의 순타시공시 옹벽 공간 내에 수직으로 설 치되는 수직철근(옹벽철근)을 나타내며, 이 수직철근으로 내부쪽 수직철근(131a)과 외부쪽 수직철근(131b)이 함께 설치된다.Reference numerals 131a and 131b denote vertical reinforcing bars (retaining wall reinforcing bar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retaining wall spac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and the inner vertical reinforcing bars 131a and the outer vertical reinforcing bars 131b are used together. Is installed.

여기서, 도 11a에서와 같이 내부쪽 수직철근(131a)은 철망형 거푸집(118) 바로 바깥쪽 옹벽 공간 내에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부쪽 수직철근은 웨일(122)을 기준으로 바깥쪽(도면상의 좌측 P1 위치) 또는 안쪽(도면상의 우측 P2 위치)에 상하 수직으로 설치된다.Here, as shown in FIG. 11A, the inner vertical rebar 131a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retaining wall space just outside the wire mesh formwork 118, and the outer vertical rebar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wale 122 on the outer side (o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in the left P1 position) or inward (right P2 position in the drawing).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흙막이벽(100)과 웨일(122) 사이 공간의 전구간에 대하여 무근 콘크리트 뒷채움부(125a)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쪽 수직철근(131b)을 웨일(122)의 안쪽(P2 위치)에 설치한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the plain concrete backfill 125a for the entire sec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wale 122, as shown in FIG. 4, the outer vertical reinforcing bars 131b are placed inside the wale 122. Install at (P2 position).

상기 수직철근(131a,131b)들은 순타시공된 지하옹벽(103)의 콘크리트 내에서 상층과 하층의 지하옹벽을 연결하게 된다.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131a and 131b connect the upper and lower basement retaining walls in the concrete of the smoothly constructed basement retaining wall 103.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를 이용하여 지하층의 슬래브 및 지하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12a ~ 도 12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lab and the base retaining wall of the basement layer using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A to 12F.

우선, 종래와 동일하게, 시공되는 건물의 경계선을 따라 흙막이벽(100)을 설치하고, 그 안쪽 지중에 골조용 기둥(도시하지 않음)을 시공한 후, 1차로 소정 깊이의 터파기를 진행하여 흙막이벽(100)과 골조용 기둥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도 12a).First, as in the prior art, after installing the mud wall 100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constructing a frame pillar (not shown) in the inner ground, and then proceed to the trench of a predetermined depth first Allow the wall 100 and the upper part of the framework to be exposed (FIG. 12A).

이어, 흙막이벽(100)의 해당 H-파일(101)에 각각 하부 브라켓(111)을 설치한 뒤 이 하부 브라켓(111) 위에 받침보(112)를 설치하고, 이어 상기 받침보(112) 위 에 지지거더(110)의 일단부를 지지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도 5b 참조), 각 지지거더를 받침보와 골조용 기둥 사이(흙막이벽과 골조용 기둥 사이)에 설치하며, 골조용 기둥들 사이에도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거더를 설치한다. Subsequently, after installing the lower brackets 111 on the H-piles 101 of the retaining wall 100, respectively, the support beams 112 are installed on the lower brackets 111, and then the support beams 112 are disposed on the lower brackets 111. In order to support and fix one end of the support girder 110 (see Fig. 5b), each support girder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beam and the frame pillar (between the mud wall and the frame pillar), between the frame pillars Also, support girders ar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이때 상기 받침보(112) 위에 지지되는 각 지지거더(110)의 일단부는 도 5b에서와 같이 지하옹벽 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골조용 기둥 위치에서 지지거더의 타단부를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시키는 방법 및 지지거더와 골조용 기둥간 연결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도 12a ~ 도 12f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At this time, one end of each support girder 110 supported on the support beam 112 is inserted into the basement retaining wall space as shown in Fig. 5b, and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girder at the position of the frame pillar by the support means.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support girder and the pillar for the frame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and thus the illustration is omitted in FIGS. 12A to 12F.

이후, 흙막이벽(100)과 골조용 기둥 사이에 설치된 이웃한 두 지지거더(110)의 일단부 사이에 내측보강보(113)를 지지거더(110)와 동일 높이로 하여 거싯 플레이트(114)를 매개로 수평으로 길게 고정 설치한다(도 4와 도 5b 참조).Thereafter, the gusset plate 114 is made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upport girder 110 between the one end of the two neighboring support girders 110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frame pillar. It is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long by the media (see Figs. 4 and 5b).

이후, 상기 지지거더(110) 및 내측보강보(113) 위의 모든 슬래브 공간에 데크 플레이트(116)를 지지시켜 설치하고, 슬래브(102)의 선시공 및 지하옹벽(103)의 후시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거더(110)와 내측보강보(113) 위에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을 따라서는 슬래브(102)의 경계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 수단, 즉 철망형 거푸집(118)을 설치한다.Thereafter, the deck plate 116 is supported and installed in all the slab spaces on the support girder 110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so that the pre-construction of the slab 102 and the post-construction of the basement retaining wall 103 are possible. On the support girder 110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formwork means for forming the interface of the slab 102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basement wall wall space, that is, wire mesh formwork 118 is installed.

이후, 흙막이벽(100)의 해당 H-파일(101)에 각각 상부 브라켓(119)을 설치하고,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100)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전술한 바의 지지틀 구조체(120)를 연결 설치하는데, 이때 지지틀 구조체(120)를 구성하는 각 웨일(122)은 상부 브라켓(119) 위에 지지시켜 고정하게 되고, 각 스트럿(123)은 철망형 거푸집(118)을 관통시켜 단부가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upper brackets 119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H-piles 101 of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upport frame structure 120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lab space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In this case, the wales 122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structure 120 are fixed by being supported on the upper bracket 119, and each strut 123 penetrates through the wire mesh formwork 118 to end portions thereof. It will be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또한, 웨일(122)의 뒷채움부(125a) 시공, 내측보강보(113) 상면의 스터드(128) 설치,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 사이의 연결철근(129a,129b) 설치 작업을 한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back fill portion 125a of the wale 122, the installation of the studs 128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the installation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9a, 129b)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104)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해당 위치에 모두 설치한 후에는 철망형 거푸집(118)을 경계로 하는 도면상 우측의 슬래브 공간 내에 우선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2)를 시공하며, 이때 지하옹벽 공간 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는다(도 12b).Thus, after installing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10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concrete is first placed in the slab space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bounded by the wire mesh formwork 118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102, in which the concrete is not poured into the basement retaining wall space (FIG. 12B).

슬래브(102)의 시공이 완료되면, 그 하층의 슬래브(102)를 동일하게 작업하여 시공하고, 이후 계속해서 하층으로 내려가면서 단계적으로 작업을 반복하여 전 지하층의 슬래브(102)를 모두 시공한다(도 12c).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2 is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lower slab 102 in the same work and construction, and then continue to descend to the lower floor to repeat the work step by step to construct all the slab 102 of the basement floor ( 12c).

이와 같이 지하옹벽 공간(종래 테두리보 성형공간 포함)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래브(102)의 시공이 우선적으로 완료되므로, 지하옹벽 시공 전에 흙막이벽(100)과 슬래브(102)를 연결하던 종래의 테두리보는 모두 생략되고, 대신 슬래브(102)의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거더(110)와 웨일 지지틀(121)이 분산 지지하게 된다.Thu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2 is completed in the state that the concrete is not poured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including the conventional rim beam forming space), the barrier wall 100 and the slab 102 were connected before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ll conventional rim beams are omitted, and instead, the support girders 110 and the wale support frame 121 distribute and support the concrete load of the slab 102.

기초층 및 전 지하층의 슬래브(102) 시공을 모두 완료한 후(도 12d)에는 지하옹벽(103) 시공을 하게 되는데, 지하옹벽 공간 내에 수직철근(131a,131b)을 설치하고, 이어 종래와 같이 옹벽 콘크리트 타설 라인을 따라 거푸집(도시하지 않음)을 고정 설치한 다음,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실시하며, 순타시공, 즉 하층부터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시공을 한다(도 12e 및 도 12f).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2 of the base layer and the entire basement layer (FIG. 12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103 is constructed,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131a and 131b ar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After the formwork (not shown) is fixedly installed along the retaining wall concrete pouring lin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and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while the netting construction, that is, goes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FIGS. 12E and 12F).

결국, 상기 과정을 통하여 테두리보가 생략된 지하층의 슬래브(102) 및 지하옹벽(103) 시공이 가능해진다.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2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103 of the basement layer where the rim beam is omit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possible.

이와 같이 하여, 종래에는 상층과 하층의 지하옹벽 사이에 테두리보가 반드시 설치됨에 따라, 테두리보 상, 하면과 옹벽간에 누수문제를 일으키는 접합면이 발생하였고, 특히 콘크리트 수축에 따른 테두리보 하면과 옹벽 상단 접합면간의 틈새 발생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에 의하면, 테두리보 삭제에 의해 상, 하층 두 옹벽간에 접합면 1개소(시공 조인트)만이 발생하여 누수방지에 더 효과적이다.In this way, in the prior art, since the edge beam is necessaril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ment retaining walls, a joint surface causing leakage problems occurs between the edge compensation, the lower surface and the retaining wall. Although the generation of gaps between the joint surfaces has been pointed out as a big problem,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joint surface (construction joint) is gener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s due to the elimination of the rim beam, thereby preventing leakage. effective.

또한, 종래의 테두리보와 상, 하층 옹벽간을 연결하던 연결철근이 필요 없게 되는 동시에 테두리보에 들어가던 철근량이 줄어들어 경제적이며, 옹벽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충전파이프를 테두리보에 매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성도 좋아진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beams and connecting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s, an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s is reduced and economical, and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filling pipes for retaining wall concrete castings. Also gets better.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이고, 도 14a는 도 13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내측보강보(113)로 ㄷ-형강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b는 내측보강보(113)로 H-형강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ure 13 c as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Fig. 14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using a shaped steel, and Fig. 14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using an H-shaped steel as the inner side reinforcement beam 113.

도 13에서는 뒷채움부(125b)로서 H-형강이나 ㄷ-형강의 토막(125c)들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도 14a와 도 14b에는 뒷채움부(125a)로서 무근 콘크리트 채움을 한 예로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H-shaped or c-shaped slabs 125c are installed as the back filling portion 125b. However, FIGS. 14A and 14B show an example of a plain concrete filling as the back filling portion 125a. Reveal.

본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in detail,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의 경우, 데크 플레이트(116)가 설치되고 콘크리트 선시공이 이루어지는 슬래브 공간과, 슬래브(102) 시공 후 콘크리트 후타설이 이루어지는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에 철망형 거푸집 대신 엔드 플레이트(132)가 위치된다.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eck plate 116 is installed and the end of the slab space where the concrete pre-construction is performed, and the base retaining wall space where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pace is formed after the slab 102 is constructed. Plate 132 is located.

이 엔드 플레이트(132)는 웨일 지지틀(121)을 구성하는 스트럿(123)들의 슬래브(102)쪽 단부 끝단에 공통으로 용접되어 슬래브(102)의 경계면 위치 전구간을 따라 설치되며, 내측보강보(113) 및 지지거더(미도시됨) 위에 고정 지지된다.The end plate 132 is commonly welded to the slab 102 side end of the struts 123 constituting the wale support frame 121 is installed along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slab 102, the overall reinforcement ( 113) and a support girder (not shown).

이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132)가 설치되면서 스트럿(123)이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없고, 또한 슬래브 공간의 연결철근(129a,129b)들을 엔드 플레이트(132)를 관통하여 지하옹벽 공간으로 연결 설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본 제2실시예에서는 스터드를 통한 힘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s the end plate 132 is installed, the strut 123 cannot be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and the connecting bars 129a and 129b of the slab space are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through the end plate 132. Since it is difficul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orce transmission through the stud is made.

즉, 내측보강보(113)의 상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스터드(128)를 용접 설치하고, 내측보강보(113)의 수직부면에는 지하옹벽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게 스터드(133)를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용접 설치한다.That is, the studs 128 are wel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and the studs 133 are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Wel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수직부면에 설치되는 스터드(133)는 상하 2열로 설치할 수 있으며, 슬래브(102) 시공 후 내측보강보(113) 상면의 스터드(128)는 슬래브 콘크리트 속에, 지하옹벽 시공 후 수직부면의 스터드는 지하옹벽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결국 슬래브(102)와 지하옹벽은 상기 내측보강보(113)와 스터드(128,133)를 매개로 하여 안정적으로 연결되게 된다.The stud 133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section can be installed in two rows up and dow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2, the stud 128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is in the slab concrete, studs of the vertical se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Buried in the basement retaining wall concrete, the slab 102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is reliably connected through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nd the studs (128,133).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적으로 슬래브 공간 내에 배근된 상부 연결철근(129a) 과 하부 연결철근(129b)의 일단을 상기 엔드 플레이트(132)에 용접하여 연결시킨다.If necessary, one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129a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129b disposed in the slab space is welded to the end plate 132 to be connected.

한편,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5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도 15에서는 뒷채움부(125b)로서 H-형강이나 ㄷ-형강의 토막(125c)들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도 16에는 뒷채움부(125a)로서 무근 콘크리트 채움을 한 예로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FIG. 15 shows an example in which H-shaped or c-shaped slabs 125c are installed as the back filling portion 125b, but FIG. 16 shows that an example of a plain concrete filling is shown as the back filling portion 125a.

본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in detail,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의 경우,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에 철망형 거푸집(118)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하나, 스트럿(123)을 철망형 거푸집(118)을 관통하지 않게 설치한다.As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wire mesh formwork 118 is installed in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basement wall wall spac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strut 123 is provided with the wire mesh formwork 118. Do not penetrate.

단, 각 스트럿(123)의 슬래브(102)쪽 끝단에 사각형의 개별 엔드 플레이트(134)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이 엔드 플레이트(134)의 이면에는 철망형 거푸집(118)을 관통하여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되는 스터드(135)를 용접하여 설치한다.However, a rectangular individual end plate 134 is welded and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lab 102 side of each strut 123, and the back surface of the end plate 134 penetrates the wire mesh formwork 118 in the slab space. The stud 135 to be inserted is welded and installed.

상기 각 엔드 플레이트(134)는 내측보강보(113) 및 지지거더(미도시됨) 위에 지지되도록 하여 고정하며, 엔드 플레이트(134)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철망형 거푸집(118) 전구간에 상, 하부 연결철근(129a,129b)을 관통시켜 설치한다.Each end plate 134 is fixed by being supported on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nd the support girder (not show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etween the wire mesh formwork 118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end plate 134.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ng bars (129a, 129b).

상기 상, 하부 연결철근(129a,129b)은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에 연결 설치되어, 추후 콘크리트 시공된 슬래브(102)와 지하옹 벽을 구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129a and 129b are connected to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by structurally connecting the slab 102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which are constructed in the future.

또한, 내측보강보(113)의 상면에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스터드(128)가 용접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tuds 128 ar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결국, 흙막이벽(100)과 슬래브(102)는 내측보강보(113) 및 스터드(128)와 도시하지 않은 하부 브라켓, 받침보 및 지지거더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지하옹벽과 슬래브(102)는 스트럿(123), 엔드 플레이트(134), 스터드(135), 연결철근(129a,129b)에 의해 연결된다.As a result,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lab 102 are connected to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and the stud 128 by a lower bracket, support beam and support girder (not shown),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and the slab 102 are The strut 123, the end plate 134, the stud 135, and the connecting bars 129a and 129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평면도이며, 도 19은 도 18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in FIG. 18.

또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엔드 플레이트의 형상을 달리하여 제작한 그레이팅 지지틀의 여러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크로스 철근의 배치방향을 달리하여 제작한 그레이팅 지지틀의 여러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그레이팅 지지틀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manufactured by varying the shape of the end plate 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oss rebar 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various example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manufactured by changing an arrangement direction, and FIG. 22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example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shown in FIG.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크로스 철근이 플랫 바의 상하 중간부분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작된 그레이팅 지지틀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And,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manufactured by allowing the cross bars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flat bar 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제4실시예는,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100)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틀 구조체(120)로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웨일, 스트럿, 버팀 부재로 이루어진 웨일 지지틀이 사용되는 대신에, 플랫 바(flat bar)(144b), 크로스 철근(144c), 엔드 플레이트(142a,142b)로 이루어진 그레이팅 지지틀(141)이 사용되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The fourth embodiment is a support frame structure 120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lab space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and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wales supporting the wales, the struts, and the supporting members. Instead of using a mold, there is a difference that a grating support frame 141 consisting of a flat bar 144b, a cross reinforcing bar 144c, and end plates 142a and 142b is used.

본 제4실시예에서 웨일 지지틀을 대신하여 그레이팅 지지틀(14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Except for using 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in place of the wales support frame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 그레이팅 지지틀(141)은 도로 하수구 등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그레이팅의 공지된 형태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has a structure similar to a known form of grating that is already widely used in road sewers, etc. The structure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각 그레이팅 지지틀(141)은 나란히 배치된 양측의 두 엔드 플레이트(142a,142b)와, 이 두 엔드 플레이트(142a,142b)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142a,142b)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플랫 바(144b)와, 상기 플랫 바(144b)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어 각각 플랫 바(144b)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철근(144c)으로 구성된다.Each of the grating support frames 141 is disposed side by side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two end plates 142a and 142b on both sides disposed side by side, and the ends are end plates 142a and 142b. A plurality of flat bars (144b) fixedly installed at the side) and a plurality of cross bars (144c) dispos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flat bars (144b) and fixed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t bars (144b), respectively. It consists of.

여기서, 상기 크로스 철근(144c)들은 등간격 배치된 플랫 바(144b)들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며, 각 그레이팅 지지틀(141)에서 플랫 바(144b)들과 크로스 철근(144c)들이 양측의 두 엔드 플레이트(142a,142b) 사이에서 격자구조를 이루어 고정된다.Here, the cross bars 144c are direct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t bars 144b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flat bars 144b and the cross bars 144c are formed at each grating support frame 141. It is fixed in a lattice structure between two end plates 142a and 142b on both sides.

상기 그레이팅 지지틀(141)은 요구되는 지지 하중을 적절히 고려한 강도 및 치수의 플랫 바(144b)들과 크로스 철근(144c)들을 조합하여서 제작되며, 각 그레이팅 지지틀(141)에서 양측의 두 엔드 플레이트(142a,142b)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단면의 앵글, 채널부재(ㄷ-형강), 평면 플레이트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거나 선택된 둘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cross bars 144c and the flat bars 144b of strength and dimension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 required support load, and the two end plates on both sides of each grating support frame 141. As 142a and 142b, as shown in FIG. 20, one selected from an angle of a 'c' cross section, a channel member (c-beam), a flat plate, or a mixture of the selected two may be used.

또한, 크로스 철근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도 20에 도시한 그레이팅 지지틀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철근(144c)들을 플랫 바(144b)의 상하 중간부분에 관통시켜 제작한 또 다른 형태의 그레이팅 지지틀(141)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cross bars used, instead of using the grating support frame shown in FIG. 20, the cross bars 144c are formed by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flat bar 144b as shown in FIG. 23. Another form of grating support frame 141 may be used.

상기한 구조의 그레이팅 지지틀(141) 복수개를 상기 내측보강보(113)와 상부 브라켓(119) 위에 연속 배치하여 용접 고정함으로써 흙막이벽(100)과 슬래브(102) 사이의 지지틀 구조체(120)를 구성하게 된다.The support frame structure 120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slab 102 by weld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grating support frames 14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ontinuously on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113 and the upper bracket 119. Will be configured.

상기 각 그레이팅 지지틀(141)을 고정함에 있어서, 일측의 엔드 플레이트(142a)는 슬래브(102) 경계면의 철망형 거푸집(118) 바깥쪽으로 내측보강보(113) 위에 지지시켜 용접하고, 타측의 엔드 플레이트(142b)는 이웃한 두 상부 브라켓(119)에 횡으로 지지시켜 용접한다.In fixing 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one end plate 142a is welded by being supported on the inner side reinforcement 113 to the outside of the wire mesh formwork 118 on the interface of the slab 102, and the end of the other side. The plate 142b is laterally supported by two adjacent upper brackets 119 to be welded.

또한, 지지틀 구조체(120)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 21에 예시한 여러 형태의 그레이팅 지지틀(141)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크로스 철근(144c)들의 배치방향을 플랫 바(144b)와 직각으로 배치하여 제작한 직교형(TYPE A)과, 크로스 철근(144c)들의 배치방향을 플랫 바(144b)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배치하여 제작한 경사배치형(TYPE B, TYPE C)의 그레이팅 지지틀(141)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installing the support frame structure 120, various types of grating support frame 141 illustrated in FIG. 21 can be used in combination,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ross bars 144c is perpendicular to the flat bar 144b. Grating support frame of inclined arrangement type (TYPE B, TYPE C) produced by arranging the orthogonal type (TYPE A) and cross reinforcing bars (144c)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at bar (144b). 141 may be used.

여기서, 상기 경사배치형의 그레이팅 지지틀로는 크로스 철근(144c)들의 배치방향을 서로 반대로 한 두 가지 타입(TYPE B, TYPE C)의 그레이팅 지지틀 (141b,141c)이 사용될 수 있다. Here, as the inclined arrangement type grating support frame, grating support frames 141b and 141c of two types (TYPE B and TYPE C) having opposite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cross bars 144c may be used.

도 22는 직교형 및 경사배치형 그레이팅 지지틀(141)들을 조합하여 설치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경사배치형 그레이팅 지지틀(TYPE B, TYPE C)은 불평형 토압 작용시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부분에 직교형 그레이팅 지지틀(TYPE A)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FIG. 22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orthogonal and inclined grating support frames 141 are installed in combination, and the inclined batch grating support frames TYPE B and TYPE C prevent crushing during unbalanced earth pressure. In order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rthogonal grating support frame (TYPE A) to the required portion as shown in FIG.

본 제4실시예에서 그레이팅 지지틀(141)을 사용하는 것 외에 상부 브라켓(119), 하부 브라켓(111), 받침보(112), 지지거더(110), 데크 플레이트(116), 철망형 구조체, 내측보강보(113), 스터드, 연결철근, 뒷채움부(125a) 등의 각 구성은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In addition to using 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upper bracket 119, the lower bracket 111, the support beam 112, the support girder 110, the deck plate 116, the wire mesh structure Each configuration of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113, the stu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the back filling part 125a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여기서, 뒷채움부(125a)는 흙막이벽(100)과 그레이팅 지지틀(141)의 엔드 플레이트(142b) 사이에 시공되어 흙막이벽(100)과의 그레이팅 지지틀(141)간에 토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레이팅 지지틀(141)의 엔드 플레이트(142b) 면 전체에 균등한 토압이 전달될 수 있도록 무근 콘크리트 뒷채움부 형태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ack filling portion 125a is construct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and the end plate 142b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to transmit earth pressure between 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with the retaining wall 100. And,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in the form of a plain concrete backfill so that an even earth press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end plate 142b of the grating support frame 141.

도 19는 상부 브라켓(119)에 고정 지지되는 엔드 플레이트(142b)로서 채널부재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채널부재의 엔드 플레이트(142b)는 실시예 1의 웨일과 마찬가지로 개구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a)도면 또는 (b)도면과 같이 설치할 수 있다.1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hannel member is used as the end plate 142b fixedly supported by the upper bracket 119, and the end plate 142b of the channel member has a different opening direction as in the wale of the first embodiment. It can be installed as shown in (a) drawing or (b) drawing.

도 19에서 (a)도면의 예는 엔드 플레이트(142b)의 개구되는 방향이 슬래브(102)를 향하도록 한 것으로, 엔드 플레이트(142b)의 반대쪽 외측면과 흙막이벽 (100) 사이에 콘크리트가 뒷채움된다.In the example of (a) of FIG. 19,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end plate 142b is directed toward the slab 102, and the concrete is backfill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end plate 142b and the wall of the wall 100. do.

반면, (b)도면의 예는 엔드 플레이트(142b)의 개구되는 방향이 흙막이벽(100)을 향하도록 한 것으로, 엔드 플레이트(142b)의 내부공간을 포함한 흙막이벽(100)과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뒷채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of (b),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end plate 142b is directed toward the retaining wall 100, and concrete between the retaining wall 100 including the inner space of the end plate 142b. Is backfilled.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104)를 사용하여 슬래브(102) 및 지하옹벽(103)을 시공하는 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104)를 사용하는 경우에 준하여 실시된다.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lab 102 and the basement retaining wall 103 using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104 of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is performed in the case of using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104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즉, 지지틀 구조체(120)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104)를 설치한 후 슬래브(102)를 선시공하고, 추후 거푸집 및 수직철근(131a,131b)을 설치한 다음 지하옹벽(103)을 후시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모두 테두리보가 삭제되는 동시에 상층과 하층의 지하옹벽에 대하여 상, 하층 두 옹벽간 접합면 1개소만이 발생하므로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after installing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104 including the support frame structure 120, the slab 102 is pre-installed, and later the formwork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131a, 131b) is installed and then the basement retaining wall (103) After the construction process, both edge beams are deleted and at the same time, only one junction surf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s is generated for the basement retaining walls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so that leak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ab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omitted the edge beam using the sam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테두리보 삭제로 합판 거푸집 및 동바리가 불필요하여 그 사용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되고, 따라서 시공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1) The elimination of the edge ribs eliminates the need for plywood formwork and bundling,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its use, thus significantly improving workability.

2)거푸집 옆판 등을 설치하기 위한 발판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안전 관리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2) It is absolutely advantageous for safety management because scaffolding work for installing formwork side panels is unnecessary.

3)목공작업, 거푸집 해체 작업 등이 필요 없게 되는 등 테두리보 시공에 따른 모든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고, 따라서 설치작업의 간단화, 시공성 개선 및 공기 단축,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3) All problem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rim beam can be eliminated, such as eliminating the need for carpentry work, formwork dismantling work, etc., thus simplifying installation work, improving workability and reducing air, and reducing costs.

4)테두리보의 삭제에 따라 스터럽 및 보강 철근량 절감이 가능하고,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4) By eliminating the edge rib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stirrups and reinforcement bars an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lab.

5)종래에는 상층과 하층의 지하옹벽 사이에 테두리보가 반드시 설치됨에 따라, 테두리보 상, 하면과 옹벽간에 누수문제를 일으키는 접합면이 발생하였고, 특히 콘크리트 수축에 따른 테두리보 하면과 옹벽 상단 접합면간의 틈새 발생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으나, 테두리보의 삭제에 따라 상, 하층 두 옹벽간에 접합면 1개소(시공 조인트)만이 발생하여 누수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5) In the past, as the rim beam was necessaril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ment retaining walls, the joint surface causing leakage problems occurred between the rim compensation, the lower surface and the retaining wall. Although the gap of the liver was pointed out as a big problem, only one joint surface (construction joint) occu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s due to the deletion of the rim beam, which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leakage.

6)종래의 테두리보와 상, 하층 옹벽간을 연결하던 연결철근이 불필요하고 테두리보에 들어가던 철근량이 줄어들어 경제적이며, 옹벽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충전파이프를 테두리보에 매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성도 좋아진다.6)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between the conventional rim beam and upper and lower retaining wall, and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 is reduced. Lose.

Claims (16)

지지거더 및 데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하층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basement floor including a support girder and a deck plate, 일단부가 지하옹벽 공간 내에 삽입되어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된 거더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거더와;A support gird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and supported by the girder support means installed in the H-pile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지지거더와 동일 높이로 하여 이웃한 두 상기 지지거더의 일단부에 단부가 거싯 플레이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각 지지거더간에 설치되는 내측보강보와;An inner reinforcement beam having end portions fixed to one end of two adjacent support girders through a gusset pl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support girders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girders; 상기 지지거더와 내측보강보 위에 지지되면서 슬래브 공간에 설치되는 데크 플레이트와;A deck plate installed in the slab spac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슬래브의 선시공 및 지하옹벽의 후시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거더와 내측보강보 위에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을 따라서 설치되는 슬래브 경계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 수단과;Forming means for slab interface forming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reinforcement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to enable pre-installation of the slab and post-installation of the base retaining wall; 흙막이벽과 슬래브간 힘 전달이 가능하도록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틀 구조체;A support frame structure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to enable the force transfer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Slab building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틀 구조체가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되는 복수개 의 웨일 지지틀로 구성되고, 상기 각 웨일 지지틀은,The support frame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le support frame that is continuously dispos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each of the wale support frame,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된 상부 브라켓들 위에 횡으로 지지되도록 용접 설치되고 흙막이벽과의 사이에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가 시공되는 웨일과;A wales welded to be supported transversely on the upper brackets installed on the H-pile of the retaining wall, and having a backfill portion installed for transferring earth pressure between the retaining wall; 일단부가 상기 웨일에 용접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거푸집 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거더 및 내측보강보 상측의 슬래브와 연결될 수 있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트럿;A plurality of struts having one end welded to the wa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girder and the slab above the inner stiffener through the formwork;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이웃한 두 스트럿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용접 설치된 복수개의 비틀림방지용 버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A slab construction structure for an underground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orsion preventing brace member is installed in the oblique direction between two adjacent struts.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웨일이 ㄷ-형강이고, 이 ㄷ-형강이 슬래브 또는 흙막이벽을 향해 개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The wale is a c-beam, the c-beam is installed so as to open toward the slab or earth walls wall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거푸집 수단이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철망형 거푸집이고, 상기 각 스트럿이 이 철망형 거푸집을 관통하여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The structure means for slab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work means is a wire mesh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entire boundary surface, each strut is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through the wire mesh formwork.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거푸집 수단이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철망형 거푸집이고, 상기 각 스트럿의 타단부 끝단에 개별 엔드 플레이트가 용접 설치되어 이 엔드 플레이트가 지지거더 및 내측보강보 위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각 엔드 플레이트의 이면에는 상기 철망형 거푸집을 관통하여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되는 스터드가 용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The formwork means is a wire mesh formwork that is installed along the interface of the boundary surface, individual end plates are welded to the other end of each strut so that the end plates are fixedly supported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 is inserted into the slab space penetrating the wire mesh formwork on the rear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틀 구조체가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는 복수개의 그레이팅 지지틀로 구성되되, 상기 각 그레이팅 지지틀은 양측의 두 엔드 플레이트와, 이 두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끝단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플랫 바와, 이 플랫 바에 대해 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철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엔드 플레이트 중 일측의 엔드 플레이트가 상기 거푸집 수단 바깥쪽으로 내측보강보 위에, 타측의 엔드 플레이트가 흙막이벽과 의 사이에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를 가지면서 이웃한 상부 브라켓들 위에 횡으로 지지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The support frame structu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ating support frame is arranged between the earth wall and the slab space, each grating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end plate with two end plates on both sides, between the two end plates And a plurality of flat bars which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flat bars which are fix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flat bars, wherein an end plate on one side of the two end plates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reinforcement outward of the formwork means and on the other end plate. Structural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is supported horizontally on the neighboring upper brackets while having a backfill for earth pressure transmission between the wall and the.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거푸집 수단이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철망형 거푸집이고, 상기 철망형 거푸집을 관통하는 연결철근들이 상기 그레이팅 지지틀 상측에서 지하옹벽 공간과 슬래브 공간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Slab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work means is a wire mesh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entire boundary surface, connecting rods penetrating the wire mesh formwork connected to the base retaining wall space and the slab space above the grating support frame Structure. 지하층의 슬래브 및 지하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lab and basement retaining wall of the basement layer, (a)시공되는 건물의 경계선을 따라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그 안쪽 지중에 골조용 기둥을 시공하는 단계와;(a) installing a retaining wall along the boundary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and constructing a frame pillar in the inner ground thereof; (b)흙막이벽 안쪽 지반의 터파기를 진행하여 흙막이벽과 골조용 기둥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b) exploding the ground of the soil wall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soil wall and the frame pillar; (c)흙막이벽의 해당 H-파일에 각각 하부 브라켓을 설치한 뒤 이웃한 두 하부 브라켓 위에 받침보를 설치하고, 이어 받침보 위에 일단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방법으로 각 지지거더를 상기 받침보와 골조용 기둥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와;(c) Each support girder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eam and the bone by installing a lower bracket on the corresponding H-pil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n installing a support beam on two adjacent lower brackets, and then supporting and fixing one end on the support beam. Installing between quiet columns; (d)흙막이벽과 골조용 기둥 사이에 설치된 각 이웃한 두 지지거더의 일단부 사이에 지지거더와 동일 높이로 하여 거싯 플레이트를 매개로 내측보강보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d) fixing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through the gusset pl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support girder between one end of each neighboring two support girders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frame pillar; (e)상기 지지거더 및 내측보강보 위로 슬래브 공간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와;(e) installing a deck plate in the slab space above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e)상기 지지거더와 내측보강보 위에 슬래브 공간과 지하옹벽 공간의 경계면을 따라서 슬래브 경계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 수단을 설치하고,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지지틀 구조체를 연결 설치하는 단계와;(e) Forming means for forming the slab interface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lab space an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on the support girder and the inner reinforcement beam, and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structur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in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space Steps; (g)상기 거푸집 수단을 경계로 하는 슬래브 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와;(g) constructing the slab by placing concrete in the slab space bounded by the formwork means; (h)상기 (b)단계 ~ (g)단계를 하층으로 내려가면서 단계적으로 반복하여 전 지하층의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와;(h) constructing the slabs of the entire basement layer by repeating step (b) to (g) down to the lower layer step by step; (i)지하옹벽의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층부터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지하옹벽의 순타시공을 하는 단계;(i) after installing the formwork of the basement retaining wall, pouring concrete to perform the net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retaining wall while going up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Slab and basemen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s omit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rder beam.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거푸집 수단으로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철망형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틀 구조체로서 웨일에 스트럿들을 설치하여 제작한 복수 개의 웨일 지지틀을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하되, 상기 각 웨일을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한 상부 브라켓들 위에 횡으로 지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각 스트럿의 단부를 상기 철망형 거푸집에 관통시켜 슬래브 공간 내에 삽입하고, 흙막이벽과 상기 웨일 사이에는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In the step (e), a plurality of wale support frames are prepared by installing the wire mesh formwork alo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formwork means and installing the struts in the wales as the support frame structure in the basement wall space in the basement wall space and slab space. It is arranged continuously between each other, while supporting each of the wales laterally on the upper brackets installed on the H-pile of the retaining wall, while inserting the end of each strut through the wire mesh formwork into the slab space, The slab and the bas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the rim beam is omit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fill portion for constructing the earth pressure between the wale.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이웃한 스트럿간에 경사방향으로 비틀림방지용 버팀부재를 용접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and basement retaining wall is omit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to install the torsion prevention support member in the oblique direction between the adjacent struts.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거푸집 수단으로 경계면 전구간을 따라 철망형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틀 구조체로서 복수개의 그레이팅 지지틀을 지하옹벽 공간에서 흙막이벽과 슬래브 공간 사이에 연속 배치하되, 양측의 두 엔드 플레이트와, 이 두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끝단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플랫 바와, 이 플랫 바에 횡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철근으로 이루어진 그레이팅 지지틀을 사용하고, 상기 두 엔드 플레이트 중 일측의 엔드 플레이트를 상기 거푸집 수단 바깥쪽으로 내측보강보 위에, 타측의 엔드 플레 이트를 흙막이벽의 H-파일에 설치한 상부 브라켓들 위에 고정 지지시키는 한편, 흙막이벽과 상기 타측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토압 전달을 위한 뒷채움부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In the step (e), the formwork means to install a wire mesh formwork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boundary, and as a support frame structure a plurality of grating support frame in the basement wall wall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slab space, both sides of the Using a grating support frame consisting of two end plates and a plurality of flat bars whose ends are fixedly fixed to the end plates between the two end plates, and a plurality of cross bars which are fixedly fixed to the flat bars laterally. The end plate on one side of the end plate is fixedly supported on the inner reinforcement beams to the outside of the formwork means on the upper brackets installed on the H-pile of the wall, while the end wall and the other end plate are fix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a back-filling part for earth pressure transmission therebetween. The slab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지하옹벽 공간과 슬래브 공간에 상기 그레이팅 지지틀 상측에서 철망형 거푸집을 관통하는 연결철근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Slab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beams through the wire mesh formwork in the base retaining wall space and the slab space through the grating support frame is installed.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크로스 철근들이 상기 플랫 바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그레이팅 지지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Slab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the cross-beams are omitted,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grating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at bar.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크로스 철근들이 상기 플랫 바의 상하 중간부분을 관통하는 그레이팅 지지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 공방법.Slab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the edge beam is omitted,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grating support frame through the cross bar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flat bar.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지지틀 구조체로서 크로스 철근들이 플랫 바와 직각으로 배치된 직교형 그레이팅 지지틀과, 크로스 철근들이 플랫 바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경사배치형 그레이팅 지지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As the support frame structure, an edge grating support frame in which cross bars ar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a flat bar and an inclined arrangement type grating support frame in which cross bar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at bar are omitted. Slab and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20050032213A 2005-04-19 2005-04-19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KR100634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13A KR100634726B1 (en) 2005-04-19 2005-04-19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13A KR100634726B1 (en) 2005-04-19 2005-04-19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726B1 true KR100634726B1 (en) 2006-10-16

Family

ID=3762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213A KR100634726B1 (en) 2005-04-19 2005-04-19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726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395B1 (en) 2008-12-24 2010-01-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The Construction Method of Underpass using Steel-Concrete Composite Wall Pile
KR101005780B1 (en) 2008-09-24 2011-01-06 이동희 Underground constructure form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s of underground slab and girder from crack
KR101027921B1 (en) 2008-09-29 2011-04-12 이동희 Underground constructure form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s of underground slab and girder from crack
KR101037578B1 (en) 2010-03-16 2011-05-27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Wale having span shortening supplement and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98286B1 (en) 2010-09-15 2012-11-07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Non-wale strut system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215764B1 (en) 2011-05-13 2013-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burial slab structure of an outer wall of an underground construction
KR101296857B1 (en) * 2011-08-24 2013-08-20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slab beam with enhanced bearing power against earth pressur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ame
KR101483865B1 (en) 2013-07-03 2015-01-19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mposite Wale
KR20160110699A (en) * 2015-03-11 2016-09-22 (주)대우건설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KR101713674B1 (en) * 2015-11-05 2017-03-23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Underground slab structure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8104157A (en) * 2018-01-26 2018-06-01 佛山科学技术学院 A kind of T-shaped retaining wall
KR102582018B1 (en) 2022-04-28 2023-09-22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eel beam reverse punching method using embedded edge beam at the end of steel be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7A (en) 1996-06-14 1998-01-06 Ohbayashi Corp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JPH101956A (en) 1996-06-14 1998-01-06 Ohbayashi Corp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KR200381303Y1 (en) 2005-01-12 2005-04-14 (주)한국건설공법 Form system for joint between retaining wall and slab of basement floor
KR100531385B1 (en) 2004-09-17 2005-11-29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that enables continuous retaining wall using steel wale and diaphragm effect of concrete sla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7A (en) 1996-06-14 1998-01-06 Ohbayashi Corp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JPH101956A (en) 1996-06-14 1998-01-06 Ohbayashi Corp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KR100531385B1 (en) 2004-09-17 2005-11-29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that enables continuous retaining wall using steel wale and diaphragm effect of concrete slab
KR200381303Y1 (en) 2005-01-12 2005-04-14 (주)한국건설공법 Form system for joint between retaining wall and slab of basement flo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780B1 (en) 2008-09-24 2011-01-06 이동희 Underground constructure form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s of underground slab and girder from crack
KR101027921B1 (en) 2008-09-29 2011-04-12 이동희 Underground constructure form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s of underground slab and girder from crack
KR100938395B1 (en) 2008-12-24 2010-01-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The Construction Method of Underpass using Steel-Concrete Composite Wall Pile
KR101037578B1 (en) 2010-03-16 2011-05-27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Wale having span shortening supplement and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98286B1 (en) 2010-09-15 2012-11-07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Non-wale strut system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215764B1 (en) 2011-05-13 2013-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burial slab structure of an outer wall of an underground construction
KR101296857B1 (en) * 2011-08-24 2013-08-20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slab beam with enhanced bearing power against earth pressur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ame
KR101483865B1 (en) 2013-07-03 2015-01-19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mposite Wale
KR20160110699A (en) * 2015-03-11 2016-09-22 (주)대우건설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KR101664668B1 (en) * 2015-03-11 2016-10-13 (주)대우건설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KR101713674B1 (en) * 2015-11-05 2017-03-23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Underground slab structure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8104157A (en) * 2018-01-26 2018-06-01 佛山科学技术学院 A kind of T-shaped retaining wall
KR102582018B1 (en) 2022-04-28 2023-09-22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eel beam reverse punching method using embedded edge beam at the end of steel be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726B1 (en)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breast wall using the same
KR100951097B1 (en)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bracket
KR100866162B1 (en)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KR100927344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KR101687495B1 (en) Partial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s
KR100401279B1 (en) 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KR101221970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sement Structure without Temporary Structure
JP561964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KR20090114863A (en) Parallelly connected iron tub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381303Y1 (en) Form system for joint between retaining wall and slab of basement floor
KR101169462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post member
JP2012162888A (en)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KR20200104534A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JP576424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KR102362257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JP4037187B2 (e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underground structure
KR102269141B1 (en) Deck plate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pavement
KR20020007521A (en) metho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of building by using permanent structural member as strut for support retaining wall
KR200385376Y1 (en)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JP5875651B2 (en)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KR200383309Y1 (en) Form system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lab
JP2012162883A (en) Undergroun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KR200370135Y1 (en)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CN210421120U (en) Assembled hole pile dado system
KR101545713B1 (en) Composite type cutoff wall of steel temporary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