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996B1 -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996B1
KR100633996B1 KR1020050008853A KR20050008853A KR100633996B1 KR 100633996 B1 KR100633996 B1 KR 100633996B1 KR 1020050008853 A KR1020050008853 A KR 1020050008853A KR 20050008853 A KR20050008853 A KR 20050008853A KR 100633996 B1 KR100633996 B1 KR 10063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power
output
volt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957A (ko
Inventor
김태원
양순배
김태경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9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출력전력 변동량에 따라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기준전압을 가변시킬 변수의 값을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최대전력점을 빠른 속도로 추종한다.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 변동량 검출부, 전류 변동량 검출부 및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각기 전압 변동량, 전류 변동량 및 전력 변동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류 변동량에 따라 제 1 변수 출력수단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변수에 따른 제 1 변수를 출력하며, 상기 검출한 전력 변동량에 따라 제 2 변수 출력수단이, 상기 전력 변동량에 따라 가변되는 제 2 기준변수에 따른 제 2 변수를 출력하며, 상기 검출한 전압 변동량에 따라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기준전압 결정부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에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새로운 기준전압에 따라 전력 추출부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최대 전력을 추출한다.
태양광발전, 태양광모듈, 최대전력점, 추종제어, 최대전력추종, MPPT,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in the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도 1a는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특성곡선을 보인 그래프.
도 1b는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력의 특성곡선을 보인 그래프.
도 2는 종래의 섭동 및 관측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 3은 종래의 컨덕턴스 증가방법을 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최대전력 추종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최대전력 추종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 태양광 모듈 410 : 전력 추출부
420 : 전압 변동량 검출부 430 : 전류 변동량 검출부
440 : 전력 변동량 검출부 450 : 제 1 변수 출력수단
451 : 전류 변동량 판단부 453 : 제 1 변수 결정부
460 : 제 2 기준변수 가변부 470 : 제 2 변수 출력수단
471 : 전력 변동량 판단부 473 : 제 2 변수 결정부
480 : 스위칭 수단 490 : 기준전압 결정부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로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력을 추출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추출부가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친환경적이고, 자원의 고갈이 없는 무한대의 에너지원들 중의 하나로서 새로운 대체에너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반도체 기술의 성장과 전력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발전효율이 낮으므로 전력 추출부가 태양광 모듈에서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전력추종(Maximum Power Point Tracking ; 이하, 'MPPT'라고 약칭함) 제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태양광 모듈에서의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는 최대전력점은 일사량 및 표면온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변하고, 동작점은 부하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태양광 모듈로부터 최대전력을 추출하기 위하여 동작점이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도록 순시적으로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작점이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도록 순시적으로 제어하는 MPPT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발전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매우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특성곡선을 살펴보면, 도 1a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출력전압의 증가에 관계없이 출력전류가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소정의 전압 이상이 되면, 출력전류가 급격하게 감소하기 시작하고, 출력전압이 소정의 한계전압(VT) 이상으로 되면, 출력전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력의 특성곡선을 살펴보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전압의 증가에 따라 출력전력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최대전력을 추출하는 최대전력점(Pmax) 이상에서는 출력전압의 증가에 따라 출력전력이 급격하게 감소되기 시작하고, 출력전압이 한계전압(VT) 이상으로 되면, 전력이 출력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류를 특성식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05930411-pat00001
여기서, I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류이고,
Figure 112005005930411-pat00002
는 태양광 기전류이며,
Figure 112005005930411-pat00003
는 역포화전류이며, q는 전자의 전하량이며, K는 볼쯔만 상수이며, A는 태양광 모듈의 pn 접합의 이상계수이며, T는 절대온도, Rs는 내부 직렬저항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내부저항 Rs는 무시될 수 있으므로 다음의 수학식 2로 간략화된다.
Figure 112005005930411-pat00004
한편,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력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P = VI
상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출력전력을 전압에 대하여 미분하면,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05005930411-pat00005
상기 수학식 4를 이산식의 형태로 표현하면,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05005930411-pat00006
상기한 바와 같은 태양광 모듈에서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MPPT를 수행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섭동 및 관측방법(perturbation and observation method)과, 컨덕턴스 증가방법(incremental conductance method)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섭동 및 관측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00)에서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Vn) 및 출력전류(In)를 검출하고, 단계(202)에서 상기 검출한 출력전압(Vn) 및 출력전류(In)를 이용하여 출력전력(Pn = Vn × In)을 계산 함과 아울러 현재 출력전압(Vn) 및 출력전력(Pn)에서 이전에 검출한 출력전압(Vp) 및 출력전력(Pp)을 각기 감산하여 출력전압 변동량(△V) 및 출력전력 변동량(△P)을 계산한다.
다음 단계(204)에서 상기 계산한 출력전력 변동량(△P)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204)에서 출력전력 변동량(△P)이 '0'인 것은 현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최대전력을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기준전압(Vref)의 현재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단계(206)에서 현재의 출력전압(Vn), 출력전류(In) 및 출력전력(Pn)을 이전의 출력전압(Vp), 출력전류(Ip) 및 출력전력(Pp)으로 치환한 후 단계(200)로 복귀하여 계속 최대전력점을 추정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204)에서 출력전력 변동량(△P)이 '0'이 아닌 것은 현재 최대전력점으로 전력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서 단계(208)에서 출력전력 변동량(△P)이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208)에서 출력전력 변동량(△P)이 '0'보다 작은 것은 출력전력이 이전보다 감소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계(210)에서 출력전압 변동량(△V)이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전압 변동량(△V)이 '0'보다 클 경우에 단계(212)에서 기준전압(Vref)을 변수 α만큼 감소시키고, 출력전압 변동량(△V)이 '0'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 단계(214)에서 기준전압(Vref)을 변수 α만큼 증가시킨 후 단계(206)에서 현재의 출력전압(Vn), 출력전류(In) 및 출력전력(Pn)을 이전의 출력전압(Vp), 출력전류(Ip) 및 출력전력(Pp)으로 치환한 후 단계(200)로 복귀하여 계 속 최대전력점을 추정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단계(208)에서 출력전력 변동량(△P)이 '0'보다 큰 것은 출력전력이 이전보다 증가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계(216)에서 출력전압 변동량(△V)이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전압 변동량(△V)이 '0'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 단계(218)에서 기준전압(Vref)을 변수 α만큼 감소시키고, 출력전압 변동량(△V)이 '0'보다 클 경우에 단계(220)에서 기준전압(Vref)을 변수 α만큼 증가시킨 후 단계(206)에서 현재의 출력전압(Vn), 출력전류(In) 및 출력전력(Pn)을 이전의 출력전압(Vp), 출력전류(Ip) 및 출력전력(Pp)으로 치환한다.
도 3은 종래의 컨덕턴스 증가방법을 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300)에서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Vn) 및 출력전류(In)를 검출하고, 단계(302)에서 상기 검출한 현재 출력전압(Vn) 및 출력전류(In)에서 이전에 검출한 출력전압(Vp) 및 출력전류(Ip)를 각기 감산하여 출력전압 변동량(△V) 및 출력전류 변동량(△I)을 계산함과 아울러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출력전력 변동값(△P)을 계산한다.
△P = In + (△I/△V) × Vn
다음 단계(304)에서 상기 계산한 출력전압 변동량(△V)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출력전압 변동량(△V)이 '0'이 아닐 경우에 단계(306)에서 상기 계산한 출력전력 변동값(△P)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308)에서 출력전력 변동값(△P)이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06)의 판단 결과 출력전력 변동값(△P)이 '0'일 경우에 현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최대전력을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기준전압(Vref)의 현재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06)의 판단 결과 출력전력 변동값(△P)이 '0'이 아닐 경우에 현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지 못하여 최대전력을 출력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단계(308)에서 출력전력 변동값(△P)이 '0'보다 클 경우에 단계(310)에서 기준전압(Vref)에 변수 α만큼 감소시키고, 단계(308)에서 출력전력 변동값(△P)이 '0'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 단계(310)에서 기준전압(Vref)에 변수 α만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단계(304)의 판단 결과 출력전압 변동량(△V)이 '0'일 경우에 단계(314)에서 상기 계산한 출력전류 변동값(△I)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316)에서 출력전류 변동값(△I)이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14)의 판단 결과 출력전류 변동값(△I)이 '0'일 경우에 현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최대전력을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준전압(Vref)의 현재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14)의 판단 결과 출력전류 변동값(△I)이 '0'이 아닐 경우에 현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지 못하여 최대전력을 출력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단계(316)에서 출력전류 변동값(△I)이 '0'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 단계(318)에서 기준전압(Vref)에 변수 α만큼 감소시키고, 단계(316)에서 출력전류 변동값(△I)이 '0'보다 클 경우에 단계(320)에서 기준전압(Vref)에 변수 α 만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기준전압(Vref)이 결정되면, 단계(322)에서 상기 출력전압(Vn) 및 출력전류(In)를 이전 출력전압(Vp) 및 출력전류(Ip)로 치환한다.
이러한 종래의 MPPT 방법에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섭동 및 관측방법은 구현하는 것이 매우 쉬우나 최대전력점의 근처에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동작이 진동(oscillation)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섭동 및 관측방법보다 구현이 어려우나 최대전력점의 근처에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동작이 진동하지 않는 도 3의 컨덕턴스 증가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최대전력점을 추종하기 위하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기준전압(Vref)에 미리 설정된 값의 변수 α를 가산 또는 감산하는 것으로서 최대전력점을 추종함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속도로 추종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 환경의 변동에 따라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최대전력점의 변동에 빠른 속도로 응답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전력 변동량에 따라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기준전압을 가변시킬 변수의 값을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최대전력점을 빠른 속도로 추종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 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는,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압 및 전류를 출력하는 태양광 모듈과, 기준전압에 따라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압 및 전류에 따른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추출부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압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압 변동량 검출부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류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류 변동량 검출부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에 따른 전력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 검출부와,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류 변동량에 따라 제 1 기준변수에 따른 제 1 변수를 출력하는 제 1 변수 출력수단과,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에 따라 제 2 기준변수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2 기준변수 가변부와,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변수에 따른 제 2 변수를 출력하는 제 2 변수 출력수단과, 상기 전압 변동량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1 변수 또는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2 변수를 스위칭하여 선택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이 선택한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현재 설정된 기준전압에 가산하여 상기 전력 추출부로 출력하는 기준전압 결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전압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압 변동량이 '0'일 경우에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1 변수를 스위칭하여 선택하고, 전압 변동량이 '0'이 아닐 경우에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2 변수를 스위칭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은,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류 변동량의 크기를 판단하는 전류 변동량 판단부와, 상기 전류 변동량 판단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변수의 극성을 조절하여 제 1 변수로 출력하거나 제 1 변수를 출력하지 않는 제 1 변수 결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은,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력 변동량의 크기를 판단하는 전력 변동량 판단부와, 상기 전력 변동량 판단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변수의 극성을 조절하여 제 2 변수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2 변수를 출력하지 않는 제 2 변수 결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방법은,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 변동량 검출부, 전류 변동량 검출부 및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각기 전압 변동량, 전류 변동량 및 전력 변동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류 변동량에 따라 제 1 변수 출력수단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변수에 따른 제 1 변수를 출력하며, 상기 검출한 전력 변동량에 따라 제 2 변수 출력수단이, 상기 전력 변동량에 따라 가변되는 제 2 기준변수에 따른 제 2 변수를 출력하며, 상기 검출한 전압 변동량에 따라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기준전압 결정부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에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새로운 기준전압에 따라 전력 추출부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최대 전력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변수의 출력은, 상기 전류 변동량 판단부가 판단한 전류 변동량이 '0'일 경우에 상기 제 1 변수를 출력하지 않고, 전류 변동량이 '0'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1 기준변수의 극성을 플러스로 출력하며, 전류 변동량이 '0'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제 1 기준변수의 극성을 마이너스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변수의 출력은, 상기 전력 변동량 판단부가 판단한 전력 변동량이 '0'일 경우에 상기 제 2 변수를 출력하지 않고, 전력 변동량이 '0'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2 기준변수를 플러스로 출력하며, 전력 변동량이 '0'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제 2 기준변수의 극성을 마이너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준변수는 미리 설정된 상수 값에 전력 변동량을 곱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4 및 도 5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대전력 추종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압(Vn) 및 전류(In)를 출력하는 태양광 모듈(400)과, 기준전압(Vref)에 따라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전압(Vn) 및 전류(In)에 따른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추출부(410)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출력하는 전압(Vn)의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출력하는 전류(In)의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출력하는 전압(Vn) 및 전류(In)로 전력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와,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가 검출하는 전류 변동량에 따라 제 1 기준변수(α)에 따른 제 1 변수를 출력하는 제 1 변수 출력수단(450)과,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에 따라 제 2 기준변수(K×△P)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2 기준변수 가변부(460)와,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변수(K×△P)에 따른 제 2 변수를 출력하는 제 2 변수 출력수단(470)과, 상기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450)이 출력하는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 출력수단(470)이 출력하는 제 2 변수를 스위칭하여 선택하는 스위칭 수단(480)과, 상기 스위칭 수단(480)이 선택한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현재 설정된 기준전압(Vref)에 가산하여 상기 전력 추출부(410)로 출력하는 기준전압 결정부(490)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450)은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가 검출한 전류 변동량의 크기를 판단하는 전류 변동량 판단부(451)와, 상기 전류 변동량 판단부(451)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변수(α)의 극성을 조절 또는 제 1 기준변수(α)를 출력하지 않는 제 1 변수 결정부(453)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470)은,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검출한 전력 변동량의 크기를 판단하는 전력 변동량 판단부(471)와, 상기 전력 변동량 판단부(471)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변수의 극성을 조절 또는 제 2 기준변수를 출력하지 않는 제 2 변수 결정부(473)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최대전력 추종장치는 태양광 모듈(400)이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압(Vn) 및 전류(In)를 출력하고, 출력한 전류(In)가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로 입력됨과 아울러 전압(Vn) 및 전류(In)가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로 모두 입력된다.
그러면,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는 입력되는 현재 전류(In)와, 바로 전에 태양광 모듈(400)에서 출력되어 입력된 이전 전류(Ip)의 레벨을 비교하여 전류 변동량(△I)을 검출한다. 그리고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는 입력되는 현재 전압(Vn) 및 전류(In)에 따른 현재 전력(Pn)과 바로 전에 태양광 모듈(400)에서 출력되어 입력된 이전 전압(Vp) 및 전류(Ip)에 따른 이전 전력(Pp)의 레벨을 비교하여 전력 변동량(△P)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변수 출력수단(450)은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가 검출한 전류 변동량(△I)이 '0' 또는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전류 변동량(△I)이 '0'일 경우에 제 1 변수 결정부(453)가 제 1 변수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고, 전류 변동량(△I)이 '0'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1 기준변수(α)를 제 1 변수(α)로 출력하며, 전류 변동량(△I)이 '0'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제 1 기준변수(α)의 극성을 반전시켜 제 1 변수(-α)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2 기준변수 가변부(460)는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검출한 전력 변동량(△P)에 미리 설정된 상수(K)를 곱하여 전력 변동량(△P)에 따라 가변되는 제 2 기준변수(K×△P)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변수 출력수단(470)은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검출한 전력 변동량(△P)이 '0' 또는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전력 변동량(△P)이 '0'일 경우에 제 2 변수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고, 전력 변동량(△P)이 '0'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2 기준변수(K×△P)를 제 2 변수(α)로 출력하며, 전력 변동량(△P)이 '0'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제 2 기준변수(K×△P)의 극성을 반전시켜 제 2 변수(-K×△P)로 출력한다.
한편, 태양광 모듈(400)이 출력하는 현재 전압(Vn)이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로 입력되는 것으로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는 상기 입력되는 현재 전압(Vn)과, 바로 전에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입력된 이전 전압(Vp)의 레벨을 비교하여 전압 변동량(△V)을 검출하여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스위칭 신호는 스위칭 수단(480)에 인가되어 스위칭 수단(480)이 스위칭된다. 즉,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는 전압 변동량(△V)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전압 변동량(△V)이 '0'일 경우에 스위칭 수단(480)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에 접속되게 하고, 전압 변동량(△V)이 '0'이 아닐 경우에 스위칭 수단(480)의 가동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에 접속되게 하여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450)에서 출력되는 제 1 변수와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470)에서 출력되는 제 2 변수가 스위칭 수단(480)을 통해 선택적으로 기준전압 결정부(490)로 입력되어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의 레벨을 조절하고, 그 레벨을 조절한 기준전압(Vref)이 전력 추출부(410)로 입력되어 전력 추출부(410)가 기준전압(Vref)에 따라 태양광 모듈(400)에서 최대 전력을 추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가 검출한 전압 변동량(△V)이 '0'이고, 또한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가 검출한 전류 변동량(△I)이 '0'일 경우 또는 전압 변동량(△V)이 '0'은 아니나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검출한 전력 변동량( △P)이 '0'일 경우에 기준전압 결정부(490)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을 그대로 출력하여 전력 추출부(410)가 태양광 모듈(400)에서 최대 전력을 추출하게 한다.
그리고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가 검출한 전압 변동량(△V)이 '0'이고,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가 검출한 전류 변동량(△I)이 '0'이 아닐 경우에 전류 변동량(△I)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제 1 기준변수(α)의 극성을 조절한 후 기준전압(Vref)의 레벨을 조절하여 전력 추출부(410)가 태양광 모듈(400)의 최대전력점을 일정한 속도로 추종하면서 최대 전력을 추출하게 한다.
또한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가 검출한 전압 변동량(△V)이 '0'이 아닐 경우에 전력 변동량(△P)에 따라 가변되는 제 2 기준변수(K×△P)를 발생하고, 전력 변동량(△P)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제 2 기준변수(K×△P)의 극성을 조절한 후 기준전압(Vref)의 레벨을 조절하여 전력 추출부(410)가 태양광 모듈(400)의 최대전력점을 전력 변동량(△P)에 따른 빠른 속도로 추종하면서 최대 전력을 추출하게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최대전력 추종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500)에서 태양광 모듈(400)에서 현재 출력되는 전압(Vn) 및 전류(In)를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 및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각기 검출하여 단계(502)에서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가 상기 현재 전압(Vn)에서 이전 전압(Vp)을 감산하여 전압 변동량(△V)을 검출하고,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가 현재 전류(In)에서 이전 전류(Ip)를 감산하여 전류 변동량(△I) 을 검출하며,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현재 전압(Vn) 및 전류(In)과 이전 전압(Vp) 및 전류(Ip)를 이용하여 상기한 수학식 6으로 전력 변동량(△P)을 검출한다.
다음 단계(504)에서 상기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가 검출한 전압 변동량(△V)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V=0'이 아닐 경우에 스위칭 수단(480)의 가동단자를 타측 고정단자(b)에 접속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력 변동량 판단부(471)는 단계(506)(508)에서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검출한 전력 변동량(△P)이 '△P=0' 또는 '△P>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P=0'일 경우에 제 2 변수 결정부(473)가 제 2 변수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기준전압 결정부(490)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고, '△P>0'일 경우에 제 2 변수 결정부(473)가 제 2 기준변수(K×△P)를 제 2 변수(K×△P)로 출력하며, 그 출력한 제 2 변수(K×△P)는 단계(510)에서 기준전압 결정부(490)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에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전압(Vref+K×△P)을 생성하며, '△P<0'일 경우에는 제 2 변수 결정부(473)가 제 2 기준변수(K×△P)의 극성을 반전시켜 제 2 변수(-K×△P)를 출력하며, 그 출력한 제 2 변수(-K×△P)는 단계(512)에서 기준전압 결정부(490)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에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전압(Vref-K×△P)을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한 기준전압은 전력 추출부(410)에 전달되어 전력 추출부(410)가, 전력 변동량(△P)의 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제 2 변수(±K×△P)에 따른 빠른 속도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면서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504)에서 상기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가 검출한 전압 변 동량(△V)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V=0'일 경우에 스위칭 수단(480)의 가동단자를 일측 고정단자(a)에 접속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류 변동량 판단부(451)는 단계(514)(516)에서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가 검출한 전류 변동량(△I)이 '△I=0' 또는 '△I>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I=0'일 경우에 제 1 변수 결정부(453)가 제 1 변수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기준전압 결정부(490)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고, '△I>0'일 경우에 제 1 변수 결정부(453)가 제 1 기준변수(α)를 제 1 변수(α)로 출력하며, 그 출력한 제 1 변수(α)는 단계(518)에서 기준전압 결정부(490)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에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전압(Vref+α)을 생성하며, '△I<0'일 경우에는 제 1 변수 결정부(453)가 제 1 기준변수(α)의 극성을 반전시켜 제 1 변수(-α)를 출력하며, 그 출력한 제 1 변수(-α)는 단계(520)에서 기준전압 결정부(490)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Vref)에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전압(Vref-α)을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한 기준전압은 전력 추출부(410)에 전달되어 전력 추출부(410)가 제 1 변수(±α)에 따른 일정한 속도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면서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단계(522)에서는 태양광 모듈(400)에서 현재 출력한 전압(Vn) 및 전류(In)를 전압 변동량 검출부(420), 전류 변동량 검출부(430) 및 전력 변동량 검출부(440)가 각기 이전 전압(Vp) 및 이전 전류(Ip)로 치환하고, 다음에 태양광 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전압(Vn) 및 전류(In)에 따라 상기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전력 추출부(410)가 태양광 모듈(400)의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면서 최대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변동되지 않을 경우에 전력 변동량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속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주위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면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최대한 추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며, 또한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 부근에서의 최소 변동량으로 제어할 수 있어 최대전력점 부근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압 및 전류를 출력하는 태양광 모듈;
    기준전압에 따라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압 및 전류에 따른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추출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압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압 변동량 검출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류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류 변동량 검출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에 따른 전력 변동량을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 검출부;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류 변동량에 따라 제 1 기준변수에 따른 제 1 변수를 출력하는 제 1 변수 출력수단;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에 따라 제 2 기준변수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2 기준변수 가변부;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력 변동량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변수에 따른 제 2 변수를 출력하는 제 2 변수 출력수단;
    상기 전압 변동량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1 변수 또는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2 변수를 스위칭하여 선택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이 선택한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현재 설정된 기준전압에 가산하여 상기 전력 추출부로 출력하는 기준전압 결정부로 구성된 태양광 발 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전압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압 변동량이 '0'일 경우에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1 변수를 스위칭하여 선택하고, 전압 변동량이 '0'이 아닐 경우에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제 2 변수를 스위칭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수 출력수단은;
    상기 전류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류 변동량의 크기를 판단하는 전류 변동량 판단부; 및
    상기 전류 변동량 판단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변수의 극성을 조절하여 제 1 변수로 출력하거나 제 1 변수를 출력하지 않는 제 1 변수 결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수 출력수단은;
    상기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검출한 전력 변동량의 크기를 판단하는 전력 변동량 판단부; 및
    상기 전력 변동량 판단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변수의 극성을 조절하여 제 2 변수로 출력하거나 또는 제 2 변수를 출력하지 않는 제 2 변수 결정 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5. 태양광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 변동량 검출부, 전류 변동량 검출부 및 전력 변동량 검출부가 각기 전압 변동량, 전류 변동량 및 전력 변동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전류 변동량에 따라 제 1 변수 출력수단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변수에 따른 제 1 변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전력 변동량에 따라 제 2 변수 출력수단이, 상기 전력 변동량에 따라 가변되는 제 2 기준변수에 따른 제 2 변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전압 변동량에 따라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제 1 변수 또는 제 2 변수를 기준전압 결정부가 이전에 결정된 기준전압에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새로운 기준전압에 따라 전력 추출부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을 추종하여 최대 전력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수의 출력은;
    상기 전류 변동량 판단부가 판단한 전류 변동량이 '0'일 경우에 상기 제 1 변수를 출력하지 않고, 전류 변동량이 '0'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1 기준변수의 극 성을 플러스로 출력하며, 전류 변동량이 '0'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제 1 기준변수의 극성을 마이너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수의 출력은;
    상기 전력 변동량 판단부가 판단한 전력 변동량이 '0'일 경우에 상기 제 2 변수를 출력하지 않고, 전력 변동량이 '0'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 2 기준변수를 플러스로 출력하며, 전력 변동량이 '0'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제 2 기준변수의 극성을 마이너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변수는;
    미리 설정된 상수 값에 전력 변동량을 곱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방법.
KR1020050008853A 2005-01-31 2005-01-31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 KR100633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53A KR100633996B1 (ko) 2005-01-31 2005-01-31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53A KR100633996B1 (ko) 2005-01-31 2005-01-31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57A KR20060087957A (ko) 2006-08-03
KR100633996B1 true KR100633996B1 (ko) 2006-10-13

Family

ID=3717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853A KR100633996B1 (ko) 2005-01-31 2005-01-31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799B1 (ko) 2010-03-23 201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14062167A1 (en) * 2012-10-16 2014-04-24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l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530247B1 (ko) * 2008-09-11 2015-06-2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차량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98B1 (ko) * 2009-12-04 2011-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최대 전력점 추종 컨버터 및 그 방법
JP2015502621A (ja) * 2011-12-19 2015-01-22 ケーディー パワ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単位グループ別に最大電力点追従を行う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403268B1 (ko) * 2012-02-07 2014-06-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1411310A (zh) * 2012-09-13 2014-03-16 Richtek Technology Corp 具有自動歸零校準功能的類比光能電路
US9141123B2 (en) 2012-10-16 2015-09-22 Volterra Semiconductor LLC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l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3744465B (zh) * 2013-12-17 2015-05-20 上海电机学院 一种光伏阵列最大功率跟踪方法及装置
CN105334901B (zh) * 2015-11-20 2016-10-05 国网甘肃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光伏发电系统最大功率点智能跟踪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47B1 (ko) * 2008-09-11 2015-06-2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차량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제어 방법
KR101078799B1 (ko) 2010-03-23 201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8952569B2 (en) 2010-03-23 2015-02-10 Lg Electronics Inc.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US9362752B2 (en) 2010-03-23 2016-06-07 Lg Electronics Inc.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WO2014062167A1 (en) * 2012-10-16 2014-04-24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l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57A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996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종장치 및 그 방법
Ghasemi et al. MPPT method for PV systems under partially shaded conditions by approximating I–V curve
JP3382434B2 (ja) 電池電源の電圧制御装置および電圧制御方法
KR100908156B1 (ko) 태양광 최대전력추적 장치 및 방법
US8450883B2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apparatus for solar battery
KR101598464B1 (ko) 하이브리드 mppt제어에 의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효율개선 방법
KR101146127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11528B1 (ko) 태양전지의 최대전력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595060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적 최대전력지점 추종 기능을 구비한 인버터장치 및 상기 인버터장치의 동적최대전력지점 추종 방법
Alqarni et 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for photovoltaic system: modified perturb and observe algorithm
KR20120077865A (ko) 주사법을 이용한 태양광 최대전력추종기법 및 그 시스템
KR101436092B1 (ko) 인버터 접속반 제어 시스템
Sreekanth et al. A comparitive and analytical study of various incremental algorithms applied in solar cell
JP6029540B2 (ja) 太陽電池制御装置および太陽電池制御方法
KR20100098870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태양전지의 최대 전력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382946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I419345B (zh) 太陽能發電裝置及其類比式最大功率追蹤電路
KR20160058304A (ko) 비대칭 특성을 갖는 태양전지의 최대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KR101554546B1 (ko) 가변 전압 증분의 mppt를 이용한 태양광 인버터의 효율 개선 방법
KR20150025977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점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305634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3655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최대 전력점 추적 제어 방법
KR101201933B1 (ko)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 전력 추종 방법 및 그 장치
JP3567807B2 (ja) 太陽電池の最大電力制御方法
Charu et al. Pitfalls of conventional MPPT techniques of solar P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