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768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768B1
KR100633768B1 KR1020050051435A KR20050051435A KR100633768B1 KR 100633768 B1 KR100633768 B1 KR 100633768B1 KR 1020050051435 A KR1020050051435 A KR 1020050051435A KR 20050051435 A KR20050051435 A KR 20050051435A KR 100633768 B1 KR100633768 B1 KR 10063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quality
quality measurement
broadcasting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모
임철호
장병렬
채웅식
박영호
박주열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망 품질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망, 품질측정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전화망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1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처리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전화망 11: 기지국(BTS)
13: 기지국제어기(BSC) 15: 교환기(MSC)
17: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PDSN) 19: 데이터 코어망(DCN)
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DMB망)
21: DMB 방송센터 23: 방송위성
25: 중계망 27: 갭필러(Gap Filler)
100: DMB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
110: DMB 수신모듈 111: DMB제어부
112: 제1메모리부 113: 무선수신부
114: 디코더 115: 표시부
120: 이동전화모듈 121: 이동전화제어부
122: 제2메모리부 123: 키입력부
124: 무선송수신부 125: 변복조부
126: 음성처리부 130: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131: DMB망 품질데이터 측정부 133: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송신부
135: 이동전화망 정보 제공부 200: DMB망 품질측정 서버
210: DMB망 품질측정 지시부 220: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
230: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관리부
240: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300: 데이터 베이스
310: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320: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무선망 품질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을 모체로 하여 개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은 고정 및 이동 중에 CD 또는 DVD급의 고음질, 고화질로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DMB 수신단말기와 방송센터 사이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국내에서는 DMB 수신단말기와 이동전화단말기가 복합된 형태의 DMB폰을 이용하여 이동휴대방송과 이동전화가 결합된 융합형 서비스가 세계 최초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DMB는 S밴드(2~3GHz)의 전파를 사용하여 지상의 송신소에서 단말기로 직접 방송컨텐츠를 송출하는 지상파DMB와, 지상의 방송센터에서 방송컨텐츠를 수신 한 위성이 Ku밴드(12-14GHz)의 전파를 사용하여 단말기로 방송컨텐츠를 송출하는 위성DMB로 구분된다.
DMB는 지상파DMB와 위성DMB 모두 높은 주파수대역의 전파를 사용하므로 직진성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회절특성이 약한 전파특성상 위성DMB 및 지상파DMB 모두 빌딩근처나 지하철과 같은 지하공간에 방송 송출신호가 미치지 않거나 신호가 미약하여 방송이 끊기는 난시청지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깨끗한 화면과 CD수준의 음질이 DMB 수신단말기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검증된 현 상황에서는 얼마나 끊어짐이 없는 방송수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느냐가 DMB 전체의 서비스품질을 크게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전파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갭필러(Gap Filler) 등 중계기를 전파 음영지역으로 이미 알려진 해당구역에 설치하고 있으나, 전파 음역지역은 이미 알려진 구역뿐만 아니라 지형이나 건물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서 곳곳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위치가 변하기도 하므로 완벽한 전파 음영지역의 해소를 위한 작업은 장시간 많은 인력과 장비 및 경비가 소요된다.
따라서 DMB의 전반적인 품질관리를 위하여 지속적이고 전방위에 걸친 DMB망의 품질측정이 요구되며, 특정 지역의 DMB망 품질 저하로 인한 방송신호 끊김 등과 같은 돌발적인 문제가 발생할 시 신속하게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원인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원활한 방송수신을 위하여 중계기를 설치해야 하는 전파 음영지역이 어디인지를 단시간에 적은 비용과 투자로 찾아낼 수 있는 방안이 요 망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를 설치해야 하는 전파 음영지역을 단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알아낼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개인공간이나 특정 건물실내의 방송수신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MB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에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필요에 따라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DMB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수집함으로써 DMB망의 품질을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DMB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하여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수집, 관리함으로써 DMB망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가 접속된 이동전화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구동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 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해당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이동전화모듈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 송출기 사이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분석을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 측정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이동전화모듈을 통해 이동전화망에 접속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에 이동전화망의 기지국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측정데이터 전송부로 인가하는 이동전화망 정보 제공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는,
상기 이동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지시부와,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관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는 상기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제공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이동전화모듈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을 온(ON)시키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을 온(ON)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의 제어하기 이전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이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이 정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이 정상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이 정상이 아니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중계기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중계기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에 상기 이동전화망의 기지국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전화망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하 DMB 라 칭함)망 품질측정 시스템은 DMB망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DMB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100, 이하 겸용 단말기라 칭함)와, 상기 겸용 단말기(100)와의 DMB 구간의 데이터통신을 담당하는 DMB망(20)과, 상기 겸용 단말기(100)와의 이동전화 구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이동전화망(10)과, 상기 이동전화망(10)에 연결되어 상기 DMB망(20)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수집하기 위한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 및 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30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전화망(10)은 종래기술에 따라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과 무선구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기지국(11, BTS), 상기 기지국(11)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13, BSC), 상기 기지국 제어기(13)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15, MSC), 상기 이동전화모듈(120)로의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패킷데이터 서비스노드(17, PDSN) 및 데이터 코어망(19, DC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데이터 코어망(19)은 본 발명에 따른 DMB망 품질측정 시스템의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와 접속되어 이동전화망(10)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망 품질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MB망(20)은 위성 DMB망을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나 위성 DMB 뿐만 아니라 지상파 DMB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작된 방송프로그램을 방송신호로 변환하여 방송위성(23, 위성 DMB) 또는 송신소(미도시함, 지상파 DMB)로 송신하는 DMB방송센터(21), 전파 음영지역에서의 DMB 수신을 원활히 하기 위한 중계망(25) 및 갭필러(Gap Filler, 27) 및 상기 DMB방송센터(21)로 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겸용 단말기(100) 및 상기 갭필러(27)로 송신하는 방송위성(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겸용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수신모듈(110)과 이동전화모듈(120)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키 입력신호의 명령에 따라 DMB 수신 및 이동전화 기능을 각각 수행한다.
상기 겸용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상기 DMB 수신모듈(110)과 이동전화모듈(120)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CPU내에 두 개의 제어부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DMB 수신모듈(110)과 이동전화모듈(120)이 해당 제어부(DMB 제어부(111) 및 이동전화 제어부(121))를 각각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위와 같은 이유로 메모리부도 제1메모리부(112) 및 제2메모리부(122)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겸용 단말기(100)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115) 및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23)가 상기 DMB 수신모듈(110)과 이동전화모듈(120)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모듈에 분산하여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는 특정 지역의 실내 수신여부를 원격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겸용 단말기(100)가 단말기 가입자가 서비스 가입 시 적은 주소지에 특정 시간대(일 예로 심야 등)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해당 지역에 있는 기지국(11)을 통해 DMB망 품질측정 명령(Paging)을 보냄으로써 해당 지역의 특정 건물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겸용 단말기(100)가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토록 한다.
이때, 상기 겸용 단말기(100)가 해당 주소지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응답이 오지 않게 되므로 측정실패 처리하고, 해당 주소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DMB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품질측정 방법에 의하여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겸용 단말기(100)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부터 상기 이동전화망(10)을 경유하여 수신되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명령에 따라 상기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하기 위한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탑재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제품 제조 시, 단말기 내부의 메모리 및 제어부에 기 탑재되어 출시될 수도 있고, 단말기 출시 이후에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300) 또는 유/무선 다운로드 센터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받아 탑재될 수도 있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소정의 설치단계를 거쳐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제어부(DMB 수신모듈(110)의 DMB 제어부(111) 및 이동전화모듈(120)의 이동전화 제어부(121))에 저장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23)에 구비되는 특정 단축다이얼 또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실행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전화망(10)에 접속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어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DMB 수신모듈(110)과 DMB망(20) 간의 품질 분석을 위한 DMB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을 이용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DMB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131),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송신부(133) 및 이동전화망 정보 제공부(135)로 구성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의 각 구성부는 상기 DMB 수신모듈(110)의 DMB 제어부(111) 및 이동전화모듈(120)의 이동전화 제어부(121)에 모두 동일하게 탑재될 수도 있으며, 상기 DMB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131)는 각 제어부(111, 121)에 모두 탑재되고,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송신부(133) 및 이동전화망 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이동전화 제어부(121)에만 탑재될 수도 있다.
상기 DMB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131)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DMB망 품질측정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에 의하여 구동되며, 구동 시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DMB 수신모듈(11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여 상기 겸용 단말기(100)와 DMB신호 송신기 사이의 DMB망 품질 분석을 위한 DMB망 품질 데이터 측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DMB망 품질측정이 수행되는 시간은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DMB 수신모듈(110)이 사용되지 않는, 즉 슬립(Sleep) 또는 오프(Off)된 상태일 것이므로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 및 수집하기 위해 상기 DMB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131)는 상기 DMB 수신모듈(110)을 온(On)시킨 후,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 및 수집하고, 측정 및 수집이 종료되면 상기 DMB 수신모듈(110)을 제어하기 이전 상태 즉, 온(On)시키기 이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전송부(133)는 상기 측정된 DMB망 품질 데이터를 상기 DMB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131)로부터 인가받아서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을 통해 이동전화망(10)에 접속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전화망 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DMB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131)에서 측정된 상기 DMB망 품질 데이터에 이동전화망(10)의 기지국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전송부(133)로 인가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와 함께 이동전화망(10)의 기지국 정보도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DMB망 품질 데이터는 단말기 내 성능 파라미터인 수신 전력 레벨, 비트에러율(BER, Bit Error Rate), 패킷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신호대 간섭비(Ec/Io) 등과 단말기 수신제한장치(CAS) 번호 및 갭필러 I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와 함께 취합되는 상기 이동전화망(10)의 기지국 정보는 기지국 식별자(PN Code) 정보, 기지국 섹터 정보, 수신 전력 레벨, 파일럿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 단말기의 MIN 번호,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의 FA번호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본 발명에 따른 DMB망 품질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는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와 DMB망 정보 및 기지국 정보를 기 구비하고 있는 특정 지역 내의 건물 리스트와 대응시켜 원하는 지역에서의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수집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는 상기 겸용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상기 겸용 단말기(100)에 다운로드하며, 이동전화망(10)을 경유하여 DMB망 품질 분석을 위해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에게 DMB망 품질측정 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이 탑재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이 측정한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망 품질측정 지시부(210),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220),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관리부(230),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제공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지시부(210)는 상기 이동전화망(10)을 경유하여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 DMB망 품질측정 명령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이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이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220)는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의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이 측정한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의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10)는 DMB망 사업자가 DMB망 품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이나 특정 건물의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이 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저장, 관리한다. 상기 특정 지역 및 특정 건물의 리스트 정보는 전용 데이터베이스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10)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공유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제공부(240)는 상기 이동전화망(10)을 통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 제공한 다. 이를 위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제공부(240)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겸용 단말기(100)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을 시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의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 관리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DMB망 품질측정 시스템은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탑재한 DMB 수신 겸용 이동전화단말기(100)와 이동전화망(10)을 통하여 접속되는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구성되어, 상기 DMB 수신 겸용 이동전화단말기(100)의 이동전화망(10)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DMB망의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처리도로서,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망 품질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다른 DMB망 품질측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전화망(10)과 연결된 원격지의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가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탑재한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로 DMB망 품질측정 명령신호를 하달함에 따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이 구동되어 DMB 수신모듈(110)을 온 시킴으로써 DMB 수신모듈(110)의 각종 성능 파라미터 값을 측정하고 이를 다시 상기 이동전화망(10)을 경유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는 망 관리 자나 운영자 또는 기 설정된 관리프로그램에 의하여 DMB망 품질측정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프로세스는 필요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는 상기 DMB망 품질측정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DMB망 품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이나 특정 건물를 서비스 지역으로 포함하는 이동전화망(10)의 기지국(11)을 통하여 해당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로 DMB망 품질측정 명령신호를 송신한다(S1).
이때, 상기 겸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사용자의 동의 하에 DMB망 품질 관리를 위한 서비스에 참여한 단말기로서 약정에 따라 서비스 가입 시 또는 추후에 상기 DMB망 품질 관리를 위한 서비스에 참여한 단말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에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이 탑재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소프트웨어로서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의 제어부(121)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되면 상기 겸용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DMB 수신모듈(110) 및 이동전화모듈(120)과 연동하여 DMB망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모듈(120)은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DMB망 품질측정 명령신호에 따라 탑재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구동시킨다(S2).
구동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DMB 수신모듈(110)을 온 (On)시키고, 상기 DMB 수신모듈(110)의 제어하기 이전 상태(오프(또는 슬립) 및 온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를 저장한다(S3).
이때, 만일 상기 DMB 수신모듈(110)이 사용 중인 상태에 있으면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표시부(115)를 통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DMB망 품질측정을 위한 단말기 사용에 동의를 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기 약정된 서비스이므로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지 않도록 동의를 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DMB망 품질측정을 위한 단말기 사용에 동의를 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이내에 대응하는 키 입력이 없을 경우나 동의에 대응하는 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 기 체결된 약정에 따라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에 의해 켜진 DMB 수신모듈(110)은 방송수신을 위한 초기화 및 동기화를 수행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DMB 수신모듈(110)의 초기화 및 동기화 수행 후 방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DMB 수신모듈(110)의 동기 여부 및 UW(Unique Word) 여부를 체크한다(S4).
상기 DMB 수신모듈(110)의 방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면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수신 전력 레벨, 비트에러율, 패킷에러율, 신호대 간섭비 등 상기 DMB 수신모듈(110)의 각종 성능 파라미터 값을 측정하여 해당 메모리공간에 저장한다(S5).
또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DMB 수신모듈(110)에 할당된 CAS(수신제한시스템)번호 및 갭필러 ID 등 수집 가능한 DMB망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메모리공간에 저장한다(S8).
한편, 상기 DMB 수신모듈(110)의 방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DMB 수신모듈(110)로부터 방송수신 불가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이동전화망(10)을 경유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에 DMB망 품질측정 실패를 알린다.
이때,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DMB 품질측정 실패 알림신호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에 요청하고(S6), 상기 DMB 품질측정 실패 알림신호는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의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무선송수신부(124)를 통하여 송신되며, 이는 단문메시지 형태로도 전송될 수 있다(S7).
마찬가지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측정된 DMB망 품질 데이터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에 요청하고(S10),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는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의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무선송수신부(124)를 통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된다(S11).
또한,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이동전화모듈(120)에 기지국 식별자(PN Code) 번호, 수신 전력 레벨, 신호대 간섭비 등 기지국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S9), 이를 상기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와 취합하여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토록 한다(S11).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된 상기 DMB 품질측정 실패 알림신호,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 이동전화망 정보 등은 각기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다.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은 상기 측정한 DMB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로 송신한 후, 상기 DMB 수신모듈(110)을 제어하기 이전 상태, 즉 온(On)시키기 이전 상태로 전환하고(S12),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에 의한 DMB망 품질측정 프로세스에 따른 동작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DMB망 품질측정 서버(200)에 의한 DMB망 품질측정 프로세스의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수행에 따라 상기 겸용 단말기(100)의 DMB 수신모듈(110) 및 이동전화모듈(120)과 상기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130)의 상호 제어 및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동전화망을 이용한 DMB망의 품질측정이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은 DMB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에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필요에 따라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겸용 단말기 사용자가 DMB 수신모듈을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를 제어하여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DMB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 방법은 여러 지역의 DMB망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방송신호의 전파 음영지역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아파트나 건물의 내부 등 사적인 공간에서의 DMB망 품질을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DMB망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여러 지역의 DMB망 품질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중계기를 설치해야 하는 전파 음영지역을 단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알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MB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이동전화 겸용 DMB 수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이동전화망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겸용 단말기 사용자가 DMB 수신모듈을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를 제어하여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DMB망 품질측정 서버에서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의 DMB망 품질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아파트나 건물의 내부 등 사적인 공간에서의 DMB망 품질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DMB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하여 DMB망의 품질 관련 데이터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수집, 관리함으로써 DMB망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가 접속된 이동전화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해당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이동전화모듈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 송신기 사이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분석을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 측정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이동전화모듈을 통해 이동전화망에 접속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에 이동전화망의 기지국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측정데이터 전송부로 인가하는 이동전화망 정보 제공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는,
    상기 이동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도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지시부와,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 관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는,
    상기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 제공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 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이동전화모듈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을 온(On)시키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겸용 이동전화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을 온(ON)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의 제어하기 이전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측정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이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듈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이 정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상 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이 정상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이 정상이 아니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중계기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의 중계기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데이터에 상기 이동전화망의 기지국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방법.
KR1020050051435A 2005-06-15 2005-06-1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방법 KR10063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5A KR100633768B1 (ko) 2005-06-15 2005-06-1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5A KR100633768B1 (ko) 2005-06-15 2005-06-1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768B1 true KR100633768B1 (ko) 2006-10-13

Family

ID=3762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435A KR100633768B1 (ko) 2005-06-15 2005-06-1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78B1 (ko) 2007-10-29 2009-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전송신호 품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dmb 방송 수신 시스템
CN103841414A (zh) * 2014-03-18 2014-06-04 珠海迈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数字广播电视信号测量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78B1 (ko) 2007-10-29 2009-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전송신호 품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dmb 방송 수신 시스템
CN103841414A (zh) * 2014-03-18 2014-06-04 珠海迈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数字广播电视信号测量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4510B1 (en) Selection of alternate sources for audio broadcast signals responsive to embedded 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N101217784B (zh) 一种通信架构中的无线网络、通信设备和接入点
JP419139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946011B (zh) 在弱电场区域中提供广播服务的广播系统和方法
CN101217785A (zh) 通信架构中的无线网络、接入点和客户端设备
KR101909745B1 (ko) 긴급호출에 의한 상황전파가 가능한 무선 동보방송시스템
GB2448367A (en)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KR101041210B1 (ko)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방법 및 장치
KR10063376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그 품질측정방법
WO2010150556A1 (ja) 基地局および基地局の制御方法
EP18020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ing data
CN108738053B (zh) 终端的漫游检测方法及装置
KR20140146078A (ko)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
KR100852079B1 (ko) Dmb 품질 측정 시스템, 단말기 및 방법
KR101909746B1 (ko) 안내방송 재청취가 가능한 원가 절감형 무선 동보방송시스템
EP19298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on a voice channel and broadcast channel
WO2004032377A1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15284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H06245254A (ja)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JP473688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6254297A (ja) 視聴率調査システム、視聴履歴調査装置および視聴履歴収集装置
KR102047163B1 (ko) 지상파 디지털 라디오 신호의 수신 시스템 및 그 수신 방법
US20060236350A1 (en) Distribution of a broadcast program
JP2005286898A (ja) 番組録画システムとその番組録画装置及び放送受信端末、及び番組録画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番組録画方法
JP2004193998A (ja) 受信状態収集システム、受信状態収集装置、受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