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409B1 -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409B1
KR100632409B1 KR1020060034858A KR20060034858A KR100632409B1 KR 100632409 B1 KR100632409 B1 KR 100632409B1 KR 1020060034858 A KR1020060034858 A KR 1020060034858A KR 20060034858 A KR20060034858 A KR 20060034858A KR 100632409 B1 KR100632409 B1 KR 10063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keeper
wires
guide devi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로 배열되는 전선의 교체에 사용되는 전선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키퍼(110)와, 키퍼(110)에 연결되며, 전선중 다른 하나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수단(1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의 교체작업시 전선이 처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교체를 위한 전선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여 신규 전선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등 시공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발받침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경간의 크기에 상관없이 전선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며, 주변 토지나 건축물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민원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전선, 교체

Description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ELECTRIC WIRE GUIDE APPARATUS FOR EXCHANGING AN ELECTRIC WIR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에서 가이드수단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키퍼 111 : 제 1 클램프
112 : 제 2 클램프 113 : 조임볼트
120 : 가이드수단 121 : 제 1 롤러
122 : 제 2 롤러 123 : 제 1 블라켓
124 : 제 2 브라켓 125 : 체결수단
125a : 체결볼트 125b : 걸림편
125c : 체결너트 130 : 스페이서
본 발명은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교체작업시 전선이 처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교체를 위한 전선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시설과 배전시설을 통해서 수요자에게 공급되는데, 송전은 최종 변전소까지 전기를 수송하는 과정이고, 배전은 최종 변전소에서 각 수요자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전기의 공급에 사용되는 전선은 연결을 위해서 직선슬리브가 설치되거나, 손상부분의 보수를 위하여 보수슬리브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러한 슬리브의 시공개소에 단선 등으로 인해서 고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의 공급 원활 및 손실 감소를 위하여 손상된 전선은 사용주기를 다한 전선과 마찬가지로 교체되며, 이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전선의 수는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전선의 교체시, 전선드럼에 권선된 신규 전선을 교체하고자 하는 전선에 연결 후 엔진플러를 구동시켜서 교체하고자 하는 전선을 감게 되면, 전선드럼으로부터 풀어지는 신규 전선이 철탑(또는 전주)과 철탑(또는 전주)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선의 교체작업시 전선이 도로나 철도 등의 시설물을 통과함으로써 전선의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상에 철골로 된 발받침이나 비계 등의 구조물 설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구조물의 설치 및 철거로 인해 전선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구조물의 설치로 인해 주변 경관을 해치며, 구조물의 설치 공간 협소로 인해 타인 토지를 허락없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민원을 야기시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종래에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출원된 제1999-0020206호의 "활선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는 전주(1)의 완금(2) 상부에 끼워짐과 아울러 고정볼트(12)로 완금(2)에 고정시키는 완금지지부(11)와, 완금지지부(11)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13)와, 몸체(13)에 일체로 형성되고 베어링(미도시)이 내재된 회전롤러(15)가 끼워지는 회전롤러지지부(14)와, 회전롤러(15)의 상부와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회전롤러지지부(14)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볼트(17)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는 먼저 전선(4)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전주(1)의 완금(2)에 완금지지부(11)가 고정됨으로써 전주(1)에 직립하도록 설치되고, 신규 전선(5)을 회전롤러(15)와 이탈방지볼트(17)사이를 통과시켜서 가설하게 되며, 신규 전선(5)의 설치를 마치면 고정볼트(12)를 풀어서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를 완금(2)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는 전주(1)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규 전선(5)을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결론적으로 신규 전선(5)이 전주(1)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비교적 단거리, 예컨대 50m 이내의 경간을 가지는 전선의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겠으나, 이러한 경간을 초과하거나, 송전을 위한 전선 등과 같이 경간이 비교적 장거리인 경우 전선의 처짐이 여전히 발생하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발받침이나 비계 등과 같은 구조물의 설치없이는 전선의 교체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는 교체되는 전선(4)의 숫자만큼 롤러(10)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다수의 전선이 배열되거나, 복도체 또는 4도체 이상의 방식을 채용하는 송전선로와 같이, 교체하고자 하는 전선이 다수인 경우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롤러(10) 설치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며, 교체하고자 하는 다수의 전선(4)을 동시에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의 교체작업시 전선이 처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교체를 위한 전선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여 신규 전선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등 시공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발받침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 만 아니라 경간의 크기에 상관없이 전선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며, 주변 토지나 건축물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민원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로 배열되는 전선의 교체에 사용되는 전선 가이드장치로서, 전선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키퍼와, 키퍼에 연결되며, 전선중 다른 하나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처짐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에서 가이드수단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0)는 다수로 배열되는 전선의 교체에 사용되는 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선중 어느 하나의 전선에 고정되는 키퍼(keeper; 110)와, 키퍼(110)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선중 다른 하나의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20)을 포함한다.
키퍼(110)와 가이드수단(120)은 서로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각각 고정되는 전 선과 가이드되는 전선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키퍼(110)와 가이드수단(120)을 서로 연결시켜줌과 동시에 키퍼(110)에 고정되는 전선과 가이드수단(120)에 가이드되는 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별도의 스페이서(130)가 마련된다.
스페이서(130)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뿐만 아니라 곡선과 직선으로 조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키퍼(110)가 결합되며, 나머지 세 개의 모서리에 가이드수단(120)이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스페이서(13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네 개의 모서리에 전선이 각각 위치하게 됨으로써 응력이 균형되게 가해짐으로써 편심 하중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키퍼(110) 및 가이드수단(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두 개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키퍼(110) 및 가이드수단(120)은 고정 및 가이드되는 전선의 유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고자 스페이서(130)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이서(130)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키퍼(110) 및 가이드수단(1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모서리 부분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키퍼(110)는 철탑(또는 전주)과 철탑(또는 전주)사이에 다수로 배열되는 전선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일측이 개방되도록 서로 마주 대하는 제 1 및 제 2 클램프(111,112)와, 제 1 및 제 2 클램프(111,11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113)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클램프(111,112)는 서로 하나로 연결되거나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개방된 측의 반대측이 스페이서(130)에 결합되며, 대향되는 면에 전선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전선장착부(111a,112a)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전선이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전선장착부(111a,112a)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클램프(111)는 끝단에 마련되는 힌지축(111b)이 스페이서(130)의 모서리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키퍼(110)를 스페이서(130)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클램프(111,112)는 마주보는 면, 특히 전선장착부(111a,112a)에 클램핑되는 전선이 집중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을 가진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보호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조임볼트(113)는 제 2 클램프(112)를 관통하여 제 1 클램프(11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및 제 2 클램프(111,112)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전선장착부(111a,112a)에 전선이 출입 및 고정되도록 한다.
가이드수단(120)은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서는 3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키퍼(110)에 스페이서(130)를 통하여 연결되며, 키퍼(110)에 고정되는 전선을 제외한 다른 전선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처짐을 방지한다.
가이드수단(120)은 가이드하고자 하는 전선의 양측을 회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롤러(121,122)와, 제 1 및 제 2 롤러(121,122)가 서로 마주 보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브라켓(123,124)과, 제 1 및 제 2 브라켓(123,124)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수단(125)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롤러(121,122)는 외주면을 따라 전선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곡 률을 가지는 가이드홈(121a,122a)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가이드홈(121a,122a)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전선이 위치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브라켓(123,124)은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내측에 제 1 및 제 2 롤러(121,122)가 회전축(123a,124a)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개방된 측이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일측끼리 힌지 결합됨으로써 타측이 개폐되도록 하여 제 1 및 제 2 롤러(121,122)사이에 전선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브라켓(123)은 끝단에 마련되는 힌지축(123b)에 의해 스페이서(130)의 모서리에 힌지 결합된다.
체결수단(125)은 제 1 및 제 2 롤러(121,122)가 마주보는 상태, 즉 제 1 및 제 2 롤러(121,122)사이에 가이드되는 전선이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 1 및 제 2 브라켓(123,124)의 타측을 서로 체결시킨다.
체결수단(125)은 제 1 브라켓(123)의 측면에 돌출되는 체결볼트(125a)와, 체결볼트(125a)에 걸리도록 제 2 브라켓(124)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편(125b)과, 체결볼트(125a)에 걸린 걸림편(125b)을 고정시키도록 체결볼트(125a)에 나사 결합되는 나비너트 등과 같은 체결너트(125c)를 포함한다.
체결볼트(125a)는 제 1 브라켓(123)에 제 1 롤러(1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23a)과 일체를 이루어서 회전축(123a)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걸림편(125b)은 제 2 브라켓(124)에 제 2 롤러(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24a)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체결볼트(125a)에 걸리도록 끝단에 걸림홈(125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다수로 배열된 전선의 교체가 필요한 구간에 전선간의 간격유지를 위한 댐퍼 등과 같은 부재들을 철거한 다음, 키퍼(110)의 전선장착부(111a,112a)에 다수의 전선중 어느 하나의 전선을 위치시키고서 조임볼트(113)의 조임에 의해 전선을 키퍼(110)에 고정시킨다. 이 때, 키퍼(110)에는 교체가 불필요한 전선 또는 최종적으로 교체할 전선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키퍼(110)에 전선이 고정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브라켓(123)으로부터 제 2 브라켓(124)을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이격되는 가이드홈(121a,122a)에 교체가 필요한 전선을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제 2 브라켓(124)을 제 1 브라켓(123)과 마주 접하도록 원위치시키고, 걸림편(125b)을 회전시켜서 체결볼트(125a)에 걸림홈(125d)이 걸리도록 한 다음, 체결너트(125c)를 조여서 제 1 및 제 2 롤러(121,122)사이에 가이드되는 전선이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또는 전주)과 철탑(또는 전주)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선(1,2)에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0)는 교체되는 전선과 신규 전선간의 처짐을 고려하여 송전선로의 경우 경간당 4 개 ∼ 5 개 정도가 설치되며, 길이로 고려하면 70m ∼ 80m의 간격마다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0)의 설치를 마치면, 엔진플러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수단(120)에 가이드되는 교체가 필요한 전선(2)을 권선하고, 이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전선(2)에 연결되는 신규 전선은 전선드럼으로부터 풀려서 제 1 및 제 2 롤러(121,1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키퍼(110)에 고정된 전선(1)이 교체가 필요한 전선인 경우 이 전선(1)은 최종적으로 교체하게 되며, 이 전선(1)을 교체하기 위해 권선하게 되면, 교체를 마친 전선에 가이드수단(120)이 역으로 가이드됨으로써 키퍼(110)에 고정된 전선(1)은 처짐이 방지된 상태로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0)와 함께 원활하게 이동하여 권선되며,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0)는 수거되어 재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100)는 다수로 배열되는 배전선로뿐만 아니라 154KV 또는 345KV 이상 송전선로에서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면서 등가적으로 굵은 도선을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기 위해 채택되는 복도체 또는 4도체 방식에 따라 시공된 다수의 전선 교체에 유용하며, 나아가 최근 시공하는 765KV 송전선로에 채용되는 6도체 방식으로 인해 시공되는 다수의 전선을 교체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는 전선의 교체작업시 전선이 처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교체를 위한 전선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여 신규 전선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등 시공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발받침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뿐만 아니라 경간의 크기에 상관없이 전선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며, 주변 토지나 건축물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민원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다수로 배열되는 전선의 교체에 사용되는 전선 가이드장치로서,
    상기 전선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키퍼와,
    상기 키퍼에 연결되며, 상기 전선중 다른 하나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처짐을 방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수단
    을 포함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와 상기 가이드수단을 연결시키며, 상기 키퍼에 고정되는 전선과 상기 가이드수단에 가이드되는 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상기 키퍼가 결합되고, 나머지 모서리에 상기 가이드수단이 각각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는,
    상기 전선의 출입을 위해 일측이 개방되도록 마주 대하고, 대향되는 면에 상기 전선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전선장착부가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클램프와,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볼트
    를 포함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전선의 양측을 회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롤러와,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가 내측에 각각 설치되고,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개방측이 마주 보도록 일측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사이의 전선이 측방향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을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1 브라켓의 측면에 돌출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걸리도록 상기 제 2 브라켓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편과,
    상기 체결볼트에 걸린 상기 걸림편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KR1020060034858A 2006-04-18 2006-04-18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KR10063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858A KR100632409B1 (ko) 2006-04-18 2006-04-18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858A KR100632409B1 (ko) 2006-04-18 2006-04-18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409B1 true KR100632409B1 (ko) 2006-10-11

Family

ID=3763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858A KR100632409B1 (ko) 2006-04-18 2006-04-18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84B1 (ko)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403A (ja) 2002-10-23 2004-05-20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ハンガー付ケーブル吊り線用ガイドローラ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403A (ja) 2002-10-23 2004-05-20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ハンガー付ケーブル吊り線用ガイドロー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84B1 (ko)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231B1 (ko)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KR20100006131A (ko) 풍력 터빈 및 풍력 터빈 타워 신속 조립 방법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101455281B1 (ko) 가공 송전선로용 복도체 고정장치
CN116345370B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电缆架设桥架结构
KR100632409B1 (ko)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KR102024239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보호장치
KR101455679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1764308B1 (ko)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프
US6079898A (en) Roadway cover system for utility lines
KR101520287B1 (ko) 전선배선용 배관박스
KR200396733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0966041B1 (ko) 배전용 케이블 전주 고정밴드
US20080084654A1 (en) Segmented utility tower and method
AU2016343293B2 (en) A portable frame for supporting a solar panel
KR20090095228A (ko) 송전선로의 전선 교체용 활차구조체 및 이 활차구조체를이용한 전선 교체공법
KR100704366B1 (ko)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KR100388079B1 (ko) 단완철 밴드
KR101650928B1 (ko)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KR200299522Y1 (ko) 공동구내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구조
CN220421295U (zh) 一种电线电缆穿线辅助装置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CN218633215U (zh) 一种电缆保护箱
CN105305252B (zh) 固定开关柜柜门的可拆卸安全防磕碰支架
CN212428270U (zh) 一种可体外更换预应力钢绞线的混凝土塔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