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296B1 -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 Google Patents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296B1
KR100632296B1 KR1020040011101A KR20040011101A KR100632296B1 KR 100632296 B1 KR100632296 B1 KR 100632296B1 KR 1020040011101 A KR1020040011101 A KR 1020040011101A KR 20040011101 A KR20040011101 A KR 20040011101A KR 100632296 B1 KR100632296 B1 KR 100632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ase
belt
fixed roller
positio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82606A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우 filed Critical 박정우
Priority to KR102004001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296B1/en
Publication of KR2005008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6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위치고정수단의 마모가 거의 없어서,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착용 및 해제가 용이한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that is almost semi-permanent and wearable and easy to release due to almost no wear of the seat belt fix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개방구를 구비하되, 상기 관통구를 연결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관통로 내부에 개재되고, 그 관통로에서의 이동에 따라 안전벨트를 상기 케이스의 내면측으로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안전벨트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롤러;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양단에 핀조인트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enetrating opening so that the seat belt can pass, the case is formed with a through passage connecting the through hole; A fixing roller interposed in the through passage of the case and fixing or releasing the seat belt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seat belt towar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through passage; And it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se, and provides a seat belt position adjustment device including a fixing piec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ase.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 대각선벨트, 수직벨트, 수평벨트, 고정롤러, 고정편Seat belt positioning device, diagonal belt, vertical belt, horizontal belt, fixed roller, fixed piece

Description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afety belt}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afety belt}

도1은 대각선 벨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의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장착한 안전벨트를 차량 탑승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occupant wears a seat belt equipped with a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diagonal belt.

도2는 대각선 벨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d in the manner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sible.

도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Fig.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xing roller constituting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에서 안전벨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6a and Figure 6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is inserted in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제2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케이스에 하측에 고정편를 부착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a fixing piece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of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대각선 벨트 11 : 수직벨트10: diagonal belt 11: vertical belt

20 : 수평벨트 30 :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20: horizontal belt 30: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31 : 안전벨트 가압수단 32 : 안전벨트 지지부재31: seat belt pressurizing means 32: seat belt support member

33 : 안전벨트 수용홈 100 : 케이스 33: seat belt receiving groove 100: case

110 : 케이스 상면 111 : 케이스 하면110: case top 111: case

101, 102 : 개방구 130 : 고정편101, 102 opening 130: fixed piece

120 : 고정롤러 121 : 이동노브120: fixed roller 121: moving knob

본 발명은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각선 벨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유아 또는 체구가 작은 사람들도 안전하게 벨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최적의 착용상태를 제공할 수 있고 사고로 인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효율 및 고정위치 견고성이 좋은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can provide an optimal wearing state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wearer so that infants or small people can safely use the belt and accident When a shock is applied, it relates to a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having good cushioning efficiency and fixing position firmness.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성인의 체형에 맞는 사이즈의 시트를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착용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안전벨트를 유아들이 사용할 경우, 대각선 벨트가 목, 머리등과 같은 부위에 걸쳐지기 때문에 사고시 머리 또는 목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대각선 벨트의 위치를 조절해 줄 필요가 있다.In general, seat belts are worn diagonally across seats of an appropriate size for an adult. When the child uses the seat belt, the diagonal belt is spread over the same area as the neck, head, etc., so it may have a big impact on the head or neck in case of an accident, so the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needs to be adjusted.

도1은 대각선 벨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안전벨트를 길이조절장치를 장착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대각선 벨트의 위치 조절 방식을 설명한다.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t belt is mounted on a seat belt with a length adjusting device a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diagonal belt. Hereinafter,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대각선 벨트(10)가 체구가 적은 사람의 목을 지나지 않고 가슴 또는 배를 지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1의 좌측에 도시된 방법은, 대각선 벨트(10)와 수직 벨트(11)를 임의의 위치에 한점에서 고정함으로써 대각선 벨트(10)의 시작점 위치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대각선 벨트(10)가 착용자의 가슴을 지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대각선 벨트(10)의 시작점은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30)에 의하여 대각선 벨트(10)와 수직벨트(11)가 고정되는 한점으로 하고, 대각선 벨트의 끝점은 안전벨트 체결수단(40, 41)의 위치가 되게 한 것이다.As a way for the diagonal belt 10 to pass through the chest or tummy without passing the neck of a less-sized body, the method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 provides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vertical belt 11 at arbitrary positions. By fixing at one point in the diagonal belt 10 to move the starting point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10 to the diagonal belt 10 to pass through the wearer's chest.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agonal belt 10 is one point in which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vertical belt 11 are fixed by the seat belt length adjusting device 30, and the end point of the diagonal belt is the seat belt fastening means 40, 41).

또한, 도1의 우측에 도시된 방법은, 대각선 벨트(10)와 수평벨트(20)를 임의의 한점에서 고정함으로써, 대각선 벨트(10)의 끝점 위치를 옆으로 이동시켜 대각선 벨트(10)가 착용자의 가슴을 지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대각선 벨트(10)의 시작점은 원래의 시작점으로 하고, 끝점은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30)에 의하여 대각선벨트(10)와 수평벨트(20)가 고정되는 한점이 되게 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method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 by fixing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horizontal belt 20 at any one point, the end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10 is moved laterally so that the diagonal belt 10 is moved. It's a way to get past the wearer's chest.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agonal belt 10 is the original starting point, the end point is to be a point that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horizontal belt 20 is fixed by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30.

도2는 상기와 같이 대각선 벨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d in the mann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as described above.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대각선벨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30)는 케이스(30a)와 지지부재(32)에 의하여 형성되며, 대각선벨트(10)와 수평 또는 수직벨트(11, 20)를 수용하는 수용홈(33); 및 상기 케이스(30a)를 관통하여 수용홈(33)에 수용된 안전벨트를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안전벨트 위치고정수단(31)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3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med by the case 30a and the support member 32, and the horizontal belt 10 or horizontal Receiving groove 33 for receiving the vertical belt (11, 20); And a seat belt position fixing means 31 for fixing the position by pressing the seat bel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33 through the case 30a.

즉 상기 수용홈(33) 내에 대각선벨트(10)와 수직벨트(11) 또는 대각선벨트(10)와 수평벨트(20)를 함께 수용하고, 안전벨트 위치고정수단(31)의 가압상태를 해제하여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안전벨트 위치고정수단(31)을 이용하여 수용된 벨트를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That is,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vertical belt 11 or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horizontal belt 20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receiving groove 33, and the pressing state of the seat belt fixing means 31 is released.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the position is fixed by pressing and fixing the belt received by using the seat belt position fixing means 31 again.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매번 가압수단의 나사를 풀거나 조여야 하므로 위치조절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The seat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adjustment is cumbersome because the screw of the pressing means must be loosened or tightened every time to adjust the position.

또한, 안전벨트 위치고정수단이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노후되면 안전벨트의 고정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 사고 등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에 의해 안전벨트 조절장치 자체가 이동하여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 예를 들어, 흉부 나 명치 또는 복부 등을 압박함으로써 착용자의 부상 또는 상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atbelt position fixing means is old due to long use, the seatbelt is loosened. Therefore, when an impact such as an accident is applied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the seatbelt adjusting device itself is moved by the shock, which causes a part of the wearer's body,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injury or injury to the wearer by pressing the chest or a tooth or abdom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안전벨트 위치고정수단의 마모가 거의 없어서, 수명이 반 영구적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re is almost no wear of the seat belt fixing mean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semi-permanent life.

또한, 안전벨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가압하는 과정이 필요없고 착용 및 해제가 용이한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eat belt position adjustment device that is easy to wear and release without the need to pressurize the seat belt to fix the seat belt position.

또한, 심한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고정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that can maintain the fixed position firmly, even in the event of a severe external imp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개방구를 구비하되, 상기 관통구를 연결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관통로 내부에 개재되고, 그 관통로에서의 이동에 따라 안전벨트를 상기 케이스의 내면측으로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안전벨트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롤러;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양단에 핀조인트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enetrating opening so that the seat belt can pass, the case is formed with a through passage connecting the through hole; A fixing roller interposed in the through passage of the case and fixing or releasing the seat belt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seat belt towar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through passage; And it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se, and provides a seat belt position adjustment device including a fixing piec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ase.

상기 케이스는 일측 개방구측 내부 높이가 높고 타측 개방구측의 높이가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롤러를 이동시켜 안전벨트를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고정을 해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height of one side opening side is high and the height of the other opening side is low,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fixing roller to press the seat belt to fix or release the pressure to release the fixing. Do.

상기 고정롤러는 케이스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xed roller can rotate in the case, i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when wearing.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롤러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외측으로 연장되며 고정롤러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고정롤러 이동노브가 구비되어 고정롤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uide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case; Both ends of the fixed roller is provided with a fixed roller moving knob which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guide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fixed roller is form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fixed roller.

상기 고정롤러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고정롤러는 쐐기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xed roller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fixed roller may have a columnar shap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삭제delete

이하,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시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ing roller constituting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는, 안전벨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개방구(101, 102)를 구비하되, 상기 관통구(101, 102)를 연결하는 관통로(103)는 그 단면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게 테이퍼(taper)진 면(103a)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관통로(103) 내부에 개재되고, 그 관통로(103)에서의 이동에 따라 안전벨트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롤러(120)를 포함한다.3 and 4,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openings 101 and 102 through which the seat belt can pass, the through hole The through passage 103 connecting the 101 and 102 includes a case 100 formed of a tapered surface 103a such that its cross section de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 fixing roller 120 interposed in the through passage 103 of the case 100 to fix or release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through passage 103.

여기에서, 상기 고정롤러(120)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봉형상이며, 외면이 반복적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xed roller 120 is a rod-shaped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is repeatedly formed irregularities.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롤러(120)는 케이스(100)의 관통로(103) 내에 안전벨트 삽입방향과 직교하게 설치되되, 안전벨트가 각각 고정롤러(120)의 상하부측으로 통과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롤러(120)는 평상시에 일측 개방구 측(101)측, 즉 관통로(103)의 넓은 공간에 위치되다가, 안전벨트 고정을 요하는 경우 케이스(100)의 타측 개방구 측(102) 관통로(103)로 밀면, 관통로(103)의 테이퍼진 면에서 고정롤러(120)는 안전벨트를 관통로(103)의 테이퍼진 면(103a)으로 접촉 가압시켜 마찰력에 의해 안전벨트를 고정시킨다.In detail, the fixing roller 120 is installed orthogonal to the seat belt insertion direction in the through passage 103 of the case 100, and the seat belts ar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roller 120,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xing roller 120 is usually located in one side of the opening side 101, that is, in a wide space of the passageway 103, and when the seat belt is required, the other opening side of the case 100 ( 102) When pushed to the through passage 103, the fixed roller 120 in the tapered surface of the through passage 103 by pressing the safety belt to the tapered surface (103a) of the through passage 103 by the friction belt To be fixed.

또한, 상기 고정롤러(120)는 케이스 내에서 회전할 수 있어서, 안전벨트 착용시 안전벨트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fixing roller 120 can rotate in the case, it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at belt when wearing the seat belt.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즉 고정롤러(12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이드장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롤러(120)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장공(112)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롤러 이동노브(121)가 더 구비된다.A guide long hole 112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00, that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xed roller 120, and both ends of the fixed roller 120 extend outward of the guide long hole 112. The fixed roller moving knob 121 is further provided.

즉, 가이드장공(112)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롤러 이동노브(121)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고정롤러(120)를 이동시켜 안전벨트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위치 또는 고정해제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grip the fixed roller moving knob 121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slot 112 to move the fixed roller 120 to move the seat belt, thereby adjusting the fixed position or the unlocked position.

여기에서, 상기 고정롤러(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가이드장공(112)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롤러 이동노브(12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롤러 이동노브(121)를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상 기 고정롤러(120)가 고정롤러 이동노브(121)와 일체로 형성될 경우, 고정롤러 이동노브(121)는 고정롤러(1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이드장공(11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xed roller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roller moving knob 121 provided outside the guide long hole 112 of the case 100, or centered around the axis connecting the fixed roller moving knob 121 It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However, when the fixed roller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roller moving knob 121, the fixed roller moving knob 121 is provided in the guide hole 11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fixed roller 120. It is desirable to be.

또한, 상기 관통로(103)의 테이진 면(103a)은 감소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간격으로 단차턱(103b, 103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고정롤러(103)가 테이퍼진 면(103a)으로 진행할 시, 그 단차턱(103b, 103c) 부분에서 완충효과를 보다 증진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tapered surface 103a of the through passage 103 may form stepped jaws 103b and 103c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decreasing direction. This is to further enhance the buffering effect at the stepped portions 103b and 103c when the fixed roller 103 proceeds to the tapered surface 103a due to an external impact.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에서 안전벨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6A and 6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is inserted in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는 케이스(100)의 일측 개방구(101)를 통해 삽입되어 타측 개방구(102)로 나오게 된다. 상기 고정롤러(12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대각선 벨트(10)와 수직벨트(11) 또는 대각선 벨트(10)와 수평벨트(20)의 두 안전벨트 사이에 위치된다.As shown in Figure 6, the seat belt is inserted through the one side opening 101 of the case 100 to come out to the other opening 102. The fixed roller 12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positioned between two seat belts of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vertical belt 11 or the diagonal belt 10 and the horizontal belt 20.

착용자는 이동노브(121)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롤러(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데, 고정롤러(120)를 일측 개방구(101)측으로 이동시키면 케이스(100) 내부의 안전벨트(10, 11, 2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고정롤러(120)는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마찰력이 줄어들 수 있어 원활하게 안전벨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The wearer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xed roller 120 by using the moving knob 121. When the fixed roller 120 is moved to one side opening 101, seat belts 10 and 11 inside the case 100 are moved. , 20) can move freely, the fixed roller 120 can be rotated, so that the friction force can be reduced to smooth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상기 고정롤러(120)를 타측 개방구(102)측, 테이퍼진 면(103a)측으로 이동시키면,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10, 11, 20)가 케이스(100)의 상면(110)과 하면(111) 및 그들 사이에 위치된 고정롤러(12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됨으로써, 대각선 벨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착용되게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장 단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하고 있으나, 1차적으로 단차턱(103b)이 형성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roller 120 is moved to the other opening 102 side and the tapered surface 103a side, as shown in FIG. 6B, the seat belts 10, 11, and 20 are upper surfaces of the case 100 ( By being pressed and fixed by the 110 and the lower surface 111 and the fixing roller 120 located between them,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agonal belt to be worn in the desired position. In the figure, but the state moved to the most end side, but may be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tepped jaw (103b) is formed primarily.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제2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at bel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고정롤러의 단면이 원형이 아니라, 쐐기형태의 고정롤러(120a)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전벨트(10, 11, 20)가 상기 고정롤러의 상하로 위치하고, 작동하는 방식도 동일하다. 상기의 고정롤러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전벨트를 케이스 대향 내면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7,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xed roller, but consists of a fixed roller 120a in the shape of a wedg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way in which the seat belts 10, 11, and 20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fixing roller. The fixed roller shap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seat belt to the inner surface side facing the case.

도8은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케이스에 하측에 고정편를 부착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piece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of the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0)의 하측 양단에 고정편(130)이 핀조인트 결합된다. 즉, 대각선 벨트(10)는 케이스(100) 내부를 통과하고, 수평벨트(20) 또는 수직벨트(11)는 상기 케이스 하단과 고정편(130)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iece 130 is pin jointly coupled to both lower ends of the case 100. That is, the diagonal belt 10 passes through the case 100, and the horizontal belt 20 or the vertical belt 11 is installed to pass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fixing piece 130.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안전벨트 착용시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이동은 이동노브(121)를 이용하여 고정롤러(120)를 케이스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경사를 갖는 케이스의 상면측(110) 테이퍼 면(103a)과 하면측(111) 테이퍼 면(103a)에 의해 고정롤러(120)가 안전벨트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안전벨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착용자의 체격에 따라 안전벨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seat belt is worn,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is moved by moving the fixing roller 120 in the case using the moving knob 121, so that the tapered surface 103a and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upper surface side 110 of the case having an inclination. (111) by the tapered surface (103a) is fixed roller 120 is to press the seat belt or to release the pressur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arer's physique.

이 때, 상기 고정롤러(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한 경우에는 위치 조절중에 안전벨트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그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xed roller 12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if the rotation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 with the seat belt during position adjustment, the operation is made easy.

차량 운행중 사고 등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에도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도6b와 같은 고정상태에서 안전벨트(10, 11, 20)는 타측 개방구(102)측으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힘을 받게된다. 이러한 경우, 안전벨트(10, 11, 20)는 고정롤러(120)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타측 개방구(102) 측으로 고정롤러(120)를 더 밀게 되어, 고정롤러(120)는 더욱 견고하게 케이스의 대향 내면(103a)측으로 안전벨트(10, 11, 20)를 가압함으로써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키게 된다.When a shock is applied due to an accident while driving the vehicle, a force is also applied to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In the fixed state as shown in FIG. 6B, the seat belts 10, 11, and 20 are trying to exit to the other opening 102. Will receive strength. In this case, the seat belts (10, 11, 20) provides a friction force to the fixed roller 120 to push the fixed roller 120 further toward the other opening 102, the fixed roller 120 is more firmly the case By pressing the seat belt (10, 11, 20) toward the opposite inner surface (103a) of the to maintain a more secure fixed state.

이러한 메커니즘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의 완충효과를 주어, 착용자에 대한 안전벨트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This mechanism provides a very short cushioning effect, which cushions the impact of the seat belt on the wearer, thereby further alleviat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wearer.

또한, 상기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스(100) 하부에 고정편(130)을 설치한 경우에는, 케이스(100) 내부에 대각선 벨트(10) 만을 통과시키고 상기 케이스(100) 하부와 고정편(130) 사이에 수직벨트(11) 또는 수평벨트(20)를 통과시 키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케이스 내의 벨트(100)를 고정롤러(120)로 고정하여 착용하면, 상기 고정편(130)이 안전벨트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여 수직벨트(11) 또는 수평벨트(20)를 케이스 하단부를 향해 가압하기 때문에,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in the fourth embodiment, when the fixing piece 130 is installed below the case 100, only the diagonal belt 1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100 and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100. I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vertical belt 11 or the horizontal belt 20 between the pieces 130. In this case, when the belt 100 in the case is fixed and worn by the fixing roller 120, the fixing piece 130 is rotated by the tension of the seat belt so that the vertical belt 11 or the horizontal belt 20 is inserted into the case. Since it presses toward a lower end part, it become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제4실시예의 경우, 차량의 운행중 사고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케이스 내부를 통과하는 안전벨트는 고정롤러(120)를 타측 개방구(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고, 고정롤러(120)는 그 안전벨트를 더욱 가압하게 되어 더욱 견고히 위치를 고정하게 되고, 고정편(130)은 케이스 외부로 통과하는 안전벨트를 가압하여 안전벨트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In the fourth embodiment, when an impact is applied due to an acciden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seat bel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e provides the friction for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xing roller 120 toward the other opening 102, and the fixing roller ( 120 is to press the seat belt more firmly to fix the position more firmly, the fixing piece 130 is to press the seat belt to pass through the outside of the case is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고등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전벨트의 위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안전벨트 착용자를 보호하고, 완충효과도 극대화 된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시 상기 안전벨트의 위치이동에 따른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압박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부상 및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does not change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by an accident or the like, the seat belt wearer is effectively protected and the shock absorbing effect is maxim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earer's injuries and injuries by preventing pressure on the wearer's body due to the movement of the seat belt during an external impact.

또한, 고정롤러(120)를 회전가능한 원기둥으로 형성하면, 안전벨트 위치조절시 착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ixed roller 120 is formed of a rotatable cylinder, the seat belt can be moved without adjusting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ment device when the seat belt is adjusted.

따라서, 체격이 왜소한 아동이 차량에 승차하여 자신의 체격에 맞게 안전벨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신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 child with a small physique can ride in a vehic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his / her physique, and effectively protect the body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와 고정롤러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성으로도 차량 탑승자의 체격에 맞게 안전벨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충격으로부터 착용자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case and a fixed roller, the position of the seat belt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vehicle occupant, and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protecting the wearer from impact. .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에서는 가압수단이 마모되면 그 고정력이 약해 질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의 고정롤러는 마모 등에 의하여 수명이 짧아질 염려가 없으며, 마모되더라도 안전벨트 고정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ixing force may be weakened when the pressing means is worn, but the fixing roller of the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fear of shortening its life due to wear. Even if worn, it does not affect the seat belt fastening force, which has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duct.

Claims (7)

안전벨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된 개방구를 구비하되, 상기 관통구를 연결하는 관통로가 형성된 케이스;A case having an open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seat belt can pass, the case having a through path connecting the through hole; 상기 케이스의 관통로 내부에 개재되고, 그 관통로에서의 이동에 따라 안전벨트를 상기 케이스의 내면측으로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안전벨트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롤러; 및A fixing roller interposed in the through passage of the case and fixing or releasing the seat belt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seat belt towar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through passage; And 상기 케이스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양단에 핀조인트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It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se, including a fixing piec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ase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Seat belt positio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통로는 그 단면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게 테이퍼진 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의 대향 내면을 형성하는The through passage has a tapered surface such that its cross section de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forms an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case.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Seat belt positio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롤러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The fixed roller has a rod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so as to rotate in the case.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Seat belt positio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롤러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The side of the case is formed with a guide hol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xed roller, 상기 고정롤러의 양단에서 상기 가이드장공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롤러 이동노브가 구비되는Fixed roller moving knob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ed roller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hole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Seat belt positioning devi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고정롤러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주면에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The fixed roller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rregularities are repeatedly formed on the main surface.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Seat belt positioning devi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고정롤러는 쐐기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The fixed roller is made of a columnar shap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안전벨트 위치조절장치.Seat belt positioning device. 삭제delete
KR1020040011101A 2004-02-19 2004-02-19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KR100632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01A KR100632296B1 (en) 2004-02-19 2004-02-19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01A KR100632296B1 (en) 2004-02-19 2004-02-19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606A KR20050082606A (en) 2005-08-24
KR100632296B1 true KR100632296B1 (en) 2006-10-11

Family

ID=3726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101A KR100632296B1 (en) 2004-02-19 2004-02-19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2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388A2 (en) * 2010-09-13 2012-03-22 Cho Chan-Ho Device for loosening pressure of car seat belt with controllable fastening lengt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388A2 (en) * 2010-09-13 2012-03-22 Cho Chan-Ho Device for loosening pressure of car seat belt with controllable fastening length
WO2012036388A3 (en) * 2010-09-13 2012-05-18 Cho Chan-Ho Device for loosening pressure of car seat belt with controllable fastening length
KR101280565B1 (en) 2010-09-13 2013-07-02 조찬호 Apparatus to loosen pressure of car seat belt by controlling its l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606A (en)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782B2 (en) Safety belt for a vehicle
EP2329985B1 (en) Child car seat
US8616632B2 (en) Child safety seat and tether thereof
US7404402B2 (en) Whiplash restrainer
JP4912988B2 (en) Child carrying device and motorcycle
GB2429641A (en) Child safety seat with belt buckle positioning means
RU2655969C2 (en) Safety belt clip
KR100632296B1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KR200327141Y1 (en) A Device for Control length in Safty Belt
KR0133480Y1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 belt
KR100480648B1 (en) A Device for Control length in Safty Belt
KR200359741Y1 (en) belt fastner for children usable in safety seat in the vehicle
KR100418504B1 (en) Length adjustable device for a safety belt of vehicle
KR20070043076A (en) Apparatus to set the length of the buckle strap
KR0138245Y1 (en) Seat belt adjusting hook
KR200416972Y1 (en) A Locking Device for Thin Plate Type Magnet using in Safty Belt
KR102340597B1 (en) Safety seat for chiid
KR20100006459U (en) A Locking Device of Safty Belt
KR200336041Y1 (en) A Device for Control lengh in Safty Belt
KR910009169Y1 (en) Safety belt tension adjuster
KR20060055659A (en) Webbing guide device for seats for vehicles
KR20160046338A (en) Lumbar traction apparatus assembly
KR100513678B1 (en) Seat belt for vehicle
JP3094867U (en) Seat belt adjustment device
KR100412442B1 (en) Seat belt tongu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