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280B1 -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 - Google Patents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280B1
KR100632280B1 KR1020037014640A KR20037014640A KR100632280B1 KR 100632280 B1 KR100632280 B1 KR 100632280B1 KR 1020037014640 A KR1020037014640 A KR 1020037014640A KR 20037014640 A KR20037014640 A KR 20037014640A KR 100632280 B1 KR100632280 B1 KR 10063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moke
paper
visible
smok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351A (ko
Inventor
이시카와사토시
츠츠미타케오
사토마코토
이노우에카오루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3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05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nly
    • D21H17/14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75Oxides, hydroxides or 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는, 권지중에 탄산칼슘을 30g/㎡ 이상, 연소조절제를 3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다.

Description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TOBACCO SIDESTREAM SMOKE AMOUNT-REDUCING WRAPPER PAPER FOR SMOKING ARTICLES}
본 발명은 담배 가시부류연의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류연 발생량이 적은 저부류연 궐련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궐련이 실제로 부류연의 발생량이 적은지 여부는, 통상 소위 피쉬테일(fish tail)법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피쉬테일법은, 일본국 특개평10-81호 공보 등에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간단하게 서술하면, 피쉬테일법은, 피쉬테일 형상의 개구 하단부를 갖는 연기챔버를 사용한다. 연기챔버의 상부에는 켐브리지필터(직경 44mm)가 부착되어 있다. 이 연기챔버의 상단부로부터 3리터/분의 비율로 공기를 흡인하면서, 연기챔버의 하단부에서 궐련을 소정길이 자연연소시킨다. 이때 발생하는 부류연중의 입상물질을, 켐브리지필터와 연기챔버의 내벽에 부착시키고, 그들의 질량을 측정한다. 즉, 입상물질을 포착한 켐브리지필터의 질량으로부터 원래의 켐브리지필터의 질량을 뺀 질량을 먼저 구한다. 다음에, 켐브리지필터상 및 연기챔버 내벽에 부착한 입상물질을 각각 용매로 추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각 흡광도의 비와, 앞서 산출한 켐브리지필터상에 부착한 입상물질의 질량의 값(뺀 값)으로부터, 연기챔버의 내벽에 부착한 입상물질의 질량을 산출한다. 이렇게 얻어진, 켐브리지필터상에 부착한 입상물질의 질량과 연기챔버의 내벽에 부착한 입상물질의 질량을 가산한 값을, 담배 1개피당 부류연 양(mg/cig)으로 한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자연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고, 이 측정한 시간으로 1개피당의 부류연 양을 나눈 값을 시간당의 부류연 양(mg/min)으로 나타낸다. 얻어진 시간당의 부류연 양은, 종래의 저부류연 궐련의 개발에서는, 눈에 보이는 부류연 양에 근사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와 같은 궐련의 부류연 양을 질량측정에 의하지 않고, 광학적 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순간적으로 측정하는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3-120444호 공보). 이 광학적 장치는, 연소실내에서 연소시킨 궐련으로부터 발생하는 부류연을 투과시키도록 광속을 조사하고, 부류연을 투과한 광속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측정된 광속강도는, 부류연의 농도에 대응하고, 따라서 전체 입상물질의 양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피쉬테일법과 같은 전체 입상물질의 질량으로 평가하여 부류연 양이 같은 정도로 낮게 된 궐련 중에서도, 끽연시에 실제로 눈으로 관찰할때, 부류연 양에 차이가 있는 것이 있고, 전체 입상물질의 질량에 의한 부류연 양이, 눈으로 관찰한 부류연 양과 반드시 상관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상기 광학적으로 측정된 부류연 양도 부류연 농도에 대응하는 것이므로, 눈으로 관찰한 부류연 양과 반드시 상관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궐련과 같은 끽연물품은, 전체 입상물질의 질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실제의 육안관찰에 의해서도 부류연 양이 적은 것이 요망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육안관찰에 의한 부류연 양(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시부류연 양」이라고도 한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끽연물품용 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권지에 탄산칼슘을 특정 양으로, 또한 연소조절제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는 것에 의해 가시부류연 양을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근거한다.
즉, 본 발명은 권지중에 탄산칼슘을 30g/㎡ 이상, 연소조절제를 3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소조절제는 시트르산칼륨 및 시트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지의 적어도 편측의 표면층의 회분이, 3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권지의 탑사이드(top side) 및 보톰사이드(bottom side)의 표면층의 회분이, 모두 35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끽연물품의 가시부류연 양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끽연물품의 가시부류연 양을 측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관능검사에 사용할 수 있는 가시부류연 양 평가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눈으로 본 가시부류연 양과 도 1에 나타낸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에 의한 검출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이후 상술하는 실시예 1의 권지에 의해 권장한 궐련의 피쉬테일법에 의한 부류연 양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이후 상술하는 실시예 1의 권지에 의해 권장한 궐련의 도 1에 나타낸 장치에 의한 가시부류연 양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이후 상술하는 실시예 2의 권지에 의해 권장한 궐련의 피쉬테일법에 의한 부류연 양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이후 상술하는 실시예 2의 권지에 의해 권장한 궐련의 도 1에 나타낸 장치에 의한 가시부류연 양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이후 상술하는 실시예 3의 권지에 의해 권장한 궐련의 피쉬테일법에 의한 부류연 양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10은, 이후 상술하는 실시예 3의 권지에 의해 권장한 궐련의 도 1에 나타낸 장치에 의한 가시부류연 양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끽연물품용 권지에 사용되는 펄프는, 통상의 끽연물품(특히, 궐련)용 권지에 사용되고 있는 아마펄프, 목재펄프 등으로 구성된다. 펄프의 양은, 초지상 또는 담배의 권상에 필요로 되는 강도를 유지하는 양이 실용적이고, 바람직하게는 20∼50g/㎡이다.
본 발명의 끽연물품용 권지는, 상기 펄프에 탄산칼슘을 특정 양 이상 함유하고, 또한 연소조절제를 특정 비율 이상으로 첨가한 것이다. 탄산칼슘은, 30g/㎡ 이상, 50g/㎡ 이하의 양으로 배합되고, 연소조절제는 권지중에 3∼15중량% 이상의 비율로 배합된다. 탄산칼슘의 양이 30g/㎡ 미만인 경우, 및/또는 연소조절제의 비율이 3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시부류연 양의 저감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탄산칼슘은, 입자의 형태로 첨가되고, 그 입경은 비용, 초지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0.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권지는 50g/㎡∼100g/㎡의 평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조절제로서는, 시트르산알칼리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칼륨 및 시트르산나트륨이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장망초지기(長網抄紙機)로 제조한 전료 내첨지(塡料內添紙)는, 지층(紙層) 형성시의 와이어측으로부터의 탈수에 따라서, 펠트측에 비하여 와이어측이 전료가 적게 되므로, 종이의 두께방향(Z방향이라고도 한다)에 있어서 종이 중의 전료와 섬유의 분포에 편차가 생겨, 이면성을 갖는 종이시트로 된다. 이 이면성 은 인쇄용 종이의 분야에서는 인쇄품질이나 용지의 특성의 면에서 결점으로 되는 경우가 있지만, 종래의 권지에서는 이 이면성은 궐련 연소시의 재의 수렴성(收斂性)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밖의 영향은 거의 문제로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당히 많은 전료를 함유하는 권지를 종래의 장망초지기로 제조하면, 펠트측 표면에 다량으로 함유된 전료가 궐련제조시에 탈락하고, 종이가루가 날리는 문제점이나 랩(wrap) 불량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쉽게 되어, 고속에서의 궐련제조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권지에 포함되는 종이중 전료량을 유지한 채, 표면 가까이에 분포하는 전료만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권지에 포함되는 종이중 전료량을 유지한 채, 표면 가까이에 분포하는 전료만을 적게 하는 수단으로서, 양면 탈수형 와이어파트에 의한 지층형성의 초지장치를 들 수 있다. 양면 탈수형 와이어파트로는 트윈와이어식 와이어파트가 있고, 트윈와이어머신 및 장망초지기의 일부를 트윈와이어화한, 소위 온탑(on top)형 와이어 또는 하이브리드형 와이어라 불리우는 와이어파트를 구비한 초지기를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장망초지기에 있어서는 지층형성시의 탈수는 와이어측에서만 행해지지만, 트윈와이어식에서는 초지용 지료의 상하에 접하는 2장의 와이어로부터의 탈수에 의한 지층형성이 행해지므로, 권지 표면의 전료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인 장망초지기에서 제조된 권지에서는 펠트면의 전료 함유량이 가장 높고, 와이어면으로 향하여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트윈와이어식 초지기에서 제조된 권지는 지층 내부와 표면층의 전료 함유량의 차이가 작고, 지층 전체의 전료 함유량과 각층의 전료 함유량의 차이는 상당히 작은 것으로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권지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전체 질량의 18∼20중량%에 상당하는 부분을 표면층이라 정의하고, 그의 회분을 표면층의 회분으로서 나타낸다. 또한, 권지의 표리의 두개의 표면을, 일반적으로 종래의 장망초지기에서 제조된 경우는, 각각 펠트측, 와이어측으로, 트윈와이어식 초지기에서 제조된 경우는, 각각 탑와이어측, 보톰와이어측으로 나누어 불리우지만, 본 발명에서는 펠트측 및 탑와이어측을 탑사이드, 와이어측 및 보톰와이어측을 보톰사이드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권지의 탑사이드 및 보톰사이드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층의 회분이 3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권지의 탑사이드 및 보톰사이드의 표면층의 회분이, 모두 35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표면층의 회분은, 권지시료를 두께방향으로 수회 분할하고, 시료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의 전체의 질량의 18∼20중량%에 상당하는 표면층의 회분을 JIS P 8128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개략은 이하와 같다.
권지로부터 40mm×200mm의 시료를 채취하여 질량을 측정한다. 시료의 표면에 점착테이프(폭 50mm, tesa #4267)를 시료의 길이방향으로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공기층이 없도록 접합시키고, 시료보다 폭 방향으로 삐져나온 부분의 점착테이프를 잘라낸 후, 점착테이프의 위로부터 하중을 가하여 잘 밀착시킨다. 점착테이프를 접합시킨 시료의 질량을 다시 측정하여 점착테이프의 질량을 구한다. 다음에 시료의 반대면에도 점착테이프를 접합시키고, 점착테이프에 끼워진 시료를 점착테이프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이분할한다. 분할은 T자형 박리, 요컨대 점착테이프에 끼워진 시료를 수직으로 하고, 일정속도로 천천히 수평으로 박리시킨다. 제1회째의 박리시료의 박리면에 다시 점착테이프를 접합시키는 동일한 순서를 반복하여, 표면층의 질량이 원래의 시료의 질량의 18∼20중량%로 될때까지 행한다. 얻어진 표면층은 1시료당 10점을 합쳐서 점착테이프와 함께 900℃에서 강열하고, JIS P 8128에 준하여 회분을 구하고, 점착테이프의 회분으로 보정하여, 표면층의 회분치로서 나타낸다. 또한, 이것과는 별도로 분할하기 전의 시료의 회분을 전체 회분치로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끽연물품(특히, 궐련)용 권지는, 종래의 권지보다도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대폭 저감시킨다. 가시부류연 양의 측정은, 관능검사에 의해 행할 수 있지만, 간편하게는 일본국 특원 제2000-268910호에 개시한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본국 특원 제2000-268910호에 개시한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동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10)는 끽연물품의 자연연소실(11)과, 끽연물품의 자연연소에 의해 발생하여 자연연소실(11)내를 자연스럽게 피어오르는(상승한다) 부류연에 대해 그 흐름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가시광빔을 조사하기 위한 가시광 조사유닛(12)과, 부류연에 의해 가시광빔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란된 산란광의 강도를 가시부류연 양의 지표로서 검출하기 위한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을 구비한다.
자연연소실(11)은, 차광성 재료로 구성되고, 예컨대 4개의 측벽(11a∼11d)에 의해 규정되는 세로방향으로 긴 직방체 형상의 통체(筒體)로 이루어진다. 그 1개의 측벽(11a)의 하부에는 착화한 궐련 등의 끽연물품(SA)를 자연연소실(11)내에 장입하기 위한 끽연물품 삽입구(111)가 설치되어 있다. 자연연소실(11)을 규정하는 4개의 측벽(11a∼11d)의 각각의 가장 하단부에는, 끽연물품(SA)의 자연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자연연소실(11)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예컨대 메쉬창과 같은 통기창(112∼115)이 설치되어 있다. 끽연물품의 삽입구(111)는, 삽입구(111)를 통하여 자연연소실(11)내로 장입되는 끽연물품(SA)으로부터의 부류연(SSS)이 통기창(112∼115)을 통하여 자연연소실(11)내로 들어가는 외부의 공기의 흐트러뜨림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끽연물품(SA)으로부터 자연연소실(11)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부류연(SSS)이 실질적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충분한 것으로 되는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창(112∼115)에 의해 둘러싸여진 자연연소실(11)의 저부공간에는, 끽연물품의 자연연소에 의해 자연연소실(11)내를 피어오르는 부류연(SSS)의 흐름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유리비즈를 충전하여 공기흐름 정류층(整流層)을 형성할 수 있다. 자연연소실(11)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이 개방단에는, 자연연소실(11)의 배기를 행하기 위하여 배기후드(15)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자연연소실(11)의 배기는, 끽연물품(SA)의 자연연소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배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끽연물품의 자연연소에 의해 자연연소실(11)내를 자연스럽게 피어오르는 부류연(SSS)의 흐름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자연연소실(11)의 상부개방단을 횡단하여 정류필터(16)를 부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배기후드(15)의 정수리부에는 배기덕트(151)가 설치되고, 이 배기덕트(151)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계에 접속된다.
가시광 조사유닛(12)은, 자연연소실(11)의 외측에,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끽연물품(SA)이 삽입되는 자연연소실(11)의 측벽(11a)과 대향하는 측벽(11b)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시광 조사유닛(12)에 대향하는 측벽(11b)의 부분에는, 가시광 투과창(116)이 설치되어 있다. 가시광 조사유닛(12)은, 도시하지 않은 가시광원을 갖고, 끽연물품(SA)의 자연연소에 의해 발생하여 자연연소실(11)내를 자연스럽게 피어오르는 부류연(SSS)에 대해 그 흐름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시광빔(VLB)을 조사한다. 가시광원으로서는, 가시광을 발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가시광레이저, 가시발광 다이오드, 할로겐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되어 있는 A광원이 사용된다.
가시광 조사유닛(12)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빔(가시광속)(VLB)은, 자연연소실(11)내를 자연스럽게 피어오르는 상승하는 부류연(SSS)에 대하여 그것이 다소 흔들리더라도 충분히 커버하여 가시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단면을 갖는다. 예컨대, 가시광빔(VLB)은 조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w)(도 2)을 갖고, 또한 인간의 시야를 고려하여 관능평가의 경우의 시야에 맞도록, 가시광빔(VLB)의 조사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높이를 갖는 곱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폭(w)은, 가시광빔의 조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가시부류연(SSS)의 흔들리는 폭과 적어도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시광빔의 단면은, 곱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원형 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가시광빔 의 형상부여는, 가시광빔의 단면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혹은 예컨대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렌즈계를 사용하는 등 그 자체로 이미 알려진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가시광 조사유닛(12)과 대면하여 자연연소실(11)의 외측에,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측벽(11a)의 외측에,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가시광 조사유닛(12)으로부터 나와 부류연(SSS)를 투과한 광을 모두 흡수ㆍ제거하기 위한 광흡수유닛(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흡수유닛(13)에 대향하는 측벽(11a)의 부분에는, 가시광 투과창(117)이 설치되어 있다.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은, 가시광 조사유닛(12)으로부터의 조사광선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자연연소실(11)의 외측에,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측벽(11d)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에 대향하는 측벽(11d)의 부분에는, 가시광 투과창(118)이 설치되어 있다.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부류연(SSS)에 조사되어 부류연(SSS)에 의해 산란된 광 중에서, 가시광빔(VLB)의 조사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산란한 산란광(이하, 90도 산란광이라 한다)(SLV)의 강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은, 90도 산란광(SLV)을 집광하기 위한, 그 자체로 이미 알려진 광학계(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그 집광된 90도 산란광(SLV)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기변환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광/전기변환장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광을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포토멀티플라이어(photomultipli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변환시킨 전압신호는 예 컨대, A/D변환한 후,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데이터샘플링할 수 있다. 데이터취득간격 및 취득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0.2초 간격으로 300점의 측정을 1분간에 행할 수 있다.
이 검출된 90도 산란광(SLV)의 강도는, 가시부류연 양과 상당히 잘 상관하고, 검출된 90도 산란광강도가 강할수록, 가시부류연 양이 상대적으로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90도 산란광강도는 부류연 중의 전체 입상물질의 양과는 상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시광 조사유닛(12)과 가시광 투과창(116)의 사이, 광흡수유닛(13)과 가시광 투과창(117)의 사이 및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과 가시광 투과창(118)의 사이에는, 각각, 각 가시광 투과창으로부터 외부의 미주광(迷走光)이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미주광 차폐박스(17∼1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장치(10)의 전체 사이즈 등의 대표예를 나타내면, 자연연소실(11)은, 11cm×11cm로 높이가 80cm의 직방체이고, 끽연물품장입구(111)는 자연연소실(11)의 하단으로부터 50cm의 위치에 설치되고, 끽연물품(SA)으로부터 가시광빔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10cm이고, 가시광 조사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빔은 5cm×5cm의 크기의 단면을 갖는다.
본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에서 검출된 90도 산란광강도를, 90도 산란광강도와 눈으로 본 가시부류연 양과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가시부류연 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테이블 수단(2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테이블 수단에는, 미리 구해둔 90도 산란광강도와 눈으로 본 가시부류연 양과의 상관관계가 변환식, 검량선 등으로서 입력되어 있고, 산란광강도 검출유닛(14)으로부터 출력된 90도 산란광강도 신호를 가시부류연 양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90도 산란광강도와 눈으로 본 가시부류연 양과의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수의 궐련 등의 끽연물품의 가시부류연 양을 2점 비교법에 의한 관능검사로 평가하여 가시부류연 양을 수치화한다. 동일한 끽연물품에 관해서 본 장치에 의해 검출한 90도 산란광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가시부류연 양을 예컨대 세로축으로, 90도 산란광강도를 예컨대 가로축으로 취하여, 얻어진 측정치를 플롯(plot)함으로써 검량선을 얻을 수 있다. 이 검량선에 근거하여, 90도 산란광강도로부터 가시부류연양으로의 변환식을 구할 수도 있다.
2점 비교법에 의한 관능검사는,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가시부류연 양 평가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즉, 2개의 좌우대칭의 자연연소챔버(31 및 32)내에서 표준궐련(CIG1) 및 대상궐련(CIG2)을 자연연소시키고, 5점이라는 득점을 부여한 표준궐련(CIG1)에 대해서, 대상궐련(CIG2)의 부류연 양이 0∼10점의 사이의 척도에서 어느 정도로 관찰되는가 하는 질문형식을 채택하는 것이다. 각 챔버(31, 32)에는, 일정한 세로방향폭을 갖는 엿보기 창(311 및 321)이 설치되어 있고, 각 챔버의 상부에 가시광원(33 및 34)이 설치되어 있다. 엿보기 창(311, 321)의 세로방향폭은, 본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의 가시광 조사유닛(12)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빔의 상기 높이에 상당하고, 궐련(CIG1, CIG2)으로부터 엿보기 창(311, 321)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본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의 가시광 조사유닛(12)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빔 하단의 끽연물품(SA)으로부터의 거리에 상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 광원(33 및 34)으로부터의 가시광은, 위쪽으로부터 부류연(SS1 및 SS2)에 조사되고, 부류연(SS1, SS2)은 각각 엿보기 창(311 및 321)으로부터만 관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도 3에 나타낸 가시부류연 양 평가장치를 사용하여 1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15종의 궐련의 가시부류연 양 상당치를 전술한 2점 비교법에 의해 관능검사로 평가하고, 얻어진 득점의 평균치를 각각의 궐련의 득점으로 하고, 가장 높은 득점을 나타낸 궐련의 가시부류연 양 상당치를 1로 정의하여, 각 궐련의 가시부류연 양 상당치를 정규화하였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같은 15종의 궐련의 부류연 양에 관한 90도 산란광강도를 전압(볼트)으로서 검출하고, 앞의 관능검사에 있어서 1로 정의한 궐련의 전압데이터가 1로 되도록 각 궐련의 전압치를 정규화하였다. 가로축에 정규화된 산란광강도를 채택하고, 세로축에 정규화된 관능검사에 의한 부류연 양 상당치를 채택하고, 각각의 데이터를 플롯(plot)한 결과, 도 4에 나타낸 그래프를 얻었다. 도 4로부터, 본 가시부류연 양 측정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90도 산란광강도는, 관능검사에 의한 가시부류연 양과 상당히 잘 상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펄프량을 30g/㎡로 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가량을 변화시켜 탄산칼슘을 배합하고, 시트르산칼륨을 약 4.5중량% 첨가한 권지를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사용한 펄프는 아마펄프이고, 사용한 탄산칼슘은 통상 사용되는 칼사이트형 방추형 탄산칼슘(입자경 3.0㎛)이다. 얻어진 권지를 사용하여 궐련을 작성하였다. 궐련의 사이즈는 통상 FK사이즈로 불리우는 원주 24.9mm, 감은 길이 59mm, 필터 길이 25mm, 칩페이퍼 길이 32mm이었다. 사용한 담배살은 통상의 시판품으로 사용되는 아메리칸ㆍ블렌드타입으로, 충전량은 0.580g/개피이다. 이들 궐련은 22℃ 60% 상대습도에서 조화후, 1개피당 중량으로 0.885±0.01g으로 중량선별한 후에 시험에 제공하였다.
선별한 각 궐련에 관해서, 연소길이 49mm에서 자연연소시키고, 피쉬테일법에 의해 측정한 연소시간, 1개피당의 부류연 양 및 시간당의 부류연 양을 표 1에 병기한다. 또한, 1개피당의 부류연 양에 관해서는 도 5에도 나타내었다. 또한, 각 궐련에 관해서 가시부류연 양을 도 2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병기함과 동시에, 도 6에도 나타내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피쉬테일법에 의한 시간당의 부류연 양은, 탄산칼슘이 적은 경우는 1개피당의 부류연 양이 많지만(도 5) 연소시간이 현저하게 길기 때문에 적고, 탄산칼슘이 많은 경우는 연소시간이 짧지만 1개피당의 부류연 양이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도 5) 적게 되지만, 현저하게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시부류연 양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산칼슘을 30g/㎡ 이상 권지에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급격하게 저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3042410479-pct00001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시부류연 양이 현저하게 저감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탄산칼슘 35g/㎡의 권지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량을 변화시켜 시트르산칼륨을 첨가한 권지를 작성하였다.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피쉬테일법에 의해 측정한 연소시간, 1개피당의 부류연 양 및 시간당 부류연 양을 표 2에 병기한다. 또한, 1개피당의 부류연 양에 관해서는 도 7에도 나타내었다. 또한, 각 궐련에 관해서 가시부류연 양을 도 2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결과를 표 2에 병기함과 동시에, 도 8에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피쉬테일법에 의한 시간당의 부류연 양은, 시트르산칼륨 양이 적은 경우는 연소시간이 길지만, 1개피당의 부류연 양이 현저하게 많기 때문에(도 7) 많고, 시트르산칼륨 양을 증가하면 연소시간이 짧게 되지만, 1개피당의 부류연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도 7) 적게 되지만, 감소율은 현저하지는 않다. 그러나, 가시부류연 양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르산칼륨을 3% 이상 권지에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3042410479-pct00002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시부류연 양이 현저하게 저감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탄산칼슘 30g/㎡의 권지에,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량을 변화시켜 시트르산칼륨을 첨가한 권지를 작성하였다.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피쉬테일법에 의해 측정한 연소시간, 1개피당의 부류연 양 및 시간당의 부류연 양을 표 3에 병기한다. 또한, 1개피당의 부류연 양에 관해서는 도 9에도 나타내었다. 또한, 각 궐련에 관해서 가시부류연 양을 도 2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결과를 표 3에 병기함과 동시에, 도 10에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피쉬테일법에 의한 시간당의 부류연 양은, 시트르산칼륨 양이 적은 경우는 연소시간이 길지만, 1개피당의 부류연 양이 현저하게 많기 때문에(도 9) 많고, 시트르산칼륨 양을 증가함에 따라서 연소시간이 짧게 되지만, 1개피당의 부류연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도 9) 적게 되지만, 감소율은 크지 않다. 이에 대해서, 가시부류연 양 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르산칼륨을 권지에 3% 이상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3042410479-pct00003
참고예 2
하기 표 4에 나타낸 전체 회분으로 되도록 한 권지 A∼C를 제조하였다.
권지 A는 목재펄프에 전료로서 탄산칼슘이 첨가되고, 와이어파트의 일부를 트윈와이어화한 장망초지기로 제조한 권지이다. 또한, 권지 B는 권지 A보다도 탄산칼슘의 첨가량을 더 많게 한 것 이외에는 권지 A와 동일하게 제조한 권지이다. 또, 권지 C는 통상의 장망초지기로 탄산칼슘 함유량이 권지 A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조한 권지이다. 표면층 및 시료 전체의 회분의 측정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42410479-pct00004
와이어파트의 일부를 트윈와이어화한 장망초지기로 제조된 권지 A 및 권지 B에서는 궐련제조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표면부근의 회분이 35%를 넘는 권지 C에서는 궐련제조시에 종이 표면으로부터 전료의 탈락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탈락한 종이가루가 분진으로 되거나 궐련의 랩(wrap) 불량을 일으키는 등으로 인해 제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표면층의 회분이 35%를 넘는 권지는 궐련제조상의 적성이 낮은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끽연물품의 육안관찰에 의한 부류연 양을 유의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끽연물품용 권지가 제공된다.

Claims (6)

  1. 권지중에 탄산칼슘을 30~50g/㎡, 연소조절제를 3~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권지의 탑사이드 및 보톰사이드의 적어도 편측의 표면층의 회분이 권지의 전체 회분보다도 적고, 또한 35중량% 이하인,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가 시트르산칼륨 및 시트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권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권지의 탑사이드 및 보톰사이드의 표면층의 회분이, 모두 35중량% 이하인 권지.
KR1020037014640A 2001-05-16 2002-05-14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 KR100632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6537 2001-05-16
JPJP-P-2001-00146537 2001-05-16
PCT/JP2002/004650 WO2002092913A1 (fr) 2001-05-16 2002-05-14 Papier pour articles a fumer reduisant la quantite de fumee laterale visi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351A KR20030093351A (ko) 2003-12-06
KR100632280B1 true KR100632280B1 (ko) 2006-10-11

Family

ID=1899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640A KR100632280B1 (ko) 2001-05-16 2002-05-14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40094174A1 (ko)
EP (1) EP1403432B1 (ko)
JP (1) JP3897700B2 (ko)
KR (1) KR100632280B1 (ko)
CN (1) CN1287048C (ko)
AT (1) ATE537299T1 (ko)
CA (1) CA2447597C (ko)
DK (1) DK1403432T3 (ko)
ES (1) ES2377395T3 (ko)
PT (1) PT1403432E (ko)
RU (1) RU2264765C2 (ko)
TW (1) TWI308186B (ko)
WO (1) WO20020929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00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발삼계 향이 첨가된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9363T3 (es) * 2008-02-22 2016-02-11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Áreas tratadas en una envoltura para reducir de las características de predisposición a la ignición de un artículo para fumar
EP2278069B8 (en) * 2008-05-16 2016-07-13 Japan Tobacco, Inc. Process for producing cigarette paper having low ignition propensity
WO2012133797A1 (ja) 2011-03-31 2012-10-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可視副流煙量と主流煙中一酸化炭素量を減少させるシガレット巻紙およびシガレット
ES2393460B1 (es) 2011-06-09 2013-10-18 Miquel Y Costas & Miquel, S.A. Composición para recubrimiento de una envoltura de papel de artículos de fumar
US10182593B2 (en) 2011-08-01 2019-01-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rous catalytic matrices for elimination of toxicants found in tobacco combustion products
US9307790B2 (en) 2011-08-01 2016-04-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rous catalytic matrices for elimination of toxicants found in tobacco combustion products
ES2402151B1 (es) * 2011-10-17 2014-02-28 Miquel Y Costas & Miquel, S.A. Procedimiento de impresión monocapa de papel para artículos de fumar.
KR102220688B1 (ko) 2012-07-04 2021-03-0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선된 결합제를 갖는 가연성 열원
KR102173454B1 (ko) 2012-10-11 2020-11-04 슈바이쳐-모뒤 인터내셔널, 인크. 감소된 발화 성향 특징을 갖는 래퍼
EP3085250A1 (en) * 2015-04-23 2016-10-26 Fontem Holdings 1 B.V. Process of testing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JP5997356B1 (ja) * 2015-10-08 2016-09-28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喫煙物品用巻紙
KR102402062B1 (ko) * 2020-01-03 2022-05-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곡물 허스크가 함유된 흡연물질 래퍼와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상기 흡연물품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543A (en) * 1989-06-05 1991-03-12 Goodman Barbro L Smoking article exhibiting reduced sidestream smoke, and wrapper paper therefor
NO177624C (no) * 1989-10-31 1995-10-25 Philip Morris Prod Papirhylster for en rökeartikkel og anvendelse av dette
US5060674A (en) * 1990-01-12 1991-10-29 Kimberly-Clark Corporation Sidestream smoke reducing cigarette paper with improved physicals and improved sidestream odor/aroma
US5263500A (en) * 1991-04-12 1993-11-23 Philip Morris Incorporated Cigarette and wrapper with controlled puff count
US5253660A (en) * 1992-04-24 1993-10-19 P. H. Glatfelter Company Reduced sidestream smoke smoking article wrappers, methods of making such wrappers and smoking articles made from such wrappers
CA2204436C (en) * 1995-09-07 2002-10-01 Akira Yamazaki Cigarette paper for tobacco products
WO2001008514A1 (en) * 1999-07-28 2001-02-08 Philip Morris Products Inc. Smoking article wrapper with improved filler
US6314964B1 (en) * 1999-09-15 2001-11-13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Cigarette paper containing carbon fibers for improved ash characterist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00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발삼계 향이 첨가된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7395T3 (es) 2012-03-27
CN1287048C (zh) 2006-11-29
RU2264765C2 (ru) 2005-11-27
EP1403432A4 (en) 2009-12-23
TWI308186B (en) 2009-04-01
EP1403432B1 (en) 2011-12-14
CN1509363A (zh) 2004-06-30
CA2447597C (en) 2013-03-05
JP3897700B2 (ja) 2007-03-28
US20040094174A1 (en) 2004-05-20
WO2002092913A1 (fr) 2002-11-21
PT1403432E (pt) 2012-02-09
DK1403432T3 (da) 2012-02-27
CA2447597A1 (en) 2002-11-21
JPWO2002092913A1 (ja) 2004-09-02
KR20030093351A (ko) 2003-12-06
RU2003136159A (ru) 2005-03-27
ATE537299T1 (de) 2011-12-15
EP1403432A1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280B1 (ko) 담배 가시부류연 양을 저감시키는 끽연물품용 권지
JP3001582B2 (ja) 喫煙物
US4721120A (en) Smoking articles
JP4681547B2 (ja) 一酸化炭素送達量が低減された喫煙物
EP1450632B1 (en) Cigarette paper with reduced carbon monoxide delivery
LT3011B (lt) Rukymo gaminys
JP2001159098A (ja) 減坪量のシガレットペーパー
KR100259781B1 (ko) 시가렛트 페이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제품
US20130247925A1 (en) Cigarette paper and cigarette reducing visible sidestream smoke amount and carbon monoxide amount in mainstream smoke
KR101201155B1 (ko) 저연소성의 궐련용 권지
JP3910916B2 (ja) 喫煙物品用巻紙
CN103002758A (zh) 在热分解过程中具有高扩散能力的香烟纸
CA2053534A1 (en) Wrapper for a smoking article
RU2687678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покрывающей ободок лентой
TW201422165A (zh) 雙重紙包香煙
US20150090284A1 (en) Cigarette Paper Comprising Flaky Filler
JP2002082053A (ja) 喫煙物品の可視副流煙量測定装置
US5121759A (en) Wrapper for smoking article, smoking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050223B1 (en) Low sub-flow smoke type cigarette
RU63180U1 (ru) Сигарета
JPS6055115B2 (ja) タ−ル生成量の減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