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548B1 -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548B1
KR100631548B1 KR1020040098192A KR20040098192A KR100631548B1 KR 100631548 B1 KR100631548 B1 KR 100631548B1 KR 1020040098192 A KR1020040098192 A KR 1020040098192A KR 20040098192 A KR20040098192 A KR 20040098192A KR 100631548 B1 KR100631548 B1 KR 100631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frigerant
pressure
cool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300A (ko
Inventor
오세기
송치우
김주원
장세동
정백영
박봉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548B1/ko
Priority to DE602005002220T priority patent/DE602005002220T2/de
Priority to EP05025348A priority patent/EP1666815B1/en
Priority to CNB200510127224XA priority patent/CN100344916C/zh
Priority to US11/286,354 priority patent/US20060112712A1/en
Publication of KR2006005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4Refrigerant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감압되도록 하는 감압탱크와; 상기 감압탱크의 일측에 상기 감압탱크와 높이차를 가지도록 상기 감압탱크의 하측에 상기 감압탱크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감압탱크의 냉매가 감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감압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가압탱크의 냉매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탱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설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냉매 충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열구동형 공기조화기{THERMAL DRIVING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의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도 2의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난방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실내기 13 : 실내열교환기
15 : 실내팽창장치 21 : 감압탱크
23 : 격막 25 : 액냉매유로
27 : 액냉매유로개폐밸브 28 : 냉매수위감지센서
31 : 연결관 33 : 연결관개폐밸브
35 : 평압관 37 : 평압관개폐밸브
41 : 가압탱크 45 : 냉방유로개폐밸브
49 : 난방유로개폐밸브 51 : 압축기
52 : 가열부 53 : 제1사방밸브
54 : 냉각부 55 : 실외열교환기
61 : 제2사방밸브 65 : 제어부
본 발명은,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냉매 충전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구동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113)를 구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배치되는 실내기(111)와, 실내기(111)의 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실내기(111)로부터 유출된 냉매가 일시 수용 저장되는 흡입탱크(121)와, 실내기(111)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실내기(111)로 냉매를 제공하는 토출탱크(141)와, 흡입탱크(121) 및 토출탱크(141)의 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중간탱크(131)와, 흡입탱크(121) 및 토출탱크(141)와 열교환하도록 구비되는 열원사이클(150)을 구비하고 있다.
열원사이클(15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51)와, 압축기(151)의 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토출탱크(141)와 열교환가능하게 설치되는 응축기(153)와, 흡입탱크(121)와 열교환가능하게 설치되는 증발기(155)와,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증발기(155)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실외팽창장치(157)로 구성되어 있 다.
한편, 흡입탱크(121)와 중간탱크(131) 및 토출탱크(141)는 내부에 수용되는 냉매가 중력에 의해 흡입탱크(121), 중간탱크(131) 및 토출탱크(141) 순으로 유동될 수 있게 서로 높이 차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흡입탱크(121)와 중간탱크(131)의 상부영역에는 제1평압관(123)이 상호 연통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흡입탱크(121) 및 중간탱크(131)의 하부영역에는 흡입탱크(121)의 냉매가 중간탱크(131)로 유동될 수 있도록 제1연결관(125)이 결합되어 있다.
중간탱크(131)와 토출탱크(141)의 각 상부영역에는 제2평압관(133)이 상호 연통되게 제2평압관(133)이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탱크(131) 및 토출탱크(141)의 하부영역은 제2연결관(135)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제1평압관(123) 및 제2평압관(133)과 제1연결관(125) 및 제2연결관(135)에는 해당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37)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응축기(153)와 열교환된 토출탱크(141)의 내부의 냉매는 가압되어 실내기(111)로 유동되고 실내열교환기(113)에서 열교환되면서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을 수행한 냉매는 흡입탱크(121)로 유동되어 흡입탱크(121)의 내부에 수용된다. 흡입탱크(121)의 내부의 냉매는 증발기(155)와 열교환되어 응축되고, 흡입탱크(121)의 내부의 저부에는 액냉매가 축적된다.
한편, 흡입탱크(121)의 내부에 일정량 이상 액냉매가 축적되면 제1평압관(123) 및 제1연결관(125)의 각 개폐밸브(137)를 제어하여 유로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면 흡입탱크(121)의 내부의 액냉매는 높이차에 의해 제1연결관(125)을 따라 중 간탱크(131)의 내부로 유동된다. 흡입탱크(121)의 냉매가 중간탱크(131)로 유동되면 각 개폐밸브(137)를 제어하여 제1평압관(123) 및 제1연결관(125)이 차단되도록 하고, 제2평압관(133) 및 제2연결관(135)이 개방되도록 한다. 중간탱크(131)의 액냉매는 높이차에 의해 토출탱크(141)로 유동되고, 유동이 완료되면 제2평압관(133) 및 제2연결관(135)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흡입탱크(121)의 냉매가 중력에 의해 중간탱크(131)를 경유하여 토출탱크(141)로 유동되도록 흡입탱크(121)와, 중간탱크(131) 및 토출탱크(141)는 서로 높이차를 두고 설치해야하므로 설치 높이가 증가되어 설치 시 장소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탱크(121), 중간탱크(131) 및 토출탱크(141)의 내부에 적정량의 냉매를 충전해야 하므로 전반적인 냉매 충전량이 증가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냉매 충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감압되도록 하는 감압탱크와; 상기 감압탱크의 일측에 상기 감압탱크와 높이차를 가지도록 상기 감압탱크의 하측에 상기 감압탱크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가압 되도록 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감압탱크의 냉매가 감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감압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가압탱크의 냉매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탱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압탱크의 내부 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격막과, 상기 격막의 상측 공간의 액냉매가 상기 격막의 하측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액냉매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냉매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격막의 하측 공간의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격막은 기체상태의 냉매의 통과를 허용하고 액체상태의 냉매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은 상기 감압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탱크의 내부의 액냉매가 상기 가압탱크로 유동되도록 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연결관개폐밸브와, 일측은 상기 감압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탱크에 연결되는 평압관과, 상기 평압관을 개폐하는 평압관개폐밸브와, 상기 감압탱크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하는 냉매수위감지센서와, 상기 냉매수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관개폐밸브 및 상기 평압관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측은 상기 가압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냉방유로와, 상기 냉방유로를 개폐하는 냉방유로개폐밸브와, 일측은 상기 가압탱크의 상부영역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난방유로와, 상기 난방유로를 개폐하는 난방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냉방유로개폐밸브 및 난방유로개폐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에 제공되도록 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냉각부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실외팽창장치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제1사방밸브 및 제2사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여 상기 냉각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1사방밸브 및 상기 제2사방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의 열구동형 공기조화기의 난방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구동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13)를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11)와, 실내기(11)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감압되도록 하는 감압탱크(21)와, 감압탱크(21)의 일측에 감압탱크(21)와 높이차를 가지도록 감압탱크(21)의 하측에 감압탱크(21)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탱크(41)와, 감압탱크(21)의 냉매가 감압될 수 있도록 감압탱크(21)를 냉각시키는 냉각부(54)와, 가압탱크(41)의 냉매가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탱크(41)를 가열하는 가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11)는,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3)의 일측에 냉매가 감압팽창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실내팽창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11)의 유출측 냉매관(17)은 감압탱크(21)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유출측 냉매관(17)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8)가 구비되어 있다.
감압탱크(2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격막(23)이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격막(23)은 기체상태의 냉매는 통과할 수 있고 액체상태의 냉매는 통과할 수 없는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미세공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격막(23)에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격막(23)의 하측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액냉매유로(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액냉매유로(25)에는 액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밸브(27)가 구비되어 있다. 격막(23)에 의해 구획된 상측 공간의 일측에는 실내기(11)를 통과한 냉매가 격막(23)에 의해 구획된 상측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실내기(11)의 유출측 냉매관(17)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감압탱크(21)의 내부에는 격막(23)의 하측 공간의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하는 냉매수위감지센서(28)가 설치되어 있으며, 감압탱크(21)의 저부에는 격막(23)의 하측 공간의 액냉매가 가압탱크(41)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가압탱크(41)에 연결 된 연결관(31)의 타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관(31)의 일측에는 가압탱크(41)와 감압탱크(21)의 내부의 압력이 평형이 될 수 있도록 평압관(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관(31) 및 평압관(35)에는 감압탱크(21)의 내부와 가압탱크(41)의 내부가 서로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각 유로를 개폐하는 연결관개폐밸브(33) 및 평압관개폐밸브(3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압탱크(41)의 저부에는 냉방 시 내부의 냉매가 실내기(11)로 유동될 수 있도록 냉방유로(4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탱크(41)의 상부에는 난방 시 내부의 냉매가 실내기(11)로 유동될 수 있도록 난방유로(47)가 형성되어 있다. 냉방유로(43) 및 난방유로(47)에는 해당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냉방유로개폐밸브(45) 및 난방유로개폐밸브(49)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난방유로(47) 및 냉방유로(43)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냉방유로개폐밸브(45)의 하류측에서 서로 합류되어 있다.
한편, 가압탱크(41)의 내부에는 내부를 가열하여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도록 하는 가열부(52)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부(52)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면서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가열부(52)의 하류측에는 가열부(52)를 통과한 냉매가 감압팽창될 수 있도록 실외팽창장치(63)가 설치되어 있다.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실외팽창장치(63)의 하류측에는 감압탱크(21)의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를 냉각하는 냉각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부(54)는 냉매가 유동되면서 잠열을 흡수하는 열교환기의 형태로 구성되고 격막(23)에 의해 구획된 상측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가압탱크(41) 및 감압탱크(21)의 일측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가열부(52) 및 냉각부(54)로 제공하는 압축기(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51)의 토출측에는 냉매의 유로를 절환할 수 있도록 제1사방밸브(53)가 구비되어 있다. 제1사방밸브(53)에는 압축기(51)에 기체상태의 냉매가 흡입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59)와, 냉방 시 압축기(51)에 의해 압축되어 토출되는 냉매가 방열되는 실외열교환기(55)와, 제1사방밸브(53)와 연동되어 냉매가 가열부(52)를 경유하여 냉각부(54)로 유동되도록 유로를 절환하는 제2사방밸브(61)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실외열교환기(55)의 일측에는 실외열교환기(55)의 방열이 촉진되도록 실외열교환기팬(5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65)에는 실내기(11)에서 운전 모드에 따라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고, 냉방 또는 난방 작용을 수행한 후 감압탱크(21)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가압탱크(41)로 유동될 수 있도록 냉매수위감지센서(28)와, 연결관개폐밸브(33) 및 평압관개폐밸브(37)와, 냉방유로개폐밸브(45) 및 난방유로개폐밸브(49)와, 제1사방밸브(53) 및 제2사방밸브(61)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냉방 운전 시 제어부(6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방밸브(53) 및 제2사방밸브(61)를 제어하여 압축기(51)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냉매가 실외열교환기(55)를 경유하도록 함과 동시에 난방유로개폐밸브(49) 및 냉방유로개폐밸브(45)를 제어하여 난방유로(47)는 차단되고 냉방유로(43)가 개방되도록 한다.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55)를 경유하여 가열부(52)로 유입된다. 가열부(52)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실외팽창장치(63)를 거치면서 감압팽창되고, 냉각부(54)에서 주변의 잠열을 흡수하여 감압탱크(21)의 내부를 냉각시키게 된다. 냉각부(54)를 통과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59)를 경유하여 압축기(51)로 흡입되어 압축 및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가열부(52)에 의해 가압된 가압탱크(41)의 내부의 냉매는 냉방유로(43)를 따라 유동되고, 실내팽창장치(15)를 거치면서 감압 팽창되고 실내열교환기(13)에서 주변의 잠열을 흡수하는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냉각작용을 수행한 냉매는 유출측 냉매관(17)을 따라 감압탱크(21)의 내부 격막(23)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중 기체 상태의 냉매는 냉각부(54)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되고, 액냉매는 액냉매유로(25)를 따라 격막(23)의 하측 공간으로 유동되어 축적된다.
냉매수위감지센서(28)에 의해 냉매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65)는 평압관개폐밸브(37) 및 연결관개폐밸브(33)를 제어하여 감압탱크(21) 및 가압탱크(41)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가압탱크(41)의 내부와 감압탱크(21)의 내부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면 높이차에 의해 감압탱크(21)의 내부의 액냉매는 연결관(31)을 통해 가압탱크(41)의 내부로 유동된다. 액냉매의 유동이 완료되면 제어부(65)는 평압관개폐밸브(37) 및 연결관개폐밸브(33)를 제어하여 평압관(35) 및 연결관(31)이 각각 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난방 운전시 제어부(6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방밸브(53) 및 제2사방밸브(61)를 제어하여 압축기(51)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냉매가 실외열 교환기(55)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가열부(52)로 유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방유로개폐밸브(45) 및 난방유로개폐밸브(49)를 제어하여 냉방유로(43)는 차단되고 난방유로(47)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는 가열부(52)로 유동되어 가압탱크(41)의 내부를 가열하고, 실외팽창장치(63)를 거친 후 냉각부(54)를 경유하게 된다. 냉각부(54)를 경유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55) 및 어큐뮬레이터(59)를 통과한 후 압축기(51)로 흡입되어 압축 및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가열부(52)에 의해 가압된 냉매는 난방유로(47)를 따라 유동되어 실내열교환기(13)에서 방열되면서 난방작용을 수행하고, 감압탱크(21)의 내부 격막(23)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측 공간에서 냉각된 냉매는 응축되고, 응축된 냉매는 액냉매유로(25)를 통해 격막(23)의 하측 공간으로 유동되어 축적된다. 냉매수위감지센서(28)에 의해 일정 이상의 액냉매가 감지되면 제어부(65)는 평압관개폐밸브(37) 및 연결관개폐밸브(33)를 제어하여 액냉매가 가압탱크(41)의 내부로 유동되도록 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가열부 및 냉각부가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가 유동하면서 열교환되는 응축기 및 증발기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연속적인 가열이 가능한 전기히터 등으로 가열부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연속적인 냉각이 가능한 냉각소자 등으로 냉각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내기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감압되도록 하는 감압탱크와, 감압탱크의 일측에 감압탱크와 높이차를 가지도록 감압탱크의 하측에 감압탱크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탱크와, 감압탱크의 냉매가 감압될 수 있도록 감압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가압탱크의 냉매가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탱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탱크의 개수를 줄여 전체 설치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탱크의 내부에 충전되는 냉매 충전량을 저감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감압되도록 하는 감압탱크와; 상기 감압탱크의 일측에 상기 감압탱크와 높이차를 가지도록 상기 감압탱크의 하측에 상기 감압탱크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냉매가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감압탱크의 냉매가 감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감압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가압탱크의 냉매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탱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탱크의 내부 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격막과, 상기 격막의 상측 공간의 액냉매가 상기 격막의 하측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액냉매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냉매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격막의 하측 공간의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기체상태의 냉매의 통과를 허용하고 액체상태의 냉매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감압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감압탱크의 내부의 액냉매가 상기 가압탱크로 유동되도록 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연결관개폐밸브와, 일측은 상기 감압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탱크에 연결되는 평압관과, 상기 평압관을 개폐하는 평압관개폐밸브와, 상기 감압탱크의 내부의 액냉매의 수위를 감지하는 냉매수위감지센서와, 상기 냉매수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관개폐밸브 및 상기 평압관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가압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냉방유로와, 상기 냉방유로를 개폐하는 냉방유로개폐밸브와, 일측은 상기 가압탱크의 상부영역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난방유로와, 상기 난방유로를 개폐하는 난방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냉방유로개폐밸브 및 난방유로개폐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에 제공되도록 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냉각부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실외팽창장치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제1사방밸브 및 제2사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여 상기 냉각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1사방밸브 및 상기 제2사방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KR1020040098192A 2004-11-26 2004-11-26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KR100631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192A KR100631548B1 (ko) 2004-11-26 2004-11-26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DE602005002220T DE602005002220T2 (de) 2004-11-26 2005-11-21 Klimaanlage
EP05025348A EP1666815B1 (en) 2004-11-26 2005-11-21 Air conditioning system
CNB200510127224XA CN100344916C (zh) 2004-11-26 2005-11-25 空调系统
US11/286,354 US20060112712A1 (en) 2004-11-26 2005-11-25 Air 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192A KR100631548B1 (ko) 2004-11-26 2004-11-26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00A KR20060059300A (ko) 2006-06-01
KR100631548B1 true KR100631548B1 (ko) 2006-10-09

Family

ID=3588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192A KR100631548B1 (ko) 2004-11-26 2004-11-26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12712A1 (ko)
EP (1) EP1666815B1 (ko)
KR (1) KR100631548B1 (ko)
CN (1) CN100344916C (ko)
DE (1) DE6020050022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8455B (zh) * 2013-02-04 2017-0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KR101726417B1 (ko) * 2015-07-10 2017-04-13 삼건세기(주)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3112A (en) * 1956-07-05 1961-05-09 Joseph R Batteiger Refrigeration apparatus
US4896514A (en) * 1987-10-31 1990-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Air-conditioning apparatus
JPH11211149A (ja) * 1998-01-29 1999-08-06 Daikin Ind Ltd 熱搬送装置
JP2000039221A (ja) * 1998-07-17 2000-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サイクル装置
WO2001090663A1 (en) * 2000-05-26 2001-11-29 Thermal Energy Accumulator Products Pty Ltd A multiple-use super-efficient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2004177067A (ja) * 2002-11-29 2004-06-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2220D1 (de) 2007-10-11
CN100344916C (zh) 2007-10-24
CN1782619A (zh) 2006-06-07
EP1666815B1 (en) 2007-08-29
US20060112712A1 (en) 2006-06-01
EP1666815A1 (en) 2006-06-07
KR20060059300A (ko) 2006-06-01
DE602005002220T2 (de)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25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EP2525170B1 (en) Controlling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US9587865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98326B1 (ko) 공기 조화기
KR20060094802A (ko) 이차냉매 펌프구동형 공기조화기
KR940008429B1 (ko) 공기조화기
KR10155850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20087384A (ko) 플래시탱크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KR200463567Y1 (ko) 공조기기
US734375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631548B1 (ko)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KR20130067935A (ko) 공기조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60070885A (ko) 공기조화기
KR100690670B1 (ko) 오일온도조절기능을 구비한 압축기
KR101372146B1 (ko) 난방능력이 향상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06733B1 (ko)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31545B1 (ko) 증발탱크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792458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장치
KR102104818B1 (ko) 칠러
KR100575693B1 (ko) 보조압축회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6222493B2 (ja) 空気調和機
KR100619791B1 (ko) 이차냉매 펌프구동형 공기조화기
JP6844274B2 (ja) 冷凍装置
JP2024004008A (ja) ヒートポンプ室外機
KR100517928B1 (ko) 균유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