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272B1 -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272B1
KR100631272B1 KR1019990039401A KR19990039401A KR100631272B1 KR 100631272 B1 KR100631272 B1 KR 100631272B1 KR 1019990039401 A KR1019990039401 A KR 1019990039401A KR 19990039401 A KR19990039401 A KR 19990039401A KR 100631272 B1 KR100631272 B1 KR 10063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mod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596A (ko
Inventor
조용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2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 주파수를 추출하는 대역 통과 필터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대역의 이동 통신 주파수를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모드 구현에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대역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 설정과 동작 실행에 대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수단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다중 이동 통신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여 해당 모드의 주파수 만을 추출하기 위한 PDM(Pulse Density Modulation)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설정된 모드의 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해 출력하는 상기 PDM 신호를 필터링하여 DC 성분의 신호를 추출하는 제1필터링수단과; 상기 제1필터링수단을 통해 인가되는 DC 성분의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상기 설정된 서비스 모드의 주파수 대역만을 추출하는 제2필터링수단과; 상기 제2필터링수단을 통해 추출되어 인가되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모드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경하는 RF송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어 서비스의 수신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Multiple Mode Frequency Transceiv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다중 대역 필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주파수 가변부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중 대역 필터 200 : RF 송수신부
300 : 제어부 400 : 저역 필터
500 : 키 입력부 600 : 음성 처리부
700 :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 주파수를 추출하는 대역 통과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대역의 이동 통신 주파수를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모드 구현에 편 리성을 제공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대역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로는 아날로그 셀룰러 이동 전화방식으로 아날로그 FM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상향 링크에서는 824-849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의 하향 링크에서는 869-894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통화 채널과 별도로 제어채널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System) 방식과, 상기 AMPS 방식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복수의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는 것으로, 주파수 대역폭당 사용자 채널을 10-20배 증가시킬 수 있고 다중 경로 신호에 의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이 강하며, 송신시와 동일한 PN코드의 사용을 통한 복조로 비화성이 아주 양호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세계 어디에서나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등의 다양한 통신을 실시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현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향 링크에서는 1,885-2,025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하향 링크에서 2110-22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방식과,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로 상향 링크에서 1,850-1,91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하향 링크에서 1,930Mhz-1,99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과 데이터 통신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방식과, 상향 링크에서 890-915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하향 링크에서 935-96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큰 셀과 작은 셀의 오버 레이를 수용하여 자동차/휴대 통신 서비스와 개인 휴대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양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방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방식 수신 모드를 갖는 제품으로는 CDMA 방식과 AMPS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와, CDMA 방식과 AMPS 방식 및 PCS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트리플 모드(Triple Mode)가 대표적으로 출시되어 있는데, AMPS 방식과 CDMA 방식을 갖는 듀얼모드의 경우 양자가 824-894Mhz의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하나의 듀플렉서를 통해 상기 두가지 방식의 주파수를 송수신 할 수 있으나, AMPS 방식과 CDMA 방식 및 PCS 방식을 갖는 트리플 모드의 경우 PCS 방식이 1,850-199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듀플렉서를 구비하여 한다.
이는 듀플렉서의 경우 수신 및 송신 대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송수신 되는 주파수 대역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여러 모드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 서비스 방식의 주파수를 동조할 수 있는 듀플렉서를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작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공간에 복수개의 듀플렉서를 설치하 여야 함으로 보드 공간상의 제약을 유발시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송수신되는 주파수의 자기장 특성 변환을 통한 대역 중심 주파수의 조정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신호로 변경하고,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음성처리수단과,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 설정과 동작 실행에 대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수단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다중 이동 통신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여 해당 모드의 주파수 만을 추출하기 위한 PDM(Pulse Density Modulation)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설정된 모드의 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해 출력하는 상기 PDM 신호를 필터링하여 DC 성분의 신호를 추출하는 제1필터링수단과; 상기 제1필터링수단을 통해 인가되는 DC 성분의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상기 설정된 서비스 모드의 주파수 대역만을 추출하는 제2필터링수단과; 상기 제2필터링수단을 통해 추출되어 인가되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모드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경하는 RF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중 대역 필터(100)와, RF 송수신부(200), 제어부(300), 저역 필터(400), 키 입력부(500), 음성 처리부(600), 표시부(700) 및 송수화수단인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로 이루어지는데, 다중 대역 필터(100)는 제어부(300)로부터 저역 필터(400)를 통해 인가되는 DC 성분의 PDM(Pulse Density Modulation)신호에 따라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주파수의 자기장 특성을 변화시켜 대역 중심 주파수를 셋팅한다.
RF 송수신부(200)는 상기 대역 필터(100)로 부터 수신되는 고주파를 중간 주파수로 추출하고, 송신되는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고주파로 변경한다.
제어부(300)는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며, 현재 서비스 제공받고자 설정된 해당 이동 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기 위한 PDM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의 제어부(300)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 즉 GSM, AMPS, CDMA, PCS, IMT-2000 의 고유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각 모드 별 PDM 레벨의 데이터가 설정된다.
저역 필터(4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주파수 대역 셋팅을 위해 인가되는 PDM 신호를 필터링하여 DC 성분의 신호로 추출한다.
키 입력부(500)는 전화번호의 입력을 위한 텐키(0-9)와 각종 기능키 및 서비스 방식을 선택하는 기능키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해당 키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600)는 제어부(300)로부터 인가되는 변조된 수신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조하여 송수화수단의 스피커(SPK)를 통해 송출하고,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PCM 신호로 변조한다.
표시부(7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제반적인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에서 다중 대역 필터(100)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액턴스(L1-Ln)와 커패시터(X1-Xn)로 이루어지는 LC필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패시터(X1-Xn)는 저역필터(400)를 통해 인가되는 DC 상태의 PDM 신호에 의해 가변되어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므로,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주파수의 중심 대역이 조정되어 선택된 서비스 방식의 주파수를 셋팅한다.
상기에서 가변되어지는 커패시터(X1-Xn)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DM 신호와 일측단자가 연결되는 제1쵸크 코일(RF1)과 일측단자가 그라운드로 연결되는 제2쵸크 코일(RF2)의 사이에 바렉터 다이오드(VD)가 연결되며, 상기 바렉터 다이오드(VD)의 양단에 커패시터(Cb)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 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 입력부(500)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키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방식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이동 통신 서비스중에서 임의의 방식, 일 예를 들어 CDMA 방식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해당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300)는 선택되는 해당 모드를 셋팅한 다음 메모리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선택된 서비스 모드의 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PDM 신호를 억세스 하여 저역 필터(400)측에 인가한다.
저역 필터(4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인가되는 대역의 중심 주파수 변경을 위한 PDM 신호를 설정된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DC 성분의 신호로 추출한 후 다중 대역 필터(100)측에 인가하면 다중 대역 필터(100)는 인가되는 DC 성분의 PDM 신호에 의해 공진기의 중심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주파수가 CDMA 방식의 주파수인 824-894Mhz 대역의 주파수만을 추출한다.
상기에서 DC 성분의 PDM 신호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수신되는 주파수의 중심 대역을 변경시키는 상기 다중 대역 필터(100)는 첨부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C 필터링에 의해 수행되며, 가변 용량 커패시터(110a-110n)값의 가변에 의해 조정되어 진다.
상기의 가변 용량 커패시터(110a-110n)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렉터 다이오드(VD)에 의해 조정되어 지는데, 이는 제어부(300)로부터 저역 필터(400)를 통해 DC 성분의 PDM 신호가 인가되면 쵸크 코일(RF1)(RF2)에 의한 RF 신호의 차단과 커패시터(Cb)에 의한 DC 차단에 의해 바렉터 다이오드(VD)에 역 바이어스 전압이 걸리므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이 변환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다앙한 주파수 대역중에서 다중 대역 필터(100)의 커패시터 값 조정에 의해 추출되는 CDMA 방식의 주파수는 RF 송수신부(200)측에 인가되어 중간 주파수로 추출된 다음 제어부(300)측에 인가되면 제어부(300)는 수신되는 PCM 신호를 복조한 다음 음성 처리부(60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여 음성 출력수단인 스피커(SPK)를 통해 송출한다.
또한, 상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 통신 서비스의 방식이 IMT-2000인 경우 제어부(300)는 자신의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여 IMT-2000의 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한 PDM 신호를 억세스하여 저역필터(400)를 통해 DC 성분으로 변환시켜 다중 대역 필터(100)측에 인가하므로, 다중 대역 필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LC 필터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주파수에서 IMT-2000이 사용하는 1885-2200Mhz의 주파수 대역만을 추출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 통신 서비스의 방식이 PCS인 경우 제어부(300)는 자신의 메모리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PCS 주파수 대역 추출을 위한 PDM 신호를 억세스하여 저역 필터(400)를 통해 DC 성분으로 변환시켜 다중 대역 필터(100)측에 인가하므로, 다중 대역 필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LC 필터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주파수중에서 PCS가 사용하는 1850-1990Mhz의 주파수 대역만을 추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진 주파수의 자기장 변화를 통한 중심 주파수 대역의 변경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주파수에서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와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다중 모드 수신을 위한 여러개의 듀플렉서 설치가 배제되어 한정된 보드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제공한다.

Claims (4)

  1.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신호로 변경하고,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는 음성처리수단과,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 설정과 동작 실행에 대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수단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다중 이동 통신 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여 해당 모드의 주파수 만을 추출하기 위한 PDM(Pulse Density Modulation)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설정된 모드의 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해 출력하는 상기 PDM 신호를 필터링하여 DC 성분의 신호를 추출하는 제1필터링수단과;
    상기 제1필터링수단을 통해 인가되는 DC 성분의 신호에 따라 공진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상기 설정된 서비스 모드의 주파수 대역만을 추출하는 제2필터링수단과;
    상기 제2필터링수단을 통해 추출되어 인가되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모드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경하는 RF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서비스 방식을 사용하는 AMPS, CDMA, GSM, PCS, IMT-2000의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는 상기 PDM(Pulse Density Modulation) 신호를 메모리 영역에 테이블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링수단은 리액턴스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LC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DC 성분의 신호에 따라 커패시터의 가변으로 송수신되는 주파수의 중심 대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바렉터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렉터 다이오드에 걸리는 역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그 커패시턴스 값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990039401A 1999-09-14 1999-09-14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3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401A KR100631272B1 (ko) 1999-09-14 1999-09-14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401A KR100631272B1 (ko) 1999-09-14 1999-09-14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96A KR20010027596A (ko) 2001-04-06
KR100631272B1 true KR100631272B1 (ko) 2006-10-02

Family

ID=1961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401A KR100631272B1 (ko) 1999-09-14 1999-09-14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84B1 (ko) 2005-09-12 2010-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대역 무선 주파수 변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425A (ko) * 2001-10-11 2003-04-18 주식회사 에이치씨텔레콤 유무선 전화기
KR20030047476A (ko)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공중육상 이동통신망을선택하는 방법
KR20030058414A (ko) * 2001-12-31 200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한 다중 주파수 대역 송수신장치
KR20040009084A (ko) * 2002-07-22 2004-01-31 김보영 피씨에스 및 셀룰러 겸용 단말기
KR100735333B1 (ko) * 2005-08-1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모드/다중 대역 무선 송수신기
EP1755230B1 (en) 2005-08-17 201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ode/multi-band wireless transceiver
US20110158214A1 (en) * 2009-12-30 2011-06-30 Miriam Gema Sorondo Cellular phone in a body of a home/office telephone
KR101156667B1 (ko) * 2011-12-06 2012-06-14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통신 시스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088U (ko) * 1997-07-11 1999-02-05 조희재 다중모드 전압제어발진기
US5926751A (en) * 1997-02-19 1999-07-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6751A (en) * 1997-02-19 1999-07-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KR19990005088U (ko) * 1997-07-11 1999-02-05 조희재 다중모드 전압제어발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84B1 (ko) 2005-09-12 2010-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대역 무선 주파수 변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9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538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US6658237B1 (en) Multi-Band transceiver utilizing direct conversion receiver
JP2586333B2 (ja) 無線通信装置
US63892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band transmission
KR100877253B1 (ko) 잡음 면역성을 가진 다중 대역 전압제어 발진기를 위한방법 및 장치
JP2002084148A (ja) 増幅器を負荷インピーダンスに適応させるための整合回路と方法
US6504507B2 (en) Antenna tuning
MX2007005483A (es) Transceptor agil de frecuencia para uso en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manual de banda multiple.
CN109660267A (zh) 一种天线系统及移动终端
CN1611009A (zh) 具有连续的cdma和tdma通信的蜂窝电话
KR100631272B1 (ko) 다중 모드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EP2088680B1 (en) Apparatus for impedance matching in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20030045252A1 (en) Power amplifier
EP0883241A1 (en) Bias voltage controlled parallel active components
US6069925A (en) Dual band, dual mode transceiver with adaptive second if switching device
CN202679353U (zh) 一种具有自适应宽带振荡器的移动终端射频前端收发器
US20050277436A1 (en) Method of enabling a dual band handset having both PHS and GSM arrangements to be ready to receive a call in standby
GB2358990A (en) Combined mobile telphone and broadcast radio receiver
US6175724B1 (en) Band switchable injection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EP1061661A2 (en) Dual band cellular transceiver architecture
KR20020084776A (ko) 다중밴드용 전압제어 발진기
JP3961663B2 (ja) ディジタル移動無線機
CN112751536A (zh) 输出匹配电路,终端及输出匹配方法
CN102664654A (zh) 一种具有自适应宽带振荡器的移动终端射频前端收发器
JP2000049650A (ja) 無線装置およびアンテナ共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