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611B1 -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 Google Patents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611B1
KR100630611B1 KR1020040050262A KR20040050262A KR100630611B1 KR 100630611 B1 KR100630611 B1 KR 100630611B1 KR 1020040050262 A KR1020040050262 A KR 1020040050262A KR 20040050262 A KR20040050262 A KR 20040050262A KR 100630611 B1 KR100630611 B1 KR 100630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support
fixed
cylinder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205A (ko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김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태 filed Critical 김석태
Priority to KR102004005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6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디(ID)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텐션 기능,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각기 사용하거나 또는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설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우사의 사조를 따라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방으로 소정간격져서 하부지지대와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에 상호 소정간격져서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다수개의 급이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급이구측 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하단부는 급이구측 하부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급이구의 일측 하부공간을 제한하는 레버지지대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스토퍼를 갖고 상단부에 소정각도로 접합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작동되는 ∪형상의 가이더를 구비하고, 중간부가 상기 레버지지대의 절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각각의 급이구를 개폐하는 개폐레버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더의 스토퍼와 걸림작동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상부지지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개폐봉과, 소정길이를 갖는 봉으로써 상단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와 위치조정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위치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급이구의 크기를 조정하는 급이구조절봉으로 구성되는 우사용 스텐션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는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상기 레버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실린더와; 소정직경을 갖는 링형상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결합공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조립되는 스토핑링과; 소정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탈거방지돌부와, 전단부측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공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내측 축상에 고정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고정축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유닛설치공과,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과, 일측면과 하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써 상면부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개방된 측면부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된 조립부를 갖고 상기 결합공이 조립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결합구와, 전단부측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나사공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실린더와 외주면과 베어링결합되는 작동실린더와; 소정직경을 갖는 원판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축조립공과, 후면부 소정위치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결합공과,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요부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나사공을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전단부 내측에 조립되고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볼트결합되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되는 작동판과; 상기 고정축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실린더의 내측에 내장되어 일단부는 상기 작동판의 결합공에 고정되게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실린더의 내측에 고정결합되어 회전작동되는 상기 작동판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소정형상의 판으로써, 일측면 소정위치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급이구조절봉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구와, 하단부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하부지지대상에서 구 름작동하는 바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작동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작동실린더의 유닛설치공에 전단부가 끼움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내부중공에 내장되어 액츄에이터가 상기 스토핑링의 결합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작동실린더를 고정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지지판의 내부중공 상부에 내장되어 소의 접근 유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고주파리더와; 중간부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스토퍼를 갖고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작동되는 ∪형상의 가이더와,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실린더의 결합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를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고정축의 핀결합공에 끼움조립되어 작동판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 개체급이, 스텐션, 고주파리더, 트랜스폰더, 개폐레버

Description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A stanchion for cowshed possible individual meals by ID(ident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사용할 때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회동레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작동판 및 지지판의 전면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분리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판을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실린더상에 회동레버가 장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 결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회동레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회동레버의 결합구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회동레버가 장착되는 개폐레버의 작동실린더상에 장착된 결합구를 도시한 부분확대 평면도.
도 14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결합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에서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만을 사용할 때의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스텐션 11: 하부지지대
12: 상부지지대 13: 지지대
14: 급이구 15: 레버지지대
16: 레버개폐봉 17: 급이구조절봉
18: 트랜서폰더 20: 개폐레버
40: 사조 50: 소
본 발명은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텐션 기능,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각기 사용하거나 또는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설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구조를 갖도록 한 아이디(ID: Identification)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우를 기르는 축산농가에는 소가 다른 소에게 방해를 받지 않고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우사와 사료통 사이에 계류식 스텐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계류식 스텐션은 상부 및 하부지지대와, 복수개의 급이구와, 레버지지대와, 개폐레버와, 레버개폐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지지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급이구에 개폐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설치시켜 소가 급이구로 머리를 내밀고 사료를 먹기 위해 고개를 숙이면 개폐레버가 소의 누름력에 의해 회동되고, 소의 머리가 사료를 먹을 수 있는 위치까지 숙여지면 레버개폐봉에 의해 개폐레버가 고정되어 다른 힘센 소가 급이구로 머리를 내밀거나 몸을 밀어 급이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약한 소도 안정적으로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소의 도식이나 경합을 해소하고, 시공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식사시 사조의 위치가 매번 바뀌어 개체별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계류식 스텐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를 개체별로 관리하여 사육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ID에 의한 개체별 급이방식의 우사이며, 이러한 개체별 급이방식의 우사는 개방상태에서 정해진 자신의 사조에서만 먹이를 찾아가 먹음으로 개체별 관리가 용이하여 소에 대한 과학적인 사육이 가능하고, 성장단계별로 가장 적절한 사료를 개체별로 가장 알맞게 급이함으로써 고급육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개방상태에서 ID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행해지므로 장비 외에 사조 칸에 칸막이시설, 소와 소 사이의 파이프 칸막이 등을 일일이 설치하여 소가 자신의 사조에서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자신의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함으로 시설비용이 매우 높고, 자신의 사조를 찾아가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기간의 적응훈련이 필요하고 적응이 안될 경우 자신의 사조에 묶어두어 적응시킬 때 별도의 상기 스텐션 시설이 필요하며, 예방주사 등 소의 관리상 일시적으로 가두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스텐션 기능,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각기 사용하거나 또는 두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설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사의 사조를 따라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방으로 소정간격져서 하부지지대와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에 상호 소정간격져서 수직 으로 고정설치되어 다수개의 급이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급이구측 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하단부는 급이구측 하부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급이구의 일측 하부공간을 제한하는 레버지지대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스토퍼를 갖고 상단부에 소정각도로 접합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작동되는 ∪형상의 가이더를 구비하고, 중간부가 상기 레버지지대의 절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각각의 급이구를 개폐하는 개폐레버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더의 스토퍼와 걸림작동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상부지지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개폐봉과, 소정길이를 갖는 봉으로써 상단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와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위치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급이구의 크기를 조정하는 급이구조절봉으로 구성되는 우사용 스탠션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상기 레버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실린더와; 소정직경을 갖는 링형상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결합공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 고정조립되는 스토핑링과; 소정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탈거방지돌부와, 전단부측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공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내측 축상에 고정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고정축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유닛설치공과,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과, 일측면과 하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써 상면부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개방된 측면부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된 조립부를 갖고 상기 결합공이 조립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에 고정설치되 는 결합구와, 전단부측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나사공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실린더와 외주면과 베어링결합되는 작동실린더와; 소정직경을 갖는 원판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축조립공과, 후면부 소정위치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결합공과,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요부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나사공을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전단부 내측에 조립되고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볼트결합되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되는 작동판과; 상기 고정축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실린더의 내측에 내장되어 일단부는 상기 작동판의 결합공에 고정되게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실린더의 내측에 고정결합되어 회전작동되는 상기 작동판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소정형상의 판으로써, 일측면 소정위치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급이구조절봉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구와, 하단부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하부지지대상에서 구름작동하는 바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작동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작동실린더의 유닛설치공에 전단부가 끼움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내부중공에 내장되어 액츄에이터가 상기 스토핑링의 결합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작동실린더를 고정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지지판의 내부중공 상부에 내장되어 소의 접근 유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고주파리더와; 중간부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스토퍼를 갖고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작동되는 ∪형상의 가이더와,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실린더의 결합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를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 착탈가 능하게 조립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고정축의 핀결합공에 끼움조립되어 작동판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탠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디(ID)(이하, "ID"라 칭함)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탠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사용할 때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회동레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작동판 및 지지판의 전면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분리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판을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작동실린더상에 회동레버가 장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 결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 용 스텐션중 개폐레버의 회동레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회동레버의 결합구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회동레버가 장착되는 개폐레버의 작동실린더상에 장착된 결합구를 도시한 부분확대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결합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에서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만을 사용할 때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사용 스텐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10)은 하부지지대(11)와, 상부지지대(12)와, 다수개의 지지대(13)와, 복수개의 급이구(14)와, 복수개의 레버지지대(15)와, 복수개의 개폐레버(20)와, 레버개폐봉(16)과, 급이구조절봉(17)과, 트랜서폰더(18)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1)는 우사의 사조(40)를 따라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지대(12)는 다수개의 지지봉(13)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대(11)와 수평으로 고정지지된다.
상기 급이구(14)는 상기 하부 및 상부지지대(11)(12) 사이의 소정위치에 상호 소정간격져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지지대(15)는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급이구(14)측 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하단부는 급이구(14)측 하부지지대(11)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급이구(14)의 일측 하부공간을 제한한다.
상기 개폐레버(20)는 상기 레버지지대(1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소(50) 가 급이구(14)로 접근하였는지 또는 멀어졌는지를 감지하여 급이구(14)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써, 고정실린더(21)와, 스토핑링(22)과, 고정축(23)과, 작동실린더(24)과, 작동판(25)과, 탄성부재(26)와, 지지판(27)과, 솔레노이드(28)와, 고주파리더(29)와, 회동레버(30)와, 탈거방지핀(31)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실린더(21)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상기 레버지지대(15)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토핑링(22)은 소정직경을 갖는 링형상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결합공(22a)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21)의 외주면에 고정조립된다.
상기 고정축(23)은 소정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탈거방지돌부(23a)와, 전단부측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공(23b)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21)의 내측 축상에 고정실린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설치된다.
상기 작동실린더(24)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유닛설치공(24a)과, 결합공(24b)과, 결합구(24c)와, 다수개의 나사공(24e)과, 체결돌기(24f)와 스토핑 볼트(24h)와 체결돌기(24i)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실린더(2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실린더(21)와 외주면과 베어링 결합된다.
상기 유닛설치공(24a)은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4b)은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결합구(24c)는 일측면과 하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써 상면부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개방된 측면부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된 조립부(24d)를 갖고 상기 결합공(24b)이 조립부(24d)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나사 공(24e)은 작동실린더(24)의 전단부측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24f)는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4g)을 갖고 외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토핑 볼트(24h)는 소정길이를 갖는 볼트로써 상기 체결돌기(24f)의 볼트공(24g)에 나사결합되어 끝단을 레버지지대(15)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작동실린더(24)가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고 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ID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아닌 일반적인 스텐션 기능만을 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돌기(24i)는 상기 체결돌기(24f)로부터 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소정간격진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4j)을 갖고 외향으로 돌출형성되며, ID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사용할 때 탄성주재(26)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실린더(24)가 반시계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되어 솔레노이드(28)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스토핑 볼트(24h)를 상기 체결돌기(24f)의 볼트공(24g)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체결돌기(24f)의 볼트공(24i)에 결합시켜 끝단이 상기 레버지지대(15)에 걸리도록 한다.
즉, ID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사용할 때에는 스토핑 볼트(24f)를 체결돌기(24i)의 볼트공(24j)에 결합시켜 작동실린더(24)가 원위치에서 과도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ID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체결돌기(24i) 보다 우측(도면기준)에 위치된 체결돌기(24i)의 볼트공(24j)에 상기 스토핑 볼트(24h)을 결합시켜 작동실린더(24)가 원위치로 완전히 복귀되지 못하게 하여 솔레노이드(28)의 액츄에이터가 스토핑링(22)의 결합공(22a)과 결합되어 작동실린더(24)가 고정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작동판(25)은 소정직경을 갖는 원판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축조립공(25a)과, 후면부 소정위치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결합공(25b)과,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요부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나사공(25b)을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전단부 내측에 조립되고 다수개의 볼트(25d)에 의해 볼트결합되어 상기 고정축(23)을 중심으로 회전작동된다.
상기 탄성부재(26)는 상기 고정축(23)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실린더(21)의 내측에 내장되어 일단부는 상기 작동판(25)의 결합공(25b)에 고정되게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실린더(21)의 내측에 고정결합되어 회전작동되는 상기 작동판(25)을 복귀시킨다.
상기 지지판(27)은 내부에 중공을 갖는 소정형상의 판으로써, 일측면 소정위치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급이구조절봉(17)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구(27a)와, 하단부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하부지지대(11)상에서 구름작동하는 바퀴부재(27b)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작동실린더(24)를 지지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8)는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유닛설치공(24a)에 전단부가 끼움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27)의 내부중공에 내장되어 액츄에이터가 상기 스토핑링(22)의 결합공(22a)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작동실린더(24)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주파리더(29)는 상기 지지판(27)의 내부중공 상부에 내장되어 소(50)의 목에 걸려진 트랜스 폰더(40)를 감지하여 소(50)의 급이구(14)에 대한 유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28)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킨다.
상기 회동레버(30)는 중간부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스토퍼(30b)를 갖고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작동되는 ∪형상의 가이더(30a)와,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실린더(24)의 결합구(24c)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30c)를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결합구(30c)는 결합판(30d)과, 캡(30f)과, 고정축(30h)과, 탄성부재(30k)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30d)은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상방으로 만곡진 판으로써,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작동공(30e)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회동레버(30)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캡(30f)은 하면이 개방된 통으로써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작동공(30g)을 갖고, 상기 작동공(30e)이 동축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판(30d)의 상면에 고정장착되고, 상기 고정축(30h)은 소정길이를 갖는 봉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누름판(30i)과 상단부에 손잡이부(30j)를 갖고 상기 누름판(30i)이 상기 캡(30f)내에 위치되고 상기 작동공(30e)(30g)에 작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탄성부재(30k)는 압축스프링으로써 상기 캡(30f)의 내측 천정과 상기 고정축(30h)의 누름판(30i) 사이의 고정축(30h)에 조립되어 고정축(30h)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탈거방지핀(31)은 상기 고정축(23)의 핀결합공(23b)에 끼움조립되어 작동판(25)의 탈거를 방지한다.
첨부도면중 미설명 부호 32는 지지레일을 나타내며, 상기 지지레일(32)은 상 기 지지판(27)이 회동될 때 바퀴부재(27b)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10)은 해당되는 트랜스폰더(18)를 착용한 소(50)가 급이구(14)로 머리를 넣으면, 상기 지지판(27)내에 내장된 고주파리더(29)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28)의 잠금상태를 해제함으로 소(50)가 사료를 먹기 위하여 고개를 숙이면 개폐레버(20)는 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회동됨으로 소(50)는 사조(40)내의 사료를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먹을 수 있고, 해당 소(50)가 급이구(14)를 떠나면 상기 개폐레버(20)는 상기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더구나, 선택적으로 상기 회동레버(30)를 상기 개폐레버(20)의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착탈이 가능하고, 스토핑 볼트(24h)를 체결시켜 솔레노이드(28)의 액츄에이터와 스토핑링(22)의 결합공(24a)의 결합을 방지시킬 수 있어 스텐션 기능과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이 동시에 필요할 때에는 작동실린더(24)상에 회동레버(30)를 장착시킴과 동시에 스토핑 볼트(24h)를 체결돌기(24f)의 볼트공(24g)으로부터 제거시키는 것만으로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 기능만이 필요할 때에는 회동레버(30)와 스토핑 볼트(24h)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가능하고, 스텐션 기능만이 필요할 때에는 회동레버(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8)의 액츄에이터와 스토핑링(22)의 결합공(22a)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고, 작동실린더(24)를 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약간 회동시킨 상태에서 체결돌기(24f)의 볼트공(24g)에 상기 스토핑 볼트(24h)를 나사결합시켜 그 끝단이 레버지지대(15)에 걸려 작동실린더(24)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스텐션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텐션 기능, 아이디에 의한 개체결 급이 기능을 각기 사용하거나 또는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설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우사의 사조를 따라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방으로 소정간격져서 하부지지대와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에 상호 소정간격져서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다수개의 급이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급이구측 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고, 하단부는 급이구측 하부지지대의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급이구의 일측 하부공간을 제한하는 레버지지대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스토퍼를 갖고 상단부에 소정각도로 접합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작동되는 ∪형상의 가이더를 구비하고, 중간부가 상기 레버지지대의 절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각각의 급이구를 개폐하는 개폐레버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더의 스토퍼와 걸림작동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상부지지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개폐봉과, 소정길이를 갖는 봉으로써 상단부는 상기 상부지지대와 위치조정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위치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급이구의 크기를 조정하는 급이구조절봉으로 구성되는 우사용 스텐션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20)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상기 레버지지대(15)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실린더(21)와; 소정직경을 갖는 링형상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결합공(22a)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21)의 외주면에 고정조립되는 스토핑링(22)과; 소정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탈거방지돌부(23a)와, 전단부측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 공(23b)을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21)의 내측 축상에 고정실린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설치되는 고정축(23)과;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관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유닛설치공(24a)과, 외주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24b)과, 일측면과 하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써 상면부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개방된 측면부와 연결되도록 절개형성된 조립부(24d)를 갖고 상기 결합공(24b)이 조립부(24d)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결합구(24c)와, 전단부측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나사공(24e)과, 외주면 소정위치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을 갖고 외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24f)와, 상기 체결돌기(24f)의 볼트공(24g)에 나사결합되어 끝단을 레버지지대(15)에 걸려지도록 하는 스토핑 볼트(24h)와, 상기 체결돌기(24f)로부터 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소정간격진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4j)을 갖고 외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24i)를 갖고, 상기 고정실린더(2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실린더(21)와 외주면과 베어링결합되는 작동실린더(24)와; 소정직경을 갖는 원판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축조립공(25a)과, 후면부 소정위치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결합공(25b)과, 외주면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요부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나사공(25b)을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전단부 내측에 조립되고 다수개의 볼트(25d)에 의해 볼트결합되어 상기 고정축(23)을 중심으로 회전작동되는 작동판(25)과; 상기 고정축(23)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실린더(21)의 내측에 내장되어 일단부는 상기 작동판(25)의 결합공(25b)에 고정되게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실린더(21)의 내측에 고정결합되어 회전작동되는 상기 작동판(25) 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6)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소정형상의 판으로써, 일측면 소정위치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급이구조절봉(17)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구(27a)와, 하단부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하부지지대(11)상에서 구름작동하는 바퀴부재(27b)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어 작동실린더(24)를 지지하는 지지판(27)과;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유닛설치공(24a)에 전단부가 끼움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27)의 내부중공에 내장되어 액츄에이터가 상기 스토핑링(22)의 결합공(22a)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작동실린더(24)를 고정하는 솔레노이드(28)와; 상기 지지판(27)의 내부중공 상부에 내장되어 소의 접근 유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28)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고주파리더(29)와; 중간부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로써, 스토퍼(30b)를 갖고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작동되는 ∪형상의 가이더(30a)와,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실린더(24)의 결합구(24c)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30c)를 갖고, 상기 작동실린더(24)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레버(30)와; 상기 고정축(23)의 핀결합공(23b)에 끼움조립되어 작동판(25)의 탈거를 방지하는 탈거방지핀(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30)의 결합구(30c)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상방으로 만곡진 판으로써,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작동공(30e)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회동레버(30)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30d)과, 하면이 개방된 통으로 써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작동공(30g)을 갖고, 상기 작동공(30e)이 동축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판(30d)의 상면에 고정장착되는 캡(30f)과, 소정길이를 갖는 봉으로써 외주면 소정위치에 누름판(30i)과 상단부에 손잡이부(30j)를 갖고 상기 누름판(30i)이 상기 캡(30f)내에 위치되고 상기 작동공(30e)(30g)에 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축(30h)과, 압축스프링으로써 상기 캡(30f)의 내측 천정과 상기 고정축(30h)의 누름판(30i) 사이의 고정축(30h)에 조립되어 고정축(30h)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0k)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3. 삭제
KR1020040050262A 2004-06-30 2004-06-30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10063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62A KR100630611B1 (ko) 2004-06-30 2004-06-30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62A KR100630611B1 (ko) 2004-06-30 2004-06-30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205A KR20060001205A (ko) 2006-01-06
KR100630611B1 true KR100630611B1 (ko) 2006-10-12

Family

ID=3710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262A KR100630611B1 (ko) 2004-06-30 2004-06-30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6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098A (ja) 2001-05-23 2002-12-17 Lely Enterprises Ag 動物に餌を供給する装置
JP2003116392A (ja) 2001-10-03 2003-04-22 Lely Enterprises Ag 飼料供給装置
KR200343236Y1 (ko) 2003-12-13 2004-03-02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51895Y1 (ko) 2004-02-28 2004-06-04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55445Y1 (ko) 2004-04-26 2004-07-06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098A (ja) 2001-05-23 2002-12-17 Lely Enterprises Ag 動物に餌を供給する装置
JP2003116392A (ja) 2001-10-03 2003-04-22 Lely Enterprises Ag 飼料供給装置
KR200343236Y1 (ko) 2003-12-13 2004-03-02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51895Y1 (ko) 2004-02-28 2004-06-04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55445Y1 (ko) 2004-04-26 2004-07-06 김석태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205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189B2 (en) Hog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953875B1 (ko) 소목걸이틀의 자동열림장치
US20020100431A1 (en) Multi-use pet environment
EP1661454A1 (en)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automatically supplying feed and/or drink to animal
KR20070046454A (ko) 원숭이용 케이지
KR100630611B1 (ko) 아이디에 의한 개체별 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90064Y1 (ko)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KR101699535B1 (ko) 새끼오리 및 병아리 사육용 직립식 케이지
EP1170989B1 (en) Animal confinement device
US5392731A (en) Walk-though flat barn parlor
US7784431B2 (en) Animal stanchion with selectively releasable feature
KR101245483B1 (ko) 목을 위한 카우브러쉬가 구비된 우사용 목걸이틀
KR200343236Y1 (ko)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406289Y1 (ko) 도그용 케이지
KR200351895Y1 (ko)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200355445Y1 (ko) 아이디에 의한 개체급이가 가능한 우사용 스텐션
KR950009164Y1 (ko) 가축용 급이기
CA2314567A1 (en) Method of raising rabbit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773476A (en) Cattle gate and chute
EP1733615B1 (en) Rotary milking parlour
US2711217A (en) Automatic feed box
US999958A (en) Cattle-stanchion.
US6352052B1 (en) Cattle stanchion apparatus
KR20130123255A (ko) 개별 고정수단이 형성된 축사용 펜스의 목걸이틀
KR100937566B1 (ko) 우사용 목걸이틀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