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512B1 -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512B1
KR100630512B1 KR1020000032448A KR20000032448A KR100630512B1 KR 100630512 B1 KR100630512 B1 KR 100630512B1 KR 1020000032448 A KR1020000032448 A KR 1020000032448A KR 20000032448 A KR20000032448 A KR 20000032448A KR 100630512 B1 KR100630512 B1 KR 10063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yngitis
oral
virus
prevention
hyperic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782A (ko
Inventor
석재균
김상년
박형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0003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512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 그리고 구강위생 증진과 치주질환 예방을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감기와 바이러스성 인후두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초기 호흡기계에 바이러스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감기와 바이러스성 인후두염의 효과적인 치유를 위해서 항바이러스 물질로 하이페리신을 적용시키고, 인후두염 유발 미생물과 구강 유해 세균의 살균효과가 우수한 세틸피리디움클로라이드를 살균물질로 적용하고 또한 이러한 미생물과 각종 유해물질 그리고 바이러스 등으로 야기된 구강과 인후두의 염증에 항염효과가 우수한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염증억제물질로 적용시킴으로써, 구강청정제의 감기예방 및 치료, 인후두염의 예방과 치료, 치주질환의 예방에 우수하다.







Description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Oral rinse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ld and pharyngitis}
본 발명은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 그리고 구강위생 증진과 치주질환 예방을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기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라이노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라이노바이러스의 감염은 보통 사람에게는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특히 천식, 폐기종, 만성 폐색성 폐질환 환자에게서는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된다. 라이노바이러스에 의한 감기는 전체감기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며, 100 여가지의 항원형을 가지고 있다. 감염된 라이노바이러스는 상기도에서 대식세포를 직접 자극하여 염증반응의 매개물인 사이토카인을 방출하게 하여 천식으로 발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흔한 감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로 호흡기 감염증상을 나타내며 전염성이 강하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상기도로 감염이 되어 세균 등의 침입을 야기하여 기관지염,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고, 만성질환이나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는 특히 위험할 수 있다. 잠복기는 24~28 시간이며 A,B,C 등의 타입이 있고 A,B타입이 방역상의 문제가 된다. 이들 바이러스는 주로 신체적 접촉이나 공기를 통한 직 접 전파와 환자의 개달물에 의한 간접 전파의 방식으로 전염된다. 그래서 이러한 감기와 상기도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예방할 목적으로 초기의 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치료를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플루엔자의 경우는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나, 몇몇 인플루엔자 타입에만 예방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실정이며, 라이노바이러스는 아직 백신 개발도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인후두염의 경우는 크게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경우에 세균성 인후두염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증가하는 급성 인후두염은 날로 심해지는 공해가 주 원인이며, 이는 공해 속의 각종 유해물질이 호흡기를 악화시켜 급성 인후두염에 감염되기 쉬운 조건을 만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알레르기성 인두염도 일으키고 있다. 그러므로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과 치료는 철저한 구강위생이 요구되며, 초기 바이러스의 감염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예로부터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 천연물인 세인트 존스 워트라는 식물을 사용해 왔으며, 본 발명자는 천연물인 세인트존스 워트 식물의 항바이러스 효능에 주요 약효 성분인 하이페리신을 본 구강청정제의 항바이러스 물질로 적용하고 실험을 통해 하이페리신의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입증하였다.
세균성 인후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연쇄상구균의 A Group이며, 그외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속을 비롯한 몇몇 세균들이 인후두염의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중 연쇄상구균의 A Group인 스트렙토코커스 피오지네스(Streptoc
occus pyogenes)는 세균성 인후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합병증으로 류마티스열, 급성사구체신염 및 독성쇼크(toxic-shock) 증후준으로 유발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콧물, 코막힘, 기침, 가래, 목의 통증 등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치주질환 및 충치를 유발하는 구강내 유해 미생물로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와 악티노마이시스(Actinomyces)와 같은 세균이 있고, 치주질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와 악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와 같은 혐기성 그람음성균이 성장하여 치주질환을 악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선행기술의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감기와 바이러스성 인후두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초기 호흡기계에 바이러스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감기와 바이러스성 인후두염의 효과적인 치유를 위해서 항바이러스 물질로 하이페리신을 적용시키고, 인후두염 유발 미생물과 구강 유해 세균의 살균효과가 우수한 세틸피리디움클로라이드를 살균물질로 적용하고 또한 이러한 미생물과 각종 유해물질 그리고 바이러스 등으로 야기된 구강과 인후두의 염증에 항염효과가 우수한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염증억제물질로 적용시킴으로써, 구강청정제의 감기예방 및 치료, 인후두염의 예방과 치료, 치주질환의 예방에 우수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0.0001내지 0.1중량%의 하이페리신과 0.0001내지 0.1중량%의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청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에서 하이페리신은 하이페리컴 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여 유효성분으로 하이페리신을 함유한다. 하이페리신은 감기와 바이러스성 인후두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초기 호흡기계에 바이러스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감기와 바이러스성 인후두염의 효과적인 치유를 위해서 항바이러스 물질로 사용되었다. 또한 세틸피리디움클로라이드는 세균성 인후두염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구강위생 증진과 치주질환 예방을 위한 물질로서, 인후두염 유발 미생물과 구강 유해세균의 살균효과가 우수한 살균물질로 적용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하이페리신과 세틸피리디움클로라이드이외에도 항염효과가 우수한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하이페리신, 세틸피리디움클로라이드,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적용함으로써 감기예방 및 인후두염의 예방과 치료 뿐만 아니라 구강위생 증진과 치주질환 예방에 대한 효과가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여 이들 물질을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알코올부와 정제수부로 나눌 수 있으며, 각종 성분들의 용해가 용이한 부에 녹여 두상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구강청정제 조성물이 감기 예방 및 치료와 인후두염의 완화를 위해서 항바이러스 물질로 하이페리신을 사용하고, 인후두염 원인 미생물 및 프라그 형성과 치주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구강내 유해 미생물의 살균을 위해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를 사용한다. 또한 치주질환의 진행에 관여하는 각종 염증 매개물질의 생성을 차단하고 항염증효과를 위해서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적용한다. 가용화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신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와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칠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고분자 물질, 고급알킬아세테이트류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옥시 에칠렌 유도체등이 있으며, 이중 바람직한 것은 라우릴 황산 나트륨, 폴리 옥시 에칠렌 경화 피마자 유,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고분자 이다. 가용화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3.0 중량%이며,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3.0중량%이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비 결정성 소르비톨 액,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칠렌글리콜, 크실리톨 등이 있으며, 이중 바람직한 것은 글리세린, 비결정성 소르비톨액, 크실리톨이다. 이와같은 습윤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4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3.0 내지 20중량%이다.
구강청정제 제품에 사용할 때 청량감을 주고 물에 녹지 않는 향료나 방부제 등을 녹일수 있도록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에탄올의 함량이 높을수록 향료의 발산력은 좋으나, 너무 과량 사용하면 맛이 쓰고, 구강점막을 자극한다. 일반적으로 에탄올의 사용량은 1 내지 3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 중량%이다.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향료 및 감미제를 사용하는데, 향료로는 페파민트, 스피아민트, L-멘톨, 유칼립투스, 메칠살리실레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보통 0.1 내지 1.0중량 % 사용된다. 감미제로는 락토오스, 솔르비톨, 아스파탐, 삭카린 나트륨 등이 있으며, 삭카린나트륨은 보통 0.001 내지 0.1 중량 %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방부제, 완충제, 색소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중 방부제는 주로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염,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크레졸 및 포르말린 등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기는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염,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또는 프로필을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0.05 내지 0.15 중량%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트리넥사민산, 알란토인류, 불화아민, 클로르헥시딘, 트리크론산, 카프론산류, 죽염, 황백, 생귀나리아, 길경, 형개, 치자 등의 추출물 등과 같은 약효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강청정제 조성물의 산성도(pH)를 조정하기 위하여 완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주로 제일인산 나트륨, 제 2 인산 나트륨, 제 3 인산 나트륨,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호박산, 호박산 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이 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기는 제 1인산 나트륨, 제 3인산 나트륨을 1종 또는 2종이상 배합 사용한다.
또한 구강청정제조성물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사용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색소가 사용되는데 주로 식용색소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치액, 스프레이 등의 형태의 제형인 액상 구강청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정제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실험예 1.
(1) 실험대상
하이페리신, 세틸 피리디움 클로라이드,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
(2) 실험항목 1: 하이페리신의 항바이러스 효과.
ⓐ 적당히 자란 헬라(HaLa) 세포를 2 ×104/well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깔고, 시료인 하이페리신을 농도별로 조제한 후 실험대상 바이러스인 라이노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0.003M01를 골고루 혼합한다. 시료와 바이러스 반응액을 헬라 세포에 30분간 감염시킨 후 반응액을 제거하고 정상배지를 넣어 3일간 배양한다. 3일 후 MTS(Promega 5421)용액을 넣어 살아있는 세포를 정량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검증한다. 바이러스의 억제정도는 바이러스를 감염 시킨 후 시료처리구에서 대조구의 세포수를 제한 것을 mock infection한 시료 처리구에서 대조구의 세포수를 제한 것으로 나타낸다.
〈실험결과〉
바이러스 종류 하이페리신의 IC50 (μM)
라이노바이러스 0.5
인플루엔자 0.8
실험 결과에서 바이러스와 시료를 먼저 섞은 후 헨라 세포에 감염시킨 시험에서 하이페리신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었다.
ⓑ 적당히 자란 헬라(HeLa) 세포를 2 ×104/well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깔고, 실험대상 바이러스인 아리노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0.003M01를 헬라 세포에 30분간 감염시킨다. 30분간 감염시킨 후 반응액을 제거하고 시료인 하이페리신은 농 도별로 조제한 배지를 가하여 3일간 배양한다. 3일 후 MTS(Promega 5421)용액을 넣어 살아있는 세포를 정량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검증한다. 바이러스의 억제정도는 바이러스를 감염 시킨 후 시료처리구에서 대조구의 세포수를 제한 것을 mockinfection한 시료 처리구에서 대조구의 세포수를 제한 것으로 나타낸다.
〈실험결과〉
바이러스 종류 하이페리신의 IC 50 (μM)
라이노바이러스 0.1
인플루엔자 0.3
바이러스를 헬라 세포에 먼저 감염시킨 후 하이페리신의 항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도 역시 하이페리신의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실험항목 2: 세틸 피리디움 클로라이드의 인후두염 유발 미생물 및 구강 유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
실험예는 인후두염 유발 미생물인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KTCT 3208), 미생물과 구강 유해 미생물인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Actinomyces viscosus ATCC 15987), 칸디다 아크부카브스(Candida akbucabs ATCC 10231),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10449, 그리고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투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umcomitans ATCC 33384)와 포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81)의 5가지 균주들을 사용하였다.
이 균주들 중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KCTC 3208는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37℃로 혐기성 배양기에서 배양했고,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ATCC 15987와 칸디다 알비칸스 ATCC 10231는 YM배지(글루코스 10g/L, 이스트 추출물 3g/L, maltextract 3g/L, bactopeptone 5 g/L)에서 배양하였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10449는 TH배지(Todd Hewitt broth 30g/L, 수크로오스 50g/L)에서 배양하였으며,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툼코미탄스 ATCC 33384와 포리로모나스 깅기발리스 ATCC 381는 티오글리콜레이트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온도는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ATCC 15987가 26℃로 혐기성 배양기에서 배양했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10449는 39℃이며, Actinobacillus actinomycetumcomitans ATCC 33384와 포리로모나스 깅기발리스 ATCC 381는 37℃의 혐기성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살균력시험은 이들 균주들을 계대배양 하고, 24시간 3회에 걸친 전배양 후 실시하였으며, 실험방법은 세틸 피리디움 클로라이드가 농도별로 첨가되어 있는 각각의 적절한 배지 9.9ml에 위의 방법으로 전배양한 미생물 현탁액 0.1ml(1×106/ml)를 접종하였다. 그리고 1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고체 한천 배지에 백금으로 도말하여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미생물 집락의 형성 유무로 살균력시험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실험 대상 미생물 S. pyogenes A. viscosus C. albicans S. mutans A.actinomyce tumcomitans P. gingivalis
MBC(ppm) 1.0 2.0 10.0 1.0 5.0 5.0
실험결과에서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는 인후두염 유발 미생물과 구강내 유 해미생물에 대해서 우수한 살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 실험항목 3: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의 생쥐 귀 염증 억제효과.
실험동물은 체중 30g인 7주령의 건강한 hairless mouse를 사용하며, 실험 방법은 실험대상 약효제인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을 농도별로 조제하여 hairless mouse의 한쪽 귀에 처리하고 다른 한쪽귀에는 vehicle인 에틸알콜을 처리하여 1시간 경과 후 대표적인 염증 유발 물질인 TPA(Tetradecanoilphobol-13-acetate) 2㎍을 hairless mouse의 양쪽귀에 처리한다. 4시간 경과 후 Oditest caliper로 양쪽귀에 두께를 측정하여 그 차이 값으로 염증억제정도를 평가한다.
〈실험결과〉
시험군 Mean % Change
대조군(약효제 무처리) 100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 200㎍/귀 45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 100㎍/귀 50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 20㎍/귀 75
실험결과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은 쥐를 모델로 한 염증억제 시험에서 우수한 염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 에서 우수한 효능이 나타난 물질인 하이페리신,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을 사용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같은 성분 및 조성비로 구강청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단위 : %
성 분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실시 예4 실시 예5 실시 예6 실시 예7 실시 예8 비교예
에탄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 렌 공중합체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농글리세린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사카린 나트륨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하이페리신 0.0001 0.0001 0.001 0.001 0.01 0.01 0.1 0.1 -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 0.0001 0.0001 0.001 0.001 0.01 0.01 0.1 0.1 -
우르소데스옥시 콜린산 - 0.0001 - 0.001 - 0.01 - 0.1 -
불화나트륨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향료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정제수를 가하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 실험항목 1. 감기와 인후두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인상 시험,
실험방법은 먼저 내과 및 이빈인후과에 감기와 인후두염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피검자를 선별한 후 감기와 인후두염 검진에 대한 설명을 해준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피검자를 무작위 10명씩을 나누고 올바른 양치액 사용 방법을 교육시킨 후 임상적 소견과 진단을 실시하여 임상 진단 결과를 측정한다. 임상진단 결과는 A군 연쇄상 구균의 정량적 분류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A군 연쇄상 구균의 정량은 직접 항원 검출법에 의한 공동응징법으로 phadebact 키트(Pharmacia Diagnostics사)를 사용하였다. 사용방법은 1일 6회 2주간 실시토록 하고, 1주차와 2주차로 전문의에 의한 검진과 실험 검체를 재취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A군 연쇄상구균의 정량적 분류 기준〉
1+ : 10개 이하의 집락수
2+ : 11-50개 사이의 집락수
3+ : 51개 이상의 집락수
4+ : 우세성장 또는 순수배양
〈실험결과〉
실험군 초기치 1주일 2주일
실시예 1 4+ 3+ 1+
실시예 2 4+ 3+ 1+
실시예 3 4+ 2+ 1+
실시예 4 4+ 2+ 1+
실시예 5 4+ 1+ -
실시예 6 4+ 1+ -
실시예 7 4+ - -
실시예 8 4+ - -
비교 예 4+ 4+ 4+
〈논의〉
실시예 1 내지 28과 비교예 1을 2주간 사용 후 임상 진단을 실시한 결과 감기 및 인후두염의 치료와 예방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28 과 비교예 1에서 사용전과 사용후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2) 실험항목 2.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
실험방법은 먼저 피검자를 선별한 후 구강검진에 대한 설명을 해준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피검자를 무작위 10명씩을 나누고 올바른 양치액 사용 방법을 교육시킨 후 구강검진을 실히사여 치태지수(Quigley-Hein Index modified by Turesky) 및 치은염 지수(Gingival Bleeding Index, Los-Silness Index)를 측정한다. 그리고 실험군 전 치아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실시한 후 대조 양치액을 2주일 사용토록 한 다음 구강점진을 실시하고, 이 때 치태지수 및 치은염 지수를 초기치로 하였다. 실시예 양치액 및 비교예 양치액을 각 피검자에게 나누어 주고 양치액 사용법은 평상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1일 6회 6개월간 실시토록 하고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치태지수 및 치은염 지수를 점수화 하였다. 실험결과는 실험군의 초기치와 6개월후 점수를 비교하여 각각 T-test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험결과〉
1. 치태지수
실험군 초기치 3개월 6개월 개선지수
실시예 1 1.74 1.64 1.53 0.2
실시예 2 1.73 1.56 1.42 0.31
실시예 3 1.73 1.45 1.31 0.4
실시예 4 1.71 1.14 1.07 0.64
실시예 5 1.78 1.12 1.09 0.69
실시예 6 1.78 1.04 0.81 0.97
실시예 7 1.78 1.08 0.87 0.91
실시예 8 1.77 0.95 0.65 1.12
비교예 1.77 1.63 1.58 0.19

2. 치은염 지수
실험군 초기치 3개월 6개월 개선지수
실시예 1 1.44 1.36 1.27 0.17
실시예 2 1.43 1.27 1.03 0.40
실시예 3 1.47 1.12 0.98 0.49
실시예 4 1.45 0.95 0.65 0.80
실시예 5 1.45 0.99 0.61 0.84
실시예 6 1.46 0.84 0.47 0.99
실시예 7 1.45 0.88 0.54 0.91
실시예 8 1.42 0.64 0.38 1.04
비교예 1.48 1.39 1.22 0.26

〈논의〉
1.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1 을 6개월간 사용 후 치태지수를 측정하여 통계적으 로 유의차 검정을 한 결과 치태형성억제 효과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 1에서 사용전과 사용후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2.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 1을 6개월간 사용 후 치은염 지수를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 검정을 한 결과 치은염 완화 효과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 1 에서 사용전과 사용후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감기예방 및 인후두염의 예방과 치료 뿐만 아니라 구강위생 증진과 치주질환 예방에 대한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Claims (4)

  1. 0.0001내지 0.1중량%의 하이페리신과 0.0001내지 0.1중량%의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청정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하이페리신이 하이페리컴 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여 유효성분으로 하이페리신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청정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양치액, 스프레이 등의 형태의 제형인 액상 구강청정제 조성물.
KR1020000032448A 2000-06-13 2000-06-13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KR10063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448A KR100630512B1 (ko) 2000-06-13 2000-06-13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448A KR100630512B1 (ko) 2000-06-13 2000-06-13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782A KR20010111782A (ko) 2001-12-20
KR100630512B1 true KR100630512B1 (ko) 2006-09-29

Family

ID=4175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448A KR100630512B1 (ko) 2000-06-13 2000-06-13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5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3019A (ja) * 1987-04-09 1988-10-20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WO1991018585A1 (en) * 1990-05-29 1991-12-12 Sunstar Kabushiki Kaisha Oral composition
WO1997022354A2 (de) * 1995-12-18 1997-06-26 Dreluso Pharmazeutika Dr. Elten & Sohn Gmbh Anwendung eines medikaments und verwendung eines stoffgemischs zur herstellung eines medikaments
KR980008210A (ko) * 1996-07-25 1998-04-30 성재갑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3019A (ja) * 1987-04-09 1988-10-20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WO1991018585A1 (en) * 1990-05-29 1991-12-12 Sunstar Kabushiki Kaisha Oral composition
WO1997022354A2 (de) * 1995-12-18 1997-06-26 Dreluso Pharmazeutika Dr. Elten & Sohn Gmbh Anwendung eines medikaments und verwendung eines stoffgemischs zur herstellung eines medikaments
KR980008210A (ko) * 1996-07-25 1998-04-30 성재갑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782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5B1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0801A (ko) 유게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0512B1 (ko) 감기와 인후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구강청정제 조성물
KR20170141030A (ko) 시스타노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2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5612B1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00041659A (ko)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941B1 (ko) 쿼세틴 3-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1843B1 (ko) 악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8925B1 (ko) 스코폴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4564B1 (ko)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4123A (ko) 에스트라갈로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29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0B1 (ko) 지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7229A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00112786A (ko)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