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786A -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786A
KR20200112786A KR1020200123026A KR20200123026A KR20200112786A KR 20200112786 A KR20200112786 A KR 20200112786A KR 1020200123026 A KR1020200123026 A KR 1020200123026A KR 20200123026 A KR20200123026 A KR 20200123026A KR 20200112786 A KR20200112786 A KR 2020011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yrrhetinic acid
formation
composition
biofil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헌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12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786A/ko
Publication of KR2020011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n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biofilm)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은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며, 특히 바이오필름 형성의 초기 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균의 세균막 생성 및 치아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 biofilm formation comprising glycyrrhetinic acid}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필름(Biofilm)이란, 미생물이 감염되거나 부착된 부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폴리머 기질로 감싸이며 미생물에 의하여 형성된 미생물 복합체를 이루는 막으로 생물막 또는 균막이라고도 불린다. 미생물의 경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기 위하여 바이오필름이라는 미생물 군집체를 만드는데, 이러한 바이오필름이 미생물의 생존에 중요한 이유는 미생물에게 보호막의 역할을 해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균체들이 만나서 대사(metabolism)를 공유하기도 하고, 유전자 치환(gene transfer)을 통하여 유익한 성질들을 획득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즉, 바이오필름은 각종 균들의 집합체임과 동시에, 균 집단의 보호막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균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된다.
바이오필름의 형성은 먼저 부유 상태의 미생물이 가역적으로 표면에 부착하여 시작되는데, 미소 콜로니(군락)을 형성하고 이것이 서서히 성장하며, 세포주위로 분비되는 세포외 다당류(Extracelluar polysaccharide, EPS) 중 비수용성 다당류는 미생물의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비가역적이고 불용성인 바이오필름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세균은 EPS 합성능력을 가지고 있고, 생성된 EPS는 세포 외 또는 환경 중으로 배출되어 바이오필름의 구조 유지나 기능 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구강 질환은 바이오필름 형성으로 인한 질병 가운데 하나이며, 이는 크게 충치와 그 외 구강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충치는 감염성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감염성 질환 중의 하나로, 치아에 형성되는 세균막인 플라그에서 자라는 세균의 작용에 의해 차츰 치아가 탈회되는 병이다. 일반적으로 세균이 당을 분해하여 산을 분비하고, 이 산에 의해 치아표면의 에나멜질에 탈회가 일어나 충치가 된다. 그 밖에, 치은염, 치주염 등도 역시 세균감염에 의한 질병이며, 구강내 세균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강 내에는 약 1000여종의 세균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초기 충치유발세균은 스트렙토코쿠스 종(Streptococcus spp)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가 치아표면에 부착하면서 충치발생의 원인이 되는 세균막 형성이 시작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가 초기 세균막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치아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취 등과 같은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항균제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는 구강 병원균 뿐만 아니라, 구강내 유익한 균까지 모두 제거하여 구강내 면역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항균제는 구강 병원균의 유전적 변이에 의한 내성을 증가시켜, 구강 병원균으로 인해 야기되는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강내 정상적인 세균의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유해 세균에 의해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이러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강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biofilm)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리시레틴산은 상기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0002 내지 2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프레보텔라 니그레센스(Prevotella nigrescens),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세라티아 마르체센스(Serratia marcescens), 메틸박테리움(Methylobacterium), 슈도모나스(Psuedomonas), 잔토모나스(Xanthomona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및 바실러스(Bacillus) 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의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의한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리시레틴산은 구강내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세균막 생성 및 구강내 표면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은 생물체 유래의 조직 또는 기관, 치과용품의 표면, 주방용품의 표면, 욕실용품의 표면, 또는 배관 또는 세탁기 세탁조 등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의 형성 억제 또는 물 때 제거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용 조성물, 치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시린이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구취 제거용 조성물, 또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방법,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레틴산을 구강 내에 처리하여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의한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biofilm) 생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구강내 정상적인 세균의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세균막 형성의 초기 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균의 세균막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탐색하기 위해 예의 노력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글리시레틴산이 바이오필름이 부착 표면에 비가역적으로 흡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물로 씻는(wash-off) 방법을 통하여 바이오필름이 용이하게 제거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균에 의한 세균막 생성 및 치아 부착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상기 글리시레틴산은 미생물의 표면 부착력을 저해함으로서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균에 의한 구강내 세균막 생성 및 치아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시레틴산은 허브 감초로부터 수득된 글리시리직산의 가수분해로 수득된 베타-아밀린(beta-amyrin) 타입의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페노이드(pentacyclic triterpenoid)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글리시레틴산은 향료 및 알로에나 퀴닌과 같은 약물의 쓴맛을 차폐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글리시레틴산은 위궤양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또한 거담(기침 억제) 특성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미생물 부착 표면은 미생물이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제한되지 아니하고, 미생물이 바이오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물체 유래의 조직, 기관 또는 금속 표면, 타일 표면 등의 치과용품, 주방용품, 욕실용품, 상하수도 배관, 세탁기 세탁조 등 지속적으로 물이 닿는 부위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구강점막 또는 치아표면과 같은 구강내 표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글리시레틴산을 0.0002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글리시레틴산이 0.0002 중량% 미만일때는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적 투자 대비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2 중량% 초과일 때는 자극 및 외과적 상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름 억제용 구강 조성물은 어떠한 미생물의 바이오필름인지에 대하여 제한되지 아니하나,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프레보텔라 니그레센스(Prevotella nigrescens),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세라티아 마르체센스(Serratia marcescens), 메틸박테리움(Methylobacterium), 슈도모나스(Psuedomonas), 잔토모나스(Xanthomona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또는 바실러스(Bacillus) 등이 바람직하며,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의 바이오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구강 건강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용 조성물은 프라그 생성의 주 원인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에 의한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구내염 예방 또는 치료, 치은염 예방 또는 치료, 시린이의 예방 또는 치료, 구취 제거용, 또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분들로, 습윤제, 연마제, 약효제, 감미제, 방부제, 결합제, 향료, 기포제, 또는 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물때 생성 억제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때는 치과용품, 주방용품, 욕실용품, 정수기, 상하수도 배관, 또는 세탁기의 세탁조 등 지속적으로 물이 닿는 부위에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물때는 세라티아 마르체센스(Serratia marcescens), 메틸박테리움(Methylobacterium), 슈도모나스(Psuedomonas), 잔토모나스(Xanthomona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또는 바실러스(Bacillus) 등의 세균이 공기중에 떠다니다가 이물질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번식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생긴 결과로 생길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러한 균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여 물때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 때 생성 억제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물때를 생성 방지용 조성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물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시레틴산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형성의 억제 방법,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레틴산을 구강 내에 처리하여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의한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은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며, 특히 바이오필름 형성의 초기 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균의 구강내 세균막 생성 및 치아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구강 조성물은 치아의 부식, 치석 형성, 입냄새 생성, 및 잇몸 질환 등의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여 구강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세균막 억제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치아 디스크 부착 억제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nic acid)의 독성 실험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 mutans)에 독성이 없는 글리시레틴산의 농도를 정하기 위하여 독성 평가를 우선적으로 시행하였다. 브레인 하트 인퓨전(Brain Heart Infusion, BHI) 배지에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를 접종하여 600nm에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0.5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96 웰(well)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106 CFU/ml 농도로 접종시키고, 글리시레틴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37℃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독성 평가는 알라마 블루(alamarblu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20uL씩 첨가하여 37℃의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한 후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VICTOR, PerkinElmer)를 사용하여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글리시레틴산의 독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각각 3회씩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균 생존율은 글리시레틴산이 함유되지 않은 BHI 배지인 대조군 대비 형광도의 비율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 독성 평가 결과로, 글리시레틴산의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대한 글리시레틴산의 농도별 균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균 생존율 (%)
대조군 100
0.02ppm 글리시레틴산 100
0.2ppm 글리시레틴산 100
2ppm 글리시레틴산 103
20ppm 글리시레틴산 102
실험예 2: 세균막 생성 억제 효과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글리시레틴산을 20ppm 처리한 후 세균막 생성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106 CFU/ml 농도로 접종시키고, 20ppm 글리시레틴산을 처리하여 37℃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여 부유균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세균막의 양은 알라마 블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균막 생성율은 글리시레틴산을 함유하지 않은 BHI 배지인 대조군 대비 형광도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도 1에 글리시레틴산의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대한 세균막 생성율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치아 부착 억제 효과
치아 디스크인 수산화인회석 디스크(hydroxyapatite disc)에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를 접종시키고, 20ppm 글리시레틴산을 처리하여 치아부착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를 수산화인회석 디스크가 든 24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106 CFU/ml 농도로 접종시키고, 20ppm 글리시레틴산을 처리하여 37℃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 (PBS)로 세척하여 부유균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수산화인회석 디스크에 형성된 세균막을 치면착색제 (RED-COTE, Butler)로 염색하여 측정하였다. 도 2에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수산화인회석 디스크에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부착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치은염증 형성 억제 효과
치은염증 형성 억제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선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시메칠세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리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류,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도디신과 감미제, 방향제, 착색제 등을 사용하여 대조군 치약을 만들었고, 여기에 글리시레틴산이 0.01 중량% 함유된 실험군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치열이 고르고 결손 치아가 없는 치은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별 30세부터 50세까지 10세 간격으로 성별에 따라 30명씩 정밀한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120명의 실험대상군을 선별한 후, 60명씩 나누어 치은염증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군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식후 2시간 경과 후 잠자기 전에 하루 3회 사용하도록 교육시키고 치면세마를 실시하였다. 초기 치은염지수를 점수화하고 각각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하여 1주, 1개월, 3개월, 및 6개월 경과 후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치은염지수를 검사하였다. 치은염지수의 측정방법은 페리오덴탈 프로브(periodontal probe)를 치은열구 내에 삽입하여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각 치아주위를 연소하여 탐침하고 30초가 지난 뒤에 출혈된 상태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개시된 방법으로 점수를 기록하여 결과를 얻었다. 치은염증 억제 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점수 내용
0점 무출혈상태
1점 정상출혈상태
2점 선상출혈상태
3점 치간부위 삼각형 출혈상태
4점 치은전체 출혈상태
시간 대조군 시험군
0주 1.03 1.02
1주 1.34 1.09
1개월 2.34 1.18
3개월 3.09 1.33
6개월 3.34 1.22
실험예 5: 시린이 현상 억제 정도 비교
시린이 억제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선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시메칠세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리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류,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도디신과 감미제, 방향제, 착색제 등을 사용하여 대조군 치약을 만들었고, 여기에 글리시레틴산이 0.01 중량% 함유된 실험군 치약을 제조하였다.
위에서 제조한 조성물들의 시린이 현상 억제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즉, 지각과민치아를 가진 사람으로 이 실험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지원자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연구대상 치아는 80개이다. 또한, 지원자 중 남자가 20명, 여자가 20명이었고, 연령은 20세 내지 50세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치약 내용물을 알지 못하도록 하였고, 총 시험기간은 2주로 하였다.
온도자극을 가한 후 환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미리 각 지원자의 지각과민치아의 과민부위를 체크하였고, 치아의 시린부위에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한 후 2주간 각각의 조성물을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2주가 지나 다시 약 5℃의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하였다. 자극 후 환자의 반응 평점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0점: 아무런 불편감이 없음, 1점: 약간 불편하거나 시림, 3점: 아픔. 통계처리는 실험 실시 전과 2주 후의 자극 점수를 paired student-t test로 검정하였다. 시린이 억제 정도에 대한 실험 결과는 0주 및 2주 후의 온도자극에 대한 반응점수를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간 대조군 실험군
0주 2.23±0.21 2.22±0.05
2주 2.21±0.35 1.48±0.21
p>0.05 *p<0.05
실험예 6: 구취제거 효과 실험
구취제거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선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시메칠세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리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류,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도디신과 감미제, 방향제, 착색제 등을 사용하여 대조군 치약을 만들었고, 여기에 글리시레틴산이 0.01 중량% 함유된 실험군 치약을 제조하였다
치아우식증이 없는 남녀 50명을 선정하여 대상 음료에 대하여 교차 반복 실험(Cross-over test)을 실시하였다.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24시간 방치한 후 희석하여 할리미터(Halimeter) 측정값이 700 ppb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으로 사용하였다. 마늘분 희석액 15ml로 30초간 가글을 한 후 1분 뒤에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한 후, 대조군, 실험군 치약을 사용하여 30초~1분간 양치질하였다. 양치질을 하고 1분, 5분, 30분 경과 후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하여 구취억제의 지속여부를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구취제거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간 대조군 실험군
1분 65.3% 95.7%
5분 45.2% 85.5%
30분 35.1% 76.2%
상기의 실험들로부터 글리시레틴산이 구강질환의 근본원인인 세균막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세균막 생성 및 표면 부착을 억제시킴으로써 충치, 잇몸질환 예방 또는 개선효과, 구취제거, 및 시린이 현상을 완화시켜 구강 건강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개선하는 천연소재로서 확실한 효과를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2)

  1. 글리시레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린이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레틴산은 상기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0.0002 내지 2 중량% 포함되는 시린이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00123026A 2020-09-23 2020-09-23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00112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26A KR20200112786A (ko) 2020-09-23 2020-09-23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26A KR20200112786A (ko) 2020-09-23 2020-09-23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795A Division KR20160129526A (ko) 2015-04-30 2015-04-30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786A true KR20200112786A (ko) 2020-10-05

Family

ID=7280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26A KR20200112786A (ko) 2020-09-23 2020-09-23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7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i et al. Evaluation of antiplaque activity of Azadirachta indica leaf extract gel—a 6-week clinical study
CN107184476A (zh) 一种抑菌漱口水及其制备方法
Nicolini et al. Efficacy of ozonated water mouthwash on early plaque formation and gingival inflamm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clinical trial
Nigam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mouthwash against oral infections disease
CN107028784A (zh) 一种清新口气的口腔护理用品及其制备方法
Sikka et al. Comparative anti-plaque and anti-gingivitis efficacy of two commercially available mouthwashes-4 weeks clinical study
CN112494349A (zh) 一种具有抗敏感、牙龈修护和抑菌功效的口腔护理组合物
White et al. Tongue scrapping as a means of reducing oral mutans streptococci
RU2635509C1 (ru) Фитокомпозиция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Wiatrak et al. Wychowa nski
CN107485584B (zh) 一种口腔护理组合物
CN113577098B (zh) 一种氢化镁在制备防治慢性牙周炎的组合物中的应用及氢化镁牙膏
Shetty et al. Effect of oil pulling on oral health-A microbiological study
KR20200112786A (ko)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400815B1 (ko) 아멘토플라본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Ghelichli Formulation of new herbal Salvadora toothpaste with antidecay, wound healing and caring tooth and Periodontal diseases
Wahyuningtyas The Graptophyllum pictum extract effect on acrylic resin complete denture plaque growth
KR20160129526A (ko)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Oak et al.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evaluates the efficacy of alternative herbal mouthwashes
KR20160129532A (ko) 알로에-에모딘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Pasiga et al. Clinical effects of alkaline ionization water (AIW) as a mouthwash against the reduction of dental plaque
Agrawal et al. Evaluation of clinical efficacy of Unani toothpowder (payorin) on plaque and gingivitis-A randomized clinical trial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Haider et al. Comparison of Antibacterial Properties of Salvia Officinalis with Commercially Available Mouth-Rinse
Moussa et al. Evaluation of the Antibacterial Effect of Garlic with Lime on Streptococcus Mutans in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