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070B1 -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070B1
KR100630070B1 KR1020030099097A KR20030099097A KR100630070B1 KR 100630070 B1 KR100630070 B1 KR 100630070B1 KR 1020030099097 A KR1020030099097 A KR 1020030099097A KR 20030099097 A KR20030099097 A KR 20030099097A KR 100630070 B1 KR100630070 B1 KR 10063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xternal device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048A (ko
Inventor
한재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0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면 그 디스플레이 변경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외부장치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데이터 생성 장치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다수의 사람에게 발표할 때 그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이동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의 이동 저장시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출 및 손상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STORED IN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리젠테이션 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의거하여 내부 데이터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외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예컨대,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이 작성한 문서 및 자료들을 다수의 사람에게 발표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빔-프로젝터(beam projector)를 이용한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smart phone)의 기능 및 저장 능력의 향상으로 각종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에 저장하고 기 저장된 소정 프로그램(예컨대 업무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그 데이터들에 대하여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에서 개인이 작업한 데이터들을 다수의 사람에게 발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 데이터들을 외부장치(예컨대, PC 등)에 저장한 후 그 외부장치에 빔-프로젝터를 연결하여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하여야 했다. 즉,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에서 작업한 데이터를 다수의 사람에게 발표하기 위해 그 데이터를 외부장치에 이동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해당 외부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거나 발표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한 후에 그 데이터를 빔-프로젝터를 거쳐 대형 스크린 등에 디스플레이하여야 했다.
도 1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리젠테이션 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가 그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예컨대, 발표데이터 등)를 외부장치(예컨대, PC 등)(20)로 전송한다(S11). 이때 외부장치(예컨대, PC 등)(20)에는 프로젝터(예컨대, 빔 프로젝터)(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소정 데이터(예컨대, 발표데이터 등)를 수신한 외부장치(예컨대, PC 등)(20)는 그 데이터를 저장한 후(S13) 외부장치(20)의 디스플레이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를 외부장치(2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그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프로젝터(30)에 전달하여(S21) 프로젝터(30)에서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23).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에서 소정 프로그램(예컨대, 업무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처리한 데이터(예컨대, 업무 내용이나 중요한 정보 등)를 여러 사람에게 보이기 위해서 그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이동 저장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안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이동 저장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유출 또는 데이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발표하기 위해서는 그 데이터를 해당 외부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거나 발표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외부장치에 이동 저장하지 않고 다수의 사람에게 발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외부장치를 통해 발생된 소정 이벤트를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에서 작성된 데이터의 손상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면 그 디스플레이 변경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제4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변경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정보를 변경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제6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7 과정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데이터 처리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외부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부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의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고 그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부로 전달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부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조작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이벤트 발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장치(예컨대, PC 등)(200) 및 프로젝터(예컨대, 빔-프로젝터)(300)를 거쳐서 프리젠테이션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발표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101). 그리고 그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장치(200)로 전달한다(S103).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외부장치(200)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체화면 크기 및 그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외부장치(200)는 그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장치(200)에 연결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S105) 그 디스플레이 정보를 다시 프로젝터(300)에 전달하여(S107) 상기 데이터가 프로젝터(30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109). 이를 위해 외부장치(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체화면 크기 대비 외부장치(200)의 전체화면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고 그 비율에 의거하여 외부장치(200)에서의 컨텐츠들의 표시위치를 결정한 후 그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S111) 외부장치(200)는 그 이벤트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한다(S113). 예컨대, 외부장치(200)에 연결된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click) 되거나, 키보드의 기능키 등이 선택되면, 외부장치(200)는 그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정보와 마우스 버튼의 클릭에 해당되는 이벤트 정보 또는 키보드의 기능키에 해당되는 이벤트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처리를 수행한 후(S115) 디스플레이 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S117)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그 디스플레이 변경 정보를 외부장치(200)로 전달한다(S119). 예를 들어, 외부장치(200)로부터 마우스 버튼의 클릭에 해당되는 이벤트 정보와 그 마우스 버튼이 클릭된 위치 정보가 전달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영역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화면 위치 정보에 대응된 위치를 판단한 후 상기 위치에서 외부장치(200)의 마우스 클릭에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조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응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그 결과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이 전환되거나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등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그 변경정보를 외부장치(200)로 전달한다. 또는 외부장치(200)의 소정 기능키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조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응된 처리를 수행한다. 즉, 외부장치(200)에서 소정 명령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아 그에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명령을 식별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그 명령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다시 외부장치(20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변경 정보를 수신한 외부장치(200)는 그 디스플레이 변경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한 후(S121) 그 디스플레이 변경 정보를 다시 프로젝터(300)에 전달하여(S123) 프로젝터(300)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도록 한다(S125). 도 2의 실시 예에서 외부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디스플레이부, 마우스 및 키보드 등)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고 실제 데이터의 편집 및 수정은 모두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행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외부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를 통해 소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외부장치(200) 자체적으로 그 명령을 수행할 수 없고 그 명령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한 후 그 처리 결과를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전달 받아 외부장치(200)에 표시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의거하여 내부 데이터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I/F: InterFace)부(110), 제어부(120), 무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디스플레이정보 송신부(150), 이벤트 발생부(160) 및 외부 인터페이스(I/F: InterFace)부(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I/F 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사용자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통상 키 패드로 구성된다.
무선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으로 데이터(예컨대, 음성 및 문자 등)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및 데이터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통상 액정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으로 구성된다.
외부 I/F 부(17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연결된 외부장치(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 등)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부(16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정보 송신부(15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 I/F 부(17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체화면 크기 및 그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 I/F 부(170)로 전달하고,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이 전환된다거나,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면 그 디스플레이 정보(예컨대, 전체 화면 대비 팝업 메뉴의 크기 및 위치 등)를 외부 I/F 부(170)로 전달한다.
이벤트 발생부(160)는 외부 I/F 부(170)에서 수신한 외부장치의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이벤트를 발생시켜 그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외부 I/F 부(170)를 통해 외부장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버튼이 클릭된 것이 감지되면 그에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키-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된 이벤트를 발생시켜 그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부(150)로 전달하고, 이벤트 발생부(160)에서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100)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외부장치(2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I/F: InterFace)부(210), 제어부(220),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230), 이벤트 발생부(240) 및 외부 인터페이스(I/F: InterFace)부(250)를 포함한다.
사용자 I/F 부(210)는 외부장치(200)와 사용자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외부장치(200)가 컴퓨터인 경우 통상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 사용된다.
외부 I/F 부(250)는 외부장치(200)에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230)로 전달하고, 이벤트 발생부(240)에서 이벤트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230)는 외부 I/F 부(250)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달받는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상태정보(예컨대, 화면의 크기, 색상, 윈도우의 수 등)를 수신한다.
이벤트 발생부(240)는 사용자 I/F 부(210)의 조작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click) 되거나 키보드의 기능 키 등이 선택되면, 그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마우스 버튼의 클릭에 해당되는 이벤트 정보 또는 키보드의 기능키에 해당되는 이벤트 정 보를 발생시킨다.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23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고 그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 후 외부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 크기와 외부장치(200)의 화면 크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포함된 화면 크기 정보를 변환한 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외부 장치(20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 I/F 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이벤트 발생부(240)로 전달한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 정보는 물론이고, 외부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 정보에 의거하여 내부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그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장치(200)로 전달한다. 한편, 외부장치(200)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디스플레이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연계되어 동작중일 때 외부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소정 이벤트가 입력되면 그에 대한 동작을 직접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그 이벤트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특히, 데이터의 생성 및 수정의 주체가 이동통신단말기(100)이고 그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연결된 외부장치(200)를 컴퓨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데이터의 생성 및 수정의 주체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소정 작업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생성 및 수정할 수 있는 모든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 등)가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생성 및 수정의 주체가 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데이터 생성 및 수정의 주체가 되는 장치 및 빔-프로젝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생성 및 수정의 주체가 되는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소정의 데이터 생성 장치(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및 스마트-폰 등)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다수의 사람에게 발표할 때 그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이동 저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의 이동 저장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출 및 손상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해당 외부 장치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거나 발표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는 사전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면 그 디스플레이 변경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달하는 제4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변경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화면 크기 및 그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표시위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화면 크기 대비 상기 외부장치의 전체화면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고 그 비율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장치에서의 상기 컨텐츠들의 표시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제6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7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 과정 수행 결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면 그 변경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제8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6.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데이터 처리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외부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부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의 이벤트 정보를 전달받고 그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부로 전달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부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화면 크기 및 그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표시위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외부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조작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이벤트 발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화면 크기 및 그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화면 크기 대비 상기 외부장치의 전체화면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고 그 비율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장치에서의 상기 컨텐츠들의 표시위치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
  12.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리젠테이션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데이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화면 크기 및 컨텐츠들의 표시 위치를 포함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화면 크기 대비 상기 외부장치의 전체화면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비율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컨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할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위치에 상기 컨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99097A 2003-12-29 2003-12-29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3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097A KR100630070B1 (ko) 2003-12-29 2003-12-29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097A KR100630070B1 (ko) 2003-12-29 2003-12-29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048A KR20050068048A (ko) 2005-07-05
KR100630070B1 true KR100630070B1 (ko) 2006-09-27

Family

ID=3725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097A KR100630070B1 (ko) 2003-12-29 2003-12-29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외부장치, 그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24B1 (ko) * 2004-11-11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연동 방법 및장치
KR101396129B1 (ko) * 2009-05-13 2014-05-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048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2903B2 (en) Display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extern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561155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외부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7157327A1 (zh) 图形码显示方法及装置
US20220300302A1 (en)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2472383A2 (en) Method for inputting memo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device thereof
US6601129B1 (en) Interface device between PC and keyboard enabling switching of data
JP2004537877A (ja) 新規なパーソナル電子機器
CN109976606B (zh) 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
KR20070107462A (ko)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표시 방법
EP193983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CN110096326A (zh) 一种截屏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491130A (zh) 一种应用程序切换方法及移动终端
CN110225180B (zh) 一种内容输入方法及终端设备
CN109032468A (zh) 一种调节设备参数的方法及终端
US20220083205A1 (en) Icon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3185817A1 (zh) 多设备协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200300387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put/output apparatus,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display apparatus
CN109756621A (zh) 一种二维码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9101152A (zh) 一种信息输入方法及终端
KR20210034668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단말
CN109597546A (zh) 一种图标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9889661A (zh) 一种界面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6131181A1 (zh) 一种指纹事件的处理方法、装置及终端
EP1895794B1 (en)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20238477A1 (zh) 编辑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