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798B1 -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798B1
KR100629798B1 KR1020040088577A KR20040088577A KR100629798B1 KR 100629798 B1 KR100629798 B1 KR 100629798B1 KR 1020040088577 A KR1020040088577 A KR 1020040088577A KR 20040088577 A KR20040088577 A KR 20040088577A KR 100629798 B1 KR100629798 B1 KR 10062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detection signal
integrated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481A (ko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7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각 위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실제 감지신호를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으로 통합 처리하여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전자제어유닛으로 전달함으로써, 각 구동기가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의 각 위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된 실제 감지신호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통합 처리 및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되어 기존의 각 전자제어유닛의 입력 신호로 입력되므로써, 기존 전자제어유닛의 변경 없이 통합제어가 가능하며, 새로운 전자제어유닛의 개발비용 및 개발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는 샤시계통을 이루는 다수의 구동기, 차량의 각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구동기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구동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감지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샤시, 통합 ECU, 통합 전자제어유닛

Description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chassis}
도 1은 종래 하나의 고성능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샤시계통 통합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통합 전자제어유닛 20 : 각종 센서
30 : 각종 구동기 31 : EPS 구동기
33 : AFS 구동기 35 : CDC 구동기
37 : AGCS 구동기 39 : ESP 구동기
41 : ESP 전자제어유닛 43 : EPS 전자제어유닛
45 : AFS 전자제어유닛 47 : CDC 전자제어유닛
49 : AGCS 전자제어유닛 51 : 제1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
61 : 제2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 71, 75, 76 : CAN 통신 라인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각 위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된 실제 감지신호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통합 처리 및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되어 기존의 각 전자제어유닛의 입력 신호로 입력되므로써, 기존 전자제어유닛의 변경 없이 통합제어가 가능하며, 새로운 전자제어유닛의 개발비용 및 개발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이란,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것을 토대로 차량상태를 파악하여 각종 구동기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입력 테이터의 산출연산 또는 논리 연산을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 결과를 구동기 작동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다. 전자제어유닛의 종류에는 EPS(Electronic Power Steering) ECU, ABS(Anti-Lock Break System) ECU, TCS(Traction Control System) ECU, VDC(Vehicle Dynamic Control System) ECU, AFS(Active Front Steering) ECU, CDC(Continuous Damper Control) ECU 및 AGCS(Active Geometry Controlled Suspension) ECU 등이 있으며, 각각 차량의 샤시(Chassis)계통 즉, 현가, 제동 및 조향 등을 제어함으로 차량의 안전성과 승차감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자제어유닛을 개별적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였는데, 각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성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자 하나의 고성능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샤시계통 통합제어방식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하나의 고성능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샤시계통 통합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하나의 고성능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샤시계통 통합제어 장치의 구성은 샤시계통의 각종 구동기(30), 차량의 각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20) 및 각종 센서(20)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구동기(30)를 제어하는 통합 전자제어유닛(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구성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휠 스피드 센서 및 G 센서 등의 각종 센서(20)에 의해 차량의 상태가 감지되면, 감지사실은 전기적인 감지신호 형태로 통합 전자제어유닛(10)에 입력되고, 통합 전자제어유닛(10)은 입력된 상기 감지신호를 비교 분석 및 판단하여 상황에 맞게 ABS 구동기, AFS 구동기, CDC 구동기 및 AGCS 구동기 등 각종 구동기(30)를 동작 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동작되던 샤시계통은 하나의 고성능 전자제어유닛(10)에 의해 통합제어 된다.
종래 하나의 고성능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샤시계통 통합제어 방식에 따르면, 전자제어유닛의 개별적인 동작으로 인한 샤시계통의 성능 저하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각종 전자제어유닛을 하나의 고성능 전자제어유닛으로 대체하는데 있어서 전자제어유닛의 재개발이 불가피하므로 전자제어유닛의 개발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각 위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된 실제 감지신호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통합 처리 및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되어 기존의 각 전자제어유닛의 입력 신호로 입력되므로써, 기존 전자제어유닛의 변경 없이 통합제어가 가능하며, 새로운 전자제어유닛의 개발비용 및 개발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는 샤시계통을 이루는 다수의 구동기, 차량의 각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구동기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구동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감지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각종 전자제어유닛중 EPS 전자제어유닛, AFS 전자제어유닛, CDC 전자 제어유닛, AGCS 전자제어유닛 및 ESP 전자제어유닛을 통합하는 경우를 설명하는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각종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의 구성은 EPS 구동기(31), AFS 구동기(33), CDC 구동기(35) AGCS 구동기(37) 및 EPS 구동기(39) 등 샤시계통의 구동기(30), 차속센서, 조향각 센서, 휠 스피드 센서 및 G 센서 등 차량의 각 위치에 설치된 센서(20), 센서(20)로부터 감지된 실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51)(61), 상기 가상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구동기(30)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43)(45)(49) 및 실제 감지신호를 직접 받는 독립 전자제어유닛인 EPS 전자제어유닛(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독립 전자제어유닛인 ESP 전자제어유닛(41)은 다른 전자제어유닛(43)(45)(47)(49) 보다 많은 센서값이 필요하므로 통합제어를 위한 기준 전자제어유닛이며, 실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독립 전자제어유닛인 ESP 전자제어유닛(41)을 기준으로 다른 전자제어유닛(43)(45)(47)(49)을 통합제어하기위한 가상의 감지신호를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이다. 또한,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51)(61)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실제 감지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 상기 프로그램이 탑재되어있는 메모리(미도시), 상기 가상의 감지신호를 각종 전자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출력인터페이스(미도시) 및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출력인터페이스(미도시)를 제어하는 CPU(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독립 전자제어유닛을 제외한 가상의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전자제어유닛은 데이터의 종류별로 그룹지어 유사 전자제어별로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ESP ECU(43) 와 AFS ECU(45)가 한 그룹으로 제1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51)에 연결되고, 현가장치를 제어하는 CDC ECU(47) 와 AGCS ECU(49)가 또다른 그룹으로 제2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61)에 연결된다.
이하 상기 구성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각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20)를 통하여 감지된 차량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감지신호는 CAN통신 라인(71)을 통하여 제1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 제2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 및 ESP 전자제어유닛에 입력되고, 실제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1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과 제2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은 각각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제 감지신호를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하여 CAN통신 라인(75)(76)을 통하여 각 전자제어유닛(43)(45)(47)(49)으로 출력한다. 이후 각 전자제어유닛(43)(45)(47)(49)은 제1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51) 및 제2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61)으로 부터 입력받은 상기 가상의 감지신호를 실제 감지신호로 받아들여 각 구동기(30)를 구동시킨다.
한편, 차량의 각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20)로부터 실제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ESP 전자제어유닛(41)은 상황에 맞게 ESP 구동기(39)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ESP 전자제어유닛(41)을 제외한 전자제어유닛(43)(45)(47)(49)은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51)(61)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가상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각 구동기(31)(33)(35)(37)를 구동시키므로 결국 모든 전자제어유닛(41)(43)(45)(47)(49)이 통합 제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독립 전자제어유닛은 ESP 전자제어유닛(41)이외에 다른 전자제어 유닛(43)(45)(47)(49)도 가능하며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51)(61)에 탑재된 상기 프로그램은 상황에 맞게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51)(61)의 개수는 한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를 사용할 경우 2개 이상의 유사 전자제어유닛별로 그룹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분산 전자제어유닛에 의한 샤시계통 통합제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 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각 위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된 실제 감지신호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통합 처리 및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되어 기존의 각 전자제어유닛의 입력 신호로 입력되므로써, 기존 전자제어유닛의 변경 없이 통합제어가 가능하며, 새로운 전자제어유닛의 개발비용 및 개발시간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샤시계통을 이루는 다수의 구동기;
    차량의 각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구동기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구동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가상의 감지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감지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도록 그룹지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직접 입력받아 상기 구동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변환된 가상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유닛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전자제어유닛 별로 그룹지어진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그룹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장치.
  5. 삭제
KR1020040088577A 2004-11-03 2004-11-03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 KR10062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577A KR100629798B1 (ko) 2004-11-03 2004-11-03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577A KR100629798B1 (ko) 2004-11-03 2004-11-03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481A KR20060039481A (ko) 2006-05-09
KR100629798B1 true KR100629798B1 (ko) 2006-09-28

Family

ID=3714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577A KR100629798B1 (ko) 2004-11-03 2004-11-03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45B1 (ko) 2007-06-11 2012-03-3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통합 전자제어장치
KR20170027766A (ko) * 2015-03-27 2017-03-10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응급 환자 생체 신호 전송용 스마트 모니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35B1 (ko) * 2006-05-25 2007-11-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
KR100871857B1 (ko) * 2007-06-11 2008-12-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94153B1 (ko) * 2017-09-11 2022-05-09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ecu
DE102018200982A1 (de) 2018-01-23 2019-08-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Sensordaten in einer Anzahl von Steuergeräten, entsprechend ausgelegte Vorverarbeitungseinheit sowie Fahrzeu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45B1 (ko) 2007-06-11 2012-03-3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통합 전자제어장치
KR20170027766A (ko) * 2015-03-27 2017-03-10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응급 환자 생체 신호 전송용 스마트 모니터 장치
KR102265537B1 (ko) 2015-03-27 2021-06-16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응급 환자 생체 신호 전송용 스마트 모니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481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7553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rotational state of wheel
US4567460A (en) Testing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of automotive vehicle wheels
US7912610B2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cooperative control unit
EP2088043A1 (en) Fail safe test for motion sensors
KR100629798B1 (ko) 전자제어유닛 통합제어 장치
KR100726539B1 (ko) 차량용 티시에스 시뮬레이션 장치
KR20000068361A (ko) 차량의 센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970006010A (ko) 안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동작기록장치
CN102667111A (zh) 车速信号窜改检测装置、车速抑制装置、车速信号窜改检测方法以及车速抑制方法
JP5554684B2 (ja) 物理量検出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629797B1 (ko) 샤시계통 통합제어 장치
KR20090087199A (ko)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
JP2002365057A (ja) 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
JP2001151098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方法
JP2020533220A (ja) 車両を安定化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39279B1 (ko) 자동차용 자세제어장치와 현가장치의 통합 시스템
KR970015311A (ko) 앤티-록 브레이킹 시스템용 진단 장치
KR20100018200A (ko) 센서 신호들을 처리 및 제공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0235017B1 (ko) 조향각 검출 방법
KR101162326B1 (ko) 현가 제어 장치 및 그 현가 제어 방법
JP3066506B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電子制御装置
JP3689264B2 (ja) アンチロック制御装置、及びアンチロック制御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721672B1 (ko) 차량의 댐퍼 제어 장치
JP2590163B2 (ja) アンチスキツド制御方法
JP2762468B2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