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507B1 - 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507B1
KR100629507B1 KR1020040068450A KR20040068450A KR100629507B1 KR 100629507 B1 KR100629507 B1 KR 100629507B1 KR 1020040068450 A KR1020040068450 A KR 1020040068450A KR 20040068450 A KR20040068450 A KR 20040068450A KR 100629507 B1 KR100629507 B1 KR 100629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output
digital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9793A (en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507B1/en
Publication of KR2006001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5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 및 그 지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나 셋톱박스(Set Top Box)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장치에서 다양한 규격의 디지털 음성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 출력의 동기를 영상신호 출력에 맞추기 위하여, MUX부와 음성지연부를 포함하고, 수신하는 음성신호 중에서 선택되는 음성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외부음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음성신호 출력의 동기를 영상신호 출력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지연되지 아니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함께 출력함으로써 지연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의한 립싱크(Lipsync)를 방지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and a delay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ynchronize the synchronization of the digital audio signal and the analog audio signal output of various standards to the video signal output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such as a digital TV or a set top box, etc. A voice delay unit is included, and the voice signal selected from the received voice signals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 As a result, in the case of using an external sound apparatus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 digital audio signal, the synchronization of the audio signal output can be matched to the video signal output. In addition, by outputting the non-delayed analog voice sig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Lipsync caused by the delayed analog voice signal.

디티브이, DTV, 음성지연장치, I2S, SPDIF, PCM, 립싱크, 동기TV, DTV, Voice Delay, I2S, SPDIF, PCM, Lip Sync, Sync

Description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 및 그 지연방법{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도 1a 및 1b는 종래의 디티브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A and 1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ve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의 블럭도, 그리고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 및 그 지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이 중에서 선택되는 음성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면서 출력할 수 있는,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 및 그 지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and a delay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receive at least one digital and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 a delayed voice signal selected by the predetermined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ndard speech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and a delay method thereof.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텔레비젼이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텔레비젼은 내부에 디지털 방송수신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그 밖에도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는 없더라도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텔레비젼도 있다. 이때는 외부에 디지털 방송수신을 위한 셋톱박스(STB:set top box)를 구비하여야 한다. Digital television is required to watch digital television broadcasts. Such digital televisions have a built-in devic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However, there are other televisions that can process and view digital broadcast signals even though they cannot receive digital broadcasts. In this case, a set top box (STB)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hould be provided outside.

일반적으로 전자의 경우를 '빌트인 디티브이(Built-in DTV)'라고 하고, 후자를 이에 대응하여 '디티브이 레디(DTV Ready)'라고 한다. 따라서 디티브이 레디의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수신을 위해 셋톱박스를 구비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빌트인 디티브와 셋톱박스를 구비한 디티브이 레디를 합쳐 '디티브이'라고 한다.In general, the former is called 'Built-in DTV' and the latter is called 'DTV Ready'. Therefore, if the TV is ready, it needs to have a set-top box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ombination of a built-in TV and a set-top box is referred to as a ready TV.

디티브이에서 처리하는 음성신호는 I2S(Inter-IC Sound),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및 PCM(Pulse Code Modulation)규격의 디지털 음성신호가 있고, 이들 디지털 음성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있다. The audio signals processed by the TV include I 2 S (Inter-IC Sound), SPDIF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and PCM (Pulse Code Modulation) standard digital voice signals, and these digital voice signals are converted to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to convert analog signals and output analog audio signals.

I2S는 CD(Compact Disk) 플레이어,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디티브이 음향 등의 디지털 오디오 장치를 위한 직렬버스(Serial Bus) 규격이다. I2S규격에서는 음성데이터(SDATA)를 클럭 신호(SCLK/LRCLK)와 분리하여 처리한다. 데이터와 클럭 신호를 분리하면, 지터(jitter)를 유발하는 시간과 관련된 에러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지터 방지 장치등이 필요없게 된다. I2S 버스는 시분할다중화 데이터 채널을 위한 회선(SDATA) 하나와, 워드 선택용 회선(LRCLK) 하나, 그리고 클럭 회선(SCLK) 하나 등 모두 세 개의 직렬 버스 회선으로 구성된다. I 2 S is a serial bus specification for digital audio devices such as compact disc (CD) players,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and discrete sound. In the I 2 S standard, the voice data SDATA is processed separately from the clock signal SCLK / LRCLK. Separating the data from the clock signal eliminates the need for jitter-preventing devices, since no errors related to time causing jitter occur. The I 2 S bus consists of three serial bus lines: one line (SDATA) for time division multiplexed data channels, one word select line (LRCLK) and one clock line (SCLK).

도 1a 및 1b는 종래의 디티브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경우는 셋톱박스(101)에 디티브이 레디(103)와 HTS(Home Theater System)(105)가 연결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경우는 빌트인 디티브이(107)에 HTS(105)가 연결되어 있다. HTS(105)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외부 음향장치이다.1A and 1B show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ive system. 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1A, a TV-ready Ready 103 and a Home Theater System (HTS) 105 are connected to the set top box 101. In FIG. 1B, the HTS 105 is connected to the built-in TV 107. The HTS 105 is an external sound device that receives and processes digital voice signals and converts them into analog voice signals.

도 1a에 도시된 경우는, 셋톱박스(101)에서 영상신호와 디지털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여, 영상신호는 디티브이 레디(103)에서 최종으로 출력되고, 디지털 음성신호는 HTS(105)에서 처리한 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바뀐 다음, 출력된다.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1A, the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audio signal are separated and output from the set-top box 101, the video signal is finally output from the ready 103, and the digital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HTS 105. After processing,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then output.

도 1b에 도시된 경우는, 빌트인 디티브이(107)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만을 HTS(109)로 출력하여 처리되고, 영상신호는 빌트인 디티브이(107) 자체에서 출력된다.In the case shown in Fig. 1B, the built-in TV 107 outputs only the digital audio signal to the HTS 109 for processing, and the video signal is output from the built-in TV 107 itself.

그런데, 도 1a 및 1b의 디티브이 환경에서는 영상신호의 처리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성신호의 처리시간이 짧아, 영상출력과 음성출력의 동기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HTS(105,109)의 처리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처리시간이 빠를수록 동기는 맞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립싱크(lipsync)라고 한다. 1A and 1B, the processing time of the audio signal is shorter than the processing time of the video signal, and thus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video output and the audio output may be los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cessing time of the HTS 105, 109. The faster the processing time, the less synchronized. In the following, this phenomenon is referred to as lipsync.

종래에, 이러한 립싱크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티브이 내부에 딜레이장치(Delay Module)를 두었다. 딜레이장치는 디지털 음성신호가 아닌 최종 음성신호인 아날로그 음성신호 출력의 동기를 영상신호 출력에 맞게 지연시켰다. 이에 의하여, 디티브이 자체의 영상출력장치로 출력되는 영상신호 출력과 내부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 출력의 립싱크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solve such lip syncing, a delay unit has a delay module installed therein. The delay device delayed the synchronization of the analog audio signal output, which is the final audio signal, not the digital audio signal to match the video signal outpu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lip syncing between the video signal output outputted from its own video output device and the audio signal output outputted from the internal speaker.

문제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경우처럼, 디티브이가 HTS(105,109)와 같은 외부 음향장치로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립싱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아날로그 음성신호 출력이 아닌 디지털 음성신호인 I2S나 SPDIF/PCM 를 주로 전달받아 처리하는 외부 음향장치가 디티브이에 접속되는 경우에, 디지털 음성신호는 딜레이장치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디티브이로 출력되는 영상신호 출력과 외부 음향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출력사이에 립싱크가 발생하는 것이다. The problem is that,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lip sync problem cannot be solved when the TV outputs a digital voice signal to an external sound device such as the HTS 105,109. When an external audio device that receives and processes digital voice signal I 2 S or SPDIF / PCM, which is not an analog audio signal output, is connected to the TV, the digital audio signal does not go through the delay device. Lip sync is generated between the video signal output an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audio device.

반대로, 디티브이와 VCR(Video Cassette Recoder)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녹화하는 경우에는 디티브이에서 VCR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내부처리를 하지 아니한 CVBS신호가 그대로 출력되는데 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 출력은 딜레이장치를 거침으로 인해 립싱크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디티브이나 셋톱박스의 음성신호 출력이 디지털 신호인지 아날로그 신호인지를 여부에 관계없이 립싱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recording digital broadcasting through the TV and VCR (Video Cassette Recorder),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TV to the VCR is output as it is without the internal processing, whereas the analog audio signal output is the delay device. Lip sync occurs due t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lip sync problem regardless of whether the audio signal output of the dive or set-top box is a digital signal or an analog sig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티브이나 셋톱박스 등에서 다양한 디지털 음성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 출력의 동기를 영상신호 출력에 맞추기 위한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 및 그 지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elaying the synchronization of various digital audio signals and analog audio signal outputs with a video signal output in a digital TV or set top box, and a delay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는,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음성신호와 디 지털 형태로 변환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중에서 선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MUX부 및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한 출력과 동기를 맞추기 위해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음성지연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delaying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digital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and an analog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and selected from among them. A MUX unit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voice delay unit for receiving the selected audio signal and delaying and outputting the selected audio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ynchronize with the output for the predetermined video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음성신호는 I2S(Inter-IC Sound),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및 PCM(Pulse Code Modulation)규격의 음성신호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digital voice signal is selected from voice signals of I 2 S (Inter-IC Sound),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SPDIF) and Pulse Code Modulation (PCM) standard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지연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신호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지연부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delay unit and the at least one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remaining voice signal except the selected voice signal of the at least one voice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delay unit together. It includes m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중에서 디지털 형태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unit for receiving an analog audio signal in a digital form from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ion unit and converting the analog audio signal to an analog form again.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지연부의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조정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time of the sound delay unit may be varied by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adjustmen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분리한 영상신호와, 상기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음성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 중에서 선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함에 있어,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와 상기 영상신호의 동기를 맞추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ving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signal separated from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signal, at least one digital audio signal and an analog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In outputting the selected audio signal from among the signals, the selected audio signal may b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규격 음성신호의 선택적 지연방법은,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음성신호와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상기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한 출력과 동기를 맞추기 위해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elective delay method of the multi-standard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t least one digital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and an analog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one selected from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delaying the selected audio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ynchronize with the output of the predetermined video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음성신호는 I2S, SPDIF 및 PCM 규격의 음성신호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digital voice signal is selected from voice signals of I 2 S, SPDIF and PCM standard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신호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음성신호와 상기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remaining voice signal except for the selected voice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elayed output of the at least one voice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중에서 디지털 형태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 analog audio signal in a digital form from among the audio signals output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together and converting the analog audio signal back into an analog form.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의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조정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time of the delayed outputting may be varied by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adjustmen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 연장치의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ela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음성지연장치(200)는, 빌트인(Built-in) 디티브이(DTV), 디티브이 레디(DTV Ready)및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셋톱박스(Set Top Box)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미도시)내에 구비되어 음성신호 출력을 영상신호 출력에 동기시킨다. The voice delay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such as a built-in TV (DTV), a TV set ready (DTV Ready), and a set top box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It is provided in an apparatus (not shown) to synchronize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음성지연장치(200)는 복수개의 디지털 음성신호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그 중에서 선택된 음성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토록 함으로써, 음성지연장치(200)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미도시)의 영상신호 출력과 동기를 맞춘다.The voice delay device 200 receives a plurality of digital voice signals and analog voice signals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and delays the voice signal selected therefrom by a predetermined time to output the digital voice signal. Synchronize with the video signal output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not shown).

바람직하게는, 음성지연장치(200)에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로는 I2S(Inter-IC Sound),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및 PCM(Pulse Code Modulation) 규격이 있다. I2S는 데이터(SDATA)와 클럭신호(SCLK, LRCLK)를 분리하여 입력된다. Preferably, digital voice signals input to the voice delay device 200 include I 2 S (Inter-IC Sound), SPDIF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and PCM (Pulse Code Modulation) standards. I 2 S is input by separating data SDATA and clock signals SCLK and LRCLK.

또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상기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미도시)를 이용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것이거나 외부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지연장치(200)내에서 처리하기 위해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미도시)를 이용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analog audio signal to be input may be a digital signal converted from an analog signal using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or an analog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In order to process the data, the ADC is converted to digital form using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not shown).

이하에서는 음성지연장치(200)는 I2S, SPDIF 및 PCM 규격의 디지털 음성신호 와 디지털형태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하고, 그 입력신호를 각각 I2S_IN, SPDIF/PCM_IN 및 LR_IN 이라고 한다.Hereinafter, the voice delay device 200 receives the digital voice signal of the I 2 S, SPDIF and PCM standards and the analog voice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and inputs the input signals I 2 S_IN, SPDIF / PCM_IN and LR_IN, respectively. It is call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성지연장치(200)는 MUX부(201), 음성지연부(203), 선택부(205)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20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voice delay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X unit 201, a voice delay unit 203, a selector 205, and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unit 207.

MUX부(201)는 음성신호인 I2S_IN, SPDIF/PCM_IN 및 LR_IN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 1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지연부(203)로 출력한다.The MUX unit 201 receives I 2 S_IN, SPDIF / PCM_IN, and LR_IN, which are voice signals. The voice signal selected by the first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voice delay unit 203.

제 1제어신호는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할 음성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제어신호는 별도의 제어장치(미도시)가 사용자 등의 선택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The first control signal includes information for selecting a voice signal to be output by delaying a predetermined time among the input voice signals. Preferably, the first control signal is a separate control device (not shown) receives a user's selection and outputs corresponding thereto.

음성지연부(203)는 MUX부(20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면서 출력한다. The voice delay unit 203 output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UX unit 201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음성지연부(203)가 지연시키는 소정의 시간은, 본 발명의 음성지연장치(200)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미도시)의 영상신호 출력과 동기를 맞추기 위해 계산되거나 측정되어 기 설정된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음성지연부(203)의 지연시간은 제 2제어신호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time delayed by the voice delay unit 203 is calculated or measured to synchronize with the video signal outpu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not shown) equipped with the voice de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ferably, the delay time of the voice delay unit 203 may be adjusted by the second control signal.

예를들어,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미도시)가 본 발명의 음성지연장치(200)를 구비하고 여기에 연결된 외부음향장치(미도시)가 디지털 음성신호 출력을 받아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음성신호 출력의 동기를 영상신호 출력에 맞추기 위해 사용자는 별도의 조정장치(미도시)를 통해 제 2제 어신호를 출력하여 음성지연부(203)의 지연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도 1a 및 도 1b의 경우에 발생하는 립싱크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not shown) includes the voice delay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ternal sound device (not shown) connected thereto receives a digital voice signal output and finally outputs it as an analog signal. Assume In this case, in order to match the synchronization of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video signal output, the user may adjust the delay time of the audio delay unit 203 by outputt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through a separate adjusting device (not shown). As a result, the lip synch phenomenon occurring in the case of FIGS. 1A and 1B can be eliminated.

선택부(205)는 I2S_IN, SPDIF/PCM_IN, LR_IN 및 음성지연부(203)의 출력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I2S_IN, SPDIF/PCM_IN 및 LR_IN 중에서 제 1제어신호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된 음성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음성신호를 음성지연부(203)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이중에서 I2S_IN과 SPDIF/PCM_IN에 대응되는 신호는 I2S_OUT, SPDIF/PCM_OUT라고 한다. 그리고 LR_IN에 대응되어 선택부(20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DAC부(207)로 출력한다.The selector 205 receives the outputs of I 2 S_IN, SPDIF / PCM_IN, LR_IN, and the voice delay unit 203. The voice signal other than the voice signal selected by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mong I 2 S_IN, SPDIF / PCM_IN, and LR_IN is output together with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delay unit 203. In a dual-signal corresponding to the I 2 S_IN and SPDIF / PCM_IN is referred to as I 2 S_OUT, SPDIF / PCM_OUT.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or 205 corresponding to LR_IN is output to the DAC unit 207.

예를 들어, 제 1제어신호에 의하여 LR_IN 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MUX부(201)는 LR_IN을 음성지연부(203)로 출력하고, 음성지연부(203)는 수신한 LR_IN을 소정시간만큼 지연시키면서 출력한다. 선택부(205)는 제 1제어신호에 의해 음성지연부(20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DAC부(207)로 출력하여 LR_OUT를 생성하고, I2S_IN과 SPDIF/PCM_IN는 지연시키는 것 없이 그대로 I2S_OUT과 SPDIF/PCM_OUT로 출력한다. For example, if it is selected to delay and output LR_IN by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MUX unit 201 outputs LR_IN to the voice delay unit 203, and the voice delay unit 203 outputs the received LR_IN. Output with delay by time. The selector 205 outpu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delay unit 203 by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DAC unit 207 to generate LR_OUT, and I 2 S_IN and SPDIF / PCM_IN remain unchanged without delay. 2 Output to S_OUT and SPDIF / PCM_OUT.

선택부(205)가 지연되지 아니한 다른 음성신호를 출력토록 함으로써, 동기여부에 불문하고 이러한 음성신호를 필요로 하는 다른 외부장치(미도시)를 위한 음성신호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지연장치(200)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VCR과 같은 영상녹화장치(미도시)에 녹화하는 경 우에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오히려 지연된 음성신호 출력이 문제될 수 있기 때문에, 지연되지 아니한 음성신호를 그대로 출력할 필요가 있다.By allowing the selector 205 to output another non-delayed voice signal, it is possible to support output of a voice signal for another external device (not shown) that requires such a voice signal regardless of synchronization. When recording to a video record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n external VCR through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not shown) having the voice delay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layed sound signal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rather Since output may be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audio signal which is not delayed as it is.

DAC부(207)는 선택부(205)에서 출력되는 LR_IN이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LR_OUT를 출력한다. The DAC unit 207 receives the signal processed by LR_IN output from the selector 205 and outputs LR_OUT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지연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oice de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MUX부(201)는 디지털 음성신호인 I2S_IN, SPDIF/PCM_IN 및 디지털 형태의 아날로그 음성신호인 LR_IN을 수신한다(S301).The MUX unit 201 receives I 2 S_IN, SPDIF / PCM_IN, which is a digital voice signal, and LR_IN, which is an analog voice signal in a digital form (S301).

MUX부(201)는 제 1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하나를 음성지연부(203)로 출력한다. 음성지연부(203)는 MUX부(20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면서 출력한다. 음성지연부(203)는 제 2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S303).The MUX unit 201 outputs one of the input voice signals to the voice delay unit 203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voice delay unit 203 outputs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X unit 201 with a predetermined time delay. The voice delay unit 203 may adjust a predetermined tim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S303).

선택부(205)는 음성지연부(203)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I2S_IN, SPDIF/PCM_IN 및 LR_IN을 수신하고, I2S_IN, SPDIF/PCM_IN 및 LR_IN 중에서 제 1제어신호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된 음성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음성신호를 음성지연부(203)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The selector 205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delay unit 203 and the I 2 S_IN, SPDIF / PCM_IN and LR_IN, and is selected by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ignal among I 2 S_IN, SPDIF / PCM_IN and LR_IN. The remaining voice signal except for the voice signal is output together with th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delay unit 203.

그리고 LR_IN에 대응되어 선택부(20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DAC부(207)로 출력한다. DAC부(207)는 선택부(25)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 LR_OUT를 출력한다(S305).The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or 205 corresponding to LR_IN is output to the DAC unit 207. The DAC unit 207 outputs LR_OUT obtained by convert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lector 25 into an analog form (S305).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의 동작이 수행된다.In this way, the operation of the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is perform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외부음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음성신호 출력의 동기를 영상신호 출력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지연되지 아니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지연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의한 립싱크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using an external sound apparatus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 digital audio signal, the synchronization of the audio signal output can be matched to the video signal output. In addition, by outputting the non-delayed analog audio sig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lip syncing caused by the delayed analog audio signal.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신호와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중에서 선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MUX부; A MUX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igital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and an analog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and output a selected audio signal therefrom;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출력과 동기를 맞추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음성지연부; 및A voice delay unit which receives the selected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delayed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ynchronize with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And 상기 음성지연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신호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지연부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규격 음성지연장치.And a selection unit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delay unit and the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remaining voice signal except the selected voice signal among the voice signals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delay unit. Possible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는 I2S(Inter-IC Sound),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및 PCM(Pulse Code Modulation) 규격의 음성신호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 규격 음성지연장치.The digital voice signal is 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 delay,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I 2 S (Inter-IC Sound), SPDIF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and PCM (Pulse Code Modulation) standard voice signal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디지털 형태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지연이 가능한 멀티규격 음성지연장치.A multi-standard voice de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elaying further comprising a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unit for receiving a digital analog voic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or and converting the analog voice signal back into an analog form. . 삭제delete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로부터 분리한 영상신호와, 상기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신호 및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중에서 선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MUX부; A MUX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video signal separated from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signal, a digital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and an analog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and output a selected audio signal therefrom;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시 선택된 음성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켜 상기 영상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출력하는 음성지연부; 및An audio de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selected audio signal, delay the always selected audio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 the sam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ideo signal; And 상기 음성지연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신호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지연부의 출력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 수신장치.And a selection unit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delay unit and the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remaining voice signal except the selected voice signal among the voice signals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delay unit together. Receiver.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신호와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digital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and an analog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 중에서 하나의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Selecting and outputting one voice signal from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출력과 동기를 맞추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단계; 및Delaying and outputting the selected audio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ynchronize with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And 상기 지연시켜 출력하는 출력신호와, 상기 음성신호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음성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규격 음성신호의 선택적 지연방법.And outputting the delayed output signal and the remaining voice signal except for the selected voice signal among the voice signals. 2.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는 I2S, SPDIF 및 PCM 규격의 음성신호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규격 음성신호의 선택적 지연방법.And the digital voice signal is selected from voice signals of I 2 S, SPDIF and PCM standards.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나머지 음성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디지털 형태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다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규격 음성신호의 선택적 지연방법.Receiving the analog voice signal in a digital form from among the voice signals output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remaining voice signals and converting the analog voice signal back into an analog form. 삭제delete
KR1020040068450A 2004-08-30 2004-08-30 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 KR1006295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50A KR100629507B1 (en) 2004-08-30 2004-08-30 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50A KR100629507B1 (en) 2004-08-30 2004-08-30 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93A KR20060019793A (en) 2006-03-06
KR100629507B1 true KR100629507B1 (en) 2006-09-28

Family

ID=3712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450A KR100629507B1 (en) 2004-08-30 2004-08-30 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5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965B1 (en) 2006-02-24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for synchronizing video and audio signal in Wireless DTV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01B1 (en) * 2006-08-28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ynchronizing audio/video data
KR100828898B1 (en) * 2007-01-11 2008-05-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Broadcasting receive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965B1 (en) 2006-02-24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for synchronizing video and audio signal in Wireless D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93A (en)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247B2 (en) Audio/video system providing variable delay
EP0367569A2 (en) Sound effect system
US20070276524A1 (en) Digital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877815A (en) Frame synchronizer apparatus for synchronizing video and audio data to a reference signal
KR100629507B1 (en) Multi-format sound delay apparatus capable of selectable delay and a method thereof
JP2007235519A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ound synchronization
JP2013051656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130046545A1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JP4408573B2 (en) Auto local network
KR100662867B1 (en) SPDIF output apparatus
US20090284402A1 (en) Audio Processor
KR100655000B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Auto Controlling Signal Syncronization
KR100808201B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udio/video data
KR100343708B1 (en) Audio receiving apparatus for tvc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9864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reaming without interruption
KR100191314B1 (en) Reproducer of multi-channel audio signal
JP2023179125A (en) Digital audio signal synchronization device and program
KR200490817Y1 (en) Audio and Set-Top-Box All-in-One System
JP2000261760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its method and storage medium readable by computer
JP2023089031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JP2007036595A (en) Voice output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19186732A (en) Recorder and playback method of recorded information
JP2006033278A (en) Sound signal outputting device and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2002271758A (en) Transmitter, transmission method, receiver, receiving method,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KR20050115573A (en) Method for recording broadcas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