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31B1 -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31B1
KR100628531B1 KR1020050089556A KR20050089556A KR100628531B1 KR 100628531 B1 KR100628531 B1 KR 100628531B1 KR 1020050089556 A KR1020050089556 A KR 1020050089556A KR 20050089556 A KR20050089556 A KR 20050089556A KR 100628531 B1 KR100628531 B1 KR 10062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easure
measuring pipe
tap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5008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40Means for indicating blockage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물이 발생하기 쉬운 우수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1)의 상면에 상기 박스(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다수개 관통 설치되고, 상단이 지표면에 돌설되어 캡(11)으로 커버링하도록 된 원통형의 깊이 측량관(10)과; 상기 깊이 측량관(10)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여 박스(1) 내의 퇴적토의 쌓인 정도를 측정하도록 하부에 추(21)가 매달려 있는 깊이측량줄자(22)의 손잡이(23)를 돌려 풀고 감을 수 있는 줄자박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박스의 상면에 깊이 측량관을 세워 설치하여 추가 매달려 있는 깊이측량줄자로 박스 내에 쌓인 퇴적물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박스(1) 내의 퇴적물 제거 작업 시점을 정할 수 있게 되며, 박스(1) 내의 원활한 흐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Structure installing depth measuring pipe of construction in the ground}
도1은 본 발명의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을 도시한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박스 10 : 깊이측량관
11 : 캡 20 : 줄자박스
21 : 추 22 : 깊이측량줄자
23 : 손잡이
본 발명은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와 같은 지중에 매설된 구조물의 내부에 퇴적토가 쌓인 깊이를 외부에서 측정이 가능하도록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지중에 매설되는 박스와 같은 구조물은 그 내부에 우·오수가 흘러 하천으로 방류되는 데, 생활 폐수나 빗물 등이 박스를 통하여 하천으로 흘러가면서, 그 내부에 퇴적토가 쌓이게 되어 정기적으로 퇴적토를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박스 내에 쌓이는 퇴적토의 높이를 측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바, 쌓인 퇴적토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퇴적토 제거작업을 하지 않고는 알 수 없다. 즉, 박스 내에 퇴적토가 쌓인 정도를 박스 내에 하수구를 통하여서 측정하여야만 알 수 있기 때문에 퇴적토의 쌓인 정도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홍수시 쌓인 퇴적토에 의해 하천으로 방류되는 량이 적어서 홍수시 주택지역에 침수를 더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와 같은 지중매설 구조물 내의 퇴적물의 높이를 외부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퇴적물의 쌓인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퇴적물 제거 작업시점을 정할 수 있도록 한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는, 박스의 상면에 박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다수개 관통 설치되고, 상단이 지표면에 돌설되어 캡으로 커버링하도록 된 원통형의 깊이 측량관과; 상기 깊이 측량관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여 박스 내의 퇴적토의 쌓인 정도를 측정하도록 하부에 추가 매달려 있는 깊이측량줄자의 손잡이를 돌려 풀고 감을 수 있는 줄자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는, 박스(1)의 상면에 플렌지(12)가 다수의 앵커못(13)으로 체결 설치됨과 동시에 박스(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다수개 관통 설치되고, 상단이 지표면에 돌설되어 캡(11)으로 커버링하도록 된 원통형의 깊이 측량관(10)과, 상기 깊이 측량관(10)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여 박스(1) 내의 퇴적토의 쌓인 정도를 측정하도록 하부에 추(21)가 매달려 있는 깊이측량줄자(22)의 손잡이(23)를 돌려 풀고 감을 수 있는 줄자박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원통형의 깊이 측량관(10)을 박스(1)의 상면에 세워 설치하되 그 상단이 지표면으로 돌설되어 측량관(10)의 설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고, 그 깊이 측량관(10)의 상단에는 캡(11)으로 나사 결합하여 커버링한다. 박스(1) 내의 퇴적물의 쌓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캡(11)을 열고, 상기 깊이측량줄자(22)의 하단에 추(21)를 고리에 매단 상태에서 상기 깊이 측량관(10)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여 손잡이(23)를 돌리고 깊이측량줄자(22)를 풀어 박스(1) 내의 퇴적물이 닿는 위치에까지 오도록 하여 퇴적물의 쌓인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퇴적물의 쌓인 정도를 쉽게 측정함으로써, 박스(1) 내의 퇴적물 제거 작업 시점을 정할 수 있게 되며, 박스(1) 내의 우·오수의 원활한 흐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에 의하면, 박스의 상면에 깊이 측량관을 세워 설치하여 추가 매달려 있는 깊이측량줄자로 박스 내에 쌓인 퇴적물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박스 내의 퇴적물 제거 작업 시점을 정할 수 있게 되며, 박스 내의 우·오수의 원활한 흐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1)

  1. 지중에 매설된 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박스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 설치되고, 상단이 지표면에 돌설되어 캡(11)으로 커버링하도록 된 원통형의 깊이 측량관(10)과; 단부에 추(21)가 매달려 있으며 손잡이(23)의 조작에 의해 권취되도록 수납된 깊이측량줄자(22)를 갖는 줄자박스(20)를 포함하여, 상기 깊이 측량관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상기 줄자박스의 추를 상기 퇴적물 위까지 삽입하여 상기 퇴적물이 쌓인 정도를 측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KR1020050089556A 2005-09-26 2005-09-26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KR10062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56A KR100628531B1 (ko) 2005-09-26 2005-09-26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56A KR100628531B1 (ko) 2005-09-26 2005-09-26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531B1 true KR100628531B1 (ko) 2006-10-11

Family

ID=3763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556A KR100628531B1 (ko) 2005-09-26 2005-09-26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53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468B1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CN103308666B (zh) 坡地水量平衡试验装置
JP5473760B2 (ja) 間隙水圧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KR101991503B1 (ko)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한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JP2017181054A (ja) 水位計測装置
US7343794B1 (en) Weir box and sensor
KR100628531B1 (ko) 지중매설 박스구조물의 퇴적물 측량관 설치구조
AU725229B2 (en) Apparatus for sensing vehicles
KR20150117373A (ko) 연약지반 개량공사에서 지하수위 및 지표면 침하량 측정 장치
KR100714654B1 (ko) 도로의 콘크리트 옹벽 수직도 진단 구조
JP4703773B1 (ja) 地盤変位測定装置
KR20130118566A (ko) 지하수위 및 침하 측정방법 및 장치
CN211113431U (zh) 一种井式量水建筑物
CN203836618U (zh) 一种非满流圆管实时流量远程监测装置
KR102118587B1 (ko)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KR20070036808A (ko) 쓰레기매립장의 폐기물층 침하 계측기기
KR200438856Y1 (ko) 유량센서 고정구
CN209025090U (zh) 一种基坑施工参数检测装置
CN109470621B (zh) 一种用于岩层渗透率的测量装置
CN205066867U (zh) 一种水位自动记录仪的安装装置
KR100801915B1 (ko) 지중 벽체 안전진단 측정 구조체
KR20080073264A (ko) 케이슨 설치를 위한 그라우트재 충전 확인용 센서장치
JP2521426Y2 (ja) 地中液位計
KR20150073725A (ko) 지하수 배수시스템
KR101427361B1 (ko) 지반 침하 및 수위 측정이 가능한 액상침하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