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355B1 -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355B1
KR100628355B1 KR1020050081176A KR20050081176A KR100628355B1 KR 100628355 B1 KR100628355 B1 KR 100628355B1 KR 1020050081176 A KR1020050081176 A KR 1020050081176A KR 20050081176 A KR20050081176 A KR 20050081176A KR 100628355 B1 KR100628355 B1 KR 10062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rake
solenoid valve
spoo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58Armature and valve member being one single element
    • F16K31/0662Armature and valve member being one single element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브레이크 조작이 될 때 함께 ESP가 작동될 때에는 브레이크 제동력에 부가되어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오일 흐름을 형성함과 더불어, 브레이크 조작 없이 ESP 만 작동될 때에는 브레이크 조작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해, 항상 솔레노이드 밸브 내 원활한 오일 흐름을 통하여 응답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오일 흐름 통로을 형성하는 스풀의 지지 구조를 강화하여 외력에 의한 구조적 취약성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세 안정성 제어 장치인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작동 시 마스터실린더(M)와 펌프(Pump)사이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내부에서 이동되어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스풀(6)이, 브레이크 조작과 함께 ESP가 작동 될 때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발생되는 제동압을 보조하도록 좁은 오일 통로를 이용해 부가적인 제동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반면, 브레이크 조작이 없이 ESP 만 작동 될 때에는 큰 제동압이 발생되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오일 통로를 이용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Brake oil flux control typed solenoid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SP 작동 브레이크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의 제동 조작 하에서 ESP가 작용할 때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의 제동 미 조작 하에서 ESP가 작용할 때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일체 2 : 플런저
3 : 볼 4,7 : 스프링
5 : 밸브바디 5a,6a : 바디체
5b,6c : 챔버 5c : 오일배출통로
5d : 오일유입홀 5d1 : 제1오일유입홀
5d2 : 제2오일유입홀 6 : 스풀
6b : 슬라이딩가이드 6d : 유입통로
9 : 하우징
A : 모듈레이터블록 B : 브레이크페달
M : 마스터실린더
본 발명은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제동 조작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제동 유압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된 브레이크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력을 배력하는 유압을 이용해 주행중인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시스템은, 회전중인 차륜을 잡아 회전을 못하게 하는 단순 방식으로 인해 차량의 주행 상태와 노면 조건에 따라 최적의 제동 성능을 구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순 제동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차륜속도로부터 연산되는 슬립률에 따라 휠에 가해지는 제동압을 적절히 조절하여 바퀴의 록킹(locking)을 방지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 lock brake system)을 사용하거나 또는, 차량의 급 발진이나 급 가속시 과대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 lock brake system)이나 트 랙션 콘트롤 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의 경우에도 직선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양호한 성능을 발휘할 뿐 만약, 차량이 커브 도로를 선회 주행하는 경우에는 바깥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언더스티어(Under steer)나, 이와 반대로 안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오버스티어(Over steer)를 완벽하게 제어할 수 없어 차량 안정성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어진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제동과 구동 및 조향시스템의 3가지를 모두 고려 즉, 휠속도센서와 요 레이트센서(Yaw rate sensor), 횡가속도센서 및 조향각도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에 따라 오버스티어(Oversteer)나 언더스티어(Understeer)를 판단해 종합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요구하는 차량주행방향과 실제 차량의 주행방향과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어떠한 운전조건에서도 안전하게 운전자가 의도한 차량의 주행방향을 유지시켜 주는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ESP 시스템의 경우에는 마스터실린더와 휠 사이에서 제동유압을 공급하는 브레이크 라인과는 별도로,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오일을 펌핑(Pumping)해 휠 쪽으로 제동 압을 제공하면서 예기치 못한 차량의 회전(예를 들어, 빙판길의 경우)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펌프사이에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통상 고압셔틀밸브(HSV; High Pressure Shuttle Valve)라 칭함)를 이용하게 된다.
즉, 후륜에서 먼저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접착한계에 도달하거나 선회 바깥쪽 전륜에 과도한 선회력이 작용하면, 운전자가 조작한 조향각보다 차량이 더 심하 게 조향이 되는 오버스티어(oversteer)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이때, ESP는 전륜의 제동장치를 제어하여 전륜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한 선회모멘트를 줄여주게 된다.
또한, 전륜에서 먼저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접착한계에 도달하거나, 선회 안쪽 후륜에 과도한 선회력이 작용하면, 운전자가 조작한 조향각보다 차량이 덜 조향이 되는 언더스티어(understeer)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이때, ESP는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제어하여 안정성과 조향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ESP 작용을 위해서는 오일 흐름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유로를 형성하는 스풀(Spool)이 매우 주요한 구성요소이면서, 상기 스풀을 통한 유로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져 야 하지만, 통상 유로를 형성하는 스풀이 스풀의 이동을 구속하면서 유로가 개폐되는 스토퍼와의 사이에서 스토퍼의 외경으로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작동시 스풀의 빈번한 이동(유로의 개폐에 따른)에 의해 스토퍼와의 접촉 마찰력이 빈번해 마모 현상이 심화되는 현상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풀이 수용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 공간은 스풀이 점유하지 않은 내부 공간을 통해 오일이 흘러야만 하는 구조상, 내부의 오일 유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스토퍼의 외경에 스프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스풀을 탄지하게 되는데, 이는 스프링을 이용한 스풀의 단순 지지 구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는 지지구조의 취약성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브레이크 조작이 될 때 함께 ESP가 작동될 때에는 브레이크 제동력에 부가되어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오일 흐름을 형성함과 더불어, 브레이크 조작 없이 ESP 만 작동될 때에는 브레이크 조작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해, 항상 솔레노이드 밸브 내 원활한 오일 흐름을 통하여 응답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오일 흐름 통로을 형성하는 스풀의 지지 구조를 강화하여 외력에 의한 구조적 취약성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페달조작에 따라 유압을 발생해 휠쪽에 구비된 브레이크기구에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제동 압을 공급하는 마스터실린더와, 자세안정장치인 ESP 작동시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오일을 공급받기 위한 오일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전원이 공급되어 여기되는 코일체에 의해 작동함과 더불어 스프링에 의해 일단이 탄발 지지된 플런저와, 마스터실린더에서 펌프사이로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모듈레이터블록내로 압입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오일이 유입되는 한 쌍의 흐름 통로를 갖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오일 충진 챔버에 수용되어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구비된 볼에 의해 개폐되는 소 유량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밸브바디로 유입된 오일을 직접 펌프쪽으로 공급하는 대 유량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스풀, 상기 스풀을 탄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코일체와 밸브바디에 결합되어 내부로 플런저를 수용하면서 기밀링으로 밀봉 처리되는 하우징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SP 작동 브레이크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위험한 운전상황에서 차량 스스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어 위험에서 벗어나게 하는 자세 안정성 제어 장치인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작동 시 브레이크 조작 시나 브레이크 미 조작 시 마스터실린더(M)와 펌프(Pump)간 오일 통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입되는 오일의 유압에 의해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펌프 쪽으로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스풀(6)이, 브레이크 조작과 함께 ESP가 작동 될 때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발생되는 제동압을 보조하도록 펌프의 오일 펌핑시 넓은 오일 통로가 닫히고 상대적으로 좁은 오일 통로를 이용해 부가적인 제동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반면, 브레이크 조작이 없이 ESP 만 작동 될 때에는 충분한 크기의 제동압이 발생되도록 펌프의 오일 펌핑시 좁은 오일 통로가 닫히고 상대적으로 넓은 오일 통로를 이용해 제동압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유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유로 구조를 갖기 위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여기되는 코일체(1)에 의해 작동함과 더불어 스 프링(3)에 의해 일단이 탄발 지지된 플런저(2)와, 마스터실린더(M)에서 펌프사이로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모듈레이터블록(A)내로 압입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오일이 유입되는 한 쌍의 흐름 통로를 갖는 밸브바디(5), 상기 밸브바디(5)의 오일 충진 챔버(5b)에 수용되어 상기 플런저(2)의 끝단에 구비된 볼(4)에 의해 개폐되는 소 유량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밸브바디(5)로 유입된 오일을 직접 펌프쪽으로 공급하는 대 유량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스풀(6), 상기 스풀(6)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8) 및 상기 코일체(1)와 밸브바디(5)에 결합되어 내부로 플런저(2)를 수용하면서 기밀링으로 밀봉 처리되는 하우징(9)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바디(5)는 모듈레이터블록(A)내로 압입되면서 볼(4)이 구비된 플런저(2)부위가 삽입되면서 유입된 오일이 채워지는 챔버(5b)를 형성한 바디체(5a)와, 상기 바디체(5a)에 형성되어 모듈레이터블록(A)에 형성된 오일통로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챔버(5b)유입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2오일유입홀(5d1,5d2)로 이루어진 오일유입홀(5d) 및 상기 챔버(5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이루어 스풀(6)의 이동이 구속되면서 유입된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통로(5c)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2)는 바디체(5a)의 챔버(5b)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고 챔버(5b)로 삽입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풀(6)은 일단이 플런저(2)의 선단에 구비된 볼(4)에 의해 구속되면서 타단은 밸브바디(5)의 오일배출통로(5c)에 구속되는 바디체(6a)와, 상기 바디체(6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밸브바디(5)의 챔버(5b)내에서 이 동되어 오일유입홀(5d) 부위를 차단하거나 열어주는 슬라이딩가이드(6b), 상기 플런저(2)의 선단에 구비된 볼(4)과의 접촉 상태에 따라 챔버(5b)로 유입된 오일을 통과시키는 오일 통로인 유입통로(6d) 및 상기 유입통로(6d)로 유입된 오일이 흐르도록 유입통로(6d)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바디체(6a)내부에 형성되어 개구된 챔버(6c)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스풀(6)을 플런저(2)의 반대 부위에서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7)은 챔버(6c)내부로 수용되어진다.
이때, 상기 스풀(6)의 슬라이딩가이드(6b)는 바디체(5a)의 챔버(5b)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챔버(5b)로 삽입되어지고, 또한 상기 바디체(6a)의 직경이 슬라이딩가이드(6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은, 펌프에 의한 오일 썩션(Suction)시 오일 충진 공간을 보다 크게 형성시켜 흡입 성능을 향상하기 위함임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급격한 선회나 빙판길과 같이 미끄러운 도로에서 차륜에 발생되는 오버스티어(Oversteer)나 언더스티어(Understeer)현상에 따른 안정성 저하를 방지하게 되는데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조작하거나 하지 않더라도 차량에 대한 여러 센서들의 신호를 바탕으로 ESP가 작동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주행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과 더불어 ESP가 작동되는 경 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B)을 조작하면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발생된 유압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브레이크 라인을 통하여 휠쪽에 구비된 브레이크 기구로 공급되어 휠 제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차량의 안정성을 위해 ESP가 작동되는데 즉, ESP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펌프에 의한 오일 펌핑을 위해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오일이 썩션(Suction)되도록, 상기 마스터실린더(M)와 펌프사이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려(Open; ESP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는 닫혀(Close)있게 된다)지고, 이로 인해 휠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기구쪽으로 마스터실린더(M)에 의한 제동 압에 더해 부가적인 제동 압을 공급하여 차륜의 제동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해 주게 된다.
즉, ESP가 작동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이 공급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구성하는 코일체(1)가 여기되어 플런저(2)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와 더불어 스프링(7)에 의해 밀려지는 스풀(6)도 코일체(1)쪽으로 이동되는 플런저(2)와 함께 이동되려 한다.
그러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온(On)전에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유압라인을 따라 모듈레이터블록(A)내로 압입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바디(5)에 형성된 오일유입홀(5d)의 제1·2오일유입홀(5d1,5d2)을 통해 챔버(5b)공간으로 유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밸브바디(5)의 챔버(5b)공간에 충진된 오일 압력은 스풀(6)을 미는 스프링(7)의 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풀(6)은 스프링(7)의 힘을 이겨내고 이동해 볼(4)과 스풀(6)간이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밸브바디(5)의 제2오일유입홀(5d2)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은 스풀 (6)에 의해 차단되는 반면, 제1오일유입홀(5d1)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은 챔버(5b)내로 유입되어 스풀(6)쪽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볼(4)과 스풀(6)사이의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챔버(5b)에 충진된 오일이, 스풀(6)의 바디체(6a)에 형성된 유입통로(6d)를 통해 챔버(6b)로 배출되어 밸브바디(5)의 오일배출통로(5c)를 통해 펌프쪽으로 썩션(Suction)되어 지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제동 압을 공급받는 브레이크기구쪽에 마스터 실린더(M)의 제동압에 더해, 상기 펌프의 작동에 따라 마스터실린더(M)에서 브레이크 라인과는 다른 별도의 유압라인을 통한 제동 압이 브레이크기구쪽으로 공급되어진다.
이에 따라, 차량의 불안정한 주행 제동 상태에서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제동과 차량 상태에 따른 ESP에 의한 제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ESP 작동에 이한 오일 흐름은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오일 흐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흐름 양을 갖는데, 이는 상기 ESP 에 의한 제동 압이 차륜 제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브레이크를 통한 제동 압을 보조하면서 보다 정밀한 제어를 하기 위한 것이므로, ESP 작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한 오일이 많이 공급될 필요가 없기 때문임은 물론이다.
한편,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이 없을 때 차량의 안정성을 위해 ESP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조작이 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오일이 흘러 큰 제동압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가 크게 형성되어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B)의 조작이 없어 마스터실린더(M)를 통한 유압이 솔레노이드 밸브쪽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공급된 전원에 의해 코일체(1)가 여기되어 플런저(2)를 잡아당기면, 스프링(7)에 의해 스풀(6)도 코일체(1)쪽으로 이동되는 플런저(2)쪽으로 이동되어 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7)은 스풀(6)을 충분히 밀어 주게 되는데 이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온(On)전에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바디(5)에 형성된 오일유입홀(5d)의 제1·2오일유입홀(5d1,5d2)을 통해 챔버(5b)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상기 스풀(6)을 미는 스프링(7)의 힘이 밸브바디(5)의 챔버(5b)공간에 충진된 오일의 압력(거의 작용하지 않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풀(6)은 스프링(7)에 의해 이동되어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오일이 밸브바디(5)에 형성된 제2오일유입홀(5d2)을 통해 유입되어, 이동된 스풀(6)에 의해 형성된 간격을 통해 오일배출통로(5c)를 거쳐 펌프쪽으로 썩션(Suction)된 후, 제동 압이 공급되지 않는 브레이크라인과 별도로 형성된 유압라인을 통해 브레이크기구쪽으로 제동 압을 공급해 휠의 제동 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이 유지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통하여 휠의 제동 압이 공급되더라도 충분한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은, ESP 설계 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한 오일 공급만으로 차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설계가 이루어지기 때문임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 구조의 특성에 따라 내구성도 크게 향상되는데 즉, 유로를 형성하는 스풀(6)을 지지하는 스프링(7)이 스풀(6)의 챔버(6c)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스풀(6)이 밸브바디(5)의 챔버(5b)내에서 유동이 되지 않는 직경을 갖고 삽입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실린더와 펌프간 오일 통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일 흐름 통로가 브레이크의 조작시에는 브레이크 라인의 제동압을 보조하도록 ESP 작동시 펌핑되는 오일 유량이 적게 흐르도록 하는 반면, ESP 만 작동시에는 펌핑되는 오일 유량을 상대적으로 많이 흐르도록 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한 오일 공급을 원활히 하여 항상 안정적인 주행 안정성을 갖도록 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내에서 유로를 형성하는 스풀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브레이크페달(B)조작에 따라 유압을 발생해 휠쪽에 구비된 브레이크기구에 브레이크라인을 통해 제동 압을 공급하는 마스터실린더(M)와, 자세안정장치인 ESP 작동시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마스터실린더(M)로부터 오일을 공급받기 위한 오일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전원이 공급되어 여기되는 코일체(1)에 의해 작동함과 더불어 스프링(3)에 의해 일단이 탄발 지지된 플런저(2)와, 마스터실린더(M)에서 펌프사이로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모듈레이터블록(A)내로 압입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오일이 유입되는 한 쌍의 흐름 통로를 갖는 밸브바디(5), 상기 밸브바디(5)의 오일 충진 챔버(5b)에 수용되어 상기 플런저(2)의 끝단에 구비된 볼(4)에 의해 개폐되는 소 유량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밸브바디(5)로 유입된 오일을 직접 펌프쪽으로 흐르도록 하는 대 유량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스풀(6), 상기 스풀(6)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8) 및 상기 코일체(1)와 밸브바디(5)에 결합되어 내부로 플런저(2)를 수용하면서 기밀링으로 밀봉 처리되는 하우징(9)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5)는 모듈레이터블록(A)내로 압입되면서 볼(4)이 구비된 플런저(2)부위가 삽입되면서 유입된 오일이 채워지는 챔버(5b)를 형 성한 바디체(5a)와, 상기 바디체(5a)에 형성되어 모듈레이터블록(A)에 형성된 오일통로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챔버(5b)유입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2오일유입홀(5d1,5d2)로 이루어진 오일유입홀(5d) 및 상기 챔버(5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이루어 스풀(6)의 이동이 구속되면서 유입된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통로(5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6)은 일단이 플런저(2)의 선단에 구비된 볼(4)에 의해 구속되면서 타단은 밸브바디(5)의 오일배출통로(5c)에 구속되는 바디체(6a)와, 상기 바디체(6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밸브바디(5)의 챔버(5b)내에서 이동되어 오일유입홀(5d) 부위를 차단하거나 열어주는 슬라이딩가이드(6b), 상기 플런저(2)의 선단에 구비된 볼(4)과의 접촉 상태에 따라 챔버(5b)로 유입된 오일을 통과시키는 오일 통로인 유입통로(6d) 및 상기 유입통로(6d)로 유입된 오일이 흐르도록 유입통로(6d)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바디체(6a)내부에 형성되어 개구된 챔버(6c)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6)의 슬라이딩가이드(6b)는 바디체(5a)의 챔버 (5b)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챔버(5b)로 삽입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6)은 챔버(6c)내부에서 스프링(7)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체(6a)와 슬라이딩가이드(6b)간의 직경차이는 펌프에 의한 오일 썩션시 충분한 오일 충진 공간을 형성시켜 흡입 성능 저하를 가져오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050081176A 2005-09-01 2005-09-01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62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76A KR100628355B1 (ko) 2005-09-01 2005-09-01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76A KR100628355B1 (ko) 2005-09-01 2005-09-01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355B1 true KR100628355B1 (ko) 2006-09-27

Family

ID=3762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176A KR100628355B1 (ko) 2005-09-01 2005-09-01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43B1 (ko) * 2006-12-12 2014-0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폐장치 및 이를 사용한 브레이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43B1 (ko) * 2006-12-12 2014-0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폐장치 및 이를 사용한 브레이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53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US20090283707A1 (en) Solenoid valve having a short axis
KR100711489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839708B1 (ko) 차량의 전·후륜 제동 액압의 선형 감압 제어 및 기울기 차해소용 제동 유압 회로
KR100628355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EP1081007B1 (en) Brake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3139297B2 (ja) 左右制動力制御装置
KR100645729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90040087A (ko) 저압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726555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JP5119009B2 (ja) 車輌制御装置
JP4871242B2 (ja) 車両のブレーキ油圧制御装置
KR101234947B1 (ko) 이 에스 피 용 고압스위치 밸브
JP4725549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160142519A (ko) 차량 자세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75510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H09249111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KR10168385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784662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20220169213A1 (en) Braking device for vehicle and braking method therefor
KR101404314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JP2004217131A (ja) 制動システム
KR20080036301A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JP7370940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0351487B1 (ko) 차량의 제동압력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