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147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147B1
KR100628147B1 KR1020040041178A KR20040041178A KR100628147B1 KR 100628147 B1 KR100628147 B1 KR 100628147B1 KR 1020040041178 A KR1020040041178 A KR 1020040041178A KR 20040041178 A KR20040041178 A KR 20040041178A KR 100628147 B1 KR100628147 B1 KR 10062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terminal
memory card
external memory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770A (ko
Inventor
남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4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magnify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두께나 크기의 확대가 최소화되면서 외장 메모리카드를 단말기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외형을 이루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외장 메모리카드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벽에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의 단자를 포함한 일부분을 폴더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폴더 케이스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접속되도록 상기 폴더 내부의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카드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더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 내부의 회로기판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접속되는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 외장 메모리카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외장 메모리카드가 결합된 상태의 단말기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말기 5 : 본체
10 : 폴더 12 : 폴더 케이스
14 : 가이드홈 16 : 개방부
20 : 카드 접속단자 22 : 지지돌기
30 : 메모리 카드 32 : 단자
40 : 회로기판 50 : 보조 디스플레이부
60 : 메인 디스플레이부 70 : 연성회로기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두께나 크기의 확대가 최소화되면서 외장 메모리카드를 단말기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PDA 등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는 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멀티미디어 화가 진행되면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보다 큰 용량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어 화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는 휴대폰(일명 카메라폰)이나, 최근의 MP3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폰의 경우 촬영된 사진이나 음악파일 등을 저장하기 위해 보다 큰 용량의 메모리가 요구된다.
하지만, 이러한 부가적 기능을 위해 단말기의 본체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내장하게 되면, 단말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또한 대용량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 가격적인 부담감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이유로, 필요시 단말기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장형 메모리가 제공되고 있으며, 외장형 메모리는 메모리 스틱이나 미니 SD 카드, MMC 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외장형의 메모리카드를 접속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 카드 접속용 소켓이 실장되며, 이러한 카드 접속용 소켓에 외장 메모리카드를 접속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외장 메모리 카드를 단말기의 본체로 결합시키는 종래 방식의 경우, 카드 접속용 소켓을 단말기 본체의 메인회로기판에 실장함에 따라 다른 부품의 메인회로기판에 대한 실장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 부품의 실장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단말기의 두께나 크기가 확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이유로 규격이 작은 메모리카드를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메모리카드의 범용성을 어렵게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외장 메모리카드에 의한 단말기의 두께나 크기 확대가 최소화되면서 외장 메모리카드를 단말기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의 외형을 이루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외장 메모리카드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벽에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의 단자를 포함한 일부분을 폴더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폴더 케이스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접속되도록 상기 폴더 내부의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카드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더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 내부의 회로기판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접속되는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외장 메모리카드가 결합된 상태의 단말기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는 본체(5)와 폴더(10)를 구비하는 폴더형 단말기이며, 이와 같은 폴더형 단말기에 외장 메모리카드(30)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써 폴더 케이스(12)와 카드 접속단자(20)가 포함된다.
폴더 케이스(12)는 폴더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폴더 케이스(12)에 외장 메모리카드(30)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홈(14)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4)의 측벽에 폴더 케이스(12)의 내부와 통하도록 개방부(16)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개방부(16)를 통하여 외장 메모리카드(30)의 단자(32)를 설치한 일측이 폴더 케이스(1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진다.
여기서, 가이드홈(14)을 폴더 케이스(12)의 테두리 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므로써, 외장 메모리카드(30)가 가이드홈(1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며, 그 과정에서 가이드홈(14)의 양 측면부가 외장 메모리카드(30)의 측면을 지지 및 안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더(10)는 보조 디스플레이부(50)를 구비하며, 이와 같은 보조 디스플레이부(50)의 화면이 노출되는 폴더 케이스(12)의 일면에 가이드홈(14)과 개방부(16)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조 디스플레이부(50)가 접속되는 회로기판(40)과 폴더 케이스(12)의 내면 사이에 외장 메모리카드(30)의 설치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므로써, 폴더(10)에 보조 디스플레이부(50)와 외장 메모리카드(30)를 함께 구비되면서도 단말기의 전체적인 두께와 크기의 확대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카드 접속단자(20)는 폴더 케이스(12) 내측의 회로기판(40)에 실장되는 것으로써, 즉 카드 접속단자(20)는 폴더 케이스(12)에 형성되는 개방부(16)와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개방부(16)를 통해 폴더 케이스(12) 내부로 삽입되는 외장 메모리카드(30)의 단자(32)와 접속되면서 외장 메모리카드(30)와 회로기판(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폴더(10) 내측의 회로기판(40)에 외장 메모리카드(3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돌기(2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돌기(22)는 그 사이에 카드 접속단자(20)가 위치하도록 폴더(10)의 회로기판(40)에 돌설되며, 이와 같은 한 쌍의 지지돌기(22)에 외장 메모리카드(30)의 양 측면이 접하여 지지되면서 외장 메모리카드(30)의 개방부(16)에 대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폴더(10)의 보조 디스플레이부(50)가 설치되는 방향을 상방향으로 정하고, 가이드홈(14)과 개방부(16)가 형성되는 방향을 하방향으로 정하기로 하며, 보조 디스플레이부(50)를 위해 위해 설치되는 연성회로기판(FPCB:70)이 폴더(10)의 상방향에서 보조 디스플레이부(50)의 커넥터와 접속되어 카드 접속단자(2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조 디스플레이부(50)와 접속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70)의 커넥터가 폴더(10)의 하방향을 통해 보조 디스플레이부(50)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경우 카드 접속단자(20)의 설치공간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가이드홈(14) 및 개방부(16)를 통해 폴더 케이스(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외장 메모리카드(3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는 외장 메모리카드의 삽입과 동시에 외장 메모리카드를 고정하게 되며, 고정된 외장 메모리카드의 고정해제를 위한 버튼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고정장치는 외장 메모리카드 접속이 이루어지는 통상의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는 구조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단말기(1)에 추가로 메모리를 지원하기 위한 외장 메모리카드(30)를 폴더(10)에 결합하되, 폴더(10) 내측의 회로기판(40)과 폴더 케이스(12) 사이의 이격 공간을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카드(30)를 설치하게 되므로써, 외장 메모리카드(30)의 접속을 위해 단말기(1)의 두께가 증가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외장 메모리카드가 폴더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카드(30)는 단자(32)를 설치한 일부만이 폴더 케이스(12)의 개방부(16)를 통해 폴더(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외장 메모리카드(30)의 대부분은 폴더 케이스(12)의 가이드홈(14)에 끼워져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폴더 케이스(12)가 그 내부에 외장 메모리카드(30)를 완전하게 수용하지 않는 형태이므로, 외장 메모리카드(30)의 두께가 폴더 케이스(12)의 두께와 일부 겹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장 메모리카드(30)가 폴더(10)에 결합되면서도 폴더 두께의 증가를 크게 초래하지 않아 단말기 전체의 슬림화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에 의해서, 추가적인 메모리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외장 메모리카드의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보다 슬림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부품 실장공간을 크게 점유하지 않으면서 외장 메모리카드를 접속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범용의 외장 메모리카드를 접속하여 사용하면서도 단말기의 슬림화가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폴더;
    상기 폴더의 외형을 이루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외장 메모리카드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벽에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의 단자를 포함한 일부분을 폴더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폴더 케이스;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접속되도록 상기 폴더 내부의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카드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폴더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 내부의 회로기판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접속되는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내부에는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외장 메모리카드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케이스의 상기 보조 디스플레부의 화면이 노출되는 면에 상기 가이드홈 및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폴더 케이스의 테두리 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연성회로기판의 커넥터 접속 부위는 상기 카드접속단자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메모리카드 결합장치.
KR1020040041178A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2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78A KR100628147B1 (ko)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78A KR100628147B1 (ko)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70A KR20050115770A (ko) 2005-12-08
KR100628147B1 true KR100628147B1 (ko) 2006-09-26

Family

ID=3728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178A KR100628147B1 (ko)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1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70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2072B2 (ja) モバイル端末機
US7300314B2 (en)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KR100713536B1 (ko) 전자기기의 연성회로
US738427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H1131025A (ja) Pcカードスロット
KR10057600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JP4796904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4916388B2 (ja) 携帯用電子機器
US7356363B2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ounting memory card
EP3886407B1 (en) Mobile terminal
CN109076121B (zh) 一种滑盖式终端
KR1006281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5895B1 (ko)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US7447004B2 (en) Portable display apparatus
JP2004222170A (ja) 折畳式携帯電子装置
US8602830B2 (en) Termi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0883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소켓
KR100628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기능 카드 접속용 소켓
JP4094581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におけるプリント基板とヒンジユニットと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部材
KR101097566B1 (ko) 이동 단말기
KR100721146B1 (ko) 카메라 모듈 하우징
KR1006171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3897166B2 (ja) 携帯情報端末
JP2008198449A (ja)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並びに該接続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