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610B1 - 디스플레이 전면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전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610B1
KR100627610B1 KR1020040116205A KR20040116205A KR100627610B1 KR 100627610 B1 KR100627610 B1 KR 100627610B1 KR 1020040116205 A KR1020040116205 A KR 1020040116205A KR 20040116205 A KR20040116205 A KR 20040116205A KR 100627610 B1 KR100627610 B1 KR 10062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styrene
display front
methacryl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368A (ko
Inventor
손창희
강충석
이희정
김동현
한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4011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6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전면판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단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 및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과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유리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함으로서, 높은 표면 경도 및 치수안정성을 가지며, 전광선 투과율 및 광확산성 등이 우수하고 반사율 저하를 이용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는 단층 또는 다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하였다.
전면판, 유리 비드, 유기 비드, 표면경도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전면판{FRONT PLATE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전면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은 표면 경도 및 치수안정성을 보이며, 전광선 투과율 및 광확산성 등이 우수하고 반사율 저하를 이용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전면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방식이 다양화 되면서 LCD, PDP, 프로젝션 TV 등이 개발, 발전되고 있으며, 특히,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대화면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LCD-TV,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인해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크게 광원, 조명광학계, 투사 렌즈, 미러 및 투사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구동 원리를 간략히 살펴보면,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영상은 조명광학계로부터 투사렌즈로 입사하게 되고, 투사렌즈는 입사된 영상을 소정 배율로 확대하여 미러로 출사한다. 그런 다음, 미러는 확대된 영상을 투사 스크린의 후면으로 전반사시키고, 영상은 투사 스크린에 맺히게 된다. 투사 스크린의 일반적인 구조는 빛을 집광하는 역할을 하는 프레넬 렌즈, 빛을 수평 방향의 좌우로 확산시키는 렌티큘러시트, 그리고 외광에 의한 컨트러스트의 저하를 막는 블랙스트 립, 마지막으로 이러한 렌즈를 보호하고, 광확산을 하여 스폿현상을 감소시키며 주변 환경에 의한 비침 현상을 막아주는 전면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전면판을 살펴보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압출 수지 시트에 표면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교 피막에 의한 하드 코트층(내찰상성 피막)을 형성시키는 경우, 반사 방지 기재로서 기재의 표면에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적층시켜 anti-reflection처리를 하는 경우(한국 등록 제33267호, 일본등록 제181148호, 일본등록 제183068호), 표면을 Non-Glare 처리를 하는 경우(한국등록 제59342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 처리 기법은 후처리 공정이 추가되어 가격 경쟁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높은 표면 경도 및 치수안정성을 가지며, 전광선 투과율 및 광확산성 등이 우수하고 반사율 저하를 이용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는 단층 또는 다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단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과 다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인 단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 유리비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및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시클로핵실 메 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2-에틸핵실 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메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에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스티렌 수지,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비드로는 실리카(SiO2), 보레이트(borate) 글래스,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실리케이트(silcate) 글래스 등의 산화물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비드는 굴절율이 약 1.5 ~ 1.6이고, 연필 경도가 약 6H에 이르는 것으로, 내찰상성, 내마모성, 압축강도, 인장탄성률, 굴곡탄성률, 열변형온도, 내화학성 그리고 전기적 성질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입자이다. 또한 우수한 치수안정성 유지에도 효과를 보이므로, 열 및 수분에 의한 휨의 개선에도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판이 유리 비드를 포함할 때, 광확산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유리 비드의 일부가 전면판의 표면에 돌출 되어 엠보싱 표면을 형성시킴으로서, 전면판 표면의 표면 경도의 향상 및 엠보 현상에 의한 반사 방지 기능을 가져올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리 비드의 평균입경이 0.2㎛ 미만일 경우에는 광확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50㎛ 초과일 경우에는 강도가 떨어지고, 전면판의 표면 형상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유리 비드의 평균입경은 0.2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리 비드가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때에는 전면판 표면으로 돌출되는 유리 비드가 적어 표면의 충분한 엠보싱효과를 발휘하기 힘들어 전면판 표면의 표면 경도 강화 및 반사 방지 기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50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때에는 광투과율과 같은 광학 특성이 저하되고, 분산성이 저하되며, 갈변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전면판 표면의 엠보싱의 조도는 약 1 내지 50㎛가 적당하며, 조도가 너무 크면 불충분한 충격강도를 가지며, 조도가 너무 작으면 무광택 효과가 떨어진다.
본 발명의 전면판은 빛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유리 비드 이외에, 광확산 입자로서 유기 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유기 비드는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의 굴절율 차가 0.1이하이어야 하며, 그 평균 입경은 0.2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유기 비드가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의 굴절율차가 0.1 초과인 경우에는 빛의 투과도가 떨어지고, 백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그 평균 입경이 0.2㎛ 미만인 경우에는 유기 비드의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초과인 경우에는 표면 형상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유기 비드는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당 0.0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광확산 효과가 이루지지 못하며, 5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에는 분산성이 저하되며, 백탁현상이 발생하고, Haze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0.001 내지 5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와 아크릴계 유기 비드가 다른 종류의 (공)중합물일 경우에는 포함되는 유기 비드의 양이 극소량이라 하더라도 광확산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면판에 포함되는 유기 비드는 아크릴계 유기 비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다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과,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 유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술한 단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상기 기재층 및 표면층에 포함되는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표면층은 유리 비드를 필수적으로 포함함으로서 유리 비드의 표면층 표면의 엠보싱 효과에 의한 표면 경도의 향상 및 반사 방지 효과를 꾀할 수 있으며, 유리 비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전면판은 빛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표면층에 광확산 입자로서 유기 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재층도 빛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광확산 입자로서 유리 비드 또는 유기 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리 비드 또는 유기 비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층의 전면판은 공압출 성형, 적층, 열접착, 또는 표면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원가 절감 등의 문제를 고려할 때 후처리 가공이 없는 공압출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공압출 방법에서는 상기 기재층 및 표면층을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각각 용융, 혼련시키고, 공급 블록 다이 또는 멀티 매니폴드 다이를 통해 서로 적층시켜 일체화한 후 냉각 고화시킴으로로써 다층의 전면판을 수득할 수 있다.
적층방법에서는, 기재층 또는 표면층 중의 하나를 판으로 형성시킨 후, 용융 상태의 나머지를 상기 형성된 판에 도포함으로써 다층의 전면판을 수득할 수 있다.
열 접착 방법에서는 기재층 및 표면층을 각각 별도로 판으로 형성시키고, 2개의 판을 이들의 연화점 보다 높은 온도에서 압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다층의 전면판을 수득할 수 있다.
표면코팅 방법에서는 기재층 또는 표면층 중의 하나를 판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형성된 판의 원료인 단량체를 상기 형성된 판에 도포하여 중합시킴으로써 전면판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층 또는 다층 전면판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며, 약 0.8mm - 5mm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기재층 두께와 표면층 두께의 비(표면층의 두께/기재층의 두께)는 표면층의 기재층의 일면에만 형성하는 경우 1/199 ~ 100/100의 범위로 할 수 있으며, 표면층을 기재층의 양쪽 면에 형성시키는 경우 1/198/1 ~ 50/100/5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면판은 광안정제 또는 산화안정제 등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안정제로서 자외선 흡수제 또는 힌더드 아민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50nm ~ 380nm 범위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오랫동안 자회선 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하고, 증발되거나 추출되어 전면판으로부터 유리되거나 제거되지 않아야 되며,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자외선 흡수제를 선택해야 한다.
또, 자외선 흡수를 하지는 않지만, 라디칼 스캐빈저로서 본 전면판은 광 안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힌더드 아민류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이다. 다층의 전면판의 경우, 이러한 함량의 광안정제를 표면층에만 적용시킴으로써 기재층의 전광선 투과율 및 물성 저하 없이 광안정 효과를 얻을 수 있으 며 아울러 원가감소의 효과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시아노아크릴계, 살리실레이트계, 말론산 에스테르계, 옥살아닐리드계, 디케톤계, 하이드록시 벤조페논계,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계, 유기금속계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말론산 에스테르계, 옥살아닐리드계, 디케톤계, 하이드록시 벤조페논계,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계, 유기금속계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는 위의 2가지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면판은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힌더드 페놀계 유도체와 방향족 아민계 유도체 등의 1차 산화방지제가 효과적이지만, 고온 내열성에 효과를 보이는 인(P)계 유도체 또는 황(S)계 유도체 등의 2차 산화방지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산화방지제는 고분자 물질에 생성된 자유라디칼을 탈취하여 고분자를 안정화시키는 라디칼 포착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2차 산화방지제는 과산화물 분해제의 기능을 수행하며 1차 산화방지제의 보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첨가하는 산화방지제 양은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에 대하여 1중량% 미만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단층 또는 다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에 있어서, 유리 비드의 돌출에 의한 표면의 엠보싱 효과에 더하여 더욱 효과적인 반사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면판의 표면에 글래어 방지 패턴(non-glare pattern)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는 롤패터닝에 의하여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층의 전면판>
실시예 1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와, 평균입경 5㎛의 유리비드(프랑스 소비텍(sobitec)사의 제품명 마이크로펄(microperl, grade 050-10-A0)) 5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0.2중량부, 산화방지제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조성 및 조성비에, 유기비드로서 평균입경 10㎛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드(굴절률 1.49) 0.2중량부를 더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와, 유기비드로서 평균입경 10㎛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드 0.2중량부를 더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성형은 1축의 스크류직경 135mm에서 압출하였으며, 성형온도는 230 ℃에서 수행하였고, 전체두께는 2mm로 전면판을 제조하 였다.
<기재층의 일면에 표면층 형성 전면판>
실시예 3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와, 평균입경 5㎛의 유리비드 5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0.2중량부, 산화방지제 0.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의 조성 및 조성비, 구조로 하고, 상기 표면층에 유기비드로서 평균입경 10㎛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드를 상기 표면층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를 더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의 조성 및 조성비, 구조로 하고, 상기 기재층에 유기비드로서 평균입경 10㎛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드를 상기 기재층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를 더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에 3의 조성 및 조성비, 구조로 하고, 상기 기재층에 유기비드로서 평균입경 10㎛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드를 상기 기재층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를 더 포함시키고, 상기 표면층에 유기비드로서 평균입경 10㎛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드를 상기 표면층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를 더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와, 유기비드로서 평균입경 10㎛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비드 0.2중량부, 자외선 흡수제 0.2중량부, 산화방지제 0.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적층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성형은 각각 1축의 스크류직경 135mm, 60mm에서 공압출하였으며, 성형온도는 230oC에서 수행하였고, 기재층의 두께는 1.9mm, 표면층의 두께는 0.1mm, 전체두께는 2mm로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기재층의 양면에 표면층 형성 전면판>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3의 조성 및 조성비로 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4의 조성 및 조성비로 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5의 조성 및 조성비로 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6의 조성 및 조성비로 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2의 조성 및 조성비로 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성형은 각각 1축의 스크류직경 135mm, 60mm에서 공압출하였으며, 성형 온도는 230oC에서 수행하였고,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1.8mm,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0.1mm, 전체두께는 2mm로 전면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으며, 각각의 물성 평가는 하기 설명에서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면의 연필경도는 JISK5400에 준한 연필경도 시험에 의해 얻어진 값이고, 피측정 재료의 경도를 나타낸다. 이 연필경도 시험은 연필경도 시험의 측정 조작을 5회 반복해서, 측정 중 1회라도 상처 등의 외견 이상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 그 시험 시에 사용한 연필의 경도를 연필경도로서 하는 것이다.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는 ASTM D1003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노광후 황색도 변화는 ASTM D1925 규격에 의해 램프는 FS-40 313/280를 장착한 Q-UV 테스터에서 40oC, 240시간 행한 후, ASTM D1003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치수 안정성은 전면판의 휨변형 정도를 측정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면판을 320∼420㎜규격으로하여, 60 ℃, 상대습도 75% 조건의 항온항습기에서 96시간 방치한 후, 전면판의 휨에 의해 변형된 정도를 평면상에서 들뜬 높이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표면의 연필경도(H)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 (%) 노광후의 황변도(△YI) 치수안정성 (휨변형)(㎜)
실시예 1 3 92.1 80 5 0.4
실시예 2 3 92.3 88 5 0.4
실시예3 3 94.1 15 5 0.4
실시예 4 3 94.6 32 5 0.4
실시예 5 3 94.3 61 5 0.4
실시예 6 3 94.1 70 5 0.4
실시예 7 3 94.5 31 5 0.3
실시예 8 3 93.1 48 5 0.3
실시예 9 3 93.4 69 5 0.3
실시예 10 3 93.2 76 5 0.3
비교예 1 1 95.0 53.4 13 1.1
비교예 2 1 95.3 8.3 5 1.2
비교예 3 1 95.5 17.0 5 1.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 비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표면의 연필 경도 및 치수 안정성 측면에서 월등한 효과가 있으며, 전광선 투과율에 있어서도 비교예보다 상당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자외선 흡수제 또는 산화안정제를 포함한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보다 노광 후 황변도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은 높은 표면 경도 및 치수 안정성을 보이며, 전광선 투과율, 광확산성 등이 우수하고 반사율 저하를 이용하여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는 단층 및 다층의 디스플레이 전면판을 제공하였다.

Claims (27)

  1.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 유리비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시클로핵실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2-에틸핵실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에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스티렌 수지,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비드는 그 평균 입경이 0.2 내지 50㎛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비드는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당 0.1 내지 50중량부 포함된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표면은 상기 유리비드의 일부가 돌출된 엠 보싱 표면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의 굴절율과의 차이가 0.1 이하인 유기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드는 그 평균 입경이 0.2 내지 50㎛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비드는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당 0.001 내지 50 중량부 포함된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드는 아크릴계 유기비드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유기비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1.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2. 제 1항에 있어서, 산화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 표면의 일면 또는 양면은 글래어 방지 패턴(non-glare pattern)이 형성된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4.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과;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 유리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시클로핵실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2-에틸핵실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에 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스티렌 수지,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표면은 상기 유리비드의 일부가 돌출된 엠보싱 표면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의 굴절율차가 0.1 이하인 유기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유리비드 또는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와의 굴절율차가 0.1이하인 유기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19. 제 14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비드는 그 평균 입경이 0.2 내지 50㎛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0. 제 14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비드는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당 0.1 내지 50중량부 포함된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1.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드는 아크릴계 유기비드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유기비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3.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드는 그 평균 입경이 0.2 내지 50㎛인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4. 제 17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비드는 상기 스티렌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 100중량부당 0.001 내지 50 중량부 포함된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또는 상기 표면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 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또는 상기 표면층은 산화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2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표면은 글래어 방지 패턴(non-glare pattern)이 형성된 것이 특징인 디스플레이 전면판.
KR1020040116205A 2004-12-30 2004-12-30 디스플레이 전면판 KR10062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05A KR100627610B1 (ko) 2004-12-30 2004-12-30 디스플레이 전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05A KR100627610B1 (ko) 2004-12-30 2004-12-30 디스플레이 전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368A KR20060077368A (ko) 2006-07-05
KR100627610B1 true KR100627610B1 (ko) 2006-09-25

Family

ID=3716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205A KR100627610B1 (ko) 2004-12-30 2004-12-30 디스플레이 전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984A (zh) * 2016-11-24 2018-06-0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面板及其制造方法和空调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8856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368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4073B (zh) 多層光擴散板
WO2009107536A1 (ja)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64975A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광 확산판
US20130083544A1 (en) Light diffusion film for led lighting
JP4857286B2 (ja) 光拡散板
KR20040084786A (ko) 수지판
JP2017015824A (ja) シート状透明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US20090009872A1 (en) Light Diffusing Sheet
US20030228481A1 (en) Laminated resin plate
KR100600623B1 (ko) 디스플레이 전면판
KR100627610B1 (ko) 디스플레이 전면판
KR100725828B1 (ko) 광확산판
KR100793179B1 (ko) 광확산판
KR20100001582A (ko)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20080087943A (ko) 광학시트
KR100638083B1 (ko) 디스플레이 전면판
KR100645384B1 (ko) 디스플레이 전면판
JP2006076240A (ja) スチレン系樹脂板
KR20050097284A (ko) 다층 광확산판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135245B1 (ko) 휘도향상용 플레이트
JP2006078954A (ja) 直下型パックライト用拡散板
WO2006083101A1 (en) Light-diffusion plate
KR100725829B1 (ko) 광확산판
KR100793181B1 (ko) 광확산판
JP5341053B2 (ja) 光拡散性積層樹脂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