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232B1 -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철도교 구조 - Google Patents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철도교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7232B1 KR100627232B1 KR1020040070816A KR20040070816A KR100627232B1 KR 100627232 B1 KR100627232 B1 KR 100627232B1 KR 1020040070816 A KR1020040070816 A KR 1020040070816A KR 20040070816 A KR20040070816 A KR 20040070816A KR 100627232 B1 KR100627232 B1 KR 100627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bottom plate
- preflex
- girder
- precast botto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로 철도교(100)의 구조는, 강재의 특성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혼용하여 제작하되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측을 향해 철근(115)이 돌출 배치된 한 쌍의 프리플렉스 거더(110)와; 교량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콘크리트의 양측에 교축방향으로 다수개의 철근(121)이 돌출 배치되고, 교축방향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내부에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쉬스관(122)이 배치된 프리캐스트 바닥판(120); 및 프리플렉스 거더의 철근과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철근이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이음부(1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프리플렉스 거더를 서로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레일을 설치하는 하로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형고 저감에 따른 시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로 철도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로 철도교 110 : 프리플렉스 거더
111 : 하부 플랜지 112 : 콘크리트
113 : 와이어메쉬 114 : 스터드
115 : 철근 116 : 돌출부
120 : 프리캐스트 바닥판 121 : 철근
122 : 쉬스관 123 : 콘크리트
130 : 이음부 131 : 밀폐재
132 : 콘크리트 133 : 쉬스관
본 발명은 하로 철도교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강재의 특성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혼용하여 제작한 프리플렉스 거더와,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싱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하여 구성한 하로 철도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주형은 바닥판으로 전달되는 차량하중을 교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주형은 차량하중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하되, 시공성과 경제성을 위해 낮은 형고에서도 큰 강도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큰 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형고 높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강도가 큰 교량일수록 그 형고가 높기 때문에, 형하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대부분은 철도교는 강재와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구성한 강합성 교량으로서, 강재로 구성된 강주형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완성된다. 즉, 종래의 철도교는 강주형의 상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바닥판을 따라 이동하면서 강주형에 하중을 가하는 상로교 형태이다.
그러나 철도교는 고진동에 견딜 수 있고 처짐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철도교는 형고가 높아지게 되는데, 그로 인해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형하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도교는 충분한 강도확보를 위해 많은 보강재들이 용접 접합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피로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 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프리플렉스 거더를 서로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레일을 설치하는 하로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하로 철도교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교 구조는, 강재의 특성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혼용하여 제작하되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측을 향해 철근이 돌출 배치된 한 쌍의 프리플렉스 거더와; 교량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콘크리트의 양측에 교축방향으로 다수개의 철근이 돌출 배치되고, 교축방향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내부에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쉬스관이 배치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상기 프리플렉스 거더의 철근과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철근이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플렉스 거더에는 철근이 돌출 배치된 쪽의 하단에 상기 철근보다 더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돌출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내부까지 연장하여 배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플렉스 거더의 철근과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철근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축방향을 향해 쉬스관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 구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 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로 철도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로 철도교(100)는 2개의 프리플렉스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바닥판(120), 및 프리플렉스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플렉스 거더(110)는 강재의 특성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혼용하여 제작된 합성거더로서, 공장에서 제작된다. 이러한 프리플렉스 거더(110)는 캠버(camber) 상태로 제작된 강거더(예를 들어, I형)의 양측에 하중을 가하여 응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강거더의 하부 플랜지(111)를 덮도록 콘크리트(112)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강거더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하부 플랜지(111)의 인장성능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 때, 프리플렉스 거더(110)는 콘크리트(112)를 타설하기 전에 하부 플랜지(111)의 하단에 와이어메쉬(113)를 미리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112)를 타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메쉬(113)를 하부 플랜지(111)의 하단에 위치시키되 내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위치시키고, 콘크리트(112)를 타설하되 하단이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타설함으로써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6)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플렉스 거더(110)는 콘크리트(112)를 타설하기 전에 하부 플랜지(111)에 스터드(114)를 미리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112)를 타설함으로써 하부 플랜 지(111)와 콘크리트(112)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플렉스 거더(110)는 내측방향을 향해 철근(115)이 돌출, 즉 콘크리트(112)의 한 쪽의 외측으로 철근(115)이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철근(115)은 콘크리트(112)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일부분이 콘크리트(112)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철근(115)의 배치는 프리플렉스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은 교량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교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철근(121)을 배치하고, 교축방향을 향하도록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쉬스관(122)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제작된다. 이 때, 철근(121)은 콘크리트(123)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일부분이 콘크리트(123)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철근(121)의 배치는 프리플렉스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그리고 교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쉬스관(122)은 교축방향의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음부(130)는 프리플렉스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음부(130)는 교량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프리플렉스 거더(110)의 사이에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을 위치시킨 후, 프리플렉스 거더(110)의 돌출부(116)와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고무 등과 같은 밀폐재(131)로 실링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132)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즉, 밀폐재(131)에 의해 실링 처리된 프리플렉스 거 더(110)의 돌출부(116)가 거푸집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리플렉스 거더(110)의 돌출부(116)에 의해 프리플렉스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프리플렉스 거더(110) 및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의 철근(115, 121)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프리플렉스 거더(110) 및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은 이음부(13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때, 철근(115, 121)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다른 쉬스관(133)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132)를 타설하여 이음부(130)를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로 철도교(100)는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거더(110)의 작은 단면에 의해서도 높은 강도를 확보하고, 또한 프리캐스트 바닥판(120)을 통해 낮은 형고에서도 진동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프리플렉스 거더를 서로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레일을 설치하는 하로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형고 저감에 따른 시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공작 제작하여 현장 시공함에 따라 공기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 구조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 강재의 특성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혼용하여 제작하되 콘크리트의 적어도 일측을 향해 철근이 돌출 배치된 한 쌍의 프리플렉스 거더와;교량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콘크리트의 양측에 교축방향으로 다수개의 철근이 돌출 배치되고, 교축방향을 향하도록 콘크리트 내부에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쉬스관이 배치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상기 프리플렉스 거더의 철근과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철근이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 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리플렉스 거더에는 철근이 돌출 배치된 쪽의 하단에 상기 철근보다 더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 구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내부까지 연장하여 배치되는 와이어메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프리플렉스 거더의 철근과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철근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축방향을 향해 쉬스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 철도교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0816A KR100627232B1 (ko) | 2004-09-06 | 2004-09-06 |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철도교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0816A KR100627232B1 (ko) | 2004-09-06 | 2004-09-06 |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철도교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2050A KR20060022050A (ko) | 2006-03-09 |
KR100627232B1 true KR100627232B1 (ko) | 2006-09-25 |
Family
ID=3712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0816A KR100627232B1 (ko) | 2004-09-06 | 2004-09-06 |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철도교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72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731B1 (ko) | 2010-07-01 | 2012-11-08 | 우혁근 |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298B1 (ko) * | 2011-01-11 | 2012-01-11 | 브릿지테크놀러지(주) | 횡방향 긴장없이 중공박스체로 제작되는 측면빔과 슬래브를 일체화시켜 시공되는 하로교 시공방법 |
KR101584070B1 (ko) * | 2015-05-11 | 2016-01-11 | (주)대우건설 | 루프 철근 하단 매입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
-
2004
- 2004-09-06 KR KR1020040070816A patent/KR1006272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731B1 (ko) | 2010-07-01 | 2012-11-08 | 우혁근 |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2050A (ko) | 2006-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34197B2 (ja) | 連続桁橋の施工方法、合成床版および連続桁橋 | |
KR100447013B1 (ko) | 웨브 홀을 가지는 비대칭 단면 철골 합성보 | |
CN105484151A (zh) | 一种增强预制混凝土节段间连接的构造及其施工方法 | |
KR101886345B1 (ko) | 충전강관 관입 긴장재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충전강관 하이브리드 철도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 |
CN110846999A (zh) | 一种装配式预应力钢与混凝土组合箱梁及施工工艺 | |
KR10070405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
CN100424269C (zh) | 一种预制桥面板与钢梁紧密结合的叠合梁结构 | |
KR200406615Y1 (ko) |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 |
KR100909004B1 (ko) | 신축 흡수가 가능한 코핑부를 구비한 다경간 복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0653283B1 (ko)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 방법 | |
KR100627232B1 (ko) | 프리플렉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하로철도교 구조 | |
KR100621928B1 (ko) |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 |
JP4073746B2 (ja) | 波形鋼板ウェブ橋の架設方法 | |
KR100583671B1 (ko) |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990967B1 (ko) |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0878465B1 (ko) | 커플러를 이용한 교량용 거더,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038714B1 (ko) |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이용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30761B1 (ko) | 라멘교의 슬라브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734304B1 (ko) |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 |
KR100555246B1 (ko) | 허니컴 거더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20030094195A (ko) |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2327700B1 (ko) |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 |
CN103911948A (zh) | 应用于宽混凝土肋板梁的横向桁式钢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13356014A (zh) | 一种uhpc人行天桥无腹筋u型梁及其施工方法 | |
JP2006169730A (ja) | コンクリート橋桁とその成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