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227B1 -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227B1
KR100627227B1 KR1020040071060A KR20040071060A KR100627227B1 KR 100627227 B1 KR100627227 B1 KR 100627227B1 KR 1020040071060 A KR1020040071060 A KR 1020040071060A KR 20040071060 A KR20040071060 A KR 20040071060A KR 100627227 B1 KR100627227 B1 KR 10062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arm
road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321A (ko
Inventor
강종대
김성진
김병우
임용건
Original Assignee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2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광판 지주(2)에 체결구로 체결되는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과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이 형성되어 전광판 지주(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밴드(110)와; 한쪽 단부는 상기 고정밴드(110)에 형성된 양쪽의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 사이에서 고정축(133)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스(121)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교통 정보 검지기(3)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아암(123)과; 상기 회전 아암(123)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회전 아암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괸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첨단 교통체제의 교통 관리용 시설물의 공간 확보에 유용성을 제공한다.
CCTV, 교통 정보, 지주, 전광판, 회전 아암

Description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Device for rotating a traffic facilities installed on a roadside}
도 1은 종래 지주에 전광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 고정용 브래킷이 지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아암 고정용 브래킷에 회전 아암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광판 지주 3 : 교통 정보 검지기
110 : 고정밴드 111 : 지주 고정용 브래킷
112 : 아암 고정용 브래킷 113 : 축공
114 : 고정공 121 : 보스
122 : 고정 브래킷 123 : 회전 아암
124 : 핸들 128 : 체결구
133 : 고정축 134 : 와이어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되어 교통 통제 상황을 표시하는 전광판이 고정된 지주의 상부에 조립식 고정밴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아암에 도로교통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도로교통 시설물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때에는 도로교통 시설물이 고정된 회전 아암을 전광판 하부에 형성된 발판쪽으로 회전시켜서 간편하게 작업한 다음 다시 정 위치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보수 및 교체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 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도로에서 차량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물류비가 상승하고, 교통 혼잡에 따르는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교통 체계에 전자, 정보, 통신, 제어 등의 지능형 기술을 접목시킨 차세대 교통 체계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이 도입되었다.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목적은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한 교통 시설 이용 효율의 극대화, 교통 소통 정보 제공 등 교통 시설 이용자의 편의 도모, 대중교통 이용 확대를 위한 대중교통의 정보화, 첨단화 및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도로 및 차량의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 알맞은 신속, 안전, 쾌적한 차세대 교통 체계를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 향상된 교통관리 시스템(ATMS;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향상된 교통 정보 시스템(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향상된 공공 운송 시스템(APTS;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상업상 운송 작동 (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향상된 수송 및 고속도로 시스템(AVHS; 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으로 분류되고 있다.
향상된 교통 관리 시스템(ATMS)은 도로상에 차량 특성, 속도 등의 교통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로 교통의 관리와 최적 신호 체계를 구현하는 동시에 여행시간 측정과 교통사고 파악 및 과적 단속 등의 업무 자동화를 구현한다. 예로써 요금 자동 징수 시스템과 자동 단속 시스템이 있다.
향상된 교통 정보 시스템(ATIS)은 교통 여건, 도로 상황,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소요 시간, 주차장 상황 등 각종 교통 정보를 FM 라디오 방송, 차량 내 단말기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신속,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최적 교통을 지원한다. 예로써 운전자 정보 시스템, 최적 경로 안내 시스템, 여행 서비스 정보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향상된 공공운송 시스템(APTS)은 대중교통 운영 체계의 정보화를 바탕으로 시민들에게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스케줄, 차량 위치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 편익을 극대화하고, 대중교통 운송 회사 및 행정 부서에는 차량관리, 배차 및 모니터링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예로써 대중교통 정보 시스템, 대중교통 관리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상업상 운송 작동(CVO)은 컴퓨터를 통해 각 차량의 위치, 운행상태, 차내 상황 등을 관제실에서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최적 운행을 지시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통행료 자동 징수, 위험물 적재 차량 관리 등을 통하여 물류의 합리화와 안전성 제고를 도모한다. 예로써 전자 통관 시스템, 화물 차량 관리 시스템 등이 있다.
향상된 수송 및 고속도로 시스템(AVHS)은 차량에 교통 상황, 장애물 인식 등의 고성능 센서와 자동 제어 장치를 부착하여 운전을 자동화하며, 도로상에 지능형 통신 시설을 설치하여 일정간격 주행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도로 소통의 능력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도로의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교통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CCTV, 무인단속 카메라, 영상검지기, 초단파 검지기 등과 같은 첨단 장비들을 각 도로에 설치하고 설치된 첨단 장비에서 수집된 정보를 도로 상에 설치된 교통 상황 전광판에 표시하여 운전 중인 차량에 소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원활한 교통 소통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첨단 장비는 도로 상에 설치되는 시설물인 각종 표지판, 신호등 및 전광판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로상의 시설물이 설치된 종래 기술의 지지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로의 노견 측으로 기둥 형태의 지주(2)가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주(2)의 상부에는 도로쪽의 공간상에 전광판(1)과 발판(4)이 고정되며, 상기 전광판(1)의 앞쪽을 향하는 지지대(10)에 교통 정보 검지기(3)가 설치된다.
상기 교통 정보 검지기(3)는 교통 상황을 수집하기 위한 장비로써, CCTV, 무인단속 카메라, 영상검지기, 초단파 검지기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교통 상황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고가의 장비(CCTV, 무인단속 카메라, 영상검지기, 초단파 검지기 등)를 필요로 하는데, 이들 장비는 설치된 장소의 주변 환경, 예를 들면 소음, 진동, 분진에 민감하게 작동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소모성 부품을 교환하여야 함은 물론 보수 및 정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교통 정보 검지기(3)를 정비할 때에는 주행차로의 일부를 차단시킨 후 고소 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증가하고 차량 정체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차로에 신호등 인지 및 첨단장비의 정보 수집을 방해하는 장애물, 예를 들면 광고 간판, 전선, 가수로 등이 밀집되어 있어서 장래에 구축될 첨단 교통 체제의 교통 관리용 시설물의 공간 확보가 쉽지 않고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교통 시설물로써, 도로 상황을 표시하는 전광판, 신호등 및 각종 표지판 등이 설치되는 지주의 상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회전 아암에 도로교통 시설물이 설치되게 함으로써 전광판에 형성된 발판에서 도로교통 시설물이 형성된 지지대를 회전시켜서 발판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보수 및 교체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의 상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회전 아암에 도로교통 시설물이 설치되게 함으로써 전광판에 형성된 발판에서 도로교통 시설물이 형성된 지지대를 회전시켜서 발판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보수 및 교체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소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 되어 고소 차량에 의하여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고, 고소 작업으로 인한 인건비 및 차량에 대한 소요 비용을 축소하여 경제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 수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밀집되어 장래에 구축될 첨단 교통체제의 교통 관리용 시설물의 공간 확보 및 유지 관리가 어려움에 따라 교통 정보 검지기를 설치한 회전 아암이 회전되어 도로의 상태나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정보수집 위치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보의 질을 향상시키고 설치장소의 제한을 최소화하여 소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활한 교통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완성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변에 고정되는 지주 상부에 고정되어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전광판에 도로교통 시설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두개의 반원형체로 나누어져서 전광판 지주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구가 체결되는 지주 고정용 브래킷이 형성되고, 어느 한쪽편의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는 두개의 아암 고정용 브래킷이 형성되어 전광판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밴드와; 한쪽 단부는 상기 고정밴드에 형성된 양쪽의 아암 고정용 브래킷 사이에서 고정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스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교통 정보 검지기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아암과; 상기 회전 아암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수단은 아암 고정용 브래킷의 축공 주변에서 상기 축공과 동심축을 이루는 회전 반경 내에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회전 아암의 보스 상부와 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공과 일치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이 형성되어 아암 고정용 브래킷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고정공과 보스에 형성된 고정공을 일치시켜서 체결구로 고정됨으로써 회전 아암은 고정 밴드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가변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회전 아암은 작업자에 의하여 보다 편리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핸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아암은 아암 고정용 브래킷에 외팔보(cantilevering)의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고정축 주변에서 응력이 집중되는데, 이러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의 한쪽 단부는 고정축 상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회전 아암에 고정되어 회전 아암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일련의 도면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정보 검지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는, 지지부(100), 회전부(120) 및 고정부(130)로 구성된다.
지지부(100)는 본 고안을 전광판 지주(2)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광판 지주(2)에 고정수단, 예를 들면 보울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밴드(110)로 구성된다.
회전부(120)는 상기 고정밴드(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아암(123)으로 구성된다.
고정부(130)는 상기 회전 아암(123)을 고정밴드(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축(133)과 부시(131)로 구성된다.
전광판 지주(2)의 상부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통상적인 전광판(1)이 설치되고, 그 앞쪽으로 교통 정보 검지기(3)가 설치되는데, 교통정보 검지기(3)는 본 고안이 의도하는 구조, 즉 후술하는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아암(123)에 고정되어 임의의 위치로 회전하고, 의도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광판(1)에는 작업자가 올라 설 수 있는 발판(4)이 형성되어 교통 정보 검지기(3)를 수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밴드(110)는 내측면이 전광판 지주(2)에 접촉하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양쪽 단부에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전광판 지주(2)에 접촉하는 반원형의 형상 단부에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대향하는 쪽에서 마주보는 또 하나의 고정밴드가 한 쌍을 이루게 되는데, 한쪽의 고정밴드(110)는 회전 아암(123)을 고정하기 위한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한 쌍으로 구성되는 고정밴드(10)에서 마주보는 양쪽의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은 보울트 및 너트로 되는 고정구(116)로 결합되어 전광판 지주(2)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은 한쪽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하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그 중앙에는 회전 아암(123)을 고정하기 위한 축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공(113)의 주변에는 회전 아암(123)이 일정하게 회전된 어느 한곳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축공(113)의 중심과 동심원을 그리는 원주상에서 다수개의 고정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아암(123)은 앞쪽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부(125)에 교통 정보 검지기(3)가 설치되고, 그 반대편의 단부에는 고정축(133)이 삽입되는 보스(121)가 형성되어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보스(121)는 고정축(133)이 삽입되는 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하의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 사이에 놓여져서 부시(131)와 고정축(133)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부면과 하부면의 일측으로 한 쌍의 고정 브래킷(112)이 형성되고, 회전 아암(123)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으로부터 핸들(124)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핸들(124)을 손으로 파지하여 고정축(133)으로 고정된 회전 아암(123)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122)은 회전 아암(123)이 회전된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114)과 수직 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고정공(127)이 형성되어 보울트와 너트로 되는 체결구(128)로 고정된다.
고정축(133)은 내부가 통공 형태로 되는 부시(131)와 함께 회전 아암(123)을 고정시키게 된다.
부시(131)는 외경이 아암 고정용 브라켓(1120의 축공(113)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경은 고정축(133)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축공(113)에 삽입되는데, 상부에 걸림턱(132)이 형성되어 위쪽에 있는 아암 고정용 브라켓(112)에 현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에 고정되는 회전 아암(123)은 외팔보가 되는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되는 단부에서 상당한 응력이 발생됨으로 구조물의 안전을 위하여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응력 분산 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응력 분산 수단으로써 회전 아암(123)의 본체와 보스(121)가 연결되는 부위에 보강 리브(126)를 형성하고, 또한 회전 아암(123)의 상부에 와이어(134)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구(127)를 형성하여 와이어(134)의 한쪽은 상기 고정구(127)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고정축(13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설치 순서와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변에는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도로 상황 등과 같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전광판(1)이 설치되는 지주(2)를 설치한다. 상기 전광판(1)에는 유지 보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보행이 가능한 발판(4)이 형성된다.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고정밴드(110)는 전광판(1)의 위쪽 지주(1)에 고정되는데,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이 서로 마주보게 하면서 둥근 반원형의 내측면이 지주(1)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양쪽의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을 고정구(116)로 체결하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 교통 정보 검지기(3)가 설치된 회전 아암(123)의 보스(121)를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에 고정하게 되는데, 회전 아암(123)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스(121)의 상하부와 지주 고정용 브래킷(115)사이에 링(115)을 개입시키면서 보스(121)의 통공과 아암 고정용 브래킷(113)을 일치시킨 다음 부시(131)와 고정축(133)을 삽입하면 회전 아암(123)이 고정밴드(110)의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교통 정보 검지기(3)가 정정한 위치에 놓여지도록 핸들(124)을 잡고 회전시켜서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공(114)과 회전 아암(123)의 고정 브래킷(122)에 형성된 고정공(127)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구(128)로 체결하면 의도하는 적적한 위치에서 회전 아암(123)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134)를 회전 아암(123)의 고정부(127)와 고정축(133)의 상부에 고정시키면 회전 아암(123)의 자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교통 정보 검지기(3)가 설치된 회전 아암(123)은 주변에 광고간판이나 전선이 신설되거나 가수로가 성장하여 새로운 장애물이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가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전관판(1)의 발판(4)에 올라서서 체결구(128)를 해체시키고, 핸들(124)을 잡고 회전 아암(13)을 적절한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보스(121)의 고정 브래킷(122)과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의 고정공(114)이 일치되는 새로운 위치에서 다시 체결구(128)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도로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검지기(3)를 보수 및 교체할 때에도 체결구(128)를 해제한 상태에서 보스(121)의 핸들(124)을 조작하여 전광판(1)의 발판(4) 측으로 보스(121)을 중심으로 회전 아암(123)이 회전되게 하면 작업자는 발판(4)에 서 있는 상태에서 교통 정보 검지기(3)의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함으로 고소 작업에 따른 도로의 점유 및 작업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검지기(3)와 회전 아암(123)을 구비한 지지대(110)가 설치되는 전광판(1)은 도로교통 시설물 중의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로 상황의 정보를 수집하는 각종 교통 정보 검지기를 도로 상황을 표시하는 전광판이 설치되는 지주의 상부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지주 고정용 브래킷으로 결합되는 고정밴드를 형성하여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도로 교통 시설물을 보수할 때에는 전광판의 하부에 형성된 발판에서 도로교통 시설물이 형성된 회전 아암을 회전시켜서 발판에 근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보수 및 교체 작업이 가능함으로 고소차량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고소차량에 의하여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고, 고소 작업으로 인한 인건비 및 제반 비용을 감축하여 경제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정밴드에 회전 아암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아암에 각종 도로 교통 시설물을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켜서 정확한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상태나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정보수집 위치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정보의 질을 향상시키고 설치장소의 제한을 최소화하여 소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원활한 교통소통이 이루어지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완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는 정보 수집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밀집된 장소에서도 도로 상황 검출이 용이하게 되어 장래에 구축될 첨단 교통체제의 교통관리용 시설물의 공간 확보에 유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로변에 고정되는 지주 상부에 고정되어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전광판에 도로교통 시설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두개의 반원형체로 나누어져서 전광판 지주(2)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구가 체결되는 지주 고정용 브래킷(111)이 형성되고, 어느 한쪽편의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중앙에 축공(113)이 형성되는 두개의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이 형성되어 전광판 지주(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밴드(110)와;
    한쪽 단부는 상기 고정밴드(110)에 형성된 양쪽의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 사이에서 고정축(133)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스(121)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교통 정보 검지기(3)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아암(123)과;
    상기 회전 아암(123)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의 축공(113) 주변에서 상기 축공과 동심축을 이루는 회전 반경 내에 다수개의 고정공(114)이 형성되고, 회전 아암(123)의 보스(121) 상부와 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공(114)과 일치하는 고정공(127)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122)이 형성되어 아암 고정용 브래킷(112)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고정공(114)과 보스(121)에 형성된 고정공을 일치시켜서 체결구(128)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보스(121)의 외주면으로부터 핸들(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 단부는 고정축 상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회전 아암(123)에 고정되는 와이어(134)가 형성되어 회전 아암(123)을 지지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KR1020040071060A 2004-09-07 2004-09-07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KR10062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060A KR100627227B1 (ko) 2004-09-07 2004-09-07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060A KR100627227B1 (ko) 2004-09-07 2004-09-07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712U Division KR200369815Y1 (ko) 2004-09-07 2004-09-07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321A KR20060022321A (ko) 2006-03-10
KR100627227B1 true KR100627227B1 (ko) 2006-09-25

Family

ID=3712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060A KR100627227B1 (ko) 2004-09-07 2004-09-07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2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33B1 (ko) 2011-01-20 2011-10-19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다면체 복합기능 폴
KR101743606B1 (ko) * 2017-01-16 2017-06-05 전찬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도로표지판용 지주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12B1 (ko) * 2009-06-30 2009-12-30 제디아 주식회사 전,후,좌,우방향의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한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140742B1 (ko) * 2009-11-30 2012-05-03 이윤주 지주용 전광판
KR101726510B1 (ko) * 2015-09-03 2017-04-13 박중식 완충장치가 구비된 표지판
KR102375105B1 (ko) * 2021-06-02 2022-03-16 (주)원테크놀로지 카메라 설치용 회전식 구조물이 설치된 전광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33B1 (ko) 2011-01-20 2011-10-19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다면체 복합기능 폴
KR101743606B1 (ko) * 2017-01-16 2017-06-05 전찬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도로표지판용 지주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321A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531B2 (en) Traffic control device transmitter, receiver, relay and display system
US6747574B2 (en) Traffic control device transmitter, receiver, relay and display system
KR101664394B1 (ko) 도로변의 기상정보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대중교통 수단 승강장
KR100627227B1 (ko)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CN109208995B (zh) 智能交通杆及智能道路系统
KR101937348B1 (ko) 이동식 신재생 발전 스마트 시스템
JP3208674U (ja) 工事規制標識装置
WO2020076280A1 (en) Autonomous in-vehicle virtual traffic light system
US7167105B2 (en) Traffic control device transmitter, receiver, relay and display system
KR101149822B1 (ko) 스마트 하이웨이 진출입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69815Y1 (ko)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시설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KR20160128610A (ko)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KR100508259B1 (ko)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설치용 설치대
CN102692233A (zh) 可变信息标志应用系统、电子导航装置和方法
KR102039413B1 (ko) 도로표지판, 카메라 또는 신호등 설치를 위한 회전식 종합폴
CN214993340U (zh) 一种道闸
CN217104796U (zh) 一种城镇智慧交通多合一杆件
KR102009818B1 (ko) 다차선 검지 레이더형 교통량 측정장치를 위한 설치 장치
KR101812521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회전식 지주 장치
US8516752B2 (en) Support pole having a track
KR100406187B1 (ko) 도로 통제 시스템
CN211286885U (zh) 多功能公共管理与服务集成杆
CN105844931A (zh) 一种用于智能交通的交通指挥设备
CN218886694U (zh) 一种交通信息传输设备
KR101806717B1 (ko) 안전 폴을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