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426B1 -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426B1
KR100626426B1 KR1020050008767A KR20050008767A KR100626426B1 KR 100626426 B1 KR100626426 B1 KR 100626426B1 KR 1020050008767 A KR1020050008767 A KR 1020050008767A KR 20050008767 A KR20050008767 A KR 20050008767A KR 100626426 B1 KR100626426 B1 KR 10062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installation groove
deodoriz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894A (ko
Inventor
임창학
함경희
하주영
석용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4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필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는 필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필터설치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하우징에는 필터설치홈을 덮어 폐쇄하는 필터덮개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터설치홈 및 필터덮개를 통해 필터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취장치{DEODORIZ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의 필터부재가 착탈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흡입구
12: 토출구 13: 필터설치홈
14: 필터덮개 20: 송풍팬
30: 필터부재 31: 탈취필터
32: 필터프레임 32a: 걸림부
본 발명은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취필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취장치는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써, 냉장고 등의 고내에 설치되어 고내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 등에서 발생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탈취장치는 외관을 이루며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하여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흡입구 및 토출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내부를 순환하게 하는 송풍팬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하우징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외부의 공기가 송풍팬에 의해 탈취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순환하며 탈취필터에 의해 냄새가 제거된 후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탈취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탈취필터는 사용에 따라 점진적으로 그 탈취성능이 저하되므로 정기적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청소 또는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탈취필터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을 완전히 분해하여 탈취필터 뿐만 아니라 송풍팬 등의 내부 구성을 완전히 노출시킨 뒤 탈취필터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탈취필터의 착탈이 매우 불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전기부품이 노출되므로 탈취필터의 교체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취필터를 보다 용이하게 하우징에 착탈시킬 수 있는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설치되는 필터설치홈과,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설치홈을 덮어 폐쇄하는 필터덮개 및 상기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와, 상기 탈취필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필터프레임을 구비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필터설치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설치홈 개방부측에 배치되는 단부 양측에 상기 필터설치홈 인접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하는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는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필터부재를 통과한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과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를 관통하여 흐 르게 하는 송풍팬(20)과,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재(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에는 내부로 공기가 흡입 및 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마련되어 있으며, 필터부재(30)를 통과하며 냄새가 제거된 공기가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그 일측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가 마련되어 있다.
송풍팬(20)은 회전하며 축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항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져 흡입구(11)의 내측에 배치되며, 필터부재(30)는 송풍팬(20)과 토출구(12)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20)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기 이전에 내부를 통과하며 포함되어 있는 냄새가 제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을 분해하지 않고도 필터부재(30)를 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필터설치홈(13)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설치홈(13)을 덮어 폐쇄할 수 있도록 필터덮개(14)가 하우징(10)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 이와 같이 필터덮개(14)가 필터설치홈(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터덮개(14)에는 걸림후크(14a)가 돌출형성되며 하우징(10)의 필터설치홈(13) 인접부에는 그 내면측에 걸림후크(14a)와 대응하도록 걸림홈(11a)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필터부재(3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망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31)를 포함한다. 이 때, 탈취필터(31)는 망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강도가 낮다. 따라서 탈취필터(31)를 직접 필터설치홈(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경우, 탈취필터(31)를 필터설치홈(13)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탈취필터(31)에 직접 힘이 가해져 이에 의해 탈취필터(31)의 형태가 변형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필터부재(30)에는 탈취필터(31) 외에도 내부에 탈취필터(31)가 수용되는 필터프레임(32)이 더 포함되어 있다.
필터프레임(32)은 하우징(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내부에 수용된 탈취필터(31)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필터설치홈(13)의 개방부측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32)의 단부 양측에는 필터설치홈(13)의 인접부에 지지되는 지지부(32a)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32a)를 통해 필터부재(30)가 필터설치홈(13) 내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30)가 필터설치홈(1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지지부(32a)를 통해 필터부재(30)에 힘을 가해 필터부재(30)를 필터설치홈(13)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터설치홈(13)을 덮고 있는 필터덮개(14)에 힘을 가해 필터덮개(14)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10)의 필터설치홈(13) 인접부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부(32a)를 통해 필터부재(30) 힘을 가해 필터부재(30)를 하우징(1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하우징에 필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필터설치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필터설치홈에는 필터설치홈을 덮어 폐쇄하는 필터덮개가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터설치홈 및 필터덮개를 통해 필터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설치되는 필터설치홈;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설치홈을 덮어 폐쇄하는 필터덮개; 및
    상기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와, 상기 탈취필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필터프레임을 구비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필터설치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설치홈 개방부측에 배치되는 단부 양측에 상기 필터설치홈 인접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하는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필터부재를 통과한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50008767A 2005-01-31 2005-01-31 탈취장치 KR10062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67A KR100626426B1 (ko) 2005-01-31 2005-01-31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67A KR100626426B1 (ko) 2005-01-31 2005-01-31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94A KR20060087894A (ko) 2006-08-03
KR100626426B1 true KR100626426B1 (ko) 2006-09-21

Family

ID=3717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767A KR100626426B1 (ko) 2005-01-31 2005-01-31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354Y1 (ko) * 2019-11-21 2020-03-26 오토앤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공기청정장치를 구비한 시트백커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742A (ko) * 2017-02-16 2018-08-2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흡입 팬을 포함하는 탈취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354Y1 (ko) * 2019-11-21 2020-03-26 오토앤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공기청정장치를 구비한 시트백커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94A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49B2 (en) Vacuum cleaner
KR20100056797A (ko) 공기청정기
US20100000413A1 (en) Air filtration device
KR20070007548A (ko) 건조기의 필터 구조
KR100626426B1 (ko) 탈취장치
KR101916881B1 (ko) 공기 누설 방지 구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158594B1 (ko) 공기청정기
KR100994080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JP5150179B2 (ja) 空気清浄機
CN112323338B (zh) 衣物处理设备
KR102306067B1 (ko) 마스크 유닛
CN114980732B (zh) 烘干箱
KR101158595B1 (ko) 공기청정기
KR200318114Y1 (ko) 가구에 적용된 착탈식 통풍구
KR100492321B1 (ko) 공기청정기
KR101157669B1 (ko) 공기청정기
EP3358069A1 (en) Purification device
KR102294814B1 (ko)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KR200450705Y1 (ko) 가구용 환기캡
KR100518423B1 (ko) 공기청정기
KR200391623Y1 (ko) 공기청정기
JP2008185010A (ja) 脱臭送風機
KR20060111029A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489A (ko) 공기청정기
KR101457433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