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257B1 -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257B1
KR100626257B1 KR1020017016419A KR20017016419A KR100626257B1 KR 100626257 B1 KR100626257 B1 KR 100626257B1 KR 1020017016419 A KR1020017016419 A KR 1020017016419A KR 20017016419 A KR20017016419 A KR 20017016419A KR 100626257 B1 KR100626257 B1 KR 10062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data
birth
communication lin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437A (ko
Inventor
마사히데 하라다
Original Assignee
하라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라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3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8Veterinary obstetrical instrument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8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birth of animals, e.g. parturition alar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출산을 앞둔 가축에 대한 종래의 감시 체제에 있어서의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한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문의 등의 가축의 감시자의 감시 작업의 경감이나, 축산 농가 등의 가축의 관리자에 있어서의 경비 절감 및 노동력 삭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1)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 L에 싣는 데이터 중계 수단(2)과, 상기 통신 회선 L에서 보내져 온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수단(3)과, 상기 데이터 표시 수단 (3)의 표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4)을 포함하고 있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이다.
가축 생체 데이터 수단,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데이터 표시 수단, 데이터 중계 수단, 측정 수단

Description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DOMESTIC ANIMAL DELIVERY WAIT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축산 농가 등에서 사육하는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원격적으로 감시하고,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그 가축 사육사 등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출산 징후를 감시하는 사람이나 가축의 관리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출산을 앞둔 가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전문 지식이나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이 항상 그 가축 곁에서 돌보면서, 그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의 판단 요인이 되는, 예를 들면 가축의 체온이나 호흡수나 심장 박동수 등을 측정하고, 그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가축의 출산의 징후의 발현을 감시하여, 출산 징후가 발현했을 때, 그 취지를 가축의 사육사 등에게 알려, 출산 체제를 재촉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축의 출산의 징후가 언제 발현할지는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어느 정도의 전문 지식이나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이 항상 가축 곁에서 돌보며 그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지 않으면 알 수 없었다. 그 때문에, 가축의 출산 예정이 가까워지면, 장시간, 긴 경우에는 2, 3일 동안 밤낮을 막론하고 그 가축을 감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그 가축 곁에서 돌보는 사람의 노동력 부담이 커지거나 축산 농가 등의 관리자(특히, 가축의 소유자)의 출산 관리 비용이 높아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가축 곁에서 돌보는 사람은 그 가축의 출산의 징후의 발현 등의 가축의 상황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다지 많은 사람을 모을 수 없어서, 인해 전술을 취하는 것도 곤란하였다.
또한, 축산 농가가 사육하고 있는 가축의 수가 많아지면, 당연히, 출산하는 가축의 수도 많아져서, 복수의 가축의 출산이 중첩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출산 징후의 발현을 감시하는 사람이 상당한 중노동을 강요당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출산을 앞둔 가축에 대한 종래의 감시 체제에 있어서의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한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문의 등의 가축의 감시자의 감시 작업의 경감이나, 축산 농가 등의 가축의 관리자에게 있어서의 경비 절감 및 노동력 삭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은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싣는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으로 보내져 온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수단과, 상기 데이터 표시 수단의 표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축의 몸의 일부에 부착된 체온 센서 등의,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이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예를 들면, 체온 등)를 측정하여, 그 측정치를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데이터 중계 수단이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싣고, 데이터 표시 수단이 통신 회선으로 보내져 온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그 측정 데이터 표시 수단의 표시 결과에 기초하여 감시자로서의, 예를 들면 전문의 등 어느 정도의 전문 지식이나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에 의해,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통지 수단이 가축의 관리자에게,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었다는 취지 또는 출산 중이라는 취지와 그 가축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 출산 정보를 통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출산을 앞둔 가축 (예를 들면, 소 등)에 대하여,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전에 부착해 둠으로써, 그 센서로부터 전송된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의 측정 데이터를, 예를 들면 가축이 있는 축산 농가 등으로부터 떨어 진 장소에 있는 가축 관리 센터 등에 설치된 데이터 표시 수단(예를 들면, 데이터 표시 장치 등)을 이용하여, 항상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하기 위해서 종래 행해져야 했던, 가축 곁에서 돌보며 그 가축의 감시와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의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전문의 등의 감시자의 노동력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함께 축산 농가 등의 관리자(특히, 가축의 소유자)의 출산 관리 비용을 삭감할 수도 있다.
또한, 사육하고 있는 가축 수가 많은 축산 농가 등에서는 복수의 가축의 출산이 중첩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감시자는 직접 가축 곁에서 돌보는 측정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디스플레이 등의 데이터 표시 수단에 표시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판단을 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가축 관리 센터 등에서는 광역적이며, 동시에 다수의 가축의 출산의 징후 등의 가축의 몸 상태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감시자를 소수로 할 수 있음과 함께, 각자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은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싣는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으로 보내져 온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가축 생체 데이터 판 단 수단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축의 몸의 일부에 부착된 체온 센서 등의,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이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측정치를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데이터 중계 수단이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실어,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이 통신 회선으로 보내져 온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가축이 출산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의 판단에 기초하여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통지 수단이 가축의 관리자에게,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었다는 취지 또는 출산 중이라는 취지와 그 가축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 출산 정보를 통지한다. 또, 이 출산 정보에는 상기 생체 데이터를 포함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출산을 앞둔 가축 (예를 들면, 소 등)에 대하여,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전에 부착해 둠으로써, 그 센서로부터 전송된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의 측정 데이터가, 예를 들면 가축이 있는 축산 농가 등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는 가축 관리 센터 등에 설치된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예를 들면, 자동 판정 장치)에 송신된다. 그리고,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에서는 예 를 들면,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가축이 출산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알고리즘을 조합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이러한 판단을 행할 수 있고,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으로부터의 판단 처리에 기초하여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가축이 출산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었을 때, 통지 수단에 자동적으로 신호가 출력되어, 통지 수단이, 예를 들면 팩시밀리 장치 등을 통해 가축의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이로 인해,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가축이 출산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이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또한, 그 판단 수단의 판단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통지 수단을 통해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자로서의, 전문의 등의 어느 정도의 전문 지식이나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이 측정 데이터를 판단하여 가축의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이 상기 가축의 호흡수를 검지하는 호흡수 센서와, 상기 가축의 혈압 수를 검지하는 혈압 센서와, 상기 가축의 심장 박동수를 검지하는 심장 박동 센서와, 상기 가축의 체온을 검지하는 체온 센서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회선은 전화 회선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은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의 상기 데이터 전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기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회선에 싣기 위한 제1 중계기와, 상기 통신 회선으로 보내져 온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중계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이와 같이 하면, 종래의 전화 회선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통지 수단이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를 갖고 있어도 되고, 이와 같이 하면, 간편하고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었다는 취지 또는 출산 중이라는 취지와 그 가축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 출산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은 가축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과, 그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싣는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상기 통지 수단과의 조를 복수 조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이와 같이 하면,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과 데이터 중계 수단과 통지 수단과의 조를, 예를 들면 가축이 있는 축산 농가마다 배치함과 함께, 이들 축산 농가에서 떨어진 장소에 있는 가축 관리 센터 등에 데이터 표시 수단(예를 들면, 데이터 표시 장치 등)을 배치함으로써, 광역적이고 또한 동시에 다수의 축산 농가의 가축의 출산의 징후 등의 가축의 몸 상태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가축의 출산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축산 농가별 출산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인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면 중 부호 A는 가축으로서의 소, B는 그 가축 A의 관리자로서의 사육사, C는 집중 관리 센터, D는 전문의, F는 축산 농가, F1은 소의 사육장, F2는 사육사가 있는 자택, L은 전화 회선, M1은 제1 중계기로서의 모뎀, M2는 제2 중계기로서의 모뎀이다. 또, 여기에서의 전화 회선 L에는 종래의 회선(공중 회선)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육장 F1에서 사육되고 있는 소(특히, 출산 을 앞둔 소) A에 대해서는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서의 생체 데이터 측정 장치(1)가 그 소 A의 몸의 일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 생체 데이터 측정 장치(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수 센서(1a), 혈압 센서(1b), 심장 박동 센서(1c), 그리고 체온 센서(1d)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들 각각의 센서에는 데이터 전송기(1a∼1d)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중, 호흡수 센서(1a)는 소 A의 얼굴(코) 부근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예를 들면, 소 A의 몸의 일부 또는 외양간의 기둥 등, 소 A의 숨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부착되고, 혈압 센서(1b)와 심장 박동 센서(1c)는 소 A의 발(도 1 중 왼쪽 앞발)에 부착되고, 체온 센서(1d)는 소 A의 엉덩이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중계 수단으로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2)는 생체 데이터 측정 장치(1)로부터 보내져 온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2a)와, 전화 회선 L과, 데이터 수집기(2a)에서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전화 회선 L에 싣기 위한 모뎀 M1과, 데이터 표시 수단으로서의 데이터 표시 장치(3: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전화 회선 L로부터 보내져 온 신호를 출력하는 모뎀 M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통지 수단(4)은 전문의 D가 사육사 B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집중 관리 센터 C 내에 설치된 전화기(4a)와, 전화 회선 L을 통해 전화기(4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사육사 B의 자택에 설치된 전화기(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각 구성은 축산 농가 F에서 사육되고 있는 소 A의 사육장 F1과, 거기에서 떨어진 거리에 있는 집중 관리 센터 C와, 소 A를 사육하는 사육사 B가 있는 자택 F2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생체 데이터 측정 장치 (1)와, 데이터 전송 장치(2) 중의 데이터 수집기(2a) 및 모뎀 M1이 사육장 F1의 부지 내에 설치되고, 데이터 전송 장치(2) 중의 모뎀 M2와 데이터 표시 장치(3)와 전화기(4a)가 집중 관리 센터 C 내에 설치되고, 전화기(4b)가 자택 F2 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데이터 수집기(2a)는 상기 데이터 전송기(1a∼1d)로부터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면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중, 사육장 F1의 부근의 전주에 설치하고 있지만, 관리자 등의 사육사 B가 거주하는 옥내에 설치해도 된다.
상기 옥내에 설치한 경우, 데이터 수집기(2a)는 데이터 전송기(1a∼1d)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받는 수신기와,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와, 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한 경보기(스피커 등)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고, 이와 같이 하면, 전문의 D가 출산의 징후 등을 판단했을 때, 데이터 표시 장치(3)로서의 퍼스널 컴퓨터를 반대로 모뎀 M1, M2, 전화 회선 L을 통해 데이터 수집기(2a)의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하고, 그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경보기에 출산이 있다는 취지의 경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데이터 수집기(2a)의 퍼스널 컴퓨터는 가축의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어떤 가축이 출산 징후 등을 보이고 있는가를 사육사 B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소 A에 부착된 각 센서(1a, 1b, 1c, 1d)에 의해 측정된 소 A의 각 측정 데이터(호흡, 혈압, 심장 박동수, 체온)가 각 센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기 (1a∼1d)로부터 데이터 수집기(2a)를 통해 모뎀 M1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한 모뎀 M1은 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 회선 L에 싣는다. 그에 따라, 도 1 중 화살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데이터는 모뎀 M2로 송신된다. 그리고, 모뎀 M2는 전화 회선 L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표시 장치(3)용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표시 장치(3)로 출력한다. 또한, 그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표시 장치(3)가 호흡수, 심장 박동, 혈압, 체온의 항목과 함께 이들 항목에 대응시켜서 측정치나 절선 그래프 등에 의해 소 A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판단하기 쉬운 표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 여기서는 상기 측정은 항상 행해지고 있지만, 전화 회선 L을 통한 데이터 전송 장치(2)와 데이터 표시 장치(3)와의 사이에서는 소정의 시간 내(예를 들면, 10분간)에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모아 두고, 그 측정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 표시 장치(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 표시 결과를 어느 정도의 전문 지식이나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서의 전문의 D가 디스플레이의 표시 결과를, 예를 들면 소수인의 교대제로 항상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문의 D가 이러한 표시 결과로부터,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소 A가 출산 중인지를 판단했을 때에, 집중 관리 센터 C에 설치된 전화기(4a)로, 사육사 B가 있는 자택 F2로 전화를 걸면 전화 회선 L을 통해 전화기(4b)의 전화가 울린다. 이에 따라, 소 A의 관리자인 사육사 B가 전화기 (4b)로 전화를 받으면, 전문의 D는 소 A의 사육사 B에게,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었다는 취지 또는 출산 중이라는 취지와 그 소 A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면, 소의 ID 번호 등)를 포함한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때문에, 그 출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육사 B는 소 A 곁에서 돌보거나 출산을 돕거나 하는 등의 출산 체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출산을 앞둔 소 A에 대하여, 소 A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a∼1d)가 사전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센서(1a∼1d)로부터 전송된 소 A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의 측정 데이터를 집중 관리 센터 C에 설치된 데이터 표시 장치 (3)를 이용하여, 항상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하기 위해서 종래 행해야 했던, 소 A 곁에서 돌보며 그 소 A의 감시와 소 A의 출산에 따른 몸 상태의 변화의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문의 D의 노동력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축산 농가 F 등의 관리자(특히, 가축의 소유자)의 출산 관리 비용을 삭감할 수도 있다.
또한, 사육하고 있는 소 A의 수가 많은 축산 농가 F 등에서는 복수의 소 A의 출산이 중첩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전문의 D는 직접 소 A 곁에서 돌보며 측정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판단을 하면 되기 때문에, 집중 관리 센터 C에서는 광역적이며, 또한 동시에 다수의 소 A의 출산의 징후 등의 소 A의 몸 상태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감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문의 D를 소수인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각자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은 종래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전화기(4a)와 전화기(4b)에 의해 간편하고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써, 가축의 관리자에게,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었다는 취지 또는 출산 중이라는 취지와 그 소 A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 출산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2)로부터 데이터 표시 장치(3)로 측정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의 통화량보다 염가로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의 부호(5)는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으로서의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이고, M3은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 후의 신호를 전화 회선 L에 싣기 위한 모뎀이고, 부호(4c)는 상기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전화기(4b) 대신에 이용되는 팩시밀리 장치(4c)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은 그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성은 상기 앞의 실시예의 데이터 표시 장치(3) 대신에,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는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소 A가 출산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알고리즘을 조합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로 처리된 디지털 신호는 모뎀 M3에 출력되고, 모뎀 M3이 이러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 회선 L에 싣는다. 또한, 그 변환 후의 신호가 전화 회선 L을 통해 팩시밀리 장치(4c)에 보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가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가축이 출산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소 A가 출산 중일 때,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었다는 취지 또는 출산 중이라는 취지와 그 소 A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출산 정보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서 모뎀 M3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그 전기 신호가 전화 회선 L을 통해 팩시밀리 장치(4c)에 입력됨으로써, 팩시밀리 장치(4c)의 착신음이 울림과 함께 팩시밀리 용지에 상기 출산 정보가 인쇄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앞의 실시예의 효과 외에,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소 A가 출산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이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또한, 그 판단 장치(5)의 판단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통지 수단(4)을 통해 소 A의 사육사 B에게 상기 출산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문의 D가 측정 데이터를 판단하여 소 A의 사육사 B에게 통지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수집기(2a)를 퍼스널 컴퓨터를 구비하도록 하여, 측정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팩시밀리 장치 대신에 전화 회선 L을 통해 작동하는 경보 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경보 장치의 작동에 의해 출산 징후 등을 알 수 있었던 사육사 B가 데이터 수집기(2a)의 퍼스널 컴퓨터의 데이터 표시를 확인함으로써, 어느 가축이 출산하는지 등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중,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은 그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산을 앞둔 복수의 소 A의 체온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무선으로 출력하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생체 데이터 측정 장치(1)와, 그 측정 데이터를 수취하여 통신 회선으로서의 인터넷 I에 싣는, 데이터 중계 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수신기와 퍼스널 컴퓨터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2)와, 소 A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소 A가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그 소 A의 관리자로서의 사육사 B에게 출산 정보를 전화 회선 L을 통해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전화기와의 조를 복수조 구비하고, 이들 조를 축산 농가 F별로 배치함과 함께, 일개소의 집중 관리 센터 C에, 각 소 A에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각 소 A가 출산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알고리즘을 조합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된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를 배치하고, 그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를 인터넷 I에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앞의 실시예의 효과 외에, 광역적이고 또한 동시에 다수의 축산 농가 F의 소 A의 출산의 징후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다수의 축산 농가 F의 소 A의 출산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축산 농가 F별 출산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인하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예를 들면 축산 농가 F와, 집중 관리 센터 C를 각각 그 지역의 프로 바이더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 이와 같이 하면, 서로의 프로바이더 간의 통화 요금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음과 함께, 데이터의 교환을 광역에 걸쳐 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집중 관리 센터 C에서, 예를 들면 홋카이도 전역의 축산 농가 F 등을 대상으로 한 가축의 출산 대기의 일괄적인 관리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집중 관리 센터 C는 도메인명을 취득하고, 인터넷에 직접 접속해도 된다. 또, 집중 관리 센터 C에는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 대신에, 데이터 표시 장치(3: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와 전문의 D를 배치해도 된다.
이상 도시한 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앞의 두 개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2)로부터 데이터 표시 장치(3) 또는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장치(5)에의 측정 데이터의 송신에, 통신 회선으로서 공중 회선인 전화 회선 L을 사용하고 있지만, 사육장 F1과 집중 관리 센터 C가 비교적 가까운 거리인 경우에는 전용 회선으로 함으로써 통화료를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지 수단에서는 전화기나 팩시밀리 장치를 사용하여 유선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예를 들면 무선 텔레미터(radio telemeter)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서도 좋고, 통신 회선으로서, 광 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축으로서 소 A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산 징후를 판단할 필요가 있는 가축이면 대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말 등의 가축이어도 좋다.

Claims (6)

  1. 가축의 호흡수를 검지하는 호흡 센서와, 가축의 혈압을 검지하는 혈압 센서와, 가축의 심박수를 검지하는 심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싣는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으로 보내지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수단과,
    상기 데이터 표시 수단의 표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2. 가축의 호흡수를 검지하는 호흡 센서와, 가축의 혈압을 검지하는 혈압 센서와, 가축의 심박수를 검지하는 심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싣는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으로 보내지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판단 수단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은, 상기 가축의 체온을 검지하는 체온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회선은 전화 회선 및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은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의 상기 데이터 전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기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회선에 싣기 위한 제1 중계기와,
    상기 통신 회선으로 보내져 온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중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축의 호흡수를 검지하는 호흡 센서와, 가축의 혈압을 검지하는 혈압 센서와, 가축의 심박수를 검지하는 심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과,
    상기 가축 생체 데이터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싣는 상기 데이터 중계 수단과,
    상기 가축에게 출산의 징후가 있거나 상기 가축이 출산 중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가축의 관리자에게 출산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상기 통지 수단
    의 조를 복수 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KR1020017016419A 2000-04-21 2001-04-23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KR100626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1379 2000-04-21
JPJP-P-2000-00121379 2000-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437A KR20020032437A (ko) 2002-05-03
KR100626257B1 true KR100626257B1 (ko) 2006-09-22

Family

ID=1863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419A KR100626257B1 (ko) 2000-04-21 2001-04-23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20116134A1 (ko)
EP (1) EP1198986A4 (ko)
KR (1) KR100626257B1 (ko)
AU (1) AU761644B2 (ko)
CA (1) CA2377692A1 (ko)
NZ (1) NZ516332A (ko)
WO (1) WO200108063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19B1 (ko) * 2009-04-10 2012-04-09 (주)야긴스텍 가축 생체 데이터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70819B1 (ko) * 2011-03-03 2012-08-02 (주)사이 축산용 현장 소리 실시간 알림시스템
KR20190120659A (ko) 2018-04-16 2019-10-24 김정순 분만 감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9455A4 (en) * 2004-01-28 2009-03-04 Ivy Animal Healt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LLECTING, MANAGING AND COMMUNICATING DATA RELATING TO BOVINE IN FATTENING PARK AND DATA RELATING TO THE CONSUMPTION OF FOOD ADDITIVES
US8862481B2 (en) * 2004-01-28 2014-10-14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managing and reporting feedlot data and feed additive consumption data
FR2878430B1 (fr) * 2004-10-15 2007-06-22 Ingenierie Conception Applic R Dispositif de detection et de signalisation de la parturition d'une jument, d'une vache ou autres animaux
DE102005031425A1 (de) * 2005-07-04 2007-01-11 Westfaliasurg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nagement von milchgebenden Tieren
JP3938786B1 (ja) * 2006-04-28 2007-06-27 株式会社リモート 分娩予知通報システム
JP4825601B2 (ja) * 2006-06-28 2011-11-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バイタル情報遠隔観察システムとそのバイタル情報送信ユニット
WO2008117834A1 (ja) * 2007-03-27 2008-10-02 Shinshu University 分娩監視装置
KR101413447B1 (ko) 2012-12-14 2014-07-01 주식회사 바이오넷 분만 유도 장치
JPWO2017183350A1 (ja) * 2016-04-21 2019-02-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5997292B (zh) * 2016-07-29 2017-11-14 东阿阿胶股份有限公司 腹带式产驹监测装置
NL2018938B1 (nl) * 2017-05-18 2018-11-28 N V Nederlandsche Apparatenfabriek Nedap Werkwijze en systeem voor het bepalen van afkalf-informatie
SE541787C2 (en) * 2017-09-19 2019-12-17 Norwegian Univ Of Life Sciences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farrowing onset
KR101994338B1 (ko) * 2017-10-25 2019-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537A (ja) * 1994-05-20 1995-12-05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分娩警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724A (en) * 1980-05-12 1983-06-14 New Mexico State University Foundation, Inc.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the long term deep body temperature in female mammals
CA1214220A (en) * 1982-06-26 1986-11-18 Christopher J. Dennis Pulse detection
US4651137A (en) * 1984-11-01 1987-03-17 New Mexico State University Foundation Intravaginal parturition alarm and method for use
US4784155A (en) * 1987-07-17 1988-11-15 Data Sciences, Inc. Device for automated detection of estrus in farm animals
US4936316A (en) * 1988-08-03 1990-06-26 Sonodyne America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arturition
US4994665A (en) * 1990-01-04 1991-02-19 Wernsing William O Apparatus for providing a remotely discernible signal upon parturition of a pregnant livestock or zoological animal
FR2689754B1 (fr) * 1992-04-10 1994-07-22 Begouen Jean Paul Avertissement de la parturition des gros animaux d'elevage: dispositif et procede.
US5301680A (en) * 1992-12-09 1994-04-12 Hygeia Biomedical Resear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iagnosis of labor
US5373852A (en) * 1993-06-25 1994-12-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onitoring uterine contractions by radiotelemetric transmission
JPH07194273A (ja) * 1993-12-29 1995-08-01 Toshitsugu Kato 乳牛の管理システム
GB9604833D0 (en) * 1996-03-07 1996-05-08 Great Valley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onitoring
US5794625A (en) * 1996-08-06 1998-08-18 Stella A. McCarley Monitoring system for animals
US5984875A (en) * 1997-08-22 1999-11-16 Innotek Pet Products, Inc. Ingestible animal temperature sensor
US5971921A (en) * 1998-06-11 1999-10-26 Advanced Monitoring Devices, Inc. Medical alarm system and methods
US6860859B2 (en) * 2001-04-20 2005-03-01 Monsanto Technolog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estrus and/or non-pregna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537A (ja) * 1994-05-20 1995-12-05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分娩警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19B1 (ko) * 2009-04-10 2012-04-09 (주)야긴스텍 가축 생체 데이터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70819B1 (ko) * 2011-03-03 2012-08-02 (주)사이 축산용 현장 소리 실시간 알림시스템
KR20190120659A (ko) 2018-04-16 2019-10-24 김정순 분만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7692A1 (en) 2001-11-01
KR20020032437A (ko) 2002-05-03
NZ516332A (en) 2003-10-31
EP1198986A4 (en) 2005-02-09
EP1198986A1 (en) 2002-04-24
AU4883801A (en) 2001-11-07
WO2001080630A1 (fr) 2001-11-01
AU761644B2 (en) 2003-06-05
US20020116134A1 (en)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257B1 (ko) 가축 출산 대기 관리 시스템
KR101961311B1 (ko) 가축용 질병 예측 및 알림 시스템
US89797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livestock
DE69916599T2 (de) Medizinische messvorrichtung
AU2016228129B2 (en) Animal monitoring device
JP2008148569A (ja) 飼育支援システム
US5400799A (en) Method of monitoring uterine activity in veterinary obstetrics
KR102108829B1 (ko)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WO2015001537A2 (en) Smart activity monitoring system
US10896754B2 (en) Troubleshooting system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KR101431757B1 (ko) 모돈 분만 및 난산 감지 시스템
KR20080000266A (ko) 가축관리신호 발신장치 및 그 발신장치를 이용한 무인가축관리 시스템.
WO2020120516A1 (en) Livestock management system
WO2002043473A1 (fr) Systeme de notification d'informations relatives a l'oestrus d'un animal domestique
KR2019012457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E19955208B4 (de) Medizinisches System zur Überwachung von Parametern einer Schwangeren mit Risikofaktoren in häuslicher Umgebung
KR20230097441A (ko) 반려동물 감시 시스템
KR20210105079A (ko)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01

Effective date: 2006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