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209B1 -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209B1
KR100626209B1 KR1020040072958A KR20040072958A KR100626209B1 KR 100626209 B1 KR100626209 B1 KR 100626209B1 KR 1020040072958 A KR1020040072958 A KR 1020040072958A KR 20040072958 A KR20040072958 A KR 20040072958A KR 100626209 B1 KR100626209 B1 KR 10062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aphragm
air conditioner
filter
intermedia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091A (ko
Inventor
고생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07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2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에 관한 것으로, 통상 에어컨(Air-conditioning)이라 불리우는 공기조화기나 공기청정기 등에 적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미세 먼지 등을 여과시켜주는 필터 중간재의 단면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여과효과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항균 및 난연성 및 정전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표면과 이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깊이와 형상을 갖는 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다수의 격막이 한쌍씩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어느 하나의 격막에 형성된 요홈과 이웃하는 격막에 형성된 요홈이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용융·접착되면서 그 사이에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공기조화기, 필터 중간재, 격막, 요홈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FILTER MEDIA FOR AIR-CONDITIONING}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에 필터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필터 중간재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원형의 공기통과공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중간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각형상의 공기통과공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중간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확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하니컴형상의 공기통과공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필터 중간재 42,42' : 요홈
44,44' : 격막 46,46',46'' : 공기통과공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Filter media)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에어컨(Air-conditioning)이라 불리우는 공기조화기나 공기청정기 등에 적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미세 먼지 등을 여과시켜주는 필터 중간재의 단면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여과효과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항균 및 난연성 및 정전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공간 또는 음식점 등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장치 내부에서 순환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차갑게 한 다음, 차가와진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방출하는 방식으로 실내온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름철 냉방방치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장치내부에서 이온흡착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공기속에 함유된 미세먼지나 불쾌한 냄새 등을 흡착하여 정화시킨 다음, 비교적 맑게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방출하는 장치로서 보다 쾌적한 업무환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교적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에 필터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필터 중간재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나 공기조화기(10)를 구성하는 하우징(11)의 전면 또는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유입공(12)이 형성되고, 상부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배출공(13)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12)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상에 해당되는 하우징(11) 내부의 소정 위치에는 유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미세 먼지 등을 여과시켜주기 위한 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4)는 무수히 많은 미세한 공기통과공(15)이 형성된 다수의 필터중간재(16)가 별도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조밀하게 끼워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 중간재(16)상에 형성된 미세한 공기통과공(1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 이물질이 공기통과공(15)의 내·외면에 흡착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종래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설치되며, 표면(表面)과 이면(裏面)이 평탄한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16a)와,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16a) 사이에 배치되어 접착되며, 동일한 높이와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굴곡부(16b)를 갖는 파형의 격막(16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16)에서는 상기 격막(16c)을 구성하는 굴곡부(16b)와 베이스플레이트(16a)의 표면과 이면 사이에 공기통과공(15)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통과공을 통하여 이동되면서 여과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16)는 격막 (16c)상의 각 굴곡부(16b)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고 그 높이 또한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공기통과공(15)의 크기 또한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여과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 에어컨(Air-conditioning)이라 불리우는 공기조화기나 공기청정기 등에 적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미세 먼지 등을 여과시켜주는 필터 중간재의 단면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여과효과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항균 및 난연성 및 정전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부재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표면과 이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깊이와 형상을 갖는 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다수의 격막이 한쌍씩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어느 하나의 격막에 형성된 요홈과 이웃하는 격막에 형성된 요홈이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용융·접착되면서 그 사이에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격막상의 요홈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격막과 이웃하는 격막사이에는 원형의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격막상의 요홈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ㄷ"형 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격막과 이웃하는 격막사이에는 사각형상의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격막상의 요홈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격막과 이웃하는 격막사이에는 하니컴(Honeycomb)형상의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원형의 공기통과공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중간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확대 정면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각형상의 공기통과공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중간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확대 정면도이다.
또, 도 9는 본 발명에서 하니컴형상의 공기통과공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확대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40)는 표면과 이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깊이와 형상을 갖는 요홈(42)(42')이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다수의 격막(44)이 한쌍씩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 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어느 하나의 격막(44)에 형성된 요홈(42)과 이웃하는 격막(44')에 형성된 요홈(42')이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용융·접착되면서 그 사이에 공기통과공(4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격막(44)(44')상의 요홈(42)(42')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격막(44)과 이웃하는 격막(44')사이에는 원형의 공기통과공(46)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격막(44)(44')상의 요홈(42)(42')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ㄷ"형 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격막(44)과 이웃하는 격막(44')사이에는 사각형상의 공기통과공(4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격막(44)(44')상의 요홈(42)(42')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격막(44)과 이웃하는 격막(44')사이에는 하니컴(Honeycomb)형상의 공기통과공(4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중간재(40)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사이에 조밀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청정기의 공기유입경로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청정기가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 중간재(40)를 구성하는 격막(44)(44')상의 요홈(42)(4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통과공(46)(46')(46'')을 통하여 흐르게 되면서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 먼지 등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며, 정전효과는 물론 항균 및 난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표면과 이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깊이와 형상을 갖는 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다수의 격막이 한쌍씩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어느 하나의 격막에 형성된 요홈과 이웃하는 격막에 형성된 요홈이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용융·접착되면서 그 사이에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상의 요홈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격막과 이웃하는 격막사이에는 원형의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상의 요홈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ㄷ"형 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격막과 이웃하는 격막사이에는 사각형상의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상의 요홈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격막과 이웃하는 격막사이에는 하니컴(Honeycomb)형상의 공기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KR1020040072958A 2004-09-13 2004-09-13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KR100626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958A KR100626209B1 (ko) 2004-09-13 2004-09-13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958A KR100626209B1 (ko) 2004-09-13 2004-09-13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227U Division KR200371059Y1 (ko) 2004-09-13 2004-09-13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091A KR20060024091A (ko) 2006-03-16
KR100626209B1 true KR100626209B1 (ko) 2006-09-21

Family

ID=3713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958A KR100626209B1 (ko) 2004-09-13 2004-09-13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2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091A (ko)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139B1 (ko) 오일 미스트 필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JP6516094B2 (ja) 空気調和機
CN100559090C (zh) 空调装置
JP2016168519A (ja) 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の組立方法
JP2003326121A (ja) 空気清浄フィルター及びそのフィルター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0626209B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KR200371059Y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AU2004248040B2 (en) Humidity controller apparatus
KR200371058Y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KR20060024089A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중간재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JP2000218112A (ja) 集塵フィルターおよび空気調和機
KR102434618B1 (ko) 멀티 모드 창문형 공기 조화 시스템
JP4553654B2 (ja) フィルタ及び空気調和装置
KR200401316Y1 (ko) 공기청정기용 에어필터
KR100732375B1 (ko) 굴곡전열유로를 구비한 환기장치
JP3835223B2 (ja) 冷却吸着素子
JP2008126138A (ja) ガス除去フィルタ
KR102539174B1 (ko)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515156B1 (ko)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갖는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20090022030A (ko) 창문틀 및 창틀형 환기장치
JP4710741B2 (ja) 換気装置
KR102515148B1 (ko)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용 하우징
KR102248940B1 (ko) 열 교환기 및 열 교환기 제조 방법
KR20200001320A (ko) 환기용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